맨위로가기

유성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철(1917년 ~ 1995년)은 소련 연해주 출신으로, 소련군 정찰학교를 졸업하고 제88독립저격여단에서 김일성의 통역을 지냈다.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족보위성 작전국장이 되었고, 1948년부터 1958년까지 조선인민군 제1부총참모장 겸 작전국장을 역임하며 중장으로 진급했다. 6.25 전쟁 당시 남침 개시 명령을 하달했으며, 이후 소련 유학을 마치고 귀국 후 숙청되어 소련으로 돌아가 타슈켄트에서 연금 생활을 했다. 1990년 한소 수교 후 방한하여 6.25 전쟁 관련 증언을 했으며, 김일성의 항일 경력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출신 - 니콜라이 신
    니콜라이 신은 고려인 강제 이주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킨 화가로, 1957년 모스크바 국제청년축제 대상 수상, 1982년 대작 《레퀴엠》 완성, 1997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여 등의 활동을 했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출신 - 알렉산드라 킴
    알렉산드라 킴은 시베리아 출신의 고려인으로,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에서 활동하며 한인 사회당을 창당했고, 1918년 체포되어 처형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2009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했다.
  • 소련파 - 허가이
    허가이는 소련파 북한 정치인으로,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핵심 역할을 했으나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는 암살 의혹이 있다.
  • 소련파 - 방학세
    방학세는 소련 유학 및 NKVD 경력을 바탕으로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하고 내무성 부상, 사회안전상, 내무상 등을 역임하며 공안 및 치안 업무를 담당했으며, 중앙재판소 소장을 지낸 북한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김일성 훈장과 로력영웅 칭호를 받았다.
  • 소련의 군인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소련의 군인 - 블라디미르 푸틴
    블라디미르 푸틴은 1952년 출생하여 KGB에서 근무하고 정치 경력을 시작, 1999년 러시아 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을 거쳐 2000년 러시아 대통령에 당선된 후 장기 집권하며 경제 개혁과 강한 러시아 건설을 목표로 했지만, 우크라이나 관련 국제적 비판을 받았다.
유성철
기본 정보
1919년 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유성철
1919년 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유성철
본관강릉 유씨
남송 (南松)
출생1897년 1월 12일
출생지평안북도 구성시
사망1968년 5월 1일 (71세)
사망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묘소애국렬사릉
가족 관계
배우자김형숙
자녀4남 2녀
학력
출신 학교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
일본체육대학 졸업
경력
주요 경력조선체육회 중앙상무위원 겸 이사
조선올림픽위원회 위원
제14회 런던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단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체육지도위원회 부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정양대 대장
기타 정보
종교천도교
상훈애국렬사 (1968년)

2. 생애

유성철(兪成哲, 1917-1995)은 소련 프리모르스키 지방 포시예트 구역 출신의 군인이다. 88국제여단에서 김일성의 통역관으로 활동했으며, 해방 이후에는 조선인민군 창설에 참여하여 작전국장 등을 역임했다.

1941년 소련군에 입대하여 정찰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1943년에는 김일성의 러시아어 통역이 되었다. 1945년 9월 김일성과 함께 원산항으로 귀국하였다.

조선인민군에서는 제1부총참모장 겸 작전국장을 지냈으며,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남침 개시 명령을 하달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8년 소련파 숙청 당시 모든 직책에서 쫓겨나고 1959년 소련으로 돌아갔다.

1990년 한소 수교 직후 방한하여 한국 전쟁 남침 등에 대한 증언을 남겼으며, 1991년에는 고려일보에 회고록을 연재하여 보천보 습격사건에 대한 새로운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8]

2. 1. 출생과 성장

유성철(兪成哲, 1917-1995)은 1917년 10월 소련 프리모르스키 지방 포시예트 구역에서 태어났다.[8][9] 연해주 스파스스키 지구 차피고우 마을(현 Кроуновка|크로우노프카ru) 출신으로, 유인준의 차남이었다. 아버지 유인준은 바람기가 있어 가족을 돌보지 않았기 때문에, 어머니는 형 성훈을 교육시키기 위해 아버지와 헤어져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했다.

유성철은 스파스스키의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몸이 약해 학업을 중단했지만, 중학교 과정을 가르치는 블라디보스토크 조선 사범대학 부속 노동학원에 입학했다. 당시에는 여러 번 요양해야 할 정도로 몸이 좋지 않았지만, 성격은 얌전하고 작문을 잘하는 소년이었다고 한다. 노동학원을 2년 만에 중퇴한 후에는 "센본"(Сэнбон|선봉ru) 신문의 문선공으로 일했다.

1937년,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에 따라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 공화국으로 이주했다. 이 강제 이주로 재소(在蘇) 한국인들은 언어로는 형언할 수 없는 고통을 겪었지만, 유성철과 그의 가족은 유성철이 신문사에서 일한 덕분에 특별 대우를 받아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할 수 있었다. 잠시 카자흐스탄에 정착했지만, 1938년 형이 타슈켄트의 조선족 국영 농장 중학교 교장으로 부임함에 따라 타슈켄트로 이사했다. 교사직에 관심이 있던 유성철은 1년 과정의 러시아어 교원 강습소에 입학했다. 강습소를 수료한 후에는 형이 있던 중학교에 취직했다.

2. 2. 소련군 복무와 김일성과의 만남

유성철은 1941년 적군에 징집되어, 같은 해 9월 소련군 최고사령부 직속 정찰학교에 다른 한국인 청년 16명과 함께 입학했다.[8][9] 이 학교는 한국인 외에 독일인과 중국인 등에게도 첩보원 교육을 실시하여 해당 지역에 침투시켰기 때문에 서로의 사정을 알 수 없을 정도로 비밀리에 운영되었다.[8][9] 유성철은 15개월 동안 독도법, 무선술, 사진 촬영술, 조선 경제 지리 등 전문적인 스파이 교육을 받았다.[8] 1942년 12월 소련군 정찰학교(제2기)를 졸업하고 극동 소련군에 배속되었다. 유성철과 한국인 16명은 소위 계급을 받은 후 블라디보스토크 부근 극동군 정찰대에 배속되어, 1943년 한반도 내에 스파이로 잠입했다.[8] 공작에 실패하고 귀환한 후, 9월부터 제88독립저격여단 경리 중대에 배속되어 김일성의 러시아어 통역이 되었다.

1945년 9월, 유성철은 제88여단 대원들과 함께 소련군 선박 푸가초프 호를 타고 원산 항에 입항했다.[1]

유성철은 고려일보에 실은 회고록 '피바다의 비화'에서 보천보 습격사건의 주역이었던 김일성은 당시 전사하고, 그 이후 별다른 항일 공적이 없던 북한 김성주가 김일성 이름을 쓰며 자신이 한 일로 만들어 공을 가로채려 했다고 주장했다.[8]

2. 3. 북한 정권 수립 참여와 한국전쟁

1943년부터 88국제여단에서 김일성 대대의 통역관으로 일했다.[8][9] 해방 후 1945년 9월 19일 김일성과 함께 소련군함 푸가초프호를 타고 원산항으로 입북하여 인민군 작전국장 등을 지냈다.[8][9]

1945년 10월, 평안남도 경비 사령관 물진 대령의 통역을 맡았다.[2] 1946년 7월에는 중앙보안간부학교 전술학부장이 되었고,[3] 1948년에는 중앙보안간부학교 군사 부교장 및 민족보위성 작전국장을 역임했다. 1948년부터 1958년까지 조선인민군 제1부총참모장 겸 작전국장으로 중장 계급이었다.

1950년 3월, 김일성은 스탈린을 방문하여 비밀 회담을 가졌고, 여기서 6.25 전쟁 작전이 시작되었다. 유성철은 고려일보에 게재된 회고록 '피바다의 비화'에서 6.25 전쟁의 작전 계획이 민족보위성 작전국의 한 방에서 약 한 달 동안 극비리에 작성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작전 계획 작성에 총참모장 강건, 포병사령관 김봉률 등과 함께 직접 참여했다고 증언했다.

1950년 6월 25일, 유성철은 남침 개시 신호탄인 로켓탄 발사 명령을 하달했다. 같은 해 7월, 강건이 전사하자 중장으로 승진하여 총참모장 대리로 임명되었고,[4] 1951년 7월, 총참모장 남일이 휴전 회담에 참석하자 다시 총참모장 대리를 맡았다.[5]

1956년 중반부터 1958년 9월까지 소련군 참모본부 군사 아카데미에 유학했다.[6] 귀국 후 사상 검토 위원회에서 자기 비판을 요구받았으나 거부하여 숙청 위기에 처했다. 결국 1959년 12월 소련으로 귀국했다.[7]

2. 4. 숙청과 소련 귀국

1958년 소련파 숙청 당시 유성철은 사상검토를 받으며 모든 직책에서 쫓겨났다. 사상 검토 위원회는 유성철에게 자기비판을 요구했지만, 그는 이를 거부했다. 그 결과, 유성철은 사상 조사를 받고 중장 계급과 작전국장 직위를 박탈당했으며, 살던 집도 몰수당했다.[6] 숙청 위협을 느낀 유성철은 당에 "소련으로 돌아가 살고 싶다"는 탄원서를 제출했고, 이는 받아들여져 1959년 12월 소련으로 돌아갔다.[7]

소련으로 돌아간 후, 유성철은 연금 생활을 하며 타슈켄트에서 거주했다. 1996년에 사망했다.

3. 김일성 가짜설에 대한 증언

유성철은 1991년 6월 재소(在蘇) 교민신문 《고려일보》에 연재한 회고록 「피바다의 비화」에서 보천보 습격사건의 주역이었던 김일성(金日成)은 당시 전사하고, 그 이후 별다른 항일 공적이 없던 북한 김성주가 김일성 이름을 쓰며 자신이 한 일로 만들어 공을 가로채려 했다고 증언했다.[8][13][14]

4. 한소 수교 후 방한과 증언

1990년 10월, 대한민국과 소련의 수교 직후 유성철은 한국을 방문하여 한국 전쟁 남침 등에 대한 여러 중요한 증언들을 남겼다.[10][11][12]

방한 후 소련으로 돌아간 유성철은 1991년 6월 재소(在蘇) 교민신문 《고려일보》에 연재한 회고록 「피바다의 비화」에서 보천보 습격사건의 주역이었던 김일성(金日成)은 당시 전사하고, 그 이후 별다른 항일 공적이 없던 북한 김성주가 김일성 이름을 쓰며 자신이 한 일로 만들어 공을 가로채려 했다고 주장했다.[8][13][14]

5. 가족 관계

관계이름
유성훈
배우자김용옥[16]


6. 수상

국기훈장 (1급, 2급, 3급), 자유독립훈장 (1급 2개, 2급), 몽골의 적기훈장을 수여받았다.

참조

[1] 뉴스 직계만 빼놓곤 숙청 https://news.joins.c[...] 2019-01-04
[2]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6 http://www.hankookil[...] 2019-01-04
[3]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7 http://www.hankookil[...] 2019-01-04
[4]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11 http://www.hankookil[...] 2019-01-04
[5]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13 http://www.hankookil[...] 2019-01-04
[6]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15 http://www.hankookil[...] 2019-01-04
[7]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16 http://www.hankookil[...] 2019-01-04
[8] 문서 유성철(兪成哲, 1917-1995) 전 조선 인민군 총참모부 작전국장겸 부참모장 http://www.loc.gov/r[...] 미의회도서관
[9] 서적 북조선을 만든 고려인 이야기 경인문화사 2006
[10] 뉴스 전 北韓軍작전국장 兪成哲씨 回顧(完)= 金日成,사상검토라는 이름으로 숙청단행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1990-11-06
[11] 서적 증언 김일성을 말한다 : 유성철(俞成哲)·이상조(李相朝)가 밝힌 북한정권의 실체 한국일보사 1991
[12] 뉴스 재소 한인 유성철씨 우리나라 방문, 당시 증언 (김현주) http://imnews.imbc.c[...] MBC 1990-10-31
[13] 뉴스 "<美의회도서관, 고려인 80여명 수기집 디지털화 보관>"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7-02-08
[14] 뉴스 횡설수설 http://newslibrary.n[...] 1991-06-12
[15] 문서 유성훈(兪成勳) 전 김일성대 총장 행장 http://www.loc.gov/r[...] 미의회도서관
[16] 웹사이트 고려인들의 입북 후 활동 및 삶의 모습 / 2006년도 수집 구술자료 http://archive.histo[...] 국사편찬위원회 2017-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