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기훈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기훈장은 1948년 10월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6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된 북한의 최고 훈장 중 하나이다. 이 훈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를 상징하며, 군 복무, 정치, 문화, 경제 분야의 공헌자, 조선로동당 간부, 그리고 공화국 영웅 및 노력 영웅 칭호 수여자 등에게 수여된다. 훈장은 1급, 2급, 3급으로 나뉘며, 수훈자는 대중교통 무료 이용 등의 혜택을 받았다. 1972년 김일성훈장 제정 이전까지 최고 훈장의 지위를 가졌으나, 1970년대 이후 수여 횟수의 증가로 훈장의 위상이 하락했다. 훈장의 재질과 형태는 생산 시기에 따라 변화했으며, 김일성, 김정일, 펑더화이 등 북한 및 여러 외국인에게 수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훈장 - 김일성훈장
    김일성훈장은 김일성 60회 생일을 기념하여 1972년 제정된 북한의 훈장으로, 조선민족과 공산주의에 대한 공헌자에게 수여되며 김일성 개인 숭배 강화에 기여했다는 비판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훈장 - 자유독립훈장
    자유독립훈장은 한국 전쟁 당시 북한 정권이 사회주의 체제 강화와 전쟁 승리를 독려하기 위해 제정한 훈장으로,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군인과 군수 산업 종사자에게 주로 수여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에는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에게 많이 수여되었다.
국기훈장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기 훈장
국기 훈장 견장
수여 기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유형훈장
수여 대상개인 및 단체 (정치, 문화, 경제 공헌), 공화국 영웅, 노력영웅, 자유독립훈장, 군공명예훈장 수훈자, 각종 "인민" 칭호 수여자
상태현행
제정일1948년 10월 12일
총 수여 횟수1급 100,000+회, 2급 200,000+회, 3급 1,100,000+회
상위 훈장김일성훈장, 김정일훈장
하위 훈장자유독립훈장
관련 훈장공화국 영웅, 노력영웅
왼쪽부터 1급, 2급, 3급 국기 훈장
명칭
한국어 (조선)국기훈장
한자國旗勳章
로마자 표기Gukgi Hunjang
문화어 표기Kukki Hunjang
군사 훈장 정보
훈장 이름국기훈장
수여 대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발전 공헌자
상태운용 중
제정일1948년 10월 12일
1950년대에 소련의 화폐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제2급 국기 훈장과 훈장 증명서

2. 역사

1948년 10월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6주 후에 국기훈장이 제정되었다.[1] 이 훈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1972년 3월 20일 김일성 훈장이 제정되기 전까지 국기훈장은 북한 최고 훈장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1960년대까지는 수훈자가 매우 적었으나, 1970년대에 들어 급격히 증가하여 훈장으로서의 지위는 크게 하락했다. 1980년대에는 훈장 뒷면에 적혀 있던 일련 번호가 삭제되었다. 조선로동당에서의 근속 연수에 따라 국기훈장이 수여되기도 한다.[51]

2. 1. 제정 배경

1948년 10월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6주 후에 훈장이 제정되었을 때,[1] 이는 북한의 최고 훈장이었다.[2] 이 훈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2. 훈장 지위 변화

1972년 3월 20일 김일성훈장이 제정되기 이전까지 북한 최고 지위의 훈장이었다. 1960년대까지 수여 횟수가 적은 고급 훈장이었으나, 1970년대부터 수여 횟수가 과도하게 늘어나 훈장이 갖는 대내적 위상은 급격히 하락했다. 수여량 과다로 한글 자음을 일련 문자로 하여 일련번호 초기화를 여러 번 시도하다 1980년대부터 훈장 뒷면의 일련번호란을 삭제시키거나 표기하지 않는다.

일련번호를 초기화하기 위해 한글 "ㄴ"을 추가시킨 모습


조선로동당에서의 장기 근속 시 근속장으로 수여되는 것으로도 알려졌다.[53]

등급근속 연수
제1급25년
제2급20년
제3급15년


2. 3. 생산 및 재질 변화

소련제 스크류 플레이트(좌)와 북한제 스크류 플레이트(우)


극초기형 국기훈장 제2급


1948년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 북한에서 생산된 국기훈장은 통일된 생산 체계가 갖춰지지 않아 생산 공장에 따라 세부적인 형태와 스크류 플레이트에 차이가 있었다. 훈장 재질의 하향은 북한 내부의 정치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수여량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년도제조국재질패용 방식그림
1948년 - 1950년대 초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스털링 실버 및 금 도금스크류백(Screw-back)
1950년대소련스털링 실버 및 금 도금스크류백(Screw-back)
1950년대 - 1960년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스털링 실버 및 금 도금스크류백(Screw-back)
1960년대 후반 ~ 현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합금 프레임에 도금수직 핀(Vertical-pin)



국기훈장 제3급의 경우 한국전쟁 기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생산된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나[55]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1960년대까지는 수훈자가 매우 적었지만, 1970년대에 들어 급격히 증가하여 훈장으로서의 지위는 크게 하락했다. 이에 따라 훈장 뒷면에 있던 일련 번호가 1980년대에 삭제되었다. 훈장의 재질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하향되었는데,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악화 → 그로 인한 정부에 대한 불신감을 씻기 위해 훈장을 대량 수여 → 생산 과잉으로 인한 경제 악화"라는 악순환 때문으로 보인다.

제3급 국기훈장만 한국 전쟁 중에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제조되었다고 하는 설[52]이 있지만, 실제로 제조되었다는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

3. 등급 및 구성

가장 높은 급수인 제1급은 전면이 색이며, 제2급은 부분적으로 색, 제3급은 전체가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2]

국기훈장 구성 및 약장
등급구성약장
제1급전면 금도금
제2급부분 금도금
제3급전체 은도금


3. 1. 등급

김일성 훈장과 김정일 훈장 다음으로 북한에서 두 번째로 높은 훈장이며, 이 두 훈장은 공동으로 1위를 차지한다. 국기훈장은 3등급으로 구성되어 있다.[2]

1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3등급


제1급 국기훈장은 전체에 금도금이 되어 있으며, 제2급은 부분적으로 금도금이, 제3급은 전체가 은도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약장


3. 2. 구성

1950년대 소련 화폐제조공사에서 생산된 국기훈장 제2급과 훈장증


국기훈장은 김일성 훈장과 김정일 훈장 다음으로 북한에서 두 번째로 높은 훈장이며, 이 두 훈장은 공동으로 1위를 차지한다.[2] 훈장은 3등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기훈장 구성 및 약장
등급구성약장
제1급전면 금도금
제2급부분 금도금
제3급전체 은도금



3. 3. 변천 과정

1948년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 북한에서 생산된 국기훈장은 통일된 생산 체계 하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생산 공장에 따라 세부적인 형태에 차이가 있었으며, 스크류 플레이트 또한 통일된 모습을 갖추지 못했다.[55] 훈장 재질이 점차 하향된 것은 북한 내부의 정치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훈장 수여량을 늘린 것과 관련이 있다.

년도제조국재질패용 방식
1948년 - 1950년대 초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스털링 실버 및 금 도금스크류백(Screw-back)
1950년대소련스털링 실버 및 금 도금스크류백(Screw-back)
1950년대 - 1960년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스털링 실버 및 금 도금스크류백(Screw-back)
1960년대 후반 ~ 현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합금 프레임에 도금수직 핀(Vertical-pin)



국기훈장이 처음 수여되기 시작한 한국 전쟁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에는 훈장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확립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제조 장소에 따라 훈장의 형태 등이 달랐다.

훈장의 재질이 해마다 저하된 배경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악화 → 정부에 대한 불신감을 해소하기 위한 훈장 대량 수여 → 생산 과잉으로 인한 경제 악화"라는 악순환이 있었다.

제3급 국기훈장은 한국전쟁 기간 중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생산되었다는 설[55]이 있지만,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4. 수훈 자격 및 혜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1948년에 제정한 국기훈장 규정에 따르면, 1급 수훈자는 모든 대중교통 무료 이용, 1200KRW의 수당, 실업 또는 만 55세(남성)/50세(여성) 도달 시 연금 지급, 2급 수훈자는 기차 및 시내전차 무료 이용, 900KRW의 수당, 실업 또는 만 55세(남성)/50세(여성) 도달 시 연금 지급, 3급 수훈자는 시내전차 무료 이용, 600KRW의 수당, 실업 또는 만 55세(남성)/50세(여성) 도달 시 연금 지급의 특권이 주어졌다.

이후, 북한의 경제 악화와 훈장 자체의 지위 저하로 이러한 특권은 대폭 축소되었다.

4. 1. 수훈 자격

국기훈장은 군 복무[3] 또는 정치, 문화, 경제 분야에서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개인, 단체 또는 직장에 수여될 수 있다. 또한 조선로동당 간부에게도 장기 근속(1급 25년, 2급 20년, 3급 15년)을 기준으로 수여된다.[4]

공화국 영웅 또는 노력 영웅 칭호를 받는 자는 항상 국기훈장을 함께 수여받으며, 人民称号|인민 칭호중국어 수상자 또한 마찬가지다. 자유독립훈장 수훈자는 동일 등급의 국기훈장을 받지만, 군인영예훈장 수훈자는 더 낮은 등급의 국기훈장을 받는다.[2] 수훈자는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권리를 가진다.[5] 장애인 및 퇴직 수훈자는 훈장과 함께 연봉을 받는다.[2]

4. 2. 수훈자 혜택 (1948년 제정 규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1948년에 제정한 규정에 따르면, 국기훈장 수훈자에게는 다음과 같은 특권이 주어졌다.[2]

훈장 등급혜택
제1급
제2급
제3급



이후, 북한의 경제난과 무분별한 수여로 훈장 지위가 하락하면서 이러한 혜택은 대폭 축소되었다.[2]

5. 훈장증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에 자유독립훈장, 전사의 영예 훈장, 리순신훈장이 차례로 제정되며 1952년부터 여러 훈장들을 기재할 수 있는 공용 훈장증명서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50년 7월 이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훈장은 국기훈장이 유일했으므로 국기훈장 전용 증명서인 '국기훈장증'이 존재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훈장증은 소련 훈장증의 서식과 형태를 차용하였으며, 표창장 형태로 제작되는 외국인용을 제외하고 소형 수첩 형태로 제작된다. 1960년대에 들어서 소련식 서식을 벗어나 훈장 규정 발췌본 페이지가 삭제되고 페이지 수가 2페이지로 줄어드는 등 간소화되었다.

연도종류그림
1948년 - 1950년대 초국기훈장 전용
1952년 - 1960년공용훈장증
1960년대 - 현재공용훈장증
1960년대 - 현재외국인용 훈장증


6. 주요 수훈자

국기훈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훈장으로, 정치,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로를 세운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된다.

북한에서는 김일성, 김정일, 김정숙 등 최고 지도자들을 비롯하여, 김영남, 최룡해, 최영림 등 고위 간부들이 이 훈장을 받았다. 류경수와 같이 군사 분야에서, 허종만과 같이 재일조선인총련합회(총련)에서 활동한 인물도 수훈자에 포함된다.

외국인 수훈자로는 펑더화이, 욤자깅 체뎅발, 키릴 메레츠코프, 세르게이 비류조프,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로디온 말리놉스키, 바실리 이바노비치 페트로프, 야코프 노비첸코,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호스니 무바라크,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피델 카스트로 등이 있다.

6. 1. 북한

인물수훈 내용
김일성1951년 2월 6일 1급[2], 1953년 7월 28일 1급[6][7]
한설야, 임화, 조기천, 리 기영, 이태준1951년 4월 26일 2급[8]
김초규, 박응걸, 신고송1951년 4월 26일 3급[8]
박정애1953년 7월 2급, 이후 1급[9]
장철1961년 8월 1급
리두일1968년 6월 1급
김룡영1976년 1월 1급
최삼숙1982년 1급
김정일1982년 1급[10]
정창렬1986년 6월 1급
김수조1989년 10월 1급
백학림1997년 4월 1급
리을설1997년 4월 1급
오익제1997년 9월 1급
전병호1998년 2월 1급[11]
류미영1991년 1월 1급
한덕수1급 10회[12]
현영철1급 8회, 2급 5회, 3급 2회[13]
김룡린1급 9회
조명록,[14] 김정린,[15] 김락희,[16] 이권무,[17] 리종옥[18]1급
강기섭1급 2회, 2급 3회, 3급 3회[19]
다롄 침몰 화물선 선장/수석 기사 (사후)2010년 초, 1급[20]
평양음악무용대학,[21] 기관차체육단,[22] 청년전위,[23] 수풍댐 5호 발전기 터빈[24]1급
김정숙, 김영남, 최룡해, 최영림, 류경수, 펑더화이(1951년, 1953년 2회), 허종만, 욤자깅 체뎅발, 키릴 메레츠코프, 세르게이 비류조프,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로디온 말리놉스키, 바실리 이바노비치 페트로프, 야코프 노비첸코,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호스니 무바라크,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피델 카스트로(수훈 내용 및 시기 미상)


6. 2. 외국

다음은 국기훈장을 수여받은 외국인의 명단이다.

이름국가등급수여 일자비고
펑더화이중국1등급1951년, 1953년2회 수훈[25]
안토닌 자포토츠키체코슬로바키아1등급1955년[26]
알로이스 바르비네크체코슬로바키아3등급1955년작곡가[27]
누레딘 알-아타시시리아1등급1969년 9월
살레 하르시 아와드 알-반남예멘3등급1969년[48]
시아드 바레소말리아 민주 공화국1등급1972년[28]
포브스 번햄가이아나1등급1972년[49]
구스타프 후사크체코슬로바키아1등급1973년, 1988년2회 수여[26]
그나싱베 에야데마토고1등급1974년 9월[29]
사모라 마셸모잠비크1등급1975년 3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소련1등급1976년 12월 18일[31]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폴란드1등급1977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유고슬라비아1등급1977년 8월 25일[46]
디디에 라치라카마다가스카르1등급1978년[30]
쥐브날 아비아리마나르완다1등급1978년[32]
장베델 보카사중앙아프리카 제국1등급1978년[33]
Olavi Linnus|올라비 린누스fi핀란드2등급1978년[47]
최은희대한민국1등급1983년[34]
호스니 무바라크이집트1등급1983년[35]
아가사 바르바라몰타1등급1985년 8월[36]
하인츠 케슬러동독1등급1988년 7월[45]
와치라롱꼰태국1등급1992년[50]
샘 누조마나미비아1등급1992년[37]
노로돔 시아누크캄보디아1등급1965년[38]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인도네시아1등급2002년[44]
피델 카스트로쿠바1등급2006년[39]
요제프 보로비에츠폴란드국립 교육 센터 전 원장[40]
야코프 노비첸코소련[41]
알레한드로 카오 데 베노스스페인[42]
라 훈일본1등급, 2등급, 3등급2회[43]
류경수
욤자깅 체뎅발
키릴 메레츠코프
세르게이 비류조프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로디온 말리놉스키
바실리 이바노비치 페트로프


참조

[1] 서적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Origins and Current Tactics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 웹사이트 Chests Full of Brass: A DPRK Political History in Orders, Medals, Prizes, and Titles http://sinonk.com/20[...] 2016-01-08
[3] 웹사이트 http://znakordena.ru[...]
[4] 웹사이트 Order of the National Flag http://www.northkore[...]
[5] 웹사이트 Korea (North) http://www.jeanpaull[...]
[6] 서적 Kim Ir Sen Państwowe Wydawnictwo Wiedza Powszechna 2001
[7] 서적 Kim Il Sung Biography: From Building Democratic Korea to Chullima Flight Miraisha
[8] 논문 Writing Under Wartime Conditions: North and South Korean Writers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https://openaccess.l[...] Leiden University 2015
[9] 웹사이트 http://cybernk.net/i[...] Institute for Peace Affairs
[10] 서적 The Guerilla Dynasty: Politics and Leadership in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I.B.Tauris
[11] 웹사이트 Jon Pyong Ho http://nkleadershipw[...]
[12] 웹사이트 Chairman Han Duk Su of CHONGRYUN Passes Away http://www1.korea-np[...]
[13] 웹사이트 Rozstrzelany z broni przeciwlotniczej za... drzemkę. Bo nie okazał szacunku dla Kim Dzong Una http://wiadomosci.ga[...] 2015-05-13
[14] 웹사이트 Senior DPRK official Jo Myong Rok passes away http://www.chinadail[...]
[15] 웹사이트 Kim Jung Rin Dies http://nkleadershipw[...] 2010-04-28
[16] 웹사이트 Kim Rak Hui, Initiator of Plowwoman Movement http://kcna.co.jp/it[...] 2013-02-20
[17] 서적 This Kind of War: The Classic Military History of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Open Road Media 2014-04-01
[18] 웹사이트 Ri Jong Ok passes away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2-10-11
[19] 비디오 빛나는 삶의 품 30 충정의 한길에 삶은 빛난다 https://www.youtube.[...] 2021-07-25
[20] 웹사이트 Szczyt bohaterstwa: narażać życie dla portretów Kim Ir Sena http://www.newsweek.[...]
[21] 웹사이트 Pyongyang University of Music and Dance http://naenara.com.k[...]
[22] 웹사이트 Anniversary of Kigwancha Sports Team Marked in DPRK http://rodong.rep.kp[...] 2016-01-11
[23] 웹사이트 Youth Paper Observes Publication of Its 20 000th Issue http://kcna.co.jp/it[...] 2017-02-06
[24] 비디오 9월11일 20시보도 http://www.uriminzok[...] 2021-09-11
[25] 서적 The Korean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5-01
[26] 웹사이트 Řády a vyznamenání prezidentů republiky http://www.vyznamena[...]
[27] 문서 https://dspace.cuni.[...] 2024-08
[28] 웹사이트
[29] 서적 Summary of World Broadcasts: Far East https://books.google[...] Monitoring Service of 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974-09
[30] 서적 Summary of World Broadcasts: Far East, Part 3 https://books.google[...] 1978
[31] 서적 Korean unification: source materials with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esearch Center for Peace and Unification
[32] 웹사이트 Asia http://www.dtic.mil/[...]
[33] 서적 Summary of World Broadcasts: Far East, Part 3 https://books.google[...] 1978
[34] 서적 A Kim Jong-Il Production: Kidnap, Torture, Murder... Making Movies North Korean-Style Penguin Books
[35] 웹사이트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http://www.sis.gov.e[...]
[36] 서적 A Chronicle of Twentieth Century Malta https://books.google[...] Book distributors limited
[3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amib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2-08-31
[38] 웹사이트 News from Hsinhua News Agency: daily bulletin https://books.google[...] 2024-04-21
[39] 웹사이트 Kim Jong-il gives Castro a going away present http://www.rjkoehler[...] 2010-10-09
[40] 웹사이트 Śniły o polskim chlebie i smalcu http://www.gazetawro[...] 2010-06-04
[41] 서적 Korea & World Affairs https://books.google[...] Research Center for Peace and Unification.
[42] 웹사이트 About this webpage http://www.korea-dpr[...] 2010-10-17
[43] 웹사이트 Obituary http://www1.korea-np[...] 2011-03-08
[44] 웹사이트 Indonesian President Megawati Visits DPRK; Meets Kim Jong Il for 1st Time in 37 Years http://www1.korea-np[...] 2011-03-08
[45] 웹사이트 Report on Visit of East German Military Delegation to North Korea https://digitalarchi[...] 2020-12-13
[46] 간행물 ''Bilo je časno živjeti s Titom'' RO Mladost, RO Prosvjeta 1981-02-00
[47] 뉴스 Kunniamerkit https://nakoislehti.[...] 1978-10-23
[48] 웹사이트 رجال في ذاكرة التاريخ https://www.alayyam.[...] 2022-07-22
[49] 웹사이트 Forbes Burnham https://www.encyclop[...] 2023-01-01
[50] 웹사이트 Немеркнущие заслуги в развитии отношений между КНДР и Таиландом http://www.mfa.gov.k[...] 2022-03-10
[51] 서적 Orders, Decorations, and Medal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52] 간행물 Петербургский Коллекционер
[53] 서적 Orders, Decorations, and Medal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54] 서적 Orders and Decoration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MSA
[55] 간행물 Петербургский Коллекционе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