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소 (유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소(유송)는 남조 송나라의 황족으로, 송 문제 유의륭의 장남이다. 424년에 출생하여 429년에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453년 동생 유준과 모의하여 아버지를 살해하고 황위에 올랐다. 그러나 불과 3개월 만에 유준의 반란으로 피살되었으며, 효무제 유준에 의해 원흉으로 폄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송 문제의 황자 - 유송 명제
    유송 명제는 남조 송의 제7대 황제로, 전폐제 폭정 이후 즉위하여 유자훈의 난을 진압하려 했으나 말년에 폭정을 펼쳐 유송 왕조 쇠퇴의 원인이 되었으며, 즉위 전 '돼지 왕자'라 불리며 모욕을 당하고 북위와의 전쟁에서 영토를 상실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 유송 문제의 황자 - 유송 효무제
    유송 효무제는 남조 송의 제5대 황제로, 형의 쿠데타를 진압하고 즉위하여 중앙 집권화를 추진했으나 잦은 숙청과 사치로 국가 재정을 악화시키고 민심을 잃었으며, 효건과 대명 연호를 사용했고 아들 유자업이 뒤를 이었다.
  • 453년 사망 - 풀케리아
    풀케리아는 동로마 제국의 황족이자 아우구스타로서 동생 테오도시우스 2세의 섭정 역할을 했으며, 정녀 서약 후 교회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자선 활동과 교회 건축으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 정책은 비판받았고, 테오도시우스 2세 사후 마르키아누스와 결혼하여 제국 정통성을 유지한 후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453년 사망 - 유송 문제
    유송 문제는 유송의 제3대 황제 유의륭의 치세를 가리키며, 초기 정치 안정과 문화 부흥을 이루었으나 잦은 북위와의 전쟁과 말년의 권력 다툼으로 쇠퇴한 시기를 의미한다.
유소 (유송)
기본 정보
이름유송 소제
재위 기간453년 3월 16일 - 453년 5월 27일
계승 순서유송 황제
이전 통치자유송 문황제
다음 통치자유송 효무제
연호태초(太初)
연호 기간453년
풀 네임성: (劉)
이름: 소 (劭)
자: 휴원 (休遠)
출생일424년
사망일453년 5월 27일 (29세)
아버지유송 문황제
어머니문원황후
배우자진 황후
배우자 유형후궁
자녀유위지
유지지
유빈지
생애
유소 (간체자: 刘劭)
휴원 (간체자: 休遠)
존호폐제(廢帝)
주요 사건
문황제 시해문황제를 시해함

2. 생애

424년에 출생하였으나, 아버지인 유유가 사망하여 유의륭이 3년상을 치르고 있었으므로, 426년 음력 2월 28일에 이르러서야 유의륭이 장자가 탄생한 것을 정식으로 선포하였다.[3][4] 유소(유송)는 유의륭이 형 전폐제의 휘하에서 유이도의 왕자였을 때 태어났으며, 출생일을 위조한 이유는 유의륭이 아버지 무제를 위해 3년 동안 상을 치르는 기간 동안 잉태되었기 때문인데, 이 기간 동안 유의륭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되었기 때문이다.

공식 기록에는 유소(유송)의 출생에 관한 또 다른 이야기가 있는데, 유소가 태어났을 때 원귀비는 그를 보고 "이 아이의 모습이 심상치 않으니 반드시 나라와 집안을 망칠 것이다. 나는 그를 키우지 않겠다"라고 말하며 아이를 죽이려 했지만, 문제를 이를 듣고 그녀의 침실로 달려가 아이를 구했다고 한다.[5]

429년 5월 14일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6] 438년에는 윤순(殷淳중국어)의 딸 윤유영을 황태자비로 맞이했다. 440년 경 신년에 황태자 소는 성인복을 입어 성인이 되었음을 나타냈으며, 이 시점에서 그는 잘생기고 학문에 정진하며, 궁술과 기마술에도 능하다고 묘사되었다. 그는 집에 많은 손님을 두는 것을 좋아했고, 문제는 그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들어주었다. 이 무렵, 유소는 또한 황태자궁을 위해 대규모의 경호 부대를 유지하기 시작했다.

어머니 원귀비는 반씨에게 총애를 빼앗기자 문제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고, 440년에 그녀가 죽은 후, 유소는 반씨와 그녀의 아들 시흥왕(유준)을 원망했다. 유준은 이를 알고 유소에게 아첨하고 그와의 관계를 돈독히 했고, 형제는 매우 가까워졌다.

450년, 문제는 북위를 공격하여 황하 이남의 영토를 되찾으려 했으나, 유소는 장군 심경지(沈慶之중국어)와 소사화(蕭思話zh-Hant)와 함께 이 원정에 반대했다. 북위 북위 태무제가 반격하여 유송 영토 깊숙이 진격했을 때, 태무제는 혼인 관계를 맺어 평화를 맺을 것을 제안했고, 유소는 이 계획에 찬성했다. 그러나 고위 관리 강담(江湛중국어)이 반대하여 유소는 격분하였고, 강담과 서담지(徐湛之)를 원정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처형해야 한다고 문제에게 건의했으나 거부당했다. 이 시점부터 유소와 강, 서 사이에는 깊은 적대감이 생겼다.

451년, 유소는 삼촌 유익강 전 재상 겸 팽성왕의 죽음에 관여했다. 문제는 유익강을 유배 보냈으나, 북위군이 여전히 유송 영토 깊숙이 진격해 있었기에, 문제는 음모자들이 다시 시도할 것을 우려했고, 유소는 무릉왕 유준, 하상지(何尚之중국어)와 함께 유익강을 죽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사자를 보내 유익강에게 자결을 명령했고, 그가 거부하자 질식사시켰다.

424년에 태어났다. 429년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453년 무고 사건으로 폐위될 위기에 처하자 동생 유준(劉濬)과 공모하여 군사를 이끌고 황궁을 습격, 아버지 문제를 살해했다. 스스로 황제 자리에 올라 연호를 태초(太初)로 고쳤다.

452년 이전, 유소는 시흥왕(始興王) 유준(劉駿)과 함께 무당 엄도육(嚴道育)과 교류했다. 이들의 누이동생 동양공주(東陽公主) 유영아(劉英娥)는 엄도육의 능력을 신뢰했다. 문제는 아들들에게 엄격하여 자주 꾸짖었는데, 유소와 유준은 엄도육에게 문제를 저주하여 죽음을 앞당기도록 했다. 이들은 문제를 '그 사람', 재상 유의공(劉義恭)을 '아첨꾼'이라 칭하며 폄하했다.

453년 봄, 문제는 유소와 유준이 여전히 무속에 연루된 것에 분노하여 유소를 폐위하고 유준에게 자결을 명하려 했다. 서단지(徐湛之), 강단(江湛), 왕승착(王僧綽)과 은밀히 논의했으나, 문제가 반빈(潘嬪)에게 누설하여 유소에게 알려졌다. 유소는 쿠데타를 일으켜 문제의 조서를 위조, 군대를 이끌고 궁에 들어가 문제를 시해했다.

아버지 문제를 시해한 일로 유준의 반란을 초래, 재위 3개월 만에 453년 음력 5월 27일 피살되었다. 이후 황제가 된 유준에 의해 원흉(元兇)으로 폄칭되었다.

453년, 무고 사건으로 인해 유의륭이 황태자 유소를 폐위하려 하자, 유소는 동생 유준(劉濬)과 공모하여 병사들을 이끌고 황궁을 습격하여 유의륭을 살해했다. 스스로 황제 자리에 오른 뒤 태초(太初)로 개원하였다.

아버지 유의륭을 시해한 일로 인해 또 다른 동생인 유준(효무제)의 반란이 일어났고, 재위 3개월 만에 반란군에 의해 피살당했다. 453년 음력 5월 27일, 반란군이 쳐들어와 동생 유준(劉濬), 자신의 4명의 아들 등과 함께 피살되었다. 사후 황제가 된 유준(효무제)에 의해 원흉(元凶)으로 폄칭되었다.

유소는 비밀 칙서를 내려 심경지(沈慶之)에게 무릉왕 유준(劉駿)을 죽이라고 명령했지만, 심경지는 오히려 유준에게 칙서를 보여주고 유소에게 반기를 들 것을 권했다. 유준은 이에 동의했고, 곧 그의 반란에 여러 세력이 합류했다. 유소는 건강(建康)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형제와 사촌들을 가택 연금했다. 그는 아내 은씨를 황후로, 아들 유위지(劉偉之)를 태자로 책봉했다.

유소는 아버지의 관리들이 자신에게 충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의심하여, 장군 노수(魯秀)와 왕라한(王羅漢)을 친구로 만들고 군사 문제를 맡겼다. 소빈(蕭斌)을 수석 전략가, 은충(殷沖)을 수석 선전가로 임명했다. 유소는 소빈과 유익공(劉益恭)의 서로 다른 전략 제안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우왕좌왕했다. 결국 유준의 군대가 빠르게 건강에 도달했고, 유소의 군대는 전투에서 패배했다. 유소는 궁궐 우물에 숨었다가 발견되어 체포되었고, 유준은 그를 네 아들과 함께 공개 처형했다. 그의 아내 은 황후, 후궁들, 딸들은 자살을 강요받았다.

2. 1. 황태자 시절

424년에 출생하였으나, 아버지인 유유가 사망하여 유의륭이 3년상을 치르고 있었으므로, 426년 음력 2월 28일에 이르러서야 유의륭이 장자가 탄생한 것을 정식으로 선포하였다.[3][4] 유소(유송)는 유의륭이 형 전폐제의 휘하에서 유이도의 왕자였을 때 태어났으며, 출생일을 위조한 이유는 유의륭이 아버지 무제를 위해 3년 동안 상을 치르는 기간 동안 잉태되었기 때문인데, 이 기간 동안 유의륭은 성관계를 가져서는 안 되었기 때문이다.

공식 기록에는 유소(유송)의 출생에 관한 또 다른 이야기가 있는데, 유소가 태어났을 때 원귀비는 그를 보고 "이 아이의 모습이 심상치 않으니 반드시 나라와 집안을 망칠 것이다. 나는 그를 키우지 않겠다"라고 말하며 아이를 죽이려 했지만, 문제를 이를 듣고 그녀의 침실로 달려가 아이를 구했다고 한다.[5]

429년 5월 14일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6] 438년에는 윤순(殷淳중국어)의 딸 윤유영을 황태자비로 맞이했다. 440년 경 신년에 황태자 소는 성인복을 입어 성인이 되었음을 나타냈으며, 이 시점에서 그는 잘생기고 학문에 정진하며, 궁술과 기마술에도 능하다고 묘사되었다. 그는 집에 많은 손님을 두는 것을 좋아했고, 문제는 그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들어주었다. 이 무렵, 유소는 또한 황태자궁을 위해 대규모의 경호 부대를 유지하기 시작했다.

어머니 원귀비는 반씨에게 총애를 빼앗기자 문제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고, 440년에 그녀가 죽은 후, 유소는 반씨와 그녀의 아들 시흥왕(유준)을 원망했다. 유준은 이를 알고 유소에게 아첨하고 그와의 관계를 돈독히 했고, 형제는 매우 가까워졌다.

450년, 문제는 북위를 공격하여 황하 이남의 영토를 되찾으려 했으나, 유소는 장군 심경지(沈慶之중국어)와 소사화(蕭思話zh-Hant)와 함께 이 원정에 반대했다. 북위 북위 태무제가 반격하여 유송 영토 깊숙이 진격했을 때, 태무제는 혼인 관계를 맺어 평화를 맺을 것을 제안했고, 유소는 이 계획에 찬성했다. 그러나 고위 관리 강담(江湛중국어)이 반대하여 유소는 격분하였고, 강담과 서담지(徐湛之)를 원정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처형해야 한다고 문제에게 건의했으나 거부당했다. 이 시점부터 유소와 강, 서 사이에는 깊은 적대감이 생겼다.

451년, 유소는 삼촌 유익강 전 재상 겸 팽성왕의 죽음에 관여했다. 문제는 유익강을 유배 보냈으나, 북위군이 여전히 유송 영토 깊숙이 진격해 있었기에, 문제는 음모자들이 다시 시도할 것을 우려했고, 유소는 무릉왕 유준, 하상지(何尚之중국어)와 함께 유익강을 죽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사자를 보내 유익강에게 자결을 명령했고, 그가 거부하자 질식사시켰다.

2. 2. 문제 시해와 즉위

424년에 태어났다. 429년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453년 무고 사건으로 폐위될 위기에 처하자 동생 유준(劉濬)과 공모하여 군사를 이끌고 황궁을 습격, 아버지 문제를 살해했다. 스스로 황제 자리에 올라 연호를 태초(太初)로 고쳤다.

452년 이전, 유소는 시흥왕(始興王) 유준(劉駿)과 함께 무당 엄도육(嚴道育)과 교류했다. 이들의 누이동생 동양공주(東陽公主) 유영아(劉英娥)는 엄도육의 능력을 신뢰했다. 문제는 아들들에게 엄격하여 자주 꾸짖었는데, 유소와 유준은 엄도육에게 문제를 저주하여 죽음을 앞당기도록 했다. 이들은 문제를 '그 사람', 재상 유의공(劉義恭)을 '아첨꾼'이라 칭하며 폄하했다.

453년 봄, 문제는 유소와 유준이 여전히 무속에 연루된 것에 분노하여 유소를 폐위하고 유준에게 자결을 명하려 했다. 서단지(徐湛之), 강단(江湛), 왕승착(王僧綽)과 은밀히 논의했으나, 문제가 반빈(潘嬪)에게 누설하여 유소에게 알려졌다. 유소는 쿠데타를 일으켜 문제의 조서를 위조, 군대를 이끌고 궁에 들어가 문제를 시해했다.

아버지 문제를 시해한 일로 유준의 반란을 초래, 재위 3개월 만에 453년 음력 5월 27일 피살되었다. 이후 황제가 된 유준에 의해 원흉(元兇)으로 폄칭되었다.

2. 3. 최후

453년, 무고 사건으로 인해 유의륭이 황태자 유소를 폐위하려 하자, 유소는 동생 유준(劉濬)과 공모하여 병사들을 이끌고 황궁을 습격하여 유의륭을 살해했다. 스스로 황제 자리에 오른 뒤 태초(太初)로 개원하였다.

아버지 유의륭을 시해한 일로 인해 또 다른 동생인 유준(효무제)의 반란이 일어났고, 재위 3개월 만에 반란군에 의해 피살당했다. 453년 음력 5월 27일, 반란군이 쳐들어와 동생 유준(劉濬), 자신의 4명의 아들 등과 함께 피살되었다. 사후 황제가 된 유준(효무제)에 의해 원흉(元凶)으로 폄칭되었다.

유소는 비밀 칙서를 내려 심경지(沈慶之)에게 무릉왕 유준(劉駿)을 죽이라고 명령했지만, 심경지는 오히려 유준에게 칙서를 보여주고 유소에게 반기를 들 것을 권했다. 유준은 이에 동의했고, 곧 그의 반란에 여러 세력이 합류했다. 유소는 건강(建康)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형제와 사촌들을 가택 연금했다. 그는 아내 은씨를 황후로, 아들 유위지(劉偉之)를 태자로 책봉했다.

유소는 아버지의 관리들이 자신에게 충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의심하여, 장군 노수(魯秀)와 왕라한(王羅漢)을 친구로 만들고 군사 문제를 맡겼다. 소빈(蕭斌)을 수석 전략가, 은충(殷沖)을 수석 선전가로 임명했다. 유소는 소빈과 유익공(劉益恭)의 서로 다른 전략 제안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우왕좌왕했다. 결국 유준의 군대가 빠르게 건강에 도달했고, 유소의 군대는 전투에서 패배했다. 유소는 궁궐 우물에 숨었다가 발견되어 체포되었고, 유준은 그를 네 아들과 함께 공개 처형했다. 그의 아내 은 황후, 후궁들, 딸들은 자살을 강요받았다.

3. 가족 관계

황후 은옥영(殷玉英)은 진(陳)씨로, 453년에 사망했다.

부인(夫人) 왕앵무(王鸚鵡)는 453년에 사망했다.

유위지 태자는 장남으로 453년에 사망했다.

유적지는 차남으로 453년에 사망했다.

유빈지는 삼남으로 453년에 사망했다.

넷째 아들과 딸도 있었으나, 453년에 사망했다.

이들은 모두 유준에게 처형되었다.

4. 평가

4. 1. 현대적 관점의 재조명

참조

[1] 서적 Emperor Wen's biography in Book of Song
[2] 서적 Zizhi Tongjian
[3] 서적 Book of Song
[4] 서적 Book of Song
[5] 서적 Yuan Qigui's biographies in Book of Song and History of the Southern Dynasties
[6] 서적 Book of So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