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24년은 연호로는 유송 경평 2년/원가 원년, 북위 시광 원년, 서진 건홍 5년, 북량 현시 13년, 북연 태평 16년, 하 진흥 6년, 인교 천황 13년, 황기 1084년, 고구려 장수왕 12년, 백제 구이신왕 5년, 신라 눌지왕 8년, 단기 2756년, 불멸기원 967년 - 968년, 유대력 4184년 - 4185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동로마 제국과 사산 제국의 전쟁, 서로마 제국의 발렌티니아누스 3세 부제 취임, 유송 소제 폐위 및 문제 즉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424년 | |
---|---|
424년 | |
기원전 | 기원전 424년 |
420년대 | 420년대 |
5세기 | 5세기 |
423년 | 423년 |
425년 | 425년 |
서력 기원 | 서력 기원 |
간지 | 갑자년(甲子年) |
2. 연호
유송(劉宋) 경평(景平) 2년 / 원가(元嘉) 원년
북위(北魏) 시광(始光) 원년
서진(西秦) 건홍(建弘) 5년
북량(北凉) 현시(玄始) 13년
북연(北燕) 태평(太平) 16년
하(夏) 진흥(眞興) 6년
인교 천황 13년
황기 1084년
고구려 장수왕 12년
백제 구이신왕 5년
신라 눌지왕 8년
단기 2756년
불멸기원 967년 - 968년
유대력 4184년 - 4185년
3. 기년
4. 사건
- 동로마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사산 제국에 전쟁을 선포한다.
- 서고트족 왕 테오도리크 1세는 아를을 점령한다.
- 부르군트족은 라인강 서쪽으로 정착한다.
- 파파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된다.
- 마르키아누스는 동로마 제국의 장군이 된다.
- 10월 23일 - 발렌티니아누스 3세, 서로마 제국의 부제로 취임
- 4월 22일 – 플라비우스 안테미우스 이시도루스가 그리스와 세르비아 대부분을 포함하는 일리리쿰 관구의 새로운 프라이펙투스가 되어 수도인 시르미움 (현재 세르비아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에서 취임했다.[1]
- 10월 23일 –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사촌 발렌티니아누스 3세 (5세)를 서로마 제국의 황족 칭호인 ''노빌리시무스 카이사르(가장 고귀한 카이사르)''로 임명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테오도시우스의 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 (2세)와 약혼했다.[2]
- 로마의 찬탈자 요안네스는 궁궐 지사 (''쿠라 팔라티이'')인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를 훈족에게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협상 후, 그는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 겨울 – 로마 군대가 아르다부리우스의 지휘 하에 테살로니키 (현대 중앙 마케도니아)를 출발하여 북부 이탈리아로 진군하여 아퀼레이아에 주둔했다.
- 7월 7일 – (경평(景平) 2년, 5월 (오월(五月)), 을유(乙酉)일) 중국 유송의 소제가 정부 대신인 서현지와 부량에 의해 폐위되고, 그의 동생인 유의륭을 새로운 황제로 옹립한다.[3]
- 8월 4일 – (경평(景平) 2년, 6월 (유월(六月)), 계축(癸丑)일) 중국의 전 소제는 쑤저우로 유배된 후 암살자에 의해 살해된다.[3]
- 9월 17일 – (원가(元嘉) 원년, 8월 (팔월(八月)), 정유(丁酉)일) 유의륭은 건강에 있는 유송의 수도에서 정식으로 송나라의 문제로 즉위한다.[3]
4. 1. 동아시아
- 7월 7일 – (경평(景平) 2년, 5월 (오월(五月)), 을유(乙酉)일) 중국 유송의 소문제가 정부 대신인 서현지와 부량에 의해 폐위되고, 그의 동생인 유의륭을 새로운 황제로 옹립한다.[3]
- 8월 4일 – (경평(景平) 2년, 6월 (유월(六月)), 계축(癸丑)일) 중국의 전 소문제는 쑤저우로 유배된 후 암살자에 의해 살해된다.[3]
- 9월 17일 – (원가(元嘉) 원년, 8월 (팔월(八月)), 정유(丁酉)일) 유의륭은 건강에 있는 유송의 수도에서 정식으로 송나라의 문제로 즉위한다.[3]
4. 2. 로마 제국
- 4월 22일 – 플라비우스 안테미우스 이시도루스가 그리스와 세르비아 대부분을 포함하는 일리리쿰 관구의 새로운 프라이펙투스가 되어 수도인 시르미움 (현재 세르비아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에서 취임했다.[1]
- 10월 23일 –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사촌 발렌티니아누스 3세 (5세)를 서로마 제국의 황족 칭호인 ''노빌리시무스 카이사르(가장 고귀한 카이사르)''로 임명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테오도시우스의 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 (2세)와 약혼했다.[2]
- 로마의 찬탈자 요안네스는 궁궐 지사 (''쿠라 팔라티이'')인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를 훈족에게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협상 후, 그는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 겨울 – 로마 군대가 아르다부리우스의 지휘 하에 테살로니키 (현대 중앙 마케도니아)를 출발하여 북부 이탈리아로 진군하여 아퀼레이아에 주둔했다.
- 10월 23일 -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서로마 제국의 부제로 취임하였다.
4. 3. 기타 지역
10월 23일 -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서로마 제국의 부제로 취임하였다.5. 탄생
424년에 태어난 인물에 대한 기록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6. 사망
참조
[1]
서적
The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A to Z of Ancient Greek and Roman Women
Facts On File
[3]
서적
Book of Song and South Qi Dynas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