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체자는 한자의 획수를 줄여 필기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제정된 중국어의 공식 문자 체계이다. 1900년대 초반부터 간략화 운동이 시작되어, 1950년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여러 차례의 개혁을 거쳐 현재의 간체자 체계가 확립되었으며, 현재 중국 본토,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서 사용된다. 간체자는 동음이의 한자 대체, 해서체를 초서체로 변환, 획수 축소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간략화되었으며, 이러한 간략화 방식은 여러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문화적 정통성, 문맹률과 식자율, 전통 문화 보존, 혼동 문제, 쓰는 속도, 형성 원리, 부수, 글자 통합 등을 둘러싸고 간체자와 번체자 간의 찬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간체자 - 제2차 한자 간화 방안 제2차 한자 간화 방안은 중국에서 문맹 퇴치와 문자 접근성을 위해 추진되었으나 사회적 혼란과 대중의 거부감으로 폐지된, 기존 간체자를 더욱 간략화하려던 문자 개혁 시도였다.
중국어 표기법 - 주음부호 주음부호는 장빙린이 창안한 중국어 표음 문자 체계로, 고대 한자 형태에서 유래한 37개 자모로 구성되어 대만에서 한자 교육, 컴퓨터 입력, 그리고 대만어와 광둥어 표기에 사용되며, 국제적으로 '보포모포'로 불린다.
중국어 표기법 - 정체자 정체자는 전통적인 중국 한자로 대한민국, 대만, 홍콩, 마카오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번체자, 일본에서는 구자체라고도 불린다.
중국어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국어 - 백화문 백화문은 20세기 초 신문화운동과 5·4 운동의 영향으로 구어체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현대 중국어의 표준이 된 문체이며, 후스와 천두슈 등의 문학혁명론과 루쉰의 백화문 소설 등이 정착에 기여하여 언어 민주화와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자는 갑골 문자 시절부터 간소화 경향이 있었으나, 초서처럼 극도로 간략화된 형태는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청나라 말기인 1909년, 육비규(陸費逵)가 〈교육 한자〉 창간호에 ‘일반 교육에 속자를 채용해야 한다.(普通敎育應當採用俗體字.)’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간략화 운동이 시작되었다. 1919년5·4 운동 이후, 중국의 전통 문화와 가치에 대한 반발이 심해지면서 한자를 중국 근대화의 장애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해졌다. 지식인들 사이에서 한자를 간략화하거나 아예 없애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5·4 운동을 이끈 푸쓰녠(傅斯年)은 한자를 "소와 뱀 같은 귀신의 문자다.(牛鬼蛇神的文字.)"라고 혹평했고, 루쉰은 "한자가 멸하지 않으면 중국이 반드시 망한다.(漢字不滅, 中國必亡.)"라고까지 주장했다.
5·4 운동 시대인 1920년첸쉬안퉁(錢玄同)은 신청년(新靑年)에 한자 획수를 줄이는 방안을 발표하고, 1922년 육비규와 함께 국어 통일 주비회(國語統一籌備會)에 상용 한자 전체의 획수를 줄일 것을 제안했다. 1934년에도 간략화된 한자를 제안하여, 1935년에는 2400자에 이르는 '간체자보(簡體字譜)'의 초안이 마련되었다. 국민정부 교육부에서 324자의 '제1차 간략 한자표(第一批簡體字表)'를 발표했지만, 반대 여론으로 인해 실시되지 않았다. 1937년 '자체 연구회(字體研究會)'가 1700자의 '간체자표 제1표(簡體字表第一表)'를 발표했다.
1935년 중화민국 교육부가 처음으로 공포했지만, 1936년에 철회된 간체자 목록 초안 발췌 (중화민국 시대)
1955년 중국한자개혁위원회는 「간화방안」에 앞서, 「제1차이체자정리표」를 발표하여, 1865자의 글자를 810자로 정리하였다.[24]1956년 1월, 한자 간체화 방안(초안)이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서 발표되면서 514자의 간체자와 54개의 간략화된 변과 방이 채택되었다.[24] 이후 문자 개혁 위원회는 한자들을 심의하면서 변형 글자의 인식 가능성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수렴하고, 종종 소규모로 형태를 승인하였다. 1964년 5월 『간화자총표(簡化字総表)』에 간화자가 정리되었고, 1965년 1월 『인쇄통용한자자형표(印刷通用漢字字形表)』가 발표되어 총 6196자의 자형과 획, 획순 등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을 제정했다.
1977년 제2차 한자 간체화 방안 초안이 발표되었으나, 문화대혁명 직후라는 시점과 맞물려 자체가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읽기 어렵다", "보기 싫다"는 비판을 받고 사회에 혼란을 야기하여 8년간의 시행 끝에 폐지되었다. 이러한 간체자들을 '''이간자(二簡字)'''라고 부른다. 1986년 10월 『간화자총표(簡化字総表)』를 수정 재발표하여 2235자를 확정했다.
1987년 3월 "지명에서의 문자 사용에 관한 몇 가지 규정"을 발표했다. 1987년 4월 "방송·영화·텔레비전에서 언어와 문자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에 관한 몇 가지 규정"을 발표했다.
1988년 1월 『현대한어상용자표(現代漢語常用字表)』를 발표했다. 상용자 2500자, 차상용자 1000자로 구성되었다. 3월 『현대한어통용자표(現代漢語通用字表)』를 발표했다. "인쇄통용한자자형표(印刷通用漢字字形表)"를 시대에 맞게 수정한 것으로, 해당 자형표에서 50자를 줄이고 854자를 추가하여 총 7000자로 구성되었다.
2000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통용어언문자법(中華人民共和国国家通用語言文字法)을 제정하여 규범 한자(간체자)의 법적 지위를 확립했다.
2013년 6월 『통용규범한자표(通用規範漢字表)』(8105자, 1급자: 일반 교육에 필요한 3500자, 2급자: 출판 등에 필요한 3000자, 3급자: 인명·지명·과학기술·문어 등에 필요한 1605자)를 제정·실시하여 기존의 5개 한자 표를 대체했다.
2. 1. 간화자 제정 이전
한자는 갑골 문자 시절부터 간소화 경향이 있었으나, 초서처럼 극도로 간략화된 형태는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청나라 말기인 1909년, 육비규(陸費逵)가 〈교육 한자〉 창간호에 ‘일반 교육에 속자를 채용해야 한다.(普通敎育應當採用俗體字.)’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간략화 운동이 시작되었다. 1919년5·4 운동 이후, 중국의 전통 문화와 가치에 대한 반발이 심해지면서 한자를 중국 근대화의 장애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해졌다. 지식인들 사이에서 한자를 간략화하거나 아예 없애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5·4 운동을 이끈 푸쓰녠(傅斯年)은 한자를 "소와 뱀 같은 귀신의 문자다.(牛鬼蛇神的文字.)"라고 혹평했고, 루쉰은 "한자가 멸하지 않으면 중국이 반드시 망한다.(漢字不滅, 中國必亡.)"라고까지 주장했다.
5·4 운동 시대인 1920년첸쉬안퉁(錢玄同)은 신청년(新靑年)에 한자 획수를 줄이는 방안을 발표하고, 1922년 육비규와 함께 국어 통일 주비회(國語統一籌備會)에 상용 한자 전체의 획수를 줄일 것을 제안했다. 1934년에도 간략화된 한자를 제안하여, 1935년에는 2400자에 이르는 '간체자보(簡體字譜)'의 초안이 마련되었다. 국민정부 교육부에서 324자의 '제1차 간략 한자표(第一批簡體字表)'를 발표했지만, 반대 여론으로 인해 실시되지 않았다. 1937년 '자체 연구회(字體研究會)'가 1700자의 '간체자표 제1표(簡體字表第一表)'를 발표했다.
대부분 중화인민공화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한자 간체화의 대중화는 20세기 초 중국에서 처음으로 탄력을 받았다. 1909년 교육자이자 언어학자인 루페이쿠이는 처음으로 교육에 간체자 사용을 공식적으로 제안했다.[10] 이후 청나라를 무너뜨린 1911년 신해혁명과 그 이후 사회·정치적 불만이 고조되어 1919년 5·4 운동으로 이어지는 몇 년 동안 중국의 많은 반제국주의 지식인들은 중국의 문자 체계를 근대화의 심각한 장애물로 보기 시작했다. 1916년, 중국 언어학자 차오위런 (1892-1982)과 시인 후스 (1891-1962)가 공동 집필한 "중국어 문제"라는 제목의 영어 다부분 기사는 중국 문자의 역사에서 전환점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중국이 한자 사용에서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는 최초의 명확한 촉구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10]
2. 2. 간화자 제정 및 보급
1955년 중국한자개혁위원회는 「간화방안」에 앞서, 「제1차이체자정리표」를 발표하여, 1865자의 글자를 810자로 정리하였다.[24]1956년 1월, 한자 간체화 방안(초안)이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서 발표되면서 514자의 간체자와 54개의 간략화된 변과 방이 채택되었다.[24] 이후 문자 개혁 위원회는 한자들을 심의하면서 변형 글자의 인식 가능성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수렴하고, 종종 소규모로 형태를 승인하였다. 1964년 5월 『간화자총표(簡化字総表)』에 간화자가 정리되었고, 1965년 1월 『인쇄통용한자자형표(印刷通用漢字字形表)』가 발표되어 총 6196자의 자형과 획, 획순 등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을 제정했다.
1977년 제2차 한자 간체화 방안 초안이 발표되었으나, 문화대혁명 직후라는 시점과 맞물려 자체가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읽기 어렵다", "보기 싫다"는 비판을 받고 사회에 혼란을 야기하여 8년간의 시행 끝에 폐지되었다. 이러한 간체자들을 '''이간자(二簡字)'''라고 부른다.[12]1986년 10월 『간화자총표(簡化字総表)』를 수정 재발표하여 2235자를 확정했다.
1987년 3월 "지명에서의 문자 사용에 관한 몇 가지 규정"을 발표했다.[6]1987년 4월 "방송·영화·텔레비전에서 언어와 문자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에 관한 몇 가지 규정"을 발표했다.
1988년 1월 『현대한어상용자표(現代漢語常用字表)』를 발표했다. 상용자 2500자, 차상용자 1000자로 구성되었다. 3월 『현대한어통용자표(現代漢語通用字表)』를 발표했다. "인쇄통용한자자형표(印刷通用漢字字形表)"를 시대에 맞게 수정한 것으로, 해당 자형표에서 50자를 줄이고 854자를 추가하여 총 7000자로 구성되었다.
2000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통용어언문자법(中華人民共和国国家通用語言文字法)을 제정하여 규범 한자(간체자)의 법적 지위를 확립했다.
2013년 6월 『통용규범한자표(通用規範漢字表)』(8105자, 1급자: 일반 교육에 필요한 3500자, 2급자: 출판 등에 필요한 3000자, 3급자: 인명·지명·과학기술·문어 등에 필요한 1605자)를 제정·실시하여 기존의 5개 한자 표를 대체했다.[13]
2. 3. 간화자 보급 이후의 상황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간화자를 공식 문자로 사용하고 있으며, 교육 및 출판물에 사용된다.[12]홍콩, 타이완, 미국 등에서는 번체자를 유지하고 있다.[28]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도 번체자 재교육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19]
타이완에서는 간화자 사용에 대한 여론이 부정적이나, 훈련을 통해 쉽게 읽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28] 2007년 11월 중국의 베이징에서 열린 제8회 국제한자회의에서 한자 통일 논의가 있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은 간화자는 유지하되 번체자에 대한 탄압은 자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29][30] 중화인민공화국은 간체자가 중국의 표준 문자임을 시사하며, 전통 문자는 의례, 서예와 같은 문화적 목적등에 사용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27]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중화인민공화국과 동일한 간체자 집합을 사용한다.[14] 싱가포르는 세 차례에 걸쳐 간체자를 단계적으로 도입하여 결국 중국 본토와 동일한 간체자 집합에 도달했다.[14]말레이시아도 1981년에 간체자 집합을 발표했지만, 중국 본토 집합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았다.
2004년 12월, 교육부 당국은 초등학교에서 간체자와 함께 정체자도 가르칠 것을 요구하는 제안을 거부했다.[18]
3. 간략화 원리
1986년 간체자표(《簡化字總表》)의 표 1과 표 2에는 한자 간략화 방식에 따라 간략화된 모든 글자가 열거되어 있다.
표 1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없는 350자가 나열되어 있다.
표 2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다른 간체자를 유도하는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132자가 나열되어 있다. 표 2에는 또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지만 더 복잡한 자의 유도를 위해 일반화할 수 있는 14개의 구성 요소 또는 부수가 나열되어 있다.
「통상 목록」의 표 3에는 표 2에서 구성 요소와 부수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간략화 원칙에 따라 간략화된 1753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 목록은 완전하지 않으므로, 어떤 글자가 표 1~3에 없더라도 표 2에 따라 간략화될 수 있다면, 그 자는 간략화되어야 한다.
표 2의 132자와 14개의 부수를 바탕으로 표 3의 1,753개의 파생 문자는 표 2를 변환표로 사용하여 부수를 체계적으로 간략화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다음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간체자 목록''에서는 전통적인 부수가 아닌 문자 부수를 사용한다. 부수는 글자 내 위치나 같은 글자 내 다른 부수와의 상대적 크기에 관계없이 글자의 어떤 부분이라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에서 (전통적인 부수)뿐만 아니라 도 부수로 간주된다.
표 2의 132개 ''간체자''는 복합 문자의 ''부수''로 사용될 때 표 2의 문자 자체가 간략화된 것과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복합 문자를 체계적으로 간략화한다. 예를 들어, 은 표 2에서 으로 간략화된다. 같은 원칙에 따라 → ; → ; → 와 같이 파생된다.
표 2의 14개 ''간략화된 부수''는 단독 문자로는 절대 사용되지 않으며, 오직 부수로만 기능한다. 을 로 간략화한 것을 기반으로 한 파생 간략화의 예(18px)는 다음과 같다. → ; → ; →
표 1에는 ''일반적으로 부수로 사용할 수 없는'' 352개의 간체자가 수집되어 있다. 표 1의 문자가 복합 문자의 부수로 발견되는 드문 경우에도 복합 문자는 같은 방식으로 간략화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는 표 1에서 로 간략화되지만, 은 로 간략화될 수 없다.
이미 "간체자 전체 목록"에 간체자로 명시적으로 나열된 문자는 파생을 기반으로 대체로 간략화될 수 없다. 예를 들어, 과 는 표 1에서 각각 과 로 간략화되므로, 표 2의 과 을 통해 }}와 로 대체하여 간략화할 수 없다. 는 표 2에서 로 간략화되므로, 표 2의 을 통해 }}로 대체하여 파생할 수 없다.
'''파생 예제''':
→ (), 따라서 → ; → ; →
→ , 따라서 → ; → ; →
→ , 따라서 → ; → ; → ; →
→ , 따라서 → ; → ; →
→ , 따라서 → ; → ; → ; →
→ , 따라서 → ; → ; →
간체자의 간략화 방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제2차 한자 간체화 방안』 제2표의 분류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동음대체자: 동음의 더 간단한 글자를 빌리는 것이다.
: 예: , , , ,
; 형성자: 일부를 동음 또는 음이 비슷한 글자로 바꾸는 것이다.
: 예: , , , ,
; 특징자: 일부만 남기고 나머지는 생략하는 것이다.
: 예: , , , ,
; 윤곽자: 대략적인 형태는 그대로 두고 일부를 생략하는 것이다.
: 예: , , , ,
; 초서계화자: 초서체·행서체를 해서체로 바꾸는 것이다.
: 예: , , , ,
; 회의자: 의미에서 새로운 회의자를 만드는 것이다.
: 예: , , , ,
; 부호화자: 복잡한 부분을 「ヌ」나 「ム」등 획수가 적은 부품으로 바꾸는 것이다.
: 예: , , , ,
; 그 외, 위의 복합이나 특수한 것들.
: 예: (형성+윤곽), (초서+특징), (형성+회의)
일본의 간략화 한자인 현행 신자체와는 완전히 별도로 실시되었지만, 결과적으로 간략화된 일부 글자는 일본 신자체나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자와 같은 것도 있다. 한편, 아래 표와 같이 간체자가 일본의 다른 한자와 충돌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机」는 일본에서는 「つくえ」이지만, 중국에서는 「機」의 간체자이다. 「叶」라는 글자는 일본어에서는 「かな-う」라고 읽지만, 「葉」의 간체자이기 때문에 일본어에서는 일반적으로 「葉」으로 고쳐 쓴다. 간체자로 「叶」()라고 표기하는 성이 있지만, 번체자에서는 「葉」이 된다. 일본에도 「叶」(かなえ, かのう) 성은 존재하지만, 별개의 성이다.
간체자
번체자
이와 같이 간체자가 번체자나 일본 신자체와 혼동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간체자로 쓰여진 중국의 고유 명사를 일본어 문장에서 사용할 때는 일본의 「신자체」로 고쳐 쓰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본의 보도 각사의 용어집에는 간체자와 일본 한자의 대조표를 게재하고 있는 것이 있다.
간체자는 획수가 많은 부분을 획수가 적은 글자로 대체하여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對'는 '对'로, '風'은 '风'으로, '亂'은 '乱'으로 바뀌었다.
1986년 《간체자 목록 완전판》(《简化字总表》)의 표 1과 표 2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간략화된 모든 한자가 열거되어 있다. 표 1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없는 350자가, 표 2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다른 간체자를 유도하는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132자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지만 더 복잡한 자의 유도를 위해 일반화할 수 있는 14개의 구성 요소 또는 부수가 나열되어 있다.
간체자의 간략화 방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획수가 많은 부분을 특정 글자로 대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동음이의 한자 병합, 해서체 형태 채용, 성분 전체 생략, 성분 생략 후 추가적인 변경 적용, 기본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적 변경, 음훈 합자의 음운 성분 대체, 비일반적인 음운 성분 대체, 새롭게 만들어진 음훈 합자로 완전히 대체, 부수 제거, 단일 부수만 유지, 고대 형태 또는 변이형 채택, 고대 속어 변이형 채택, 폐기된 음차 한자 재채택, 다른 전통 한자 복사 및 수정 등의 방법이 있다.
일본의 간략화 한자인 현행 신자체와는 완전히 별도로 실시되었지만, 결과적으로 간략화된 일부 글자는 일본 신자체나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자와 같은 것도 있다.
; 일부분을 생략하거나 변형
원래 한자의 일부분을 생략하거나, 생략 후 변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麗는 丽로, 歸는 归로 간략화되었다. 1986년 《간체자 목록 완전판》(《简化字总表》)의 표 1과 표 2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간략화된 모든 한자가 열거되어 있다. 표 1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없는 350자가, 표 2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다른 간체자를 유도하는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132자가 나열되어 있다. 표 2에는 또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지만 더 복잡한 자의 유도를 위해 일반화할 수 있는 14개의 구성 요소 또는 부수가 나열되어 있다.
간체자는 획수가 많은 부분을 획수가 적은 글자로 대체하여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對'는 '对'로, '風'은 '风'으로, '亂'은 '乱'으로 바뀌었다.
1986년 《간체자 목록 완전판》(《简化字总表》)의 표 1과 표 2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간략화된 모든 한자가 열거되어 있다. 표 1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없는 350자가, 표 2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다른 간체자를 유도하는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132자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지만 더 복잡한 자의 유도를 위해 일반화할 수 있는 14개의 구성 요소 또는 부수가 나열되어 있다.
간체자의 간략화 방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획수가 많은 부분을 특정 글자로 대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동음이의 한자 병합, 해서체 형태 채용, 성분 전체 생략, 성분 생략 후 추가적인 변경 적용, 기본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적 변경, 음훈 합자의 음운 성분 대체, 비일반적인 음운 성분 대체, 새롭게 만들어진 음훈 합자로 완전히 대체, 부수 제거, 단일 부수만 유지, 고대 형태 또는 변이형 채택, 고대 속어 변이형 채택, 폐기된 음차 한자 재채택, 다른 전통 한자 복사 및 수정 등의 방법이 있다.
일본의 간략화 한자인 현행 신자체와는 완전히 별도로 실시되었지만, 결과적으로 간략화된 일부 글자는 일본 신자체나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자와 같은 것도 있다.
3. 4. 일부분을 생략하거나 변형
원래 한자의 일부분을 생략하거나, 생략 후 변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麗는 丽로, 歸는 归로 간략화되었다. 1986년 《간체자 목록 완전판》(《简化字总表》)의 표 1과 표 2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간략화된 모든 한자가 열거되어 있다. 표 1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없는 350자가, 표 2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다른 간체자를 유도하는 간체자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132자가 나열되어 있다. 표 2에는 또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지만 더 복잡한 자의 유도를 위해 일반화할 수 있는 14개의 구성 요소 또는 부수가 나열되어 있다.
번체자 또는 이체자의 특징적인 윤곽을 살려 간략화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龜는 龟로, 農은 农으로 간략화된다. 이외에도 傘(→伞), 導(→导), 烏(→乌), 鳥(→鸟), 島(→岛), 馬(→马), 魚(→鱼) 등이 이러한 방식으로 간략화된 예시이다.
3. 6. 형성자 신조 및 회의자를 형성자로 변형
간체자는 새로운 형성자를 만들거나, 회의자를 형성자로 변형하여 만들어졌다.[38][42][44][46][48][50][52][54][56][58][60][62][64][66] 예를 들어 驚(경)은 惊(경)으로,[38][39] 華(화)는 华(화)로,[42][43] 畢(필)은 毕(필)로,[44][45] 種(종)은 种(종)으로,[46][47] 憲(헌)은 宪(헌)으로,[48][49] 歷(력)은 历(력)으로,[50][51] 據(거)는 据(거)로,[52][53] 賓(빈)은 宾(빈)으로,[54][55] 勝(승)은 胜(승)으로,[56][57] 達(달)은 达(달)로,[58][59] 進(진)은 进(진)으로,[60][61] 豈(기)는 岂(기)로,[62][63] 戰(전)은 战(전)으로,[64][65] 郵(우)는 邮(우)로[66][67] 바뀌는 식이다.
새로운 표준 자체는 1965년 6196자를 수록한 『인쇄용 자체』 목록에서 유래했다. 이 자체들은 대부분 속자 형태를 따랐다. 1988년의 『현대 중국어 통용 자체표』에는 7000자가 수록되어 있으며, 1965년 목록을 대체한다. 새로운 자체가 속자를 채택함에 따라 많은 자체가 이전 형태에 비해 약간 더 간략해 보이는 경우가 많다.
3. 7. 속자나 이체자로 대체
1965년 자를 수록한 『인쇄용 자체』 목록에서 유래한 새로운 표준 자체는 대부분 민간에서 사용되던 속자 형태를 따른다. 1988년의 『현대 중국어 통용 자체표』(이하 『현대 통용 자체』)에는 자가 수록되어 있으며, 1965년 목록을 대체한다. 새로운 자체가 속자를 채택함에 따라 많은 자체가 이전 형태에 비해 약간 더 간략해 보이며, 따라서 구조적으로 간략화된 것으로 종종 오인된다.
《간행자체》에 제시되고 《현대통용한자표》를 통해 개정된 새로운 표준 한자 형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변형된 한자 형태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형태가 통용되는 변형을 채택함에 따라 많은 한자들이 이전 형태에 비해 약간 단순해 보이며, 따라서 종종 구조적으로 간략화된 한자로 오인되기도 한다.
간체자는 더 오래된 형태의 고자로 대체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은 ''으로, ''은 ''으로 대체되었다. 이 외에도 ''은 ''으로, ''은 ''으로, ''은 ''으로, ''는 ''로 바뀌는 등 다양한 고자 대체 사례가 존재한다.
간체자 간략화 방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동음 대체, 형성자, 특징자, 윤곽자, 초서계화자, 회의자, 부호화자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제2차 한자 간체화 방안』 제2표에 분류되어 있다.
3. 9. 일본 가타카나 모방
衛→卫중국어[68] 간체자는 일본의 신자체와는 별개로 간략화되었지만, 일부 글자는 일본 신자체나 약자와 동일하다. 간체자가 일본의 다른 한자와 충돌하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어 "机"는 일본에서 "つくえ"를 의미하지만, 중국에서는 "機"의 간체자이다. "叶"는 일본어에서 "かな-う"로 읽지만, "葉"의 간체자이므로 일본어에서는 일반적으로 "葉"으로 고쳐 쓴다.[68]
3. 10. 이체자 정리
1955년 중국한자개혁위원회는 「간화방안」에 앞서, 「제1차이체자정리표」를 발표하여, 1865자의 글자를 810자로 정리하였다. 예를 들어 「并・並・併・竝」을「并」로, 「屍・尸」을「尸」등이 있다. 제1차 이체자 정리표/第一批异体字整理表중국어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 간의 표기법 차이 중 일부를 설명한다. 이러한 차이는 자체 구조의 간소화가 아니라 표준 한자의 총 수 감소이다. 발음과 의미가 동일한 여러 이체자 집합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장 간단한 한자가 표준 한자 집합으로 승격되고 나머지는 폐기된다. 1993년까지 이 목록에 따라 1027개의 이체자가 폐기되었다.
4. 간체자 논쟁
간체자가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해 창안된 이래, 중국 대륙의 성장과 함께 중국 대륙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간체자를 사용하는 비중이 날로 증대하였고 중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도 북경어를 배워 간체자를 학습하는 일이 많아졌다. 이에 대해 중화민국이나 홍콩 등 아직 정체자를 사용하는 곳이나 중화인민공화국 내 정체자로의 복귀 또는 정체자 교육 강화를 주장하는 세력들에 의해 정체자의 우수성이 주장되어 왔고, 간체자와 정체자 간의 주요 논쟁을 이루고 있다. 이 논쟁을 중국에서는 '''번간지쟁'''(繁簡之爭)이나 '''정간지쟁'''(正簡之爭)으로 부른다. 이 논쟁은 중화권 뿐만 아니라 해외 화교들 사이에서도 격렬한 논쟁을 불러왔고 또한 현재진행형이다.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문화적 정체성의 문제가 한데 얽혀있기 때문에 논쟁이 격하고 치열하다.
중국의 유명 작자 바진(巴金)은 《수상록·한자개혁(隨想錄·漢字改革)》에서 문어(文語)의 개혁에 주의를 촉구했다. 홍콩, 중화민국의 교육받은 이들조차 중국 대륙에서 발간한 책을 읽을 수 없으며, 중국 대륙에서도 중화민국과 홍콩의 서적을 읽을 수 없어, 이러한 간극의 발생을 간체화의 큰 단점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세계 각지의 중국인들뿐만 아니라 한자 문화권 내 국가 간 한자를 통한 의사 소통이 가능함을 언급하며 과도하게 간체화하지 않아야 할 장점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간체화를 옹호하는 이는, 하나의 한자 체계를 잘 교육받은 사람이라면 경험과 잦은 노출을 통해 다른 한자 체계를 금세 익히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본다. 대륙과 타이완은 간체와 정체와 관련된 갈등을 빚고 있다.[69]
저자 류샤허(Liu Shahe)는 한자 간체화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가진 인물이었다. 그는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Financial Times) 중국어판에 "간체자는 불합리하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다.[23]
2009년 3월 3일, 전국정치협상회의의 판칭린(潘慶林) 위원은 간체자는 중국의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번체자로 되돌려야 한다고 제안했다.[32][33] 위원은 간체자는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한자 본래의 예술성과 표의 문자로서의 성립을 파괴했고, 쓰기가 번거롭다고 여겨져 왔던 번체자는 이제 키보드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으며, 번체자 부활은 중국과 대만의 통일에도 유리하다는 정치적인 이유도 제시했다. 번체자 부활과는 별도로, 지나친 간략화를 수정하는 재검토론도 있다는 것이다.[32][33][34][35] 위원의 제안에 대해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간체자 지속은 현행법으로 보호받고 있다고 반박했다.[32]
2009년 6월 19일, 마잉주(馬英九)중화민국 총통는 중화인민공화국에 번체자 사용을 더욱 늘려달라는 이례적인 제안을 했다.[36]
4. 1. 문화적 정통성
번체자 지지 측은 간화자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한자의 특질을 무시하고 파괴한다고 주장한다.[32] 반면 간체자 지지 측은 한자는 역사적으로 계속 변화해 왔으며, 간체자는 역사적으로 통용되어 온 방법을 사용하거나 과거의 쉬운 형태로 복원한 것이라고 주장한다.[32][33][34][35]
2009년 3월 3일, 전국정치협상회의의 판칭린(潘慶林) 위원은 간체자가 중국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번체자로 되돌려야 한다고 제안했다.[32][33] 그는 간체자가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한자 본래의 예술성과 표의 문자로서의 성립을 파괴했고, 번체자는 이제 키보드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번체자 부활은 중국과 대만의 통일에도 유리하다는 이유를 들었다.[32][33][34][35]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간체자 지속은 현행법으로 보호받고 있다고 반박했다.[32]
2009년 6월 19일, 마잉주(馬英九)중화민국 총통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번체자 사용을 더욱 늘려달라는 제안을 했다.[36]
4. 2. 문맹률과 식자율
번체자 지지 측은 문맹률과 식자율이 대중 교육 접근성에 의해 결정되며, 간화자와 식자율 간의 상관관계는 불분명하다고 주장한다. 미국 CIA 월드팩트북 2007년 자료에 따르면, 2002/2003년 식자율은 번체자를 사용하는 대만이 96.1%, 간체자를 사용하는 중국 대륙이 90.9%였다. 번체자 지지 측은 문맹률 감소가 대중 교육, 학교 제도 활성화, 시골 지역 관리 제고와 관련이 있으며, 심지어 중국 공산당 측에서도 문맹률 감소와 간체자를 직접 연결시키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면, 간체자 지지 측은 간체자 도입 이후 중국 대륙의 문맹률이 감소하고 식자율이 증가했다고 주장한다. 중화민국의 중국 대륙 통치 시기나 청나라 시기에는 볼 수 없었던 현상이라고 강조한다. 비록 현재 번체자를 쓰는 중화민국이 더 나은 식자율을 보여주지만, 50배의 인구와 260배의 영토를 가진 중화인민공화국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반박한다. 지역적으로 광둥성의 문맹률은 3.84%(2004년), 광시 좡족 자치구의 문맹률은 3.79%인데, 대만의 문맹률은 이보다 약간 낮은 정도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2009년 3월 3일, 전국정치협상회의의 판칭린(潘慶林) 위원은 간체자가 중국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번체자로 되돌려야 한다고 제안했다.[32][33]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간체자 지속은 현행법으로 보호받고 있다고 반박했다.[32] 2009년 6월 19일, 마잉주(馬英九)중화민국 총통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번체자 사용을 더욱 늘려달라는 제안을 했다.[36]
4. 3. 전통 문화 보존
스웨덴의 중국학자 베른하르트 카를그렌은 1929년에 "중국이 한자를 버리는 날, 중국은 중국 문화의 근본을 포기하는 것이다."라고 경고한 바 있다. 전통 문화를 상징하는 한자를 간체화하려는 주체인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문화대혁명 등을 통해 무자비하게 훼손해온 바 있다.
미국과 영국과 프랑스와 러시아와 독일 등 선진국들도 중국의 전통 문화를 파괴한 주범인 간체자를 강력히 반대하고, 중국의 전통 문화를 되살리는 영웅인 정체자로 완전히 지정되어 모든 국민들이 정체자를 쓰는 그 날, 중국이 비로소 미국을 밀어내고 전 세계에서 최고의 대제국으로 군림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중국 대륙 정부 이전에도 간체화의 움직임은 20세기 초반부터 있었다. 1950년대 시작된 간체화는 1960년대에 와서야 시작되는 문화대혁명과는 거리가 멀다.
2009년 3월 3일, 전국정치협상회의의 판칭린(潘慶林) 위원은 간체자는 중국의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번체자로 되돌려야 한다고 제안했다.[32][33] 위원은 간체자는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한자 본래의 예술성과 표의 문자로서의 성립을 파괴했고, 쓰기가 번거롭다고 여겨져 왔던 번체자는 이제 키보드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으며, 번체자 부활은 중국과 대만의 통일에도 유리하다는 정치적인 이유도 제시했다. 번체자 부활과는 별도로, 지나친 간략화를 수정하는 재검토론도 있다는 것이다.[32][33][34][35] 위원의 제안에 대해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간체자 지속은 현행법으로 보호받고 있다고 반박했다.[32]
2009년 6월 19일, 마잉주(馬英九)중화민국 총통는 중화인민공화국에 번체자 사용을 더욱 늘려달라는 이례적인 제안을 했다.[36]
4. 4. 혼동의 문제
번체자 지지 측은 간화자로 인해 형태가 유사한 글자들이 많아져 혼동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無를 无로 간화해 天과 혼동되고, 設과 沒를 각각 设과 没로 간화하여 손으로 쓸 때 구별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또한 活와 話도 活와 话로 바뀌어 필기 시 혼동하기 쉽다고 주장한다.[32] 이러한 문제는 한자를 공부하는 학생과 학자들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반면 간체자 지지 측은 일부 간화자는 오히려 분별이 쉬워졌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書(책), 晝(낮), 畫(그림)를 각각 书, 昼, 画로 바꿈으로써 분별이 용이해졌다고 말한다.
2009년 3월 3일, 전국정치협상회의의 판칭린(潘慶林) 위원은 간체자가 중국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번체자로 되돌려야 한다고 제안했다.[32][33] 그는 간체자가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한자 본래의 예술성과 표의 문자로서의 성립을 파괴했고, 번체자는 이제 키보드로 쉽게 입력 가능하며, 번체자 부활이 중국과 대만의 통일에도 유리하다는 정치적인 이유를 제시했다.[32][33][34][35]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간체자 지속이 현행법으로 보호받고 있다고 반박했다.[32]
2009년 6월 19일, 마잉주(馬英九)중화민국 총통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번체자 사용을 더욱 늘려달라는 제안을 했다.[36]
4. 5. 쓰는 속도
번체자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컴퓨터 시대에는 입력기(IME) 등을 통해 손쉽게 입력할 수 있어 입력 속도가 문제가 되지 않으며, 손으로 쓸 때도 행서나 초서를 이용한다고 주장한다.[32][33] 반면 간체자 지지 측에서는 획수가 적어 쓰기 편하고 빠르다는 점을 강조한다.[32][33]
2009년 3월 3일, 전국정치협상회의의 판칭린(潘慶林) 위원은 간체자가 중국의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번체자로 되돌려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간체자는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한자 본래의 예술성과 표의 문자로서의 성립을 파괴했고, 쓰기가 번거롭다고 여겨져 왔던 번체자는 이제 키보드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으며, 번체자 부활은 중국과 대만의 통일에도 유리하다는 정치적인 이유도 제시했다.[32][33]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간체자 지속은 현행법으로 보호받고 있다고 반박했다.[32]
4. 6. 형성자 원리
간체자는 한자의 형성자 원리를 완전히 해치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예를 들어 盤(pán)의 소리 부분은 般(ban)인데 盘로 간화함으로써 발음이 엉뚱한 舟(zhōu)가 포함되었다. 또한 盧(lú)와 爐(lú)는 盧를 공통 부분으로 하고 있던 것을 卢와 炉로 간화하였는데 炉의 발음은 戶(hù)와는 멀다는 것이다.[70][71]
愛→爱중국어(사랑 애)는 마음(心) 없이 사랑은 어떻게 하는가?, 義→义중국어(옳을 의)는 도의를 따지지 않는 것은 나(我)와 상관이 없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반면, 간체화를 통해 형성자 원리에 부합되는 간체자가 많이 만들어졌다는 주장도 있다. 예를 들어 憂(yōu, 걱정)을 忧로 간화함으로써 心이 뜻은 살리면서 尤(yóu)의 발음도 글자에 들어갔다.
2009년 3월 3일, 전국정치협상회의의 판칭린(潘慶林) 위원은 간체자는 중국의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번체자로 되돌려야 한다고 제안했다.[32][33] 위원은 간체자가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한자 본래의 예술성과 표의 문자로서의 성립을 파괴했고, 쓰기가 번거롭다고 여겨져 왔던 번체자는 이제 키보드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으며, 번체자 부활은 중국과 대만의 통일에도 유리하다는 정치적인 이유도 제시했다. 위원의 제안에 대해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간체자 지속은 현행법으로 보호받고 있다고 반박했다.[32]
2009년 6월 19일, 마잉주(馬英九)중화민국 총통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번체자 사용을 더욱 늘려달라는 이례적인 제안을 했다.[36]
4. 7. 부수
번체자 지지 측은 간화자가 부수를 파괴하여 한자 간 연결고리를 끊는다고 주장한다.[32][33] 예를 들어 鬧가 闹로 간화되어 門이 부수가 되는 오류가 발생하고, 愛를 爱로 간화하여 心의 부수가 없어졌다고 지적한다.[32][33][34][35]
반면 간체자 지지 측은 부수 체계가 원래 완벽하지 않으며, 간화자가 반드시 부수를 파괴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한다. 笑는 웃음이라는 뜻과 무관한 대나무 竹을 부수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그 예로 든다.
2009년 3월 3일, 전국정치협상회의의 판칭린(潘慶林) 위원은 간체자가 중국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번체자로 되돌려야 한다고 제안했다.[32][33] 그는 간체자가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한자 본래의 예술성과 표의 문자로서의 성립을 파괴했고, 번체자는 이제 키보드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번체자 부활은 중국과 대만의 통일에도 유리하다는 정치적인 이유도 제시했다.[32][33][34][35] 이러한 제안에 대해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간체자 지속은 현행법으로 보호받고 있다고 반박했다.[32]
2009년 6월 19일, 마잉주(馬英九)중화민국 총통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번체자 사용을 더욱 늘려달라는 이례적인 제안을 했다.[36]
4. 8. 글자의 통합
번체자 지지 측에서는 後와 后를 后로 통합, 隻와 只를 只로 통합, 發와 髮를 发로 통합, 週와 周를 周로 통합, 穀와 谷을 谷로 통합하는 등 분별이 상당히 어렵다고 주장한다.[32] 반면 간체자 지지 측에서는 글자 간 통합으로 오는 모호함은 적은 편이라고 주장한다.[32]
2009년 3월 3일, 전국정치협상회의의 판칭린(潘慶林) 위원은 간체자는 중국의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10년 안에 단계적으로 번체자로 되돌려야 한다고 제안했다.[32][33] 위원은 간체자가 지나치게 간략화되어 한자 본래의 예술성과 표의 문자로서의 성립을 파괴했고, 쓰기가 번거롭다고 여겨져 왔던 번체자는 이제 키보드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으며, 번체자 부활은 중국과 대만의 통일에도 유리하다는 정치적인 이유도 제시했다.[32][33][34][35] 위원의 제안에 대해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간체자 지속은 현행법으로 보호받고 있다고 반박했다.[32]
2009년 6월 19일, 마잉주(馬英九)중화민국 총통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번체자 사용을 더욱 늘려달라는 이례적인 제안을 했다.[36]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gov.cn/xw[...]
2006-03-22
[2]
웹사이트
Unihan data for U+6CA1
https://www.unicode.[...]
2023-09-30
[3]
웹사이트
http://www.china-lan[...]
2009-08-18
[4]
뉴스
http://news.xinhuane[...]
2009-04-10
[5]
뉴스
http://news.xinhuane[...]
2009-04-10
[6]
뉴스
China to Regulate Use of Simplified Characters
http://news.xinhuane[...]
2009-08-17
[7]
웹사이트
http://www.gov.cn/zw[...]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8-19
[8]
서적
Foreign Language and Teaching Press
[9]
뉴스
http://news.xinhuane[...]
Xinhua
2024-03-16
[10]
논문
The problem of the Chinese language
[11]
서적
Calligraphy and Power in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Routledge
[12]
웹사이트
http://www.edu.cn/hz[...]
2017-01-09
[13]
웹사이트
http://www.gov.cn/zw[...]
Central People's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3-11-08
[14]
학회발표
http://www.huayuqiao[...] [15]
학회발표
http://www.huayuqiao[...] [16]
서적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A Pedagogical Grammar
Hong Kong University Press
[17]
서적
Introduction to Classical Chinese Philosophy
Hackett
[18]
웹사이트
http://beijing.qianl[...]
2004-12-08
[19]
웹사이트
http://news.xinhuane[...]
2008-03-15
[20]
뉴스
School Bridges China-Japan Gap
http://search.japant[...]
2008-12-23
[21]
웹사이트
Noto CJK
https://www.google.c[...] [22]
웹사이트
Best Practice 13: Using Hans and Hant codes
https://www.w3.org/T[...]
W3C
[23]
웹사이트
https://www.ftchines[...]
2021-06-01
[24]
웹사이트
http://www.edu.cn/20[...]
2013-09
[25]
뉴스
网友质疑“云台阁”题字繁简混用
http://zhenjiang.lej[...]
2018-03-09
[26]
뉴스
这些字你用对了吗?
http://www.qstheory.[...]
2018-03-09
[27]
웹사이트
http://www.moe.edu.c[...] [28]
뉴스
中時電子報民調:正體字VS.簡體字大調査
http://forums.chinat[...]
2005-04-07
[29]
뉴스
韓・中・日・台が漢字の字体統一へ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8-03-09
[30]
뉴스
日・韓・中・台が漢字の字体統一を決定、主体は繁体字に―北京市
http://www.recordchi[...]
Record China
2018-03-09
[31]
웹사이트
「中・日・韓・台の漢字統一」報道を否定!簡体字使用の変更は不可能
https://web.archive.[...]
Record China
2007-11-11
[32]
뉴스
中国で旧字体復活? 漢字の行き過ぎた簡略化めぐり論議
https://web.archive.[...]
산케이신문
2009-07-16
[33]
뉴스
<中台>漢字字体の統一を!繁体字の世界遺産化の動きも論議促進?…全国政協会議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09-07-21
[34]
뉴스
どうなる?繁体字復活論、新しい「規範漢字」近く発表か…中国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09-07-21
[35]
뉴스
簡体字の一部見直しの動き 中国政府、繁体字回帰か
https://ryukyushimpo[...]
2009-04-19
[36]
뉴스
日本の漢字改革を手本に!中国と台湾の字体論争…香港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09-06-24
[37]
문서
'發'의 간자로도 사용됨
[38]
문서
소리를 나타내는 敬(공경할 경)+말이 앞발을 들고 놀라는 모습 馬(말 마)
[39]
문서
뜻을 나타내는 忄(=心, 마음 심)+소리를 나타내는 京(서울 경)
[40]
문서
말로써 도와준다는 뜻에서 言(말씀 언)+소리를 나타내는 蒦(자 확)
[41]
문서
손을 써서 도와준다는 뜻에서 扌(手, 손 수)+소리를 나타내는 戶(지게 호)
[42]
문서
꽃(艹)이 화려하게 드리워진(垂) 모양
[43]
문서
소리를 나타내는 化(될 화)+十*(열 십)(
[44]
문서
논(田)에 그물(芉)로 풀어놓은 물고기를 잡아 농사를 마무리함
[45]
문서
소리를 나타내는 比(견줄 비)+十(열 십)
[46]
문서
벼(禾)가 무거운(重) 모양
[47]
문서
禾(벼 화)+소리를 나타내는 中(가운데 중)
[48]
문서
해로운(害) 일을 하지 못하도록 눈(目)과 마음(心)으로 감시함
[49]
문서
宀(집 면)+소리를 나타내는 先(먼저 선)
[50]
문서
숲(林)의 기슭(厂)을 발(止)로 지나감
[51]
문서
厂(기슭 엄)+소리를 나타내는 力(힘 력)
[52]
문서
손(手)으로 원숭이(豦)를 잡음
[53]
문서
手(손 수)+소리를 나타내는 居(살 거)
[54]
문서
집(宀)에서 선물(貝)을 들고(止) 기다림
[55]
문서
宀(집 면)+소리를 나타내는 兵(병사 병)
[56]
문서
천자(朕)가 힘(力)을 발휘하여 싸움에서 이김. 나라를 훌륭하게 만듦
[57]
문서
月(달 월)+소리를 나타내는 生(날 생)
[58]
문서
새끼 양(𦍒)이 정상에 도달해서(辵) 일을 달성함
[59]
문서
辶(쉬엄쉬엄갈 착)+소리를 나타내는 大(큰 대)
[60]
문서
새(隹)가 멈추지 않고 날아오르다(辶)
[61]
문서
辶(쉬엄쉬엄갈 착)+소리를 나타내는 井(우물 정)
[62]
문서
북(豈)을 쳐서 승리를 알리거나 즐김
[63]
문서
山(뫼 산)+소리를 나타내는 己(몸 기)
[64]
문서
새총(單)과 창(戈)을 들고 싸움
[65]
문서
소리를 나타내는 占(차지할 점)+戈*(창 창)
[66]
문서
변방(垂)과 고을(阝=邑)을 이어줌
[67]
문서
소리를 나타내는 由(말미암을 유)+阝(=邑, 고을 읍)
[68]
문서
가타카나 소실자 [[ゑ|ヱ]](we)
[69]
뉴스
간체냐 번체냐… 중국 ‘문자전쟁’
https://news.naver.c[...] [70]
문서
주로 [[부수]]
[71]
문서
형성자(形聲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