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의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의부는 남조 송나라의 황족으로, 송 무제 유유와 장태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415년 예장공 세자로 책봉되었고, 420년 유송이 건국된 후 황태자가 되었다. 422년 무제가 사망하자 소제로서 황위에 올랐으나, 조정 운영에 미숙하여 2년 만에 폐위되었다. 폐위 후 영양왕으로 봉해졌지만, 이내 암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의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전체 이름 | 유 (劉) 의부 (義符) |
자 | 차병 (車兵) |
출생 이름 | 유차병 (劉車兵) |
출생일 | 기원후 406년경 |
사망일 | 424년 8월 4일 |
아버지 | 무제 |
어머니 | 장궐 |
배우자 | 사마모영 |
통치 | |
작위 | 유송 황제 |
재위 기간 | 422년 6월 26일 ~ 424년 7월 7일 |
이전 통치자 | 무제 |
다음 통치자 | 문제 |
연호 | 경평 (423년 ~ 424년) |
2. 생애
의희 2년(406년), 유유와 장부인 사이의 장남으로 경구에서 태어났다. 의희 11년(415년), 예장공 세자로 책봉되었다. 의희 12년(416년) 12월, 송공 세자가 되었다. 원희 원년(419년) 12월, 송왕 태자가 되었다.
영초 원년(420년) 6월에 무제(유유)가 황제에 즉위하자, 8월에 유의부는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영초 3년(422년) 5월, 무제가 붕어하자 유의부가 황제로 즉위했다. 중서감 부량, 사공 서선지, 영군장군 사회 등이 소제(유의부)를 보좌했다. 또한 무제의 죽음을 듣고 북위 군이 침공해 왔지만, 경평 원년(423년) 4월에 단도제가 북벌하여 호뢰에서 위군을 격파했다. 소제는 무제의 상중에 있어도 예를 지키지 않고, 측근들과 어울려 놀이에 절도가 없었기 때문에 조정의 여러 관료들의 실망을 샀다.
경평 2년(424년) 5월, 서선지 등은 황태후의 명이라고 칭하며 소제를 퇴위시켰다. 서선지 등은 소제의 동생 유의륭(문제)을 즉위시켰다.
퇴위한 소제는 영양왕에 봉해졌고, 동궁으로 신병이 이송되었으며, 더 나아가 오군으로 옮겨져 금창정에 유폐되었다. 6월, 서선지가 파견한 중서사인 형안태에 의해 살해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진나라 시기
유의부는 406년 진나라의 최고 사령관이자 사실상 섭정이었던 유유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유유의 후궁 장 씨였다. 유유가 권력을 강화하면서 유의부에게 점점 더 많은 명목상의 권한을 부여하기 시작했지만, 유유는 유의부가 수행해야 할 의무를 실제로는 그의 부하들이 수행하도록 했다.415년, 유의부는 유유의 예장 공작의 태자로 공식적으로 임명되었고 연주(兗州, 당시 현대 장쑤성)의 자사가 되었다. 416년에는 예주(豫州, 당시 현대 안후이성)의 자사가 되었다. 그해 말, 그는 다시 연주의 자사가 되었지만, 동시에 서주(徐州, 현대 장쑤성 북부)의 자사가 되기도 했다. 그 후 가을에 유유가 후진을 공격하기 위한 대규모 원정을 시작하자 유의부는 수도 건강의 수비대가 되었지만, 실제 권한은 유목지가 가지고 있었다.
417년, 유유가 후진을 멸망시키고 그 영토를 병합한 후, 유목지가 사망했다. 유유는 이후 물러났고, 이전 후진의 수도 장안은 유의부의 남동생인 귀양공 유의진의 손에 맡겨졌지만, 여전히 장군과 관리들이 실제 책임을 맡았다. 418년, 유의부를 형주(荊州, 대략 현대 후베이성)의 자사로 임명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장소의 조언에 따라 태자인 유의부를 건강에서 멀리 보내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그 자리는 유의륭에게 주어졌다. 그 해 유유가 송공의 더 큰 칭호를 받아들였을 때 유의부는 그의 공작의 태자가 되었고, 원희 원년(419년) 12월, 송왕 태자가 되었다. 419년에 송왕으로 책봉된 후 유의부는 송 태자라는 특별한 영예를 받았다. 또한 이 무렵 그는 진나라 공제의 딸 사마 모영 해염공주와 결혼했다.
의희 2년(406년), 유유와 장부인 사이의 장남으로 경구에서 태어났다. 의희 11년(415년), 예장공 세자로 책봉되었다. 의희 12년(416년) 12월, 송공 세자가 되었다.
2. 2. 유송 무제 치세
420년, 유송을 건국한 무제 유유가 공제로부터 제위를 찬탈한 후, 유의부를 황태자로 책봉했다.422년, 무제는 병에 걸렸다. 그의 신하 사회는 황태자 유의부가 종종 재능과 덕이 부족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보고 무제에게 이를 경고했다. 무제는 대신 유의진을 로릉왕이자 황태자로 세우는 것을 고려했다. 그러나 사회는 유의진을 만난 후 유의진에 대해 더 나쁜 평가를 내렸고, 이에 무제는 그 생각을 포기했다.
무제가 그 해 말에 심각한 병에 걸리자, 그는 황태자 유의부를 서선지, 부량, 사회, 그리고 담도제에게 맡겼다. 동시에, 그는 비밀리에 황태자 유이부에게 사회는 너무나 재빠른 사고를 가지고 있어 크게 신뢰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그 후, 그는 죽었고, 황태자 유의부는 소제로 즉위했다.
영초 3년(422년) 5월, 무제가 붕어하자 유의부가 황제로 즉위했다. 중서감 부량, 사공 서선지, 영군장군 사회 등이 소제(유의부)를 보좌했다.
2. 3. 즉위와 폐위
422년, 유유가 죽자, 뒤를 이어 황제로 즉위하였다. 유유는 서선지(徐羨之), 부량(傅亮), 사회(謝晦), 단도제 등의 신하들에게 후사를 부탁했지만, 유의부는 조정의 사무에 서툴렀다. 서선지 등은 황제의 후견을 받고 권력을 포기하지 않고, 황태후의 명을 받아서 즉위 불과 2년 만에 폐위당했다. 서선지와 신하들은 유의부의 동생인 유의륭을 황제로 추대하였다.폐위당한 이후 영양왕(營陽王)으로 봉해졌지만, 얼마 안가서 암살당했다. 소(少) 황제는 그의 계모할머니 소문수를 태황태후로 존숭했고, 그의 아내인 태자비 사마모영(司馬茂英)을 황후로 책봉했다. 중앙 정부의 업무는 대부분 서현지(徐羨之), 부량(傅亮), 사휘(謝晦)의 손에 넘어갔다.
처리해야 할 즉각적인 문제는 북위 명원제가 무제(武帝)의 죽음을 듣고 유송을 대대적으로 공격하여 황하를 건넜다는 것이었다. 422년 겨울, 북위군은 화태(滑台, 현재의 안양시, 허난성)를 점령했다. 423년 봄, 그들은 낙양을 점령했다. 단도제가 북쪽 도시를 구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그는 산둥 반도가 함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지만, 423년 여름까지 황하의 마지막 주요 유송 전초 기지인 호뢰(虎牢, 현재의 정저우, 허난성)가 쉬창과 함께 함락되었다. 그제서야 북위는 진격을 멈췄다.
423년 가을, 소(少) 황제는 그의 어머니 장(張) 후궁을 황태후로 존숭했다.
424년까지, 서(徐), 부(傅), 사(謝)는 소(少) 황제가 황제로서 부적절하다고 점점 더 불만을 품게 되었다. 소(少) 황제가 아버지의 3년 상(喪) 기간 동안 적절한 행동을 따르지 못하고 학문과 중요한 국사보다는 게임과 쾌락에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기 때문이다. 이는 그의 관료 판태(范泰)의 격려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었다. 그들은 따라서 그를 폐위할 것을 고려했지만, 무제(武帝)의 차남인 유이진(劉義真)에 대해서도 불만을 품었다. 유이진은 재능이 있었지만, 소(少) 황제보다 훨씬 더 경박한 행동을 보였고, 종종 사령운과 안연지(顏延之)를 포함한 다른 재능있지만 경박한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고, 황실 정부에 더 많은 돈을 요구했다. 따라서 그들은 소(少) 황제가 이미 유이진과 가지고 있던 경쟁심을 부추기고, 유이진을 범죄 혐의로 고발했으며, 소(少) 황제는 유이진을 평민으로 강등시키고 신안군(新安, 대략 현재의 항저우, 저장성)으로 유배 보냈다.
유이진이 제거되자, 서(徐), 부(傅), 사(謝)는 소(少) 황제도 제거할 준비를 했다. 그들은 단(檀)과 왕홍이 가진 강력한 군대에 대해 불안했기 때문에, 단(檀)과 왕(王)을 수도로 소환한 다음 음모를 알렸다. 그런 다음 그들은 군인들을 궁궐로 보내 소(少) 황제를 체포했는데, 먼저 황실 경비병들을 설득하여 저항하지 않도록 했다. 아침에 소(少) 황제가 침대에서 일어나기도 전에 군인들이 이미 그의 침실에 들어왔고, 그는 무력하게 저항하려 했지만 체포되었다. 그는 그의 옛 궁으로 보내졌다. 그 후 관리들은 장(張) 태후의 이름으로 소(少) 황제의 잘못을 선언하고 영양왕(영양왕)으로 강등했으며, 그의 동생 유의륭(劉義隆) 의도왕에게 대신 왕위를 제안했다.
유의부는 오군 (대략 현대의 쑤저우, 장쑤)으로 유배되어 엄중한 감시를 받았다. 한 달 후, 서현지는 자객 싱안타이(邢安泰)를 보내 전 황제를 암살했다. 유의부는 여전히 강한 남자였고, 오군 수도에서 탈출하려 했지만 결국 쫓겨 문고리에 맞아 쓰러져 살해당했다.
유의부는 아들 없이 죽었지만, 429년 그의 동생 유의공의 장남 유랑이 그의 후계자로 지정되었다.
2. 4. 평가
3. 가계
유의부는 송 무제와 장태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효목황후는 유교의 부인이다. 유의부는 공주 혜내 사마씨와 혼인하였다.
1 | 2 | 3 | 4 | 5 | 8 | 10 | 16 | 20 |
---|---|---|---|---|---|---|---|---|
송 소제(406–424) | 송 무제 (363–422) | 장태후 (사망 426) | 유교 | 효목황후 (343–363) | 유경 | 조표 | 유혼 | 조표 |
4. 연호
wikitable
참조
[1]
서적
yi'you day of the 5th month of the 2nd year of the Jing'ping era, per Emperor Shao's biography in Book of Song
[2]
서적
Emperor Shao's biography in Book of Song indicated that he was 19 (by East Asian reckoning) when he died. Thus by calculation, his birth year should be about 406.
[3]
서적
guichou day of the 6th month of the 2nd year of the Jingping era, per Emperor Shao's biography in Book of So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