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카기르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카기르어족은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들의 어족으로, 현재는 북부 유카기르어(툰드라 유카기르어)와 남부 유카기르어(콜리마 유카기르어) 두 방언이 존재한다. 과거에는 오모크어와 추반어가 있었으나 18세기경 사멸했다. 유카기르어족은 우랄어족과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으며, 문법적으로 교착어의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시베리아 제어 - 축치캄차카어족
    축치캄차카어족은 축치어, 추코트어, 캄차카어 등으로 불리며 축치어파와 캄차카어파로 나뉘고, 이텔멘어만이 현존하며 여러 가설을 통해 다른 어족과의 관계가 연구된다.
  • 고시베리아 제어 - 니브흐어
    니브흐어는 사할린 섬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 사용되는 고립어로, 교착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고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사용이 위축되었으나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유카기르어족
개요
유형어족
사용 지역러시아 극동
사용 민족유카기르족, 추반족, 아나울족
어족 계통세계 주요 어족 중 하나
멸종 여부소멸 위기
통계
화자 수320명 (주로 툰드라, 2020년 인구 조사 기준)
언어 코드
글롯토로그yuka1259
글롯토로그 이름유카기르
하위 언어
지도 정보
17세기 (빗금) 및 20세기 (실선) 유카기르어 분포도
17세기 (빗금) 및 20세기 (실선) 유카기르어 분포도

2. 분류

유카기르어족은 크게 북부와 남부 두 갈래로 나뉜다.


  • 북부 유카기르어 (툰드라 유카기르어)
  • 남부 유카기르어 (콜리마 유카기르어)


이외에도 오모크어와 추반어가 있었으나 18세기경 사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2. 1. 현존하는 언어

현존하는 유카기르어족 언어는 다음과 같다.

  • 툰드라 유카기르어: 1989년 기준 30~150명의 화자가 있었다. 하류 인디기르카 강에서 하류 콜리마 강 유역 사이의 툰드라 지대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서쪽의 레나 강 유역까지 훨씬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 콜리마 유카기르어: 2009년 기준 5~10명의 화자가 있었다. 콜리마 강 상류 근처의 숲 지역, 사하 공화국마가단주 사이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되었으며, 이전에는 상류 콜리마 지역의 더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2. 2. 사멸한 언어


  • 오모크어†
  • 추반어†


오모크어와 추반어는 18세기경 사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추반어를 쓰던 추반족은 아직 민족 정체성이 남아 있어 2010년 러시아 인구조사 기준 1,002명의 추반족 인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 중 대부분은 축치 자치구에 살고 있다.

3. 특징

교착어이지만, 명사에는 접미사가 붙는 반면 동사에는 접두사가 붙는 특징이 있다. 우랄어족과 마찬가지로, 모음조화, 부정동사가 존재한다.[10]

3. 1. 문법적 특징

유카기르어족에 속하는 툰드라 유카기르어와 콜리마 유카기르어는 어휘는 일부만 공유하며 서로 이해할 수 없지만, 기본적인 문법 구조는 매우 유사하다. 두 언어 모두 잔류 모음조화와 복잡한 자음음운론을 가지고 있다.[8]

두 언어는 모두 풍부한 교착어적 형태론을 가지고 있으며, 엄격하게 머리말미 구조를 따른다. 유한 종속절은 거의 없고, 등위 구조도 거의 없다. 툰드라 유카기르어와 콜리마 유카기르어 문법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담화-화용론적 특징에 기반한 분열적 자동사 체계이다. 강조가 없는 경우, 이 체계는 주격-목격 기반으로 구성된다. 강조되는 경우, 직접목적어와 자동사의 주어가 공동으로 정렬된다(특수 강조격, 특수 강조 일치).[8]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이지만, 명사에는 접미사가 붙는 반면 동사에는 접두사가 붙는 특징이 있다. 우랄어족과 마찬가지로, 모음조화, 부정동사가 존재한다.[10]

3. 2. 어휘 차이

콜리마 유카기르어와 툰드라 유카기르어의 어휘 차이는 다음과 같다.[9]

의미콜리마 유카기르어 (콜리마 유카기르어)툰드라 유카기르어 (툰드라 유카기르어)
하나irkējmōrqōñ
ataqlōjkijōñ
다섯iñhañbōjimd’ald’añ
많음niŋelpojōl
모두t’umujawnə
하루pod’erqət’ajləŋ
태양jelōd’əjerpəjəŋ
ōd’īlawjəŋ
물고기anilal’həŋ
순록at’əil’eŋ
pubellaməŋ
사람šoroməködeŋ
사람들omnīt’īŋ
aŋd’əjȫd’īŋ
todīsal’hərīŋ
emilt’iŋit’əl
nojlt’ohul
이름ñūkirijəŋ
앉다modo-sahañeto
죽이다kuledə-puñīto
죽다amdə-jabəto
알다leidī-kurilīto
마시다ožə-law-


4. 다른 언어와의 계통 관계

유카기르어족이 다른 어족과 맺는 관계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우랄어족과 먼 관계에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가설상의 우랄-유카기르어족을 형성한다는 의견이 있다.[5] 마이클 포티스큐(Michael Fortescue)는 유카기르어가 우랄어족과 함께 에스키모-알류트어족과도 관련이 있으며, 우랄-시베리아어족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6]

우랄어족과의 관계는 비교적 유력한 설로, 사모예드어파와 가깝다고 여겨져 왔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핀우고르어파와의 공통적인 특징도 지적된다.[11] [12] 추크치-캄차카어족 등과의 친족 관계도 거론된다.[13]

5. 예시 문장 (북부 유카기르어)

Көдэҥ тэн – ньидитэ бандьэ параwааньэрэҥ тудэ чуҥдэн ньилдьилэк эннулҥинь-мэдьуолнуни. Көдэҥ энмун чундэ мэ льэй, таатльэр лукундьии ньинэмдьийилпэ дитэ эннуйуол-мораwньэҥи.ru

Ködeng ten – n'idite band'e parawaan'ereng tude chungden n'ild'ilek ennulngin'-med'uolnuni. Ködeng enmun chunde me l'ey, taatl'er lukund'ii n'inemd'iyilpe dite ennuyuol-morawn'engi.ykg

위 문장은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로, 그 뜻은 다음과 같다.

: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

참조

[1] Ethnologue
[2] 웹사이트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02 года https://web.archive.[...] 2017-11-02
[3]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in Northeast Asia: report http://www.helsinki.[...] 2017-11-02
[4] 웹사이트 Росстат —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20 https://rosstat.gov.[...] 2023-01-03
[5] 서적 Jukagirisch und Uralisch Almqvist & Wiksell 1940
[6] 논문 Correlating Palaeo-Siberian languages and populations: recent advances in the Uralo-Siberian hypothesis https://www.research[...] 2017
[7] 서적 Rodovoj i plemennoj sostav narodov Sibiri v XVII v. Izdatel'stvo Akademii Nauk SSSR 1960
[8] 서적 Chuvan and Omok languages? Rodopi 2008
[9] 서적 Language Isolates Routledge 2017
[10] 논문 Zur Frage nach der Urverwandtschaft des Indoeuropäischen mit dem Ugrofinnischen 1933
[11] 서적 Jukagirisch und Uralisch Almqvist & Wiksell 1940
[12] 백과사전 ユカギール族 https://kotobank.jp/[...]
[13] 서적 Language Relations across Bering Strait: Reappraising the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Evidence Cassell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