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미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접미사는 단어의 뒤에 붙어 의미를 더하거나 문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형태소를 의미한다. 한국어에서는 어미, 조사 등이 접미사의 역할을 하며,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와라이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도 접미사가 사용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는 파일 확장자, 명명 규칙, 리터럴 접미사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접미사 | |
---|---|
언어학적 정보 | |
종류 | 접사 |
위치 | 단어의 끝 |
기능 | 단어의 의미를 변화시킴 문법적 기능 표시 |
상세 정보 | |
예시 | '먹-' + '-었-' + '-다' (여기서 '-었-'과 '-다'가 접미사) |
활용 | 명사 파생 접미사: '-이', '-음', '-기' 동사 파생 접미사: '-시키-', '-പ്പെട-' (피동 접미사) 형용사 파생 접미사: '-답-' 부사 파생 접미사: '-이' |
특징 | 단어의 의미나 문법적 기능을 변경 새로운 단어 형성 다양한 종류 존재 |
2. 한국어의 접미사
한국어에서 접미사는 단어의 뒤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만들거나 문법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형태소이다. 접미사는 크게 어미와 조사로 나뉜다.
2. 1. 어미
- ~ない: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형용사를 만든다.
- ~ぬ: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체형을 만든다.
- ~ず: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나(な)", "니(に)"에 접속하는 형태 또는 문장을 종지하는 형태를 만든다.
- ~ん: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체형을 만든다.
2. 1. 1. 활용 어미
- ~ない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부정의 의미의 형용사를 만든다. "-na-", "-ana-"로도 표기된다.)
- 見る(보다) + ~な → 見ない(보지 않다)
- 書く(쓰다) + ~な → 書かない(쓰지 않다)
- ~ぬ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부정의 의미의 연체형을 만든다. "-na-", "-ana-"로도 표기된다.)
- 見る(보다) + ~ぬ → 見ぬ(보지 않는)
- 書く(쓰다) + ~ぬ → 書かぬ(쓰지 않는)
- 용례: "보고도 못 본 척함(見ぬふり)", "뿌리지 않은 씨앗은 싹이 트지 않는다(撒かぬ種は生えぬ)"
- ~ず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나(な)", "니(に)"에 접속하는 형태 또는 문장을 종지하는 형태를 만든다)
- 見る(보다) + ~ず → 見ず(보지 않고)
- 書く(쓰다) + ~ず → 書かず(쓰지 않고)
- 용례: "전혀 모르는 사이(見ず知らず)", "마시지도 먹지도 않음(飲まず食わず)"
- ~ん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체형을 만든다.)
- 見る(보다) + ~ん → 見ん(보지 않는)
- 書く(쓰다) + ~ん → 書ん(쓰지 않는)
- 용례: "모르는 녀석(分からん奴)"
2. 2. 조사
조사는 체언 뒤에 붙어 앞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거나 뜻을 더해주는 품사이다.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뉜다.2. 2. 1. 격조사
격조사는 체언 뒤에 붙어 앞말이 다른 말에 대해 갖는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이다.- '~까지': 두 종류의 용법이 있다. "5월 7일 오후 5시까지"라고 말했을 경우, "5월 7일"은 범위에 포함되지만, 오후 5시부터 1시간은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5월 7일까지 입품"이라고 들었을 경우, "5월 7일 오전 0시까지"인지, "5월 8일 오전 0시까지"인지는 모호하다.
- '~부터': 출발격의 격조사.
- '~보다': 출발격의 격조사.
- '~으로': 방향격, 또는 도달격의 격조사.
2. 2. 2. 보조사
- ~은 (명사가 화제의 중심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그다지 중요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약한 강조)
- * 나 + ~은 → 나는
- ** 용례: "봄은, 새벽녘"
- ~가 (명사가 화제의 중심을 나타내는 것을 강조하고, 중요함을 나타낸다. 강한 강조)
- * 나 + ~가 → 내가
- ** 용례: "내가 내가"
3. 다른 언어의 접미사
프랑스어의 경우, "아름다운 날들(De beau'''x''' jours)"에서 접미사 "-x"는 복수를 나타내며, "그녀는 꽤 예쁘다(Elle est passablement joli'''e''')"에서 접미사 "-e"는 형용사의 여성형을 나타낸다.[4]
독일어의 경우, ''나의 컴퓨터''(mein Computer)에서는 주격이 "무표"이므로 접미사가 없지만, 소유격에서는 ''나의 컴퓨터'''의''''''(meines Computers), 여격에서는 ''나의 컴퓨터'''에''''''(meinem Computer), 대격에서는 ''나의 컴퓨터'''를''''''(meinen Computer)과 같이 격에 따라 접미사가 붙는다.[4]
러시아어의 경우, ''мой компьютер''는 주격이 "무표"이므로 접미사가 없지만, 생격에서는 ''мо'''его''' компьютер'''а''''' , 여격에서는 ''мо'''ему''' компьютер'''у''''' 와 같이 격에 따라 접미사가 붙는다. ''за-туш-'''и-ть''' свеч'''у''''' 와 같은 단어에서는 -и- 접미사, -ть 어미(부정사 형태), -у 어미(대격, 단수, 여성) 등 여러 접미사가 사용된다. ''добр-о-жел-а-'''тель-н-ый''''' 의 경우에는 добр- 어근, -о- 연결사, -жел- 어근, 동사 -a- 연결사, 명사 -тель 접미사, 형용사 -н- 접미사, 형용사 -ый 어미(주격, 단수, 남성)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4]
위라두리어의 경우, ''wárraidya'' "에뮤"는 단수가 "무표지"이므로 접미사가 없지만, 쌍수에서는 ''wárraidya'''lbili''''' "에뮤 두 마리", 복수에서는 ''wárraidya'''rri''''' "에뮤들", 초과복수에서는 ''wárraidya'''ilyarranha''''' "에뮤가 많다"와 같이 수에 따라 접미사가 붙는다.[4]
3. 1. 영어의 접미사
영어에서 접미사는 단어의 끝에 붙어 의미나 문법적 기능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s''는 복수(''소녀'''들''') 또는 3인칭 단수 현재 시제(''만들'''었''')를 나타낸다. ''-ed''는 과거 시제(''닫'''혔'''), ''-er''는 비교급(''밝'''다''')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영어의 접미사는 크게 굴절 접미사와 파생 접미사로 나뉜다. 굴절 접미사는 동사의 시제나 태를 변화시켜 활용 어미를 구성하는 반면, 파생 접미사는 단어의 품사를 바꾸거나 새로운 의미를 추가한다.
3. 1. 1. 굴절 접미사
굴절은 단어의 통사 범주 내에서 단어의 문법적 속성을 변경한다. 여러 언어에서 이는 굴절 접미사, 즉 '''어미'''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나는 천이 바래지 않기를 바랐지만, 꽤 많이 바랬'''다'''."에서 접미사 '-다'는 어근 단어 'fade'를 굴절시켜 과거 분사를 나타낸다.굴절 접미사는 굴절 후 단어의 품사를 변경하지 않는다.[5] 현대 영어의 굴절 접미사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s''' : 3인칭 단수 현재 시제
- '''-ed''' : 과거 시제 및 과거 분사
- '''-t''' : 과거 시제 (약변칙)
- '''-ing''' : 현재 분사 및 동명사
- '''-en''' : 과거 분사 (불규칙)
- '''-s''' : 복수
- '''-en''' : 복수 (불규칙)
- '''-er''' : 비교급
- '''-est''' : 최상급
동사의 시제나 태를 변화시키는 -ed, -en, -ing은 굴절 접미사라고 불리며, 활용 어미를 구성한다.
3. 1. 2. 파생 접미사
파생 접미사는 품사를 변경하는 파생과 품사를 유지하는 파생,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6]영어의 파생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접미사 | 품사 변화 | 설명 |
---|---|---|
-able/-ible | 동사 → 형용사 | 동사를 형용사로 변경 |
-al/-ual | 명사 → 형용사 | 명사를 형용사로 변경 |
-ant | 동사 → 명사 | 동사를 명사로 변경, 주로 사람 행위자를 가리킴 |
-ess | 명사 → 명사 | 품사 유지 |
-ful | 명사 → 형용사 | 명사를 형용사로 변경 |
-fy | 명사 → 동사 | 명사를 동사로 변경 |
-hood | 명사 → 명사 | 품사 유지 |
-ise/-ize | 명사 → 동사 | 명사를 동사로 변경 |
-ish | 명사 → 형용사, 형용사 → 형용사 | 명사를 형용사로 변경하거나 품사 유지 |
-ism | 명사 → 명사 | 품사 유지 |
-ist | 명사 → 명사 | 품사 유지 |
-ity | 형용사 → 명사 | 형용사를 명사로 변경 |
-less | 명사 → 형용사 | 명사를 형용사로 변경 |
-like | 명사 → 형용사 | 명사를 형용사로 변경 |
-logy/-ology | 명사 → 명사 | 품사 유지 |
-ly | 형용사 → 부사, 명사 → 형용사 | 형용사를 부사로, 명사를 형용사로 변경 |
-ment | 동사 → 명사 | 동사를 명사로 변경 |
-ness | 형용사 → 명사 | 형용사를 명사로 변경 |
-oid | 명사 → 형용사 | 명사를 형용사로 변경 |
-tion/-ion/-ation | 동사 → 명사 | 동사를 명사로 변경 |
-um | 박물관, 경기장, 강당, 수족관, 천문관, 매체 | |
-wise | wīse ("방식, 방법, 상태, 방향")에서 유래 |
영어의 파생 접미사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추상 명사 생성: -ation, -ance, -ism, -logy, -ship, -ment, -meter, -ness, -onym, -tomy 등.
- 행위자 명사 생성: -er, -ist 등
- 피행위자 명사 생성: -ee
- 형용사 생성: -ful (~로 가득한), -able, -ible (~할 수 있는) 등.
- -ly: 형용사에 붙으면 부사를, 명사에 붙으면 형용사를 만든다.
- -fy, -ify: 동사를 만든다.
파생에 사용되는 접미사가 파생 접미사라고 불리는 반면, 동사의 시제나 태를 변화시키는 -ed, -en, -ing은 굴절 접미사라고 불리며, 활용 어미를 구성한다.
3. 2. 일본어의 접미사
일본어의 접미사는 활용 어미, 조사, 형태소, 이른바 종조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さ|사일본어는 형용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명사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밝다'에 〜さ|사일본어가 붙으면 '밝기'가 된다. 〜み|미일본어 역시 형용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명사를 만들지만, '깊이(深み|후카미일본어)', '높이(高み|타카미일본어)'와 같이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っぽい|포이일본어는 명사에 접속하여 형용사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여자'에 〜っぽい|포이일본어가 붙으면 '여자같다'가 된다. 〜さん|상일본어은 사람 이름 뒤에 붙어 '~씨'와 같이 존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의사 선생님(お医者さん|오이샤상일본어)'과 같이 직업명 뒤에 붙기도 한다.
〜がる|가루일본어는 형용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표출을 의미하는 동사를 만든다. 예를 들어 '기쁘다'에 〜がる|가루일본어가 붙으면 '기뻐하다'가 된다. 〜的|테키일본어는 '압도'에 붙어 압도적과 같이 명사를 형용사로, 〜性|세이일본어는 '휘발'에 붙어 휘발성과 같이 명사에 특성을 부여하는 형태로, 〜力|료쿠일본어는 '독해'에 붙어 독해력, 〜系|케이일본어는 '초식'에 붙어 초식계와 같이 사용된다.
3. 2. 1. 활용 어미
- ~ない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부정의 의미의 형용사를 만든다. "-na-", "-ana-"로도 표기된다.)
- 見る(보다) + ~な → 見ない(보지 않다)
- 書く(쓰다) + ~な → 書かない(쓰지 않다)
- ~ぬ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부정의 의미의 연체형을 만든다. "-na-", "-ana-"로도 표기된다.)
- 見る(보다) + ~ぬ → 見ぬ(보지 않는)
- 書く(쓰다) + ~ぬ → 書かぬ(쓰지 않는)
- 용례: "보고도 못 본 척함(見ぬふり)", "뿌리지 않은 씨앗은 싹이 트지 않는다(撒かぬ種は生えぬ)"
- ~ず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나(な)", "니(に)"에 접속하는 형태 또는 문장을 종지하는 형태를 만든다.)
- 見る(보다) + ~ず → 見ず(보지 않고)
- 書く(쓰다) + ~ず → 書かず(쓰지 않고)
- 용례: "전혀 모르는 사이(見ず知らず)", "마시지도 먹지도 않음(飲まず食わず)"
- ~ん (동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부정·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체형을 만든다.)
- 見る(보다) + ~ん → 見ん(보지 않는)
- 書く(쓰다) + ~ん → 書ん(쓰지 않는)
- 용례: "모르는 녀석(分からん奴)"
3. 2. 2. 격조사
- '~까지'
두 종류의 용법이 있다.
"5월 7일 오후 5시까지"라고 말했을 경우, "5월 7일"은 범위에 포함되지만, 오후 5시부터 1시간은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5월 7일까지 입품"이라고 들었을 경우, "5월 7일 오전 0시까지"인지, "5월 8일 오전 0시까지"인지는 모호하다.
- '~부터'
출발격의 격조사.
- '~에서'
출발격의 격조사.
- '~에'
방향격, 또는 도달격의 격조사.
3. 2. 3. 형태소
: "떫은 맛"은 "渋味(떫은 맛)"라고도 쓴다. "깊이(深み)", "높이(高み)" 등은 다른 의미이므로, 사전적으로 망라하는 편이 실제적이다.
- 〜っぽい|포이일본어 (명사에 접속하여 형용사화)
- * 여자 + 〜っぽい|포이일본어 → 여자같다
- * 싸다 + 〜っぽい|포이일본어 → 싸구려 같다
- 〜さん|상일본어
- * 스즈키 + 〜さん|상일본어 → 스즈키 씨
- * 사토 + 〜さん|상일본어 → 사토 씨
: "의사 선생님(お医者さん)", "씨름 선수(お相撲さん)", "순경 아저씨(お巡りさん)", "생선 가게 아저씨(お魚屋さん)" 등의 예가 있다.
- 〜がる|가루일본어 (형용사의 어간에 접속하여 표출을 의미하는 동사를 만듦)
- * 기쁘다 + 〜がる|가루일본어 → 기뻐하다
- * 원하다 + 〜がる|가루일본어 → 원하다
: 어디까지나 표출의 의미이다. "건방진 후배를 체육 창고 뒤에서 귀여워 해줬다(生意気な後輩を体育倉庫裏で可愛がってやった)"에서는, 발화자는 후배를 "귀엽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的|테키일본어
- * 압도 + 〜的|테키일본어 → 압도적
- * 자극 + 〜的|테키일본어 → 자극적
- 〜状|조일본어
- 〜力|료쿠일본어
- * 독해 + 〜力|료쿠일본어 → 독해력
- 〜系|케이일본어
- * 초식 + 〜系|케이일본어 → 초식계
4.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의 접미사
컴퓨터 관련 분야에서 접미사는 문자열이나 데이터 열의 끝에 붙어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 요소를 가리킨다.[9]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소스 코드상의 리터럴에 특정 문자나 기호를 접미사로 붙여 데이터 형을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C 언어나 C++(C++)의 경우, 정수형 리터럴에 접미사를 붙여 자료형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100L`, `100U`, `100UL` 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100.0`, `100.0f` 와 같이 실수형에도 접미사를 붙여 자료형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리터럴은 변수 초기화 등에 사용되며, 형식에 따라 표현 가능한 범위 및 정밀도가 다르므로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F 샤프(F#)와 같이, 형식에 따라 리터럴의 접미사가 세분화되어 있고, 암묵적 변환을 허용하지 않는 엄격한 언어도 있다.[11]
4. 1. 명명 규칙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는 소스 코드 상의 식별자 명명에 있어서 특정 접미사를 사용하는 명명 규칙을 채용하고 있는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도 있다. 예를 들어 .NET의 태스크 비동기 프로그래밍에서는 C#의 async영어 수식어를 동반하는 비동기 메서드는 이름에 `Async` 접미사를 붙이는 관습이 있다.[10]4. 2. 리터럴 접미사
프로그래밍 언어 등에서는 소스 코드 상의 리터럴에 특정 문자나 기호를 접미사로 붙여 데이터형 등을 지정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C 언어나 C++(C++)에서는 `100`이라는 표기는 부호 있는 일반 정수형의 리터럴을 나타내지만, 정수형 리터럴의 범위는 `INT_MIN`부터 `INT_MAX`로 제한된다. 이 리터럴에 접미사를 붙임으로써, 다음과 같이 형식이 변화한다. 접미사의 대문자, 소문자는 구분하지 않는다.
- `100L`이라는 표기는 부호 있는 긴 정수형의 리터럴을 나타낸다. 리터럴의 범위는 `LONG_MIN`부터 `LONG_MAX`로 제한된다.
- `100U`라는 표기는 부호 없는 일반 정수형의 리터럴을 나타낸다. 리터럴의 범위는 `0U`부터 `UINT_MAX`로 제한된다.
- `100UL`이라는 표기는 부호 없는 긴 정수형의 리터럴을 나타낸다. 리터럴의 범위는 `0UL`부터 `ULONG_MAX`로 제한된다.
- `100.0`이라는 표기는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수형의 리터럴을 나타낸다.
- `100.0f`라는 표기는 단정밀도 부동소수점 수형의 리터럴을 나타낸다.
이러한 리터럴은 변수의 초기화 시 우변 값과 같이 임의의 식에서 사용되지만, 형식에 따라 표현 가능한 범위 및 정밀도가 다르므로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또한, 형식 추론에 의해 우변 값으로부터 변수나 상수의 형식을 결정할 때, 형식 캐스트 또는 접미사를 통해 리터럴의 형식을 명시해야 한다. C/C++처럼, 다른 형식의 리터럴이나 변수가 식 안에 혼재하는 경우의 암묵적 변환을 허용하는 느슨한 언어도 많지만, F 샤프(F#)와 같이, 형식에 따라 리터럴의 접미사가 세분화되어 있고, 암묵적 변환을 허용하지 않는 엄격한 언어도 있다.[11]
참조
[1]
서적
Proceedings of the 11th West Coast Conference on Formal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CSLI)
[2]
서적
'Person reference and gender in translation: a contrastive investigation of English and German'
Tübingen: Gunter Narr
[3]
서적
'The categories and types of present-day English word-formation: A synchronic-diachronic approach'
Munich: Beck
[4]
서적
Revivalistics: From the Genesis of Israeli to Language Reclamation in Australia and Beyond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Word, Meaning and Vocabulary; An Introduction to Modern English Lexicology'
London, Athenaeum Press
[6]
서적
'Word, Meaning and Vocabulary; An Introduction to Modern English Lexicology'
London, Athenaeum Press
[7]
간행물
"Pronouncing Longer Words: Don't Begin at the Beginning"
https://www.jstor.or[...]
1985-12
[8]
웹사이트
"Dyslexia Help: Success Starts Here"
http://dyslexiahelp.[...]
[9]
웹사이트
サフィックスとは - 意味をわかりやすく - IT用語辞典 e-Words
https://e-words.jp/w[...]
[10]
웹사이트
async と await を使ったタスク非同期プログラミング (TAP) モデル - C# | Microsoft Learn
https://learn.micros[...]
[11]
웹사이트
Literals - F# | Microsoft Learn
https://learn.micro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