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은 2005년 1월, 육군훈련소 중대장이 훈련병들의 용변 뒤처리 미흡을 이유로 192명의 훈련병에게 인분을 입에 넣도록 지시한 사건이다. 사건 발생 후 국방부는 가해자를 체포하고 훈련소 간부들을 징계했으며, 군의 폐쇄적인 대응과 사건 은폐 시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 사건 이후 육군훈련소 화장실 시설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군대 내 가혹행위 및 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1월 - 오렌지 혁명
    오렌지 혁명은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의 부정 의혹에 항의하여 발생한 대규모 시위와 정치적 변화를 일컫으며, 재선거를 통해 빅토르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05년 1월 - 제62회 골든 글로브상
    2005년 1월 16일에 열린 제62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 《에비에이터》와 《사이드웨이》, TV 드라마 《닙/턱》과 《위기의 주부들》이 작품상을 받았으며, 로빈 윌리엄스가 세실 B. 데밀 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건 - 국민방위군 사건
    국민방위군 사건은 한국 전쟁 중 창설된 국민방위군에서 부정부패와 부실 운영으로 9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승만 정권의 부정부패를 드러내고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어 민주주의와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요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건 - 거창 양민 학살 사건
    거창 양민 학살 사건은 6·25 전쟁 중 국군 제11사단에 의해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에서 민간인 719명이 학살된 사건으로, 정부의 은폐 시도와 관련자 처벌, 진상 규명 노력 등의 과정을 거쳤다.
  • 2005년 대한민국 - 다케시마의 날
    다케시마의 날은 일본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며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한국의 강력한 반발과 한일 관계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 2005년 대한민국 - 독도의 달
    독도의 달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에 대한 반발로 제정되어 독도가 대한민국 고유 영토임을 알리고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10월에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개최되는 행사 기간이다.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
사건 개요
명칭육군훈련소 식분 사건
다른 명칭대한민국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
발생일2005년 1월 10일
장소충청남도 논산시 대한민국 육군훈련소
표적훈련병 192명
수단가혹 행위, 인분 강제 섭취
가해자
인물A 대위 (남성)
혐의가혹 행위
동기불명
피해
사망없음
부상불명
실종없음
피해자 수192명
사건 처리
결과A 대위 구속

2. 사건 경위

2005년 1월 10일 육군훈련소 29신병교육연대 11중대장 이경진 대위(학사 35기)는 훈련병들의 용변 뒤처리 미흡을 문제삼아 중대 소속 192명 훈련병 전원에게 대변을 손가락에 묻혀 2회에 걸쳐 5초간 입을 벌린 상태에서 입에 넣었다 빼도록 지시했다. 사건 발생 10일 후, 피해 훈련병이 외부로 보낸 https://web.archive.org/web/20140729033258/http://www.mediatoday.co.kr/news/photo/200602/34004-2-30943.jpg 편지를 통해 이 사실이 외부에 알려졌다.[1]

3. 육군 당국의 대응 및 폐쇄성 논란

군 소식지인 국방일보는 사건이 외부에 공개된 20일로부터 4일이 지난 24일에야 특별기고에서 언급했을 뿐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아 군의 폐쇄성과 자기 식구 감싸기 행동이라는 비판을 받았다.[2][3] 특히 제보자의 편지에는 언론에 널리 알려달라는 내용이 있었지만, 사건을 취재한 MBC 사회부 백승규 기자는 "훈련소에서 일부 사실을 확인해준 정훈참모의 말을 들은 뒤 얼마 안 돼 논산 제2훈련소장이 나와 '보도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게 애국이다. 군이 많이 힘들어질 수 있다'고 부탁했다"며 "그러나 오히려 알리는 게 애국이라고 설득하고 보도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4]

3. 1. 육군 당국의 대응

사건이 외부로 알려진 후, 국방부는 2005년 1월 21일 사과하고 가해자인 이경진 대위를 군법 위반으로 체포했다.[1] 육군 본부는 허평환 소장에게 경고 조치를 내리고, 신병교육연대장(대령) 등 14명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했으며, 육군훈련소 헌병대 파견대장(중령)과 수사관(준위)을 교체했다.[1]

3. 2. 폐쇄성 논란

국방일보는 사건이 외부에 공개된 20일로부터 4일이 지난 24일에야 특별기고에서 언급했을 뿐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아 군의 폐쇄성과 자기 식구 감싸기 행동이라는 비판을 받았다.[2][3] 특히 제보자의 편지 내용에는 언론에 널리 알려달라는 내용이 있었지만, 사건을 취재한 MBC 사회부 백승규 기자는 "훈련소에서 일부 사실을 확인해준 정훈참모의 말을 들은 뒤 얼마 안 돼 논산 제2훈련소장이 나와 '보도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게 애국이다. 군이 많이 힘들어질 수 있다'고 부탁했다"며 "그러나 오히려 알리는 게 애국이라고 설득하고 보도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4]

4. 책임자 징계 결과 및 논란

2005년 2월 3일 육군 본부는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의 특감결과를 발표하고, 이 사건의 책임을 물어 육군참모총장은 허평환 소장에게 경고 조치를 내리고 신병교육연대장(대령)과 교육대장(소령), 지원과장(대위), 교육과장(대위), 분대장(병장), 교관(중위) 등 14명을 각각 징계위원회에 회부했다고 밝혔다.[5] 또한 사고 발생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 훈련소 헌병대 파견대장(중령)과 수사관(준위)은 모두 교체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가혹행위 가해자인 중대장(대위)보다 하위 계급인 분대장(병장)을 징계한 것은 하위 계급자의 반대가 항명으로 받아들여지는 군대 내부 사정을 감안할 때 과도한 징계라는 비판이 있다.[5] 한편 이 사건을 주도했던 당시 중대장은 결국 구속되어 중형을 선고받으면서 불명예 전역했다.[6]

5. 사건 이후

육군훈련소의 화장실이 종전 화변기에서 양변기로 바뀌고 비데가 설치되었다.

6. 유사 사건

이 사건은 군대 내 가혹행위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연천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홍천 한국 병사 뇌종양 사망 사건, 연천 후임병 폭행 사망 사건, 강원도 고성군 병장 총기 난사 사건, 대한민국 해군 강감찬함 일등병 자살 사건 등과 함께 군 인권 문제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6. 1. 2000년대

사건명발생년도발생 장소피해 규모
연천 군부대 총기 난사 사건2005년대한민국 육군사망 8명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2011년대한민국 해병대사망 4명
홍천 한국 병사 뇌종양 사망 사건2013년대한민국 육군사망 1명
연천 후임병 폭행 사망 사건2014년육군 제28사단사망 1명
강원도 고성군 병장 총기 난사 사건2014년육군 제22사단사망 5명
대한민국 해군 강감찬함 일등병 자살 사건2021년대한민국 해군사망 1명


6. 2. 2010년대

2010년대에도 군대 내 가혹행위는 계속되었다. 2011년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으로 4명이 사망했다. 2013년 홍천 한국 병사 뇌종양 사망 사건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 중이던 병사가 뇌종양을 늦게 발견해 사망했다. 2014년에는 연천 후임병 폭행 사망 사건으로 1명이 사망하고, 강원도 고성군 병장 총기 난사 사건으로 5명이 사망하는 등 대형 사건들이 발생했다.

6. 3. 2020년대

대한민국 해군 강감찬함 일등병 자살 사건 - 2021년에 대한민국 해군 함정에서 병역 중인 병사가 집단 괴롭힘, 폭행, 폭언을 겪고 자택에서 자살한 사건이다. 사망자는 1명이다.[1]

참조

[1] 뉴스 "[현장출동]논산 훈련소 중대장 훈련병에게 인분 먹여 파문[백승규]" http://imnews.imbc.c[...] MBC 뉴스 2005-01-20
[2] 웹사이트 "육군훈련소는 제2의 아부 그레이브인가" http://www.vop.co.kr[...]
[3] 웹인용 육군훈련소 ‘인분사건’ 관련자 징계 : 사회 : 인터넷한겨레 http://www.hani.co.k[...] 2008-10-09
[4] 웹사이트 http://www.mediatoda[...]
[5] 웹사이트 인분사건 훈련소장 솜방망이 처벌... 네티즌 비난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
[6] 뉴스 "'인분사건' 육군 대위 구속 수감" http://imnews.imbc.c[...] 연합뉴스 2005-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