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데는 배변 후 항문 또는 생식기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위생 도구이다. 17세기 프랑스에서 기원하여, 조랑말을 타는 자세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비데'라는 이름이 붙었다. 초기에는 침실에 놓는 이동식 의자 형태였으나, 1900년대 배관 기술 발전으로 욕실로 옮겨졌다.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전자 비데가 널리 보급되었다. 비데는 개인 위생을 향상시키고, 화장지 사용을 줄여 환경 보호에 기여하며, 치질 및 생식기 건강 문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필수적인 위생 도구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도 1980년대 이후 온수 세정 변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장실 - 변기
변기는 인간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위생 설비로,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개인 위생과 공중 보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화장실 - 배뇨
배뇨는 비뇨기계를 통해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생리 현상으로, 요의를 느끼고 뇌의 제어를 받아 이루어지며, 사회문화적 측면과 관련될 뿐 아니라 배뇨 관련 질병 및 장애도 존재한다. - 프랑스의 발명품 - 마가린
마가린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버터 대체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생산되며 트랜스 지방산, 포화 지방산, 콜레스테롤 함량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 프랑스의 발명품 - 비키니
여성용 투피스 수영복인 비키니는 1946년 루이 레아르가 고안하여 핵실험 장소인 비키니 환초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노출에 대한 사회적 저항을 극복하고 배우들의 착용과 영화 등장으로 대중화되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스포츠 유니폼으로도 활용된다. - 프랑스어 낱말 - 부르주아지
부르주아지는 중세 도시의 상공업자에서 유래하여 자본을 축적한 자본가 계급을 의미하며, 봉건 사회 붕괴와 자본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르크스주의에서는 노동자 계급과 대립하며 문화적 헤게모니와 과시적 소비로 비판받고, 역사와 예술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 프랑스어 낱말 - 오일어
오일어는 "예"를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 "oïl"에서 유래한 용어로, 북부 갈로-로망스어와 그 후손 언어들을 지칭하며, 단수형은 고대 로망스어 변종을, 복수형은 현대의 여러 언어들을 가리키고, 프랑스어 외 왈롱어, 피카르디어 등을 포함하며 프랑스의 언어 정책으로 화자 수 감소와 고령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비데 | |
---|---|
개요 | |
종류 | 위생 용품 |
용도 | 국부 세척 |
주요 위치 | 화장실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프랑스 |
사용 문화 | 유럽 일본 대한민국 중동 |
유형 | |
주요 유형 | 독립형 비데 변기 일체형 비데 비데 샤워기 |
특징 | 수압 및 온도 조절 가능 |
장점 | |
위생 | 뛰어난 세정 효과 |
건강 | 치질 예방 생리 시 위생 관리 |
환경 | 화장지 사용량 감소 |
단점 | |
공간 | 추가 공간 필요 (독립형) |
비용 | 설치 비용 발생 |
관리 | 청결 유지 필요 |
2. 역사
비데는 17세기 후반 프랑스[24] 가구 제작자들이 발명한 것으로 여겨지나, 정확한 발명가나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11][25][26][32][33] 초기 비데는 나무로 만들어진 이동식 가구 형태로 주로 침실에 두고 사용했으며, 사용 시 조랑말을 타는 듯한 자세 때문에 '비데'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32][33] 비데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헌 기록은 1726년 이탈리아에서 발견된다.[27] 18세기 후반에는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여왕 마리아 카롤리나 디 아우스트리아가 카세르타 왕궁에 비데 설치를 요청했다는 기록도 있다.[13]
초기에는 피임 목적으로 사용되었다는 설도 있으나,[28] 현대적 피임법의 등장으로 이러한 용도는 사라졌다.[29] 1900년경 배관 기술의 발달로 비데는 침실에서 욕실로 옮겨져 고정식 설비가 되었다.[11]
비데는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남유럽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특히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에서는 1975년 비데 설치가 법적으로 의무화되기도 했다.[34][35] 프랑스, 독일, 동유럽, 남미 등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되었다.
미국에서는 1928년 존 하비 켈로그(John Harvey Kellogg)가 변기에 부착하는 형태의 "항문 세척기" 특허를 냈고,[30] 1965년 아메리칸 비데 컴퍼니(American Bidet Company)가 스프레이 노즐과 온수 기능을 갖춘 현대식 비데를 선보였으나,[31][11] 높은 가격과 설치 공간 문제로 대중화되지는 못했다.
1980년대 초 일본에서 전자식 비데가 등장하면서 큰 변화를 맞이했다. 기존 변기에 부착하는 형태로 설치가 용이했고, 온수, 온열 시트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갖추어 널리 보급되었다.[11]
2. 1. 기원과 어원
비데(Bidet)는 프랑스어로 조랑말을 뜻하는 단어로, 15세기 프랑스 왕족들이 기르던 애완 조랑말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40][23] 고대 프랑스어에서 biderfro는 "걸어가다"라는 의미를 지녔는데,[11] 비데를 사용할 때 조랑말을 타는 것처럼 걸터앉는 모습에서 이러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본다.[11]비데가 발명된 배경에는 15세기 말 유럽에서 크게 유행했던 매독과 관련이 있다.[41] 매독의 확산으로 생식기를 청결히 관리할 필요성이 커졌고, 이에 따라 세척 문화가 생겨났다. 당시에는 큰 도자기 그릇에 더운물을 담아 다리를 벌리고 걸터앉아 뒷물을 처리했는데, 이 모습이 조랑말을 타는 자세와 비슷하다고 하여 '비데'라고 부르기 시작했다.[42][37]
2. 2. 초기 발전
비데의 최초 발명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십자군 원정 중 기사들이 말을 오래 타면서 생긴 치질을 치료하기 위해 고안되었다는 설이 있으며,[37] 다른 하나는 프랑스 왕국의 루이 14세 시대 귀족들이 성관계 전후 생식기를 닦기 위해 사용했다는 설이다.[37] 당시에는 피임 목적으로 사용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37][28] 현대 의학적으로는 피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고,[28][29] 피임약과 같은 현대적 피임법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9]현대와 유사한 형태의 비데는 17세기 후반 프랑스[24] 가구 제작자들이 발명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발명 시기나 발명가는 알려져 있지 않다.[43][44][11][25][26][32][33] 초기 비데는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의자처럼 생긴 이동식 가구 형태로 주로 침실에 두고 사용했다.[32][33] 사용 시 양변기와 반대 방향으로 걸터앉는 모습 때문에 프랑스어로 '조랑말'을 뜻하는 '비데(bidet)'라는 이름이 붙었다.[32][33] 비데는 요강이나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작은 요강인 '부르달루(bourdaloue)'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3]
비데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헌 기록은 1726년 이탈리아에서 발견된다.[45][27] 18세기 후반에는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여왕이었던 마리아 카롤리나 폰 외스터라이히가 카세르타 왕궁의 개인 욕실에 비데 설치를 요청했다는 기록도 있다.[46][13] 초기에는 목욕 시설이나 수도 설비가 부족했던 시절, 배변 후 항문이나 배뇨 및 성교 후 성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남녀 모두 사용했다.[32][33]
1900년경 배관 기술이 발달하면서 비데는 침실에서 욕실로 옮겨져 물을 채우고 비우기가 더 편리해졌다.[11]
2. 3. 유럽의 확산
비데는 17세기 무렵부터 이탈리아에서 보급되기 시작하여 남유럽으로 퍼져나갔다. 특히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에서는 1975년에 비데 설치가 의무화되었으며, 현재 높은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34][35] 남유럽 주변 국가에서도 보급되어 프랑스, 독일, 동유럽 국가들로 확산되었으며, 남미에서도 상당히 보급되어 있다.스위스나 프랑스 등 서유럽에서는 목욕, 화장실 및 수도 설비가 아직 널리 보급되지 않았을 때, 배변 후 항문이나 배뇨 및 성교 후 성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위생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목욕과 변기가 발전한 현재에도 비데를 함께 설치한 호텔 등이 있으며, 화장실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숙소에서도 비데만은 각 방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2. 4. 일본의 온수 세정 변좌
1980년대 초, 일본에서는 클린 센스(Clean Sense), 갤럭시(Galaxy), 인피니티(Infinity), 노비타(Novita)와 같은 전자 비데와 고비데(Gobidet)와 같은 비전기 부착 장치가 등장했다. 이러한 장치는 기존 변기의 급수 시설에 연결되어 별도의 비데와 변기 공간이 부족한 욕실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11] 많은 모델은 순간 온수, 야간 조명 또는 온열 시트와 같은 추가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온수 세척 변좌가 보급된 1980년대 이후 일본에서 비데가 널리 퍼졌다. 그전에도 일부 호텔에서는 욕실 등에 설치했지만, 많은 일본인들은 본래의 용도를 몰라 목욕 후 입을 헹구거나 소변기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당시 호텔 전문지나 안내 책자 등에서는 사용법에 대한 주의를 촉구하기도 했다.만화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에서는 등장인물 양츠 칸키치와 오하라 부장이 이탈리아 여행 중 호텔의 비데를 분수형 얼굴 세척기로 착각하여 얼굴을 씻는 에피소드가 등장하기도 했다.[36]
현재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는 세정 기능이 있는 변좌에는 '비데'라는 이름의 세정 기능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INAX 등 일부 제조사에서는 "참"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본래 프랑스에서 유래한 비데와는 주 목적이 다르며, 주로 소변 후 여성기의 세정을 위한 기능이다. 물론, 본래 비데의 목적인 항문 세정 등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외부 생식기의 세정만 가능하고 내부 생식기까지 세정하는 것은 형태상 어렵다고 여겨진다. TOTO나 LIXIL과 같은 제조사들은 이 기능을 생리 시 등에 국부 주변의 오염을 세정하는 용도로 설명하고 있다.
2. 5. 현대의 발전
1900년경, 배관 기술이 발전하면서 비데는 침실에서 욕실로 옮겨져 물을 채우고 비우기가 더 편리해졌다.1928년 미국에서는 존 하비 켈로그(John Harvey Kellogg)가 "항문 세척기"라는 이름으로 특허를 신청했다.[30] 그는 이 장치를 변기에 부착하여 물로 항문 세정을 할 수 있는, 오늘날 비데 노즐이라 불릴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명했다.
1965년, 아메리칸 비데 컴퍼니(American Bidet Company)는 조절 가능한 스프레이 노즐과 온수 기능을 갖춘 비데를 선보이며 가정용품으로 보급하려 시도했다.[31][11]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설치를 위한 별도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에 널리 퍼지지 못하고 결국 단종되었다.
1980년대 초, 일본에서는 클린 센스(Clean Sense), 갤럭시(Galaxy), 인피니티(Infinity), 노비타(Novita)와 같은 전자 비데와 고비데(Gobidet) 같은 비전기 부착형 비데가 등장했다. 이 장치들은 기존 변기의 급수 시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비데 설치 공간이 부족한 욕실에서도 사용 가능했다.[11] 온수 세척 변좌가 보급된 1980년대 이후 일본에서 비데가 널리 퍼졌다. 초기에는 일부 호텔 등에만 설치되었으나, 많은 일본인이 비데의 본래 용도를 몰라 목욕 후 입을 헹구거나 소변기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 당시 호텔 전문지 등에서는 주의를 촉구하기도 했다. 만화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에서도 주인공 양츠 칸키치가 이탈리아 호텔의 비데를 분수형 얼굴 세척기로 착각하는 에피소드가 있을 정도였다.[36]
오늘날 많은 전자 비데는 순간 온수 기능, 야간 조명, 온열 시트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세정 기능 변좌에는 비데라는 이름의 여성 세정 기능이 있는 경우가 많다(INAX 등 일부 제조사에서는 "참"이라는 명칭 사용). 이는 본래 비데의 주 목적과는 다르며, 소변 후 여성기의 세정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물론 본래의 목적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외부 생식기의 세정만 가능하며, 내부 생식기의 세정까지 수행하는 것은 형태상 어렵다. TOTO나 LIXIL 등의 제조사에서는 생리 시 등에 국소 부위 오염을 세정하는 기능으로 소개하고 있다.
3. 종류
비데는 설치 형태와 사용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으로 화장실에 별도로 설치되는 전통적인 비데,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비데 샤워, 기존 변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부가형 비데 등이 있다. 각 종류는 고유한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며, 사용 환경과 선호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3. 1. 전통적인 비데

비데는 화장실 내 변기, 샤워기, 세면대 외에 별도로 설치되는 위생 도구로, 사용자가 걸터앉아 사용해야 한다. 외형은 양변기의 변좌와 뚜껑을 제거한 것과 비슷하다.
전통적인 비데에는 두 가지 주요 형태가 있다. 하나는 물(또는 온수)을 채울 수 있도록 수도꼭지와 마개가 달린 큰 세면대와 유사한 형태로, 사용자가 물을 받아 손으로 항문이나 성기를 세척하는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위로 향한 수전(노즐)이 달려 있어, 여기에서 나오는 물(또는 온수)로 직접 세척하는 방식이다.
3. 2. 비데 샤워

비데 샤워는 "비데 스프레이", "비데 분무기", "건강 수도꼭지" 등으로도 불린다. 부엌 싱크대의 스프레이와 비슷하게 생긴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노즐 형태로, 물을 분사하여 배변이나 배뇨 후 항문 세척이나 생식기 청결을 돕는다. 변기와 일체형으로 고정된 일반 비데와는 달리, 비데 샤워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위치를 조절해야 하며 세척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주로 항문 세척 시 물 사용이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국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단점으로는 사용 시 주의하지 않으면 옷이 물에 젖을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또한, 손으로 직접 조작해야 하므로 사용하는 데 어느 정도의 움직임과 유연성이 요구된다.
3. 3. 부가형 비데

기존 변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공간을 절약하고 추가적인 배관 공사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비데는 움직이는 노즐 또는 고정된 노즐을 사용하며, 변기 뒤쪽이나 측면 테두리에 부착되거나 기존 변좌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 방식은 주로 항문과 생식기 주변 세척에 사용된다.
부가형 비데는 다양한 노즐 형태와 물줄기 방향을 가진다. 일부 모델은 수직 물줄기를, 다른 모델은 비스듬한 각도의 물줄기를 분사한다. 측면 테두리에 항문과 생식기 부위를 모두 세척할 수 있는 노즐 하나를 갖춘 모델도 있고, 뒤쪽 테두리에 두 개의 노즐을 갖춘 디자인도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노즐은 항문 주변 세척용으로 '가족 노즐'이라 불리며, 더 긴 노즐은 여성의 음부 세척을 위해 설계되어 '비데 노즐'이라고 한다.
이러한 부착형 비데("결합형 변기", "비데 부착물", "부가형 비데" 등으로도 불림)는 기계식 밸브를 돌리거나 전자식 스위치를 통해 제어된다. 전자식 비데는 방수 처리된 전기 스위치를 사용하며,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세척 후 따뜻한 바람으로 건조하는 발열체가 내장된 모델, 시트를 따뜻하게 데우는 온열 기능, 무선 리모콘,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을 돕는 내장 야간 조명, 탈취제와 활성탄 필터를 이용한 냄새 제거 기능 등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수압 조절, 온도 보상, 분사 방향 제어 등의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욕실 디자인을 중시하는 경우, 변좌 아래에 장착되는 유형이 선호되기도 한다.
부가형 비데는 일반적으로 기존 변기의 급수관에 나사산 T자형 파이프 어댑터를 추가하여 연결하므로, 납땜이나 별도의 배관 작업 없이 설치할 수 있다.[31] 다만, 전자식 부가형 비데의 경우 GFCI 보호 기능이 있는 접지된 전기 콘센트가 필요하다. 외형은 양변기의 변좌와 뚜껑을 제거한 것과 유사하다.
물을 채워 손으로 세척하는 방식 외에, 위로 향한 수전에서 물(또는 온수)이 나와 직접 세척하는 방식도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세정 기능 변좌 중에는 '비데'라는 이름의 기능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INAX와 같은 일부 제조사에서는 '참'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본래 비데의 주 목적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주로 소변 후 여성의 외부 생식기 세정을 위한 기능이다. 물론 본래 목적인 항문 세척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내부 생식기 세정까지는 형태상 어렵다. TOTO나 LIXIL 등의 제조사에서는 생리 시 국소 부위의 오염을 세정하는 기능으로 소개하기도 한다.
질 내부 세척을 위한 휴대용 비데도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4. 사용과 건강
전통적인 형태의 분리형 비데는 세면대와 유사하게 생겨, 단순히 항문이나 생식기 주변을 세척하는 용도 외에도 발을 씻는 등 다용도로 활용되기도 했다.[2][3]
4. 1. 위생 및 건강
개인 위생 측면에서 화장지와 비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화장지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청결을 유지하는 방법이다.[4][5] 특히, 수직 분사 노즐이 있는 일부 부착형 비데는 물 사용량을 줄여 화장지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4][5] 또한, 비데 사용은 치질이나 생식기 관련 건강 문제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6]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환자, 노인들에게는 비데가 매우 유용한 위생 관리 도구가 될 수 있다.비데는 주로 생식기, 회음부, 둔부 안쪽, 항문을 세척하여 청결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2][3] 일부 비데는 회음부와 항문 부위를 효과적으로 씻고 헹굴 수 있도록 수직 물줄기를 분사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비데 사용 시 위생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대야 형태의 독립형 비데는 표면이 넓어 사용 후와 정기적인 소독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사용자 간 미생물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7] 병원과 같이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교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비데 사용 지침을 마련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7] 온수 기능이 있는 비데의 경우, 제대로 소독하지 않으면 내부에 위험한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으므로[8],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교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정기적이고 철저한 소독이 필수적이다.
환경적인 측면에서 비데 사용은 화장지 사용을 줄여 환경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데 사용 시 약 0.5L의 물을 사용하는데, 이는 화장지 제조에 필요한 물의 양보다 훨씬 적다.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따르면 비데 사용이 "종이를 사용하는 것보다 환경에 훨씬 덜 스트레스를 준다"고 평가된다.[47] 미국 기준으로 모든 국민이 화장지 대신 비데를 사용하면 매년 1,500만 그루의 나무를 보호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8]
4. 2. 교차 감염 예방
독립형 비데는 대야의 표면이 넓기 때문에 사용 후와 정기적인 소독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사용자 간 미생물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7] 위생 유지를 위해 병원 화장실에 비데가 설치되기도 하지만, 병원에서는 교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비데 사용 여부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환자의 임상적 배경을 고려해야 한다.[7] 특히 온수 비데는 제대로 소독하지 않을 경우 위험한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소독 관리가 요구된다.[8]5. 환경적 측면
비데 사용은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화장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화장지 생산에는 많은 양의 물과 나무가 소모되는데, 비데를 사용하면 이러한 자원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9][47] 또한, 물티슈 사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준다. 많은 물티슈는 생분해가 어려운 플라스틱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수 처리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11] 비데는 이러한 일회용품 사용을 대체하여 환경 부담을 줄이는 대안이 될 수 있다.
5. 1. 화장지 사용 감소
환경적 관점에서 볼 때, 비데는 화장지의 필요성을 줄여 환경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31][9] 평균적으로 사람이 비데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데 약 0.5L의 물만 사용하는데,[47] 이는 화장지 제조에 사용되는 물의 양보다 훨씬 적은 양이다.[9] 미국의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은 비데를 사용하는 것이 "종이를 사용하는 것보다 환경에 훨씬 덜 스트레스를 준다"고 결론지었다.[9][47] 또한,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모든 미국인이 화장지 대신 비데를 사용한다면 매년 1,500만 그루의 나무를 구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10][48]한편, 물티슈는 건조 화장지의 대안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생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섬유로 만들어져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변기에 버릴 수 있다"고 홍보되는 물티슈조차 하수 시스템에서 폐기물 지방과 뭉쳐 거대한 "팻버그(fatberg)"를 형성하여 막대한 처리 비용을 유발한다.[11] 비데는 이러한 화장지나 물티슈보다 더 깨끗하게 세척하면서도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 적다는 장점이 있다.[11]
5. 2. 물티슈 문제 해결
미국, 영국 및 일부 다른 국가에서는 건조 화장지의 개선품으로 물티슈가 널리 판매되고 있다.[11] 그러나 물티슈는 대부분 생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1]물티슈는 종종 "변기에 버릴 수 있다"고 홍보되지만, 실제로는 하수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물티슈는 하수구의 폐기물 지방과 엉겨 붙어 거대한 덩어리인 "팻버그(fatberg)"를 형성하며, 이를 제거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11]
비데는 화장지나 물티슈보다 더 깨끗하게 세정하면서도, 물티슈 사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를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11]
6. 사회와 문화
비데는 국가와 문화권에 따라 사용 양상과 인식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이슬람교의 엄격한 청결 규정으로 인해 비데, 특히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비데 샤워 형태의 사용이 일반적이다.[15][49][50]
유럽의 경우, 이탈리아와 포르투갈 같은 일부 가톨릭 국가에서는 특정 시기부터 법적으로 비데 설치를 의무화하기도 했다.[16][51][18] 반면 스페인에서는 과거에 비해 사용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17] 북유럽에서는 비데가 드물지만 핀란드에서는 비데 샤워가 흔히 사용된다.[14]
남미의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에서도 비데는 상당히 대중적이다.[51] 아시아 국가들, 특히 일본과 대한민국에서는 세정, 건조, 변좌 온열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전자식 비데가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가정 보급률도 높다.[52][31]
미국, 캐나다, 영국 등 과거 비데 사용이 적었던 국가들에서도 위생에 대한 관심 증가, 코로나19 범유행 당시 화장지 부족 사태 경험 등으로 인해 비데 보급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21][22][31] 또한 비데는 노인이나 장애인이 스스로 위생 관리를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6. 1. 이슬람 문화권
이슬람교에서는 배설에 관한 많은 엄격한 규칙이 있으며, 특히 항문을 물로 씻는 것이 요구된다.[15] 이는 이슬람교에서 대변을 본 후에 항문을 물로 세척하지 않고는 기도를 할 수 없는 등 배설에 관한 엄격한 규칙의 영향에 따른 것이다.[49][50] 이러한 이유로 이슬람 문화권 국가에서는 비데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어 화장지 사용에 익숙한 여행자들은 주의가 필요하다.[49][50] 결과적으로 이슬람교가 지배적인 중동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화장실에서 항문 세척을 위한 물이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손으로 잡는 "비데 샤워" 또는 '샤타프' 형태이다.6. 2. 유럽 및 기타 지역
비데는 일부 가톨릭 국가에서 흔하게 사용되며 법으로 설치를 요구하기도 한다.[12][13] 예를 들어, 이탈리아에서는 1975년부터 욕실에 비데 설치가 의무화되었고,[16][51] 포르투갈에서도 1975년부터 설치가 의무화되었다.[18][51] 스페인에서도 과거에는 흔했으나, 최근에는 고급 주택을 제외하고 새로 짓거나 개조하는 주택에는 비데가 없는 경향이 있다.[17]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에서도 비데를 흔히 볼 수 있다.[51] 또한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루마니아, 그리스, 터키와 같은 동남 유럽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전통적으로 동방 정교회 및 개신교 국가인 그리스와 핀란드에서도 비데가 발견되는데, 이들 지역에서는 비데 샤워가 일반적이다.[14] 북유럽에서는 비데가 드물지만, 핀란드에서는 비데 샤워가 흔하게 사용된다.[14]
이슬람교에서는 배설에 관한 엄격한 규칙이 있으며, 특히 항문을 물로 씻는 것이 요구된다.[15] 이 때문에 이슬람 문화권 국가에서는 비데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으며,[49][50] 이슬람교가 지배적인 중동 지역의 대부분 화장실에서는 항문 세척을 위한 물이 제공된다. 이는 보통 손으로 잡는 "비데 샤워" 또는 '샤타프' 형태이다. 비데 샤워는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중동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남미 국가들, 특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에서는 비데가 매우 인기가 높다.[51]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점점 더 인기를 얻어 설치된 화장실이 증가하고 있다.[51] 변좌 온열 기능 등이 있는 전자식 비데 일체형 변기는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2015년 기준으로 일본 가정의 약 76%에 보급되었다.[52][31] 전자식 비데는 대한민국에서도 인기가 있으며,[31] 호텔 및 일부 공공시설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31]
전자식 비데는 미국, 캐나다, 영국 등에서도 점점 더 많이 보급되고 있다.[31] 이는 부분적으로 치질이나 요로 감염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과[21] 코로나19 범유행 당시 화장지 부족 사태로 인해 비데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기 때문이다.[22] 또한, 비데는 노인과 장애인 사이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변기와 비데가 결합된 형태는 사용자가 스스로 위생 관리를 할 수 있게 하여 독립성을 높여준다. 휠체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더 높은 변기 시트를 갖추거나, 전자 리모컨이 있는 특수 장치도 있어 이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6. 3. 한국의 현황
1980년 일본의 제조업체 TOTO에서 최초의 "휴지 없는 변기"를 출시한 이후[19], 세척과 건조 기능, 변좌 온열 기능 등을 갖춘 전자식 비데 일체형 변기 또는 부착형 비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결합형 변기-비데(워시렛) 또는 부착형 비데는 특히 일본과 대한민국에서 인기가 높다.[31] 일본의 경우 2015년 기준으로 가구 보급률이 약 76%에 달하며[31], 호텔 및 일부 공공시설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31] 한국에서도 가정뿐 아니라 호텔, 공공시설 등에서 비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비데는 노인과 장애인의 위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점차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변기와 비데가 결합된 형태는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위생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더 큰 독립성을 제공한다. 특히, 높은 변기 시트나 전자 리모컨과 같은 기능은 휠체어 사용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유용하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드는 한국 사회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Zu viel Moralismus macht den Körper schmutzig.
FAZ
2010-04-24
[2]
웹사이트
Why won't prudish Brits recognise the bidet's brilliance?
https://www.theguard[...]
2018-11-13
[3]
웹사이트
The imaginative ways readers use bidets
https://www.bbc.co.u[...]
2018-11-13
[4]
뉴스
The bottom line: why it's time the bidet made a comeback
https://www.theguard[...]
2019-05-29
[5]
논문
The Potential of Wash-and-Dry Toilets to Improve the Toileting Experience for Nursing Home Residents
2005-10-01
[6]
논문
Comparison of Clinical Effects Between Warm Water Spray and Sitz Bath in Post-hemorrhoidectomy Period
2009-04-01
[7]
논문
Public health and healthcare-associated risk of electric, warm-water bidet toilets
https://www.journalo[...]
2021-11-22
[8]
논문
A Survey on Bacterial Contamination of Lavage Water in Electric Warm-Water Lavage Toilet Seats and of the Gluteal Cleft after Lavage
2014
[9]
웹사이트
Wipe or Wash? Do Bidets Save Forest and Water Resources?
http://www.scientifi[...]
2016-09-03
[10]
뉴스
Wipe or Wash? Do Bidets Save Forest and Water Resources?
https://www.scientif[...]
2019-05-29
[11]
웹사이트
Why Don't Americans Use Bidets?
https://www.theatlan[...]
2018-03-18
[12]
서적
Contemporary Biology: Concepts and Implicatio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3]
서적
Made in Naples. Come Napoli ha civilizzato l'Europa (e come continua a farlo)
Addictions-Magenes Editoriale
2013
[14]
웹사이트
A hose: the strange device next to every Finnish toilet
https://en.biginfinl[...]
2023-07-25
[15]
웹사이트
Islamic Rules for Toilet Etiquette
https://toilet-guru.[...]
2018-11-20
[16]
문서
Decreto ministeriale Sanità
1975-07-05
[17]
웹사이트
¿Ha llegado el final del bidé?
http://www.elmundo.e[...]
2016-12-22
[18]
Webarchive
Decreto-Lei n.º 650/75 de 18 de Novembro
https://dre.pt/appli[...]
2020-11-11
[19]
웹사이트
In modern world, even toilets are becoming paperless
http://chronicle.aug[...]
2014-03-13
[20]
웹사이트
Smart toilets try to break into U.S. market
https://www.sfgate.c[...]
2021-04-20
[21]
논문
Bidet toilet use and incidence of hemorrhoids or urogenital infections: A one-year follow-up web survey
2017-02-16
[22]
웹사이트
Bidets Gain U.S. Popularity During The Coronavirus Crisis
https://www.npr.org/[...]
2020-03-22
[23]
웹사이트
Toilet Timeline
https://web.archive.[...]
World Toilet Organization
2009-12-20
[24]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Bidet?
https://www.brondell[...]
Brondell (bidet manufacturing company)
2020-03-28
[25]
논문
Doppler-Guided Hemorrhoidal Artery Ligation: An Alternative to Hemorrhoidectomy
2006-07
[26]
웹사이트
Toilet Timeline
https://web.archive.[...]
World Toilet Organization website
[27]
서적
Storia del bidet, Un grande contenitore ideologico
https://web.archive.[...]
Castelvecchi
2017-10-21
[28]
서적
Encyclopedia of Birth Control
ABC-CLIO
2001
[29]
웹사이트
The bidet is for vaginal rinsing
https://muvs.org/en/[...]
2022-01-19
[30]
특허
Anal douche
[31]
뉴스
Electronic Bidet Toilet Seat Is the Luxury You Won't Want to Live Without
https://www.nytimes.[...]
2017-05-10
[32]
논문
Diseases of the Colon & Rectum
http://www.springerl[...]
[33]
웹사이트
Toilet Timeline
https://web.archive.[...]
World Toilet Organization website
[34]
웹사이트
Decreto ministeriale del 5 luglio 1975
http://www.ilsole24o[...]
Il_Sole_24_Ore
2017-09-19
[35]
문서
Decreto-Lei n.º 650/75 de 18 de Novembro
https://dre.pt/appli[...]
1975-11-18
[36]
간행물
ローマのふたりの巻
週刊少年ジャンプ
1985
[37]
네이버 지식백과
비데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38]
웹인용
Why won't prudish Brits recognise the bidet's brilliance?
https://www.theguard[...]
2017-05-01
[39]
웹인용
The imaginative ways readers use bidets
https://www.bbc.co.u[...]
2014-07-15
[40]
웹인용
Toilet Timeline
http://www.worldtoil[...]
World Toilet Organization
2009-12-20
[4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병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42]
웹인용
Why Don't Americans Use Bidets?
https://www.theatlan[...]
2018-03-18
[43]
저널
Doppler-Guided Hemorrhoidal Artery Ligation: An Alternative to Hemorrhoidectomy
2006-07
[44]
웹사이트
Toilet Timeline
https://web.archive.[...]
World Toilet Organization
[45]
서적
Storia del bidet, Un grande contenitore ideologico
http://www.castelvec[...]
Castelvecchi
2003
[46]
서적
Made in Naples. Come Napoli ha civilizzato l'Europa (e come continua a farlo)
Addictions-Magenes Editoriale
2013
[47]
웹인용
Wipe or Wash? Do Bidets Save Forest and Water Resources?
http://www.scientifi[...]
[48]
뉴스
Wipe or Wash? Do Bidets Save Forest and Water Resources?
https://www.scientif[...]
null
[49]
웹인용
Islamic Rules for Toilet Etiquette
https://toilet-guru.[...]
2018-11
[50]
뉴스앤미디어
휴대용 비데 없으면 기도를 못해” 이집트 친구들 여행 필수품
https://www.newsen.c[...]
[51]
간행물
Decreto-Lei n.º 650/75 de 18 de Novembro
https://dre.pt/appli[...]
1975-11-18
[52]
뉴스
Electronic Bidet Toilet Seat Is the Luxury You Won't Want to Live Without
https://www.nytimes.[...]
2015-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