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김지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김지영은 여성 혐오, 페미니즘, 탈코르셋 운동 등을 주제로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하는 철학자이다. 파리 소르본 대학교 및 팡테옹 소르본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건국대학교와 창원대학교에서 서양철학을 가르쳤다. 여성 혐오, 페미니즘, 탈코르셋 운동 관련 논문과 저서를 다수 발표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헬페미니스트 선언》,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등이 있다. 2018년 예멘 제주 난민 사태 관련 발언과 2020년 숙명여자대학교 트랜스젠더 학생 입학 논란 당시의 발언으로 비판을 받았다. 쌍둥이 언니는 철학자 윤지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의당 당원 - 최영미 (시인)
최영미는 1992년 등단하여 《서른, 잔치는 끝났다》 등의 시집을 출간하고 이수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번역가로, '괴물'이라는 시로 대한민국 미투 운동의 시발점이 되어 서울시 성평등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시는 사회 풍자가 특징이다. - 여성의당 당원 - 윤지선 (철학자)
윤지선은 여성주의 연구 철학 박사로, 여성의당 창당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온라인 혐오 표현을 분석한 논문 《관음충의 발생학》으로 사회적 논란을 빚었고, 윤리학, 페미니즘, 포스트휴먼 시대를 다룬 저서를 집필하고 윤김지영과 《탈코르셋 선언》을 공저했다. - 창원대학교 교수 - 백운규
백운규는 한양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미국표준기술연구소 등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역임했고, 탈원전 정책 추진과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조기 폐쇄와 관련하여 논란과 재판이 진행 중이다. - 창원대학교 교수 - 박성호 (1957년)
박성호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학자로, 창원대학교 교수와 총장을 거쳐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 국립 창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 대한민국의 쌍둥이 - 이재영 (배구 선수)
이재영은 1996년 10월 15일에 태어난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서 활약하며 신인상, 정규리그 MVP 등을 수상했으나, 학교폭력 논란으로 인해 해외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2024년에 은퇴했다. - 대한민국의 쌍둥이 - 이다영 (1996년)
1988년 올림픽 국가대표 부모를 둔 이다영은 쌍둥이 언니 이재영과 함께 고교 시절부터 주목받아 프로 배구 선수로 데뷔,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나 학교폭력 논란으로 국내 활동이 중단된 후 해외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윤김지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윤지영 |
로마자 표기 | Yun Gi-young |
출생지 | 부산 |
직업 | 교수 |
경력 | |
주요 경력 | 창원대학교 철학과 정규 전임교수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연구전임교수 |
기타 | |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2. 학력 및 경력
- 파리 소르본 대학교 철학 학사 학위
- 파리 소르본 대학교 철학 석사 학위
- 팡테옹 소르본 대학교 철학 박사 학위
- 건국대학교 연구전임교수
- 창원대학교 전임교수[12]
2. 1. 담당 과목
서양 철학3. 연구 및 저술 활동
여성 혐오, 페미니즘, 탈코르셋 운동 등 현대 대한민국 사회의 젠더 이슈를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SCI급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19] 학문적 성과를 쌓아왔으며,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통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대중과 공유하고 있다.
3. 1. 주요 논문
-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한국여성철학. 2015년 11월.[13][14][15]
- 《가장 첨예한 철학으로서의 페미니즘》. 철학논집 제46집. 2016년 8월.[16]
- 《현실의 운용 원리로서의 여성 혐오》. 철학연구 제115집. 2016년 12월.[17][18]
- 30여 편의 SCI급 학술지 기고 논문들[19]
3. 2. 저서
- La déconstruction du phallogocentrismefra. 파리: ANRT. 2013년. ISBN 9782729584009[20]
- 《헬페미니스트 선언》. 일곱번째숲. 2017년. ISBN 9791196118907
-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은행나무. 2018년. ISBN 9791188810222
3. 3. 공저
- 윤지선·윤김지영. 《탈코르셋 선언》. 사월의책. 2019년. ISBN 9788997186815
3. 4. 역서
- 엘자 도를랑 저. 《자신을 방어하기》. 그린비. 2020년. ISBN 9788976829917
4. 가족 관계
- 윤지선 : 쌍둥이 언니
5. 논란 및 비판
윤김지영은 일부 발언과 주장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18년 제주 난민 사태 당시 난민 관련 발언으로 인종주의적 태도라는 비판을 받았으며[21], 2020년 숙명여자대학교 트랜스젠더 입학 논란과 관련해서는 트랜스포비아를 옹호한다는 비판에 직면했다.[22]
5. 1. 이슬람 난민 인종 혐오 논란
2018년 제주 난민 사태 당시, 난민 수용 문제와 관련하여 "난민 캠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난민 여성들에 대한 각종 성폭력과 상해, 살인, 협박, 갈취 등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있는가부터 고심하는 것이 제주도 예멘 난민 정책에 대한 실질적 대책"이라고 주장하였다.[21] 이러한 발언은 특정 집단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을 부각하며 난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는 것으로 여겨져, 인종주의적 태도라는 비판을 받았다.[21]5. 2. 숙명여대 트랜스포비아 옹호 논란
2020년 숙명여자대학교 트랜스젠더 학생 입학 논란 당시, 윤김지영은 일부 여성들의 반대 목소리에 대해 "소수자 혐오로 보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성은 메일바디(Male Body), 즉 남성의 몸을 가지고 태어났던 사람, 남성 폭력에 가담하고 동조했던 경험이 있는 이에 대한 공포가 있기 때문에 거부 반응을 당연히 드러낼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주장은 트랜스여성에 대한 트랜스포비아적 태도를 옹호한다는 비판을 받았다.[22]참조
[1]
뉴스
윤김지영 교수 "이제 페미니즘 얘기하지 않는 여성이 없다"
https://newsis.com/v[...]
[2]
뉴스
윤김지영 교수 "이제 페미니즘 얘기하지 않는 여성이 없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8-06-09
[3]
뉴스
(신간)헬페미니스트 선언·여성괴물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7-07-05
[4]
뉴스
(북 인터뷰)“헬조선의 지형도에도 여성은 없다”
http://news.naver.co[...]
한국일보
2017-07-12
[5]
웹사이트
그날 이후, 변이체와 비체가 왔다
http://www.sisain.co[...]
2017-07-20
[6]
웹사이트
불편한 용기’의 분노는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꿨나
http://www.hani.co.k[...]
한겨레
2018-12-29
[7]
뉴스
South Korea Loves Plastic Surgery and Makeup. Some Women Want to Change Tha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11-23
[8]
뉴스
Lipstick in kindergarten? South Korea’s K-beauty industry now targets those barely able to read.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9-02-16
[9]
웹사이트
South Korean Women Fight Back Against Spy Cams In Public Bathrooms
https://www.npr.org/[...]
NPR
2018-10-19
[10]
웹사이트
South Korean Women Face Threat Of Cameras In Bathroom Stalls
https://www.npr.org/[...]
NPR
2018-09-20
[11]
웹사이트
South Korean women v the patriarchy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8-12-08
[12]
웹사이트
전임교수
https://www.changwon[...]
[13]
웹사이트
https://www.dbpia.co[...]
[14]
웹사이트
https://www.earticle[...]
[15]
뉴스
논문으로 본 올해 키워드는 여성혐오와 인공지능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6-12-25
[16]
웹사이트
google.co.kr/url?sa=[...]
[17]
웹사이트
http://www.dbpia.co.[...]
[18]
웹사이트
http://www.riss.kr/s[...]
[19]
웹사이트
SCI급 논문 검색 및 활용: Journal list
http://hanyang-kr.li[...]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20]
문서
La déconstruction du phallogocentrisme(남근이성중심주의의 해체)
[21]
뉴스
트럼프와 닮아간 한국의 급진 페미니스트들
https://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8-06-25
[22]
뉴스
왜 페미니스트는 ‘트랜스젠더 여성’을 받아들이지 않을까
https://ilyo.co.kr/?[...]
일요신문
2020-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