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난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민은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받을 우려가 있어 국적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보호받기를 원하지 않는 사람을 의미한다.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정의되어 있으며, UNHCR은 이보다 넓은 범위로 난민을 정의한다. 난민은 역사적으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대규모 강제 이주로 인해 국제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난민은 정치적 난민, 경제적 난민, 국내 실향민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인신매매, 성폭력, 테러 위협, 고용 차별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한다. 국제 사회는 UNHCR을 중심으로 난민 보호 및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매년 6월 20일을 세계 난민의 날로 지정하여 난민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한국은 1992년 난민협약에 가입하여 난민 인정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난민 인정률이 낮고 사회적 인식 개선 및 난민의 사회 통합을 위한 지원 강화가 필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호권 - 망명
    망명은 정치적 탄압, 종교 갈등,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국가를 떠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쿠데타, 정변, 정치적 박해 등을 피해 안전한 국가로 이동하거나 망명 정부를 조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비호권 - 도피성
    도피성은 실수로 살인을 저지른 자가 피신하여 생명을 보존할 수 있는 장소로, 성경에 나타나는 제도이며, 살인자가 재판 후 무죄 판결을 받으면 대제사장이 죽을 때까지 보호받는 속죄의 장소이다.
  • 난민 - 세계 난민의 날
    세계 난민의 날은 전쟁, 분쟁, 박해로 고향을 떠난 난민과 국내 실향민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매년 6월 20일에 기념하며,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5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유엔난민기구(UNHCR)는 매년 캠페인을 통해 난민의 권리와 보호를 강조한다.
  • 난민 -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해 1951년 유엔에서 채택된 국제 조약으로, 난민의 정의, 체약국의 의무, 난민에 대한 대우 등을 규정하며, 1967년 의정서와 지역 협약 등을 통해 보완되었고 대한민국도 가입했으나 낮은 난민 인정률과 사회적 편견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외국인 - 영주권
    영주권은 외국인이 특정 국가에서 장기간 거주하고 체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적 지위로, 취득 조건과 권리는 국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거주 기간, 기술, 투자 등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시민과 유사한 권리를 누리나 일부 제한이 있고 거주 요건 등의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 외국인 - 귀화
    귀화는 한 국가의 국민이 아닌 사람이 그 국가의 국적을 취득하는 것을 의미하며, 자발적 또는 강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국은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귀화를 허용한다.
난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국경을 넘어 피난처를 찾아 외국으로 도피한 사람
영어 명칭refugee
관련 용어피난민
난민 현황 (2024년)
총 난민 수약 3,530만 명
UNHCR 보호 대상2,960만 명
UNRWA 보호 대상590만 명
지역별 난민 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700만 명
유럽 및 북아시아1,240만 명
아시아 태평양680만 명
중동 및 북아프리카240만 명
아메리카80만 명
법적 지위
출생권출생지
항공기 및 선박 내 출생
혈통주의
출생지주의
원정 출산
국적시민권
무국적
이중 국적
초국적 시민권
귀화
증여권
시민권 선서
시민권 시험
국적법
국적 상실
국적 박탈
국적 포기
이민외국인
적국 외계인
이민의 범죄화
외교 보호
해외 거주자
외국인 노동자
불법 이민
이민법
이민자 통합
영주권
난민
고향에 대한 권리
자발적 귀환
정체성 청소
귀환권
역사
주요 조약1951년 난민 협약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
난민 발생 원인전쟁
내전
종교적 박해
정치적 박해
인종적 박해
자연 재해
기아
주요 난민 발생 지역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중남미
난민 보호
국제기구유엔난민기구(UNHCR)
난민 지위난민 협약
의정서
난민 보호 원칙강제 송환 금지 원칙
비차별 원칙
인도주의적 지원
난민의 권리이동의 자유
교육의 권리
노동의 권리
보건 의료 접근권
종교의 자유
사생활 보호 권리

2. 정의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난민협약) 제1조에 따르면, 난민은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는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로 인해, 자신의 국적국 밖에 있는 자로서, 그 국적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해 그 국적국의 보호를 받는 것을 원하지 않는 자"이다.[196]

유엔난민기구(UNHCR)는 난민협약상의 정의보다 더 넓은 범위로 난민을 정의한다. UNHCR은 난민뿐만 아니라 망명 신청자, 본국으로 돌아왔지만 아직 재건 사업이 필요한 난민, 난민 이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지역 주민, 무국적자 그리고 소위 국내실향민(IDP)까지 구호 활동을 전개한다. 국내실향민은 고향에서 강제로 떠났지만 외국으로 나가지 않은 민간인을 말하며, 난민과 달리 국제법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215]

차드의 다르푸르 난민 캠프, 2005년

3. 역사

고대 그리스고대 이집트에서는 성소(聖所)로 피신한 사람을 보호하는 개념이 있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교회나 성소에 피신할 권리가 법으로 명문화되었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근대 국가 체제가 형성되면서 국적 개념이 중요해졌고, 국경을 넘는 사람들에 대한 신분 확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1915년과 1923년 사이 백만 명의 아르메니아인들이 터키의 박해와 학살을 피해 고향을 떠났다.


1685년 퐁텐블로 칙령으로 개신교 신자들이 탄압받자, 수십만 명의 위그노들이 영국, 네덜란드, 스위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독일, 프로이센, 미국으로 피난했다. 동유럽에서 발생한 유대인 박해로 인해 유대인들이 대규모로 이주했다. (1881~1920년 사이에 이백만 명 이상의 러시아 유대인들이 이민 길에 올랐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다양한 집단이 난민으로 공식 규정되었다.

최초의 국제적인 난민 업무 협력은 국제 연맹 난민 고등 위원회에서 이루어졌다. 프리티오프 난센이 이끈 이 위원회는 1917년 러시아 혁명과 이후의 내전(1917-1921)으로 발생한 1,500,000여 명의 피난민을 구호하기 위해 1921년에 창설되었다. 1915년1923년에 터키 지배하의 소아시아에서 아르메니아인 학살 사건으로 탈출한 백만 명이 넘는 아르메니아인도 1923년 이 위원회의 위임을 받게 되었다.

1942년 스탈린그라드 근처의 러시아 난민들


제2차 세계대전의 혼란으로 대규모 강제 이주가 일어났다. 1943년 연합국은 국제연합 구제 부흥 사업국(UNRRA)을 세워 유럽 일부와 중국에서 추축국을 몰아낸 지역에 구호 활동을 제공했다. 위원회는 고향으로 돌아가는 7백만 명의 난민을 관할했는데, 이들은 흔히 '실향민'(displaced persons, DP)로 불렸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기 몇 달 전 약 5백만 명의 독일 민간인들이 소련군을 피해 독일의 동프로이센, 포메른, 실롱스크 주를 탈출하여 난민으로 이동했다. 1945년 5월 독일이 항복하자 연합국은 1937년 12월 31일 당시 독일 영토를 점령했고(1945년 6월 5일 베를린 선언), 1945년 봄 폴란드인들이 남아있던 독일인들을 몰아내면서(인종청소) 포츠담 회담을 열던 당시 승전국들은 혼란스러운 난민 상황에 직면했다. 총 1,500만 명의 독일인들이 영향을 받았으며, 독일인 추방으로 2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죽었다.[201]

폴란드와 소비에트 우크라이나는 인구 교환을 시행했다. 폴란드-소련 국경의 동쪽에 살던 폴란드인들은 폴란드로 송환되었고(약 2,100,000명), 국경 서쪽의 우크라이나인들은 소비에트 우크라이나로 송환되었다(대략 450,000명). 1947년 UNRRA는 폐지되고 그 업무는 새로 창설된 국제 난민 기관으로 이관되었다.

3. 1. 대한민국과 난민

대한민국은 1992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난민협약)과 난민 의정서에 가입했으며, 1994년부터 난민 인정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196] 2007년에는 미얀마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반체제 인사를 난민으로 인정하기도 했다.[196]

대한민국 출신 난민 및 난민 신청자 수는 다음과 같다.

년도인구비고
2017년631명-
2016년526명-



북한 출신 난민 및 난민 신청자 수는 2017년 기준 1,766명이다.

하지만 일본의 난민 인정자 수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현저하게 적다.[143][144][145] 일본에서 난민으로 인정받는 비율은 0.7%(2021년, 난민지원협회 조사)로 매우 좁다.[143]

2010년대부터 일본에서는 난민 인정을 신청하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 2005년에는 384명이었지만 2013년에는 3,260명, 2014년에는 5,000명으로 늘었다. 2017년에는 난민 인정 신청 건수가 전년 대비 80% 증가한 19,629명에 달했다. 신청자의 국적은 82개국에 달하며, 주요 국적은 필리핀, 베트남,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네팔이다. 2018년 난민 인정 신청 건수는 10,493건, 난민 인정자는 42명이었다.[146][147][148]

2024년 3월 26일 입국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2023년 신청자는 13,823명이다. 인정자는 303명(전년 대비 101명 증가)으로 역대 최다이다. 국적별로는 아프가니스탄 237명, 미얀마 27명, 에티오피아 6명, 예멘 5명, 중국 5명, 우간다 3명, 터키 3명 등이다.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따른 인정 제도는 1982년에 시작되어 2023년까지 신청자는 105,487명, 인정자는 1,420명이다.[153][154][155]

백강 전투와 관련하여, 한반도에서 백제가 멸망하자 많은 백제인들이 사실상 난민으로 우방국이었던 일본으로 피신한 기록이 있다.[164][165]

4. 난민의 종류

난민은 발생 원인, 법적 지위, 이동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발생 원인에 따른 분류
  • 정치적 난민: 정치적 의견,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박해를 받을 위험이 있어 자국을 떠난 난민이다.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은 난민을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로 인해 자신의 국적국 밖에 있는 자로서, 국적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하여 국적국의 보호를 받는 것을 원하지 아니하는 자"로 정의한다.[8]
  • 경제적 난민: 빈곤(poverty) 등의 경제적 이유로 자국을 떠난 난민이다. 일반적으로 국제적 망명권(right of asylum)에 포함되지 않는다.
  • 환경 난민: 자연재해(natural disasters)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난민이다.

  • 법적 지위에 따른 분류
  • 협약 난민: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따라 난민으로 인정된 사람이다.
  • 위임 난민: 유엔난민기구(UNHCR)가 독자적인 해석으로 난민으로 인정한 사람이다. 1951년 정의 외에도 "일반화된 폭력 또는 공공 질서를 심각하게 교란하는 사건으로 인해 생명, 신체의 안전 또는 자유에 대한 심각하고 무차별적인 위협으로 인해 자국 또는 상거주지 밖에 있으며 그곳으로 돌아갈 수 없는 사람들"을 포함한다.[8]

  • 이동 방식에 따른 분류
  • 해상 난민(Boat People): 배를 타고 탈출하는 난민을 의미한다.
  • 항공 난민(Air People): 비행기를 타고 탈출하는 난민을 의미한다.

  • 국내 실향민(IDP, Internally Displaced Person): 국경을 넘지 않고 국내에서 피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1951년 난민협약등에 따른 난민의 법적 정의에는 부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자국을 떠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style="text-align: left;" |1998년부터 2014년까지, 그리고 2022년 UNHCR이 지원하는 난민과 국내 실향민 수 비교[8]
연말1996200020022004200620082010201220142022
난민11,480,90012,129,60010,594,1009,574,8009,877,70010,489,80010,549,70010,498,00014,385,30029,429,078[31]
국내 실향민 (IDP)5,063,9005,998,5004,646,6005,426,50012,794,30014,442,20014,697,90017,670,40032,274,60057,321,197[32]



이 외에도 다양한 난민 유형이 존재하며, 유엔 기구, 국가 당국, 국제 NGO가 인식하는 난민관에 차이가 있어 각 조직을 관통하여 난민을 이해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5. 난민 문제의 쟁점

유엔난민기구(UNHCR)가 2024년 6월 14일에 발표한 보고서[136]에 따르면, 202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전 세계 난민과 보호 신청자의 총합은 약 4,425만 명이다. 국내 실향민과 무국적자 등을 포함하면 약 1억 2,262만 명으로, 이는 일본 인구(2023년 12월 1일 기준 약 1억 2,429.9만 명)[137]에 근접한 수치이다. 2022년 5월 이후로는 1억 명 이상이 지속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가 가장 많은 난민(40.1%)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30.3%), 아프리카(26.0%) 순이다. 유럽의 경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우크라이나 출신 난민의 영향이 크다.[136]

2023년판 글로벌 동향: 난민, 귀환민, 국내 실향민, 무국적자
지역명난민(A)난민과 동등한
상황에 있는 사람(B)
A+B보호 신청자기타,
국제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
총계
아프리카8,226,20408,226,2041,065,029045,943,602
아시아8,845,3723,843,29512,688,667557,470035,611,325
유럽7,762,2001,826,8949,589,0941,193,669017,823,114
남아메리카381,722122,075503,7971,119,3905,572,86319,096,851
북아메리카507,98974,780582,7692,835,161182,5003,927,710
오세아니아41,8775,00046,87787,7800236,146
무국적자 또는 다국적자000006
총계25,765,3645,872,04431,637,4086,858,4995,755,363122,622,849
colspan = 12 style="font-size:smaller" |



유엔난민기구(UNHCR)는 난민 문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쟁점을 제시하고 있다.[136][138]


  • 전 세계 인구의 1% 이상이 난민이다.
  • 2018년부터 2023년 사이에 난민에게서 태어난 아이가 약 200만 명이다.
  • 난민 4명 중 3명(75%)이 중저소득 국가에 피난했다.
  • 난민의 69%가 인접국에 피난했다. 이란은 약 380만 명, 터키는 약 330만 명의 난민을 수용하고 있다.
  • 무국적 난민이 약 436만 명 존재하며, 미얀마를 탈출한 사람들이 많다.
  • 18세 미만의 미성년자 난민이 난민 전체의 약 40%를 차지한다.


국가별 난민 출신국과 피난처 국가를 살펴보면, 2023년 말 현재 가장 많은 경우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이란으로 피난한 사람(3,752,317명)이며, 다음으로 시리아에서 터키로 피난한 사람(3,214,780명)이다.[142]

2023년 말 현재 난민 출신국·피난처 국가 상위 10위(보호 신청자 제외)[142]
난민 출신국피난처 국가난민 수UNHCR이 지원한
난민 수
UNHCR
지원률(%)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3,752,3172,264,23460.3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3,214,7801,070,00033.3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2,852,294--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1,987,7171,987,717100.0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1,227,55443,0173.5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1,097,50300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1,048,528--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971,964971,964100.0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955,891254,38026.6
style="text-align:left" |style="text-align:left" |923,607923,607100.0



일본의 난민 인정자 수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현저하게 적다.[143][144][145] 난민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박해의 우려"를 증명해야 하는데, 이 비율은 0.7%(2021년)로 매우 낮다.[143]

일본에서는 난민 인정 신청이 여러 번 가능하고, 신청 중에는 강제송환되지 않으며 체류 자격이 있으면 취업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불법체류 외국인 노동자 목적으로 일본에 온 "가짜 난민" 문제도 존재한다.[146] 2010년부터는 난민 신청 후 6개월이 지나면 일률적으로 일을 할 수 있게 되어[156] 이러한 "가짜 난민"이 증가하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157]

미국은 난민과 이민자를 구분하며, 난민의 연간 수용 인원에는 상한선이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시절에는 난민 수용에 비관용적인 태도를 보여 수용 인원이 축소되었으나, 조 바이든 대통령은 수용 인원을 늘리겠다고 발표했다.[177][180]

6. 국제 사회의 노력

UNHCR(유엔난민기구)는 난민 보호와 지원을 위한 국제적인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37] 세계 난민의 날(6월 20일)을 통해 난민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국제적인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37]

유엔총회는 2000년 12월 4일 2001년부터 매년 6월 20일을 [세계 난민의 날]로 정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6월 20일은 원래 OAU(아프리카 통일 기구) 난민의 지위에 관한 조약의 발효를 기념하는 "아프리카 난민의 날"이었다.[184]

2001년 이후 매년 "세계 난민의 날"인 6월 20일은 난민 보호와 지원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을 높이고, UNHCR을 비롯한 국제연합 기관과 NGO(비정부기구)의 활동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심화시키기 위해 세계 각지에서 "세계 난민의 날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186][187]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처음으로 난민 선수단이 등장하여 주목을 받았다. 난민 선수단은 남녀 총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그중 2명은 개최국 브라질 거주자였다. 이들은 육상, 수영, 유도 등 여러 종목에 출전했다.[188]

7. 한국 사회의 과제

한국 사회는 난민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 사회적 인식 개선 및 공감대 형성: 난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이들의 어려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 난민 인정 절차 개선 및 보호 강화: 난민 심사 절차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난민 인정률을 제고하여 난민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
  • 사회 통합 지원 확대: 난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언어 교육, 취업 지원, 사회 적응 프로그램 등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 국제 협력 강화: 국제 사회와 협력하여 난민 문제 해결에 동참하고, 인도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 북한이탈주민(탈북민) 지원 강화: 북한이탈주민은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난민으로, 이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사회 통합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UNHCR data | Global Trends https://web.archive.[...] 2023-06-19
[2] 웹사이트 Who We Protect: Refugees https://www.unhcr.or[...] 2024-10-20
[3] 웹사이트 Internally Displaced Persons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 for Refugees 2017-07-10
[4] 서적 La vraye et entière histoire des troubles et guerres civiles advenues de nostre temps, tant en France qu'en Flandres & pays circonvoisins, depuis l'an mil cinq cens soixante, jusques à présent.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Base de données du refuge huguenot http://refuge-huguen[...]
[6] 간행물 England's 'First Refugees' https://www.historyt[...] 2019-01-18
[7] 웹사이트 Refugee http://www.etymonlin[...] 2016-05-15
[8] 웹사이트 Cartagena Declaration on Refugees http://www.unhcr.org[...] UNHCR
[9] 간행물 The Punishment of War Crimes Committed against Prisoners of War, Deportees and Refugees during and after the First World War https://doi.org/10.1[...] 2008-03-01
[10] 웹사이트 The humanist Nansen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Displaced Persons Act (1948) https://immigrationh[...] 2023-09-07
[12] 서적 The State of The World's Refugees 2000: Fifty Years of Humanitarian Action https://www.unhcr.or[...] Oxford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Migrants, refugees, history and precedents {{!}} Forced Migration Review https://www.fmreview[...] 2016
[14] 웹사이트 DP Camps in Europe Intro http://www.dpcamps.o[...]
[15] 웹사이트 Agreements of the Berlin (Potsdam) Conference https://www.pbs.org/[...]
[16] 간행물 The Institutional Features of the Prisoners of War Treaties https://www.jstor.or[...]
[17] 웹사이트 UNHCR CDR Background Paper on Refugees and Asylum Seekers from Azerbaijan http://www.refworld.[...] 1995-09-01
[18] 웹사이트 ECRI REPORT ON AZERBAIJAN https://www.coe.int/[...] 2011-05-31
[19] 간행물 Foreword https://www.jstor.or[...]
[20] 간행물 Fifty years of refugee studies: From theory to policy
[21] 간행물 Refugees and Exile: From "Refugee Studies" to the National Order of Things 1995
[22] 웹사이트 Palestine refugees https://www.unrwa.or[...] 2021-12-19
[23] 웹사이트 UNRWA has changed the definition of refugee https://foreignpolic[...] 2024-02-03
[24] 웹사이트 Medium Term Strategy 2016-2021 https://www.unrwa.or[...] 2021-12-19
[25] 간행물 Refugees unto the Third Generation: UN Aid to Palestinians. http://dx.doi.org/10[...] 1996
[26] 서적 UNRWA and Palestinian refugees : from relief and works to human development http://worldcat.org/[...] Routledge, Taylor & Francis
[27] 웹사이트 Where We Work UNRWA https://www.unrwa.or[...] 2021-12-19
[28] 간행물 UNRWA and the Palestinian Refugees: A History within History 2009-01-01
[29] 웹사이트 The UN Refugee Agency http://www.unhcr.org[...] UNHCR 2015-12-18
[30] 웹사이트 Refugees solutions http://www.unhcr.org[...] 2018-08-26
[31] 웹사이트 Refugee Data Finder. Total number of refugees under UNHCR's mandate 2022 https://www.unhcr.or[...]
[32] 웹사이트 Refugee Data Finder. Total number of IDPs of concern to UNHCR 2022 https://www.unhcr.or[...]
[33] 법률
[34] 간행물 Handbook on Procedures and Criteria for Determining Refugee Status under the 1951 Convention and the 1967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https://www.unhcr.or[...] UNHCR
[35] 웹사이트 Uncharted Territory: Land, Conflict and Humanitarian Action http://www.odi.org.u[...]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36] 웹사이트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http://www.ohchr.org[...] 2015-09-28
[37] Resolution 2000-12-04
[38] 웹사이트 Refugee Week (UK) About Us https://web.archive.[...] Refugee Week 2018-07-24
[39] 뉴스 Day 10, Year of #Mygration: Pope Francis World Day of Migrants and Refugees, 14 January 2018 http://www.open.ac.u[...] 2018-04-02
[40] 간행물 Protracted displacement: uncertain paths to self-reliance in exile http://www.odi.org/p[...]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5
[41] 논문 Reason for immigration and immigrants' health https://ora.ox.ac.uk[...]
[42] 논문 Refugee mother-child dyads' hair cortisol, post-traumatic stress, and affectionate parenting 2020
[43] 논문 The Mental Health Burden of Immigration Detention: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www.kriminol[...]
[44] 웹사이트 Ensuring Access to Health Care: Operational Guidance on Refugee Protection and Solutions in Urban Areas http://www.unhcr.org[...] 2017-02-11
[45] 논문 Sharp increase of imported Plasmodium vivax malaria seen in migrants from Eritrea in Hamburg, Germany
[46] 논문 Integrated Primary Care Improves Access to Healthcare for Newly Arrived Refugees in Canada
[47] 논문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Arab Immigrants and Iraqi Refugees
[48] 논문 Hurdles to health:Immigrant and refugee healthcare in Australia
[49] 논문 Overcoming barriers to improving the health of immigrant women
[50] 논문 Evaluating integrated healthcare for refugees and hosts in an African context
[51] 논문 The importance of refugee-host relations: Guinea 1990–2003
[52] 논문 Evaluating integrated healthcare for refugees and hosts in an African context
[53] 논문 Effect of restricting access to health care on health expenditures among asylum-seekers and refugees: a quasi-experimental study in Germany, 1994–2013.
[54] 논문 Third Class Medicine: Health Care for Refugees in Germany.
[55] 웹사이트 Goal 10 targets https://web.archive.[...] 2020-09-23
[56] 뉴스 Trafficking and sexual exploitation of Ukrainian refugees on the rise https://www.euractiv[...] 2022-11-30
[57] 뉴스 Ukrainian refugees increasingly targeted for sexual exploitation, research finds https://www.theguard[...] 2023-03-26
[58] 뉴스 War in Ukraine causes spike in refugees being recruited for prostitution https://cne.news/art[...] 2023-04-04
[59] 뉴스 Israel investigating suspected trafficking of 17-year-old Ukrainian refugee https://www.timesofi[...] 2022-03-24
[60] 뉴스 Putin's war in Ukraine is driving a hidden horror: Sex trafficking of women and children https://eu.usatoday.[...] 2022-05-20
[61] 논문 Does Halting Refugee Resettlement Reduce Crime? Evidence from the US Refugee Ban 2021-08
[62] 서적 Refugee Waves and Crime: Evidence from EU Countri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4-21
[63] 논문 Refugee Admissions and Public Safety: Are Refugee Settlement Areas More Prone to Crime? http://journals.sage[...] 2021-03
[64] 논문 Why Refugee Warriors are Threats https://journals.lib[...] 1998-07-01
[65] 논문 Refugees, Mobilization, and Humanitarian Aid: Evidence from the Syrian Refugee Crisis in Lebanon http://journals.sage[...] 2020-05
[66] 논문 Links Between Terrorism and Migration: An Exploration https://web.archive.[...] 2017-03-29
[67] 서적 The Functions of Social Conflict The Free Press
[68] 논문 Secret agents: Anarchists, Islamists and responses to politically active refugees in London 2005-03-01
[69] 논문 Radicalism of the Hopeless: Refugee Flows and Transnational Terrorism 2013-11-01
[70] 논문 Counter-Terrorism Measures and Refugee Protection in North Africa 2010-12-01
[71] 논문 Homegrown terrorism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understanding radicalization 2010-02-01
[72] 간행물 Europeans fear wave of refugees will mean more terrorism, fewer jobs Pew Research Center 2016
[73] 보고서 Terrorism and Immigration: A Risk Analysis 2016-09-13
[74] 웹사이트 Injury Facts Chart http://www.nsc.org/l[...] 2017-03-29
[75] 논문 Right-Wing Violence in Germany: Assessing the Objectives, Personalities and Terror Trail of the National Socialist Underground and the State's Response to It 2014-07-03
[76] 논문 Rethinking Anti-Immigration Rhetoric after the Oslo and Utøya Terror Attacks 2012-12-01
[77] 서적 Anti-Refugee Violence and African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10-07
[78] 논문 Does Aid Reduce Anti-refugee Violence? Evidence from Syrian Refugees in Lebanon https://www.cambridg[...] 2020-11-01
[79] 논문 From protection to persecution: Threat environment and refugee scapegoating 2019
[80] 웹사이트 Trump claims vindication for baffling Sweden terror comments https://www.nbcnews.[...] 2018-03-07
[8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efugee and Forced Migration Stud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10-26
[82] 논문 Speechless Emissaries: Refugees, Humanitarianism, and Dehistoricization 1996
[83] 논문 On Cultural Anesthesia: From Desert Storm to Rodney King 1994
[8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efugee and Forced Migration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85] 논문 Speechless Emissaries: Refugees, Humanitarianism, and Dehistoricization 1996
[86] 논문 Unveiling the Canvas Ceiling: A Multidisciplinary Literature Review of Refugee Employment and Workforce Integration 2020
[87] 보고서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Refugee Children in Countries of First Asylum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15
[88] 논문 Educational Needs and Barriers for Refugee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5
[89] 보고서 The Academic Engagement of Newly Arriving Somali Bantu Students in a U.S. Elementary School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15
[90] 간행물 Reconciling Differences: Indochinese Refugee Students in American Schools https://www.jstor.or[...] 1980
[91] 논문 The impact of refugee experiences on education: evidence from Burundi 2018
[92] 논문 "If You Need Help, They are Always There for us": Education for Refugees in an International High School in NYC 2016
[93] 웹사이트 Figures at a glance | UNHCR US http://www.unhcr.org[...]
[94] 웹사이트 Global Trends Forced Displacement 2015 http://www.unhcr.org[...] UNHCR 2017-01-11
[95] 웹사이트 Refugees fleeing Ukraine (since 24 February 2022) https://data2.unhcr.[...] 2022-10-03
[96] 웹사이트 UNHCR: Ukraine, other conflicts push forcibly displaced total over 100 million for first time https://www.unhcr.or[...]
[97] 웹사이트 Global Trends - Forced displacement in 2022 https://www.unhcr.o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22
[98] 웹사이트 Global Trends - Forced displacement in 2021 https://www.unhcr.o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21
[99] 웹사이트 Global Trends - Forced displacement in 2020 https://www.unhcr.o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20
[100] 웹사이트 Global Trends - Forced displacement in 2019 https://www.unhcr.o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19
[101]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2018 (Annexes) https://www.unhcr.o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18
[102]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2017 (Annexes) https://www.unhcr.o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17
[103]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Annexes) UNHCR Statistical Yearbook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18-05-08
[104]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Annexes) UNHCR Statistical Yearbook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2016-05-15
[105]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Annexes) UNHCR Statistical Yearbook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2016-05-15
[106]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Annexes) UNHCR Statistical Yearbook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2016-05-15
[107]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Annexes) UNHCR Statistical Yearbook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2016-05-15
[108]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Annexes) UNHCR Statistical Yearbook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2016-05-15
[109]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Annexes) UNHCR Statistical Yearbook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2016-05-15
[110] 웹사이트 Global forced displacement trends. (Annexes) UNHCR Statistical Yearbook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2016-05-15
[111] 웹사이트 難民保護・Q&A https://www.unhcr.or[...] 2022-03-15
[112] 웹사이트 Who We Help > Refugees http://www.unhcr.org[...] 2013-02-25
[113] 웹사이트 About Us > History of UNHCR > The 1951 Refugee Convention (1951年難民条約) http://www.unhcr.org[...] 2013-02-25
[114] 웹사이트 難民とは? http://www.unhcr.org[...] 2019-04-20
[115] 웹사이트 基本情報 > 難民条約 http://www.unhcr.or.[...] 2013-02-25
[116] 웹사이트 難民条約について http://www.unhcr.org[...] 2019-04-20
[117] 웹사이트 難民 > 難民問題と日本 I : -難民問題とは何か- http://www.mofa.go.j[...] 2013-02-25
[118] 웹사이트 最近のパンフレット 「難民条約」 http://www.mofa.go.j[...] 2019-04-20
[119] 웹사이트 表紙 (「難民条約」) http://www.mofa.go.j[...] 2019-04-20
[120] 웹사이트 パンフレット「難民条約」 http://www.mofa.go.j[...] 2013-02-25
[121] 간행물 日本經濟新聞 日本経済新聞 1991
[122] 뉴스 一昨年の十月から[[入国管理庁]]が発足いたしまして約一年間の間に三千百九十名という朝鮮人を送り帰しておる。今の密入国の大半は、九〇%は朝鮮人でございます 参議院 1952-02-27
[123] 뉴스 密航4ルートの動態 日韓結ぶ海の裏街道 潜入はお茶のこ 捕わる者僅か2割 産業経済新聞 1950-06-28
[124] 서적 吉田茂=マッカーサー往復書簡集―1945-1951 法政大学出版局 2000-05
[125] 뉴스 大半、自由意思で居住 外務省、在日朝鮮人で発表 戦時徴用は245人 朝日新聞 1959-07-13
[126] 뉴스 難民 世界で1億人超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2-05-24
[127] 웹사이트 国連のサイトの「難民について」 https://www.japanfor[...] 2023-06-25
[128] 웹사이트 refugee http://www.etymonlin[...] 2011-08-21
[129] 웹사이트 亡命者とは https://kotobank.jp/[...] 2022-03-15
[130] 논문 List of Winners 1986-2016, The Journalism Prize http://www.archiviod[...] 金の鳩賞 2019-04-17
[131] 법률 出入国管理及び難民認定法
[132] 웹사이트 法務省:難民条約とは http://www.moj.go.jp[...] 法務省 2019-07-24
[133] 웹사이트 難民の地位に関する1951年の条約 https://www.unhcr.or[...] UNHCR駐日事務所 2023-04-08
[134] 웹사이트 難民の地位に関する1967年の議定書 https://www.unhcr.or[...] UNHCR駐日事務所 2023-04-08
[135] 웹사이트 私たちは私たちの(無)関心とどう付き合うか http://themanwhomend[...] 2017-09-23
[136] 보고서 Table 1 Refugees, asylum-seekers, other people in need of international protection, internally displaced persons (IDPs), returnees (refugees and IDPs), stateless persons, and others of concern to UNHCR, by country/territory of asylum end-2023(表1.2023年末時点の難民、庇護希望者、その他の庇護を必要とする人々、国内避難民(IDP)、帰国者(難民および国内避難民)、無国籍者、UNHCRに関係するそのほかの人々(国と地域別)) https://www.unhcr.or[...] 2024-06-15
[137] 보고서 人口推計(2023年(令和5年)12月確定値、2024年(令和6年)5月概算値) (2024年5月20日公表) https://www.stat.go.[...] 2024-06-15
[138] 웹사이트 数字で知る難民・国内避難民の事実 https://www.japanfor[...] 2024-06-15
[139] 보도자료 IDMC報告 2023年に国内避難民が7,590万人を記録 https://japan.iom.in[...] 国際移住機関(IOM)駐日事務所 2024-06-15
[140] 보고서 Global Trends report 2023 https://www.unhcr.or[...] 2024-06-15
[141] 웹사이트 New UNHCR data points to record number of worldwide refugees in 2022 driven largely by the war in Ukraine (UNHCRの新たなデータは、主にロシアによるウクライナ侵攻が原因で2022年の世界の難民数が過去最高となることを示している。) https://blogs.worldb[...] 세계은행 2023-07-05
[142] 보고서 GLOBAL TRENDS FORCED DISPLACEMENT IN 2023- Annex tables > Annexes for Global and Mid-Year Trends > Table 3 Refugees and people in a refugee-like situation, excluding asylum-seekers, and changes by origin and country of asylum 2023(グローバル・トレンド 2023年の強制移動 >世界および2023年中ごろの傾向に関する付録 > 表3 2023年の難民および難民に類似した状況にある人々(庇護希望者を除く)、および出身国と庇護国別の変化) https://www.unhcr.or[...] 2024-06-15
[143] 뉴스 “人じゃない、人間じゃない…” 母国では迫害を受けた外国人、助けを求めた日本でよぎる「死」 https://newsdig.tbs.[...] TBS・JNN NEWS DIG合同会社 2023-02-16
[144] 뉴스 「日本の難民審査は厳しすぎる」 難民支援協会の石川えりさん http://mainichi.jp/f[...] 2015-03-20
[145] 웹사이트 日本の難民政策:受け入れは「狭き門」 http://www.nippon.co[...] 2015-05-09
[146] 뉴스 「難民で稼ぐ国」と「難民が稼ぐ国」…日本は「難民を見ない国」 https://www.nikkei.c[...] 2015-03-18
[147] 뉴스 難民認定申請数、前年比80%増 https://qnew-news.ne[...] 2018-07-10
[148] 웹사이트 我が国における難民庇護の状況等 https://www.moj.go.j[...] 법무성 2023-06-25
[149] 웹사이트 UNHCR駐日事務所と難民対象の推薦入試実施に関する協定を締結 http://www.meiji.ac.[...] 메이지대학 2015-05-18
[150] 웹사이트 国連難民高等弁務官(UNHCR)駐日事務所との協定による難民を対象とする推薦 http://www.aoyama.ac[...] 아오야마가쿠인대학 2015-05-18
[151] 웹사이트 国連難民高等弁務官駐日事務所 (UNHCR Japan) との協定による難民を対象とする推薦入学制度について http://www.kwansei.a[...] 간사이가쿠인대학 2015-05-18
[152] 웹사이트 難民受け入れ「慎重に」 57% 内閣府調査で https://www.nikkei.c[...] 2023-03-14
[153] 웹사이트 https://www.moj.go.j[...]
[154] 웹사이트 https://www.moj.go.j[...]
[155] 웹사이트 https://www.moj.go.j[...]
[156] 뉴스 難民不認定で異議 最多の3120人 15年、審査未処理1.3万人 https://www.nikkei.c[...] 共同通信 2016-03-26
[157] 뉴스 難民に冷たい国でいいのか https://www.nikkei.c[...] 2015-03-18
[158] 뉴스 Listening: <ニュース解説>対応急務の難民問題 http://mainichi.jp/j[...] 2015-05-02
[159] 뉴스 難民認定の対象拡大へ 審査は厳格化、外部意見の導入も http://www.asahi.com[...] 2015-09-05
[160] 뉴스 日本の難民受け入れに関する誤解 https://www.nippon.c[...] 2016-01-27
[161] 학술지 ロヒンギャを襲う21世紀最悪の虐殺(後編) https://www.newsweek[...] 2017-09-23
[162] 웹사이트 日本への難民申請が半減 「偽装申請」の抑制策に効果?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11-02
[163] 웹사이트 難民認定申請をすれば日本で就労できるというものではありません http://www.moj.go.jp[...] 법무성 2019-11-02
[164] 웹사이트 知っておきたい日本の歴史=徳力啓三=(3) https://www.nikkeysh[...] 니케이신문 2020-12-26
[165] 웹사이트 <韓国文化>韓日中が協力して「万葉集」研究を http://www.toyo-keiz[...] 동양경제신문 2020-12-26
[166] 웹사이트 白系ロシア人とは https://kotobank.jp/[...] 2022-03-15
[167] 웹사이트 【正論モーニング】ユダヤ人救い、ソ連の野望阻止した中将 「軍人は悪」封印された功績 https://www.sankei.c[...] 2022-03-15
[168] 법률 一般職の職員の給与に関する法律(昭和二十五年法律第九十五号)別表第一 https://laws.e-gov.g[...] 2019-04-20
[169] 웹사이트 難民問題に関する専門部会開催状況等 http://www.moj.go.jp[...] 법무성 2017-09-23
[170] 웹사이트 国連分担金の多い国 https://www.mofa.go.[...] 외무성 2019-11-02
[171] 웹사이트 プレスリリース 『第三国定住によるミャンマー難民の来日』 https://www.mofa.go.[...] 2010-09-28
[172] 웹사이트 初の「第三国定住」ミャンマー難民 http://www.yomiuri.c[...] 2010-09-28
[173] 웹사이트 報道発表 『第三国定住によるミャンマー難民の来日』 https://www.mofa.go.[...] 2010-10-13
[174] 웹사이트 〔人間の安全保障〕すべてのミャンマーの人々とともに > 民主化されたミャンマーに残された課題の解決に向けて http://www.nippon-fo[...] 2010-09-27
[175] 뉴스 第三国定住難民、希望者ゼロの衝撃 http://mainichi.jp/o[...] 2013-04-20
[176] 웹사이트 〔時論公論〕第三国定住 難民受け入れの課題 http://www.nhk.or.jp[...] 2012-03-21
[177] 웹사이트 米国、難民受け入れ上限引き上げ 「トランプ前」水準に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5-04
[178] 웹사이트 米メキシコ国境、21年度の拘束者170万人超 過去最高(写真=ロイター) https://www.nikkei.c[...] 2021-10-23
[179] 웹사이트 まるで難民キャンプ…「バイデンのアメリカ」へ押し寄せる人々 メキシコ国境地帯、米政権に試練 {{!}} プライムニュース https://www.fukuishi[...]
[180] 웹사이트 米国、難民受け入れ上限引き上げ「トランプ前」水準に https://www.iza.ne.j[...] 産経新聞 2021-05-04
[181] 웹사이트 移民追放巡りバイデン氏に圧力強まる、ハイチ難民が怒りの声 https://www.newsweek[...] 2021-09-22
[182] 웹사이트 バイデン政権八方塞がり――米国の「民主党バブル」は崩壊するのか(大原 浩) @gendai_biz https://gendai.media[...]
[183] 웹사이트 米副大統領、不法移民は「アメリカに来ないで」 初外遊の中米で https://www.bbc.com/[...] 2021-06-08
[184] 웹사이트 High Commissioner marks Africa Refugee Day (高等弁務官の「アフリカ難民の日」に寄せる演説) https://www.unhcr.or[...] 2000-06-20
[185] 웹사이트 UNHCR、ネルソン・マンデラ元南アフリカ大統領を追悼 https://www.unhcr.or[...] 2013-12-17
[186] 웹사이트 2018年6月20日 世界難民の日 国連UNHCR協会関連イベントのお知らせ https://www.japanfor[...] 国連UNHCR協会
[187] 웹사이트 「世界難民の日」にちなんで、映画上映会&トークイベント「難民×SDGs」を開催! https://www.jica.go.[...] 国際協力機構 2018-07-12
[188] 뉴스 【リオ五輪】難民五輪選手団に脚光 男子6人、女子4人をIOCが承認 https://www.sankei.c[...] 2016-06-06
[189] 웹사이트 Publications/Statistics http://www.un.org/un[...] UNRWA 2006-03-31
[190] 간행물 Framework for Durable Solutions for Refugees and Other Persons of Concern http://www.unhcr.org[...] UNHCR Core Group on Durable Solutions 2003-05
[191] 웹사이트 UNHCR - Iraq: Latest return survey shows few intending to go home soon http://www.unhcr.org[...] UNHCR 2008-04-29
[192] 웹인용 UN warns of five million Iraqi refugees http://news.independ[...] 2008-02-19
[193] 웹사이트 Iraq: Refugee Crisis Could Become Regional Security Threat http://www.rferl.org[...]
[194] 웹인용 UNHCR says 4.2 million Iraqis are displaced in, outside Iraq http://www.indianmus[...] 2009-04-17
[195] 뉴스 Refugee crisis in Syria enters new, dire phase / Displaced Iraqis running out of cash, and prices are rising http://www.sfgate.co[...] SFGATE 2007-07-23
[196] 간행물 성공회 나눔의 집 2007년 8월호 성공회 나눔의 집 2007-08
[197] 뉴스 Old fears over new faces http://seattletimes.[...] 2006-09-21
[198] 웹인용 U S Constitution - The Immigration Act of 1924 http://www.usconstit[...] 2012-05-26
[199] 웹사이트 Forced displacement of Czech population under Nazis in 1938 and 1943 http://www.radio.cz/[...] Radio Prague
[200] 웹사이트 Spanish Civil War fighters look back http://news.bbc.co.u[...] BBC News
[201] 서적 여러 저자의 저서 여러 출판사
[202] 논문 The United States and Forced Repatriation of Soviet Citizens, 1944-47 Political Science Quarterly 1973-06
[203] 웹인용 Repatriation -- The Dark Side of World War II http://www.fff.org/f[...] 2012-04-14
[204] 웹인용 Forced Repatriation to the Soviet Union: The Secret Betrayal http://www.hillsdale[...] 2012-04-14
[205] 웹사이트 Final Compensation Pending for Former Nazi Forced Laborers http://www.dw-world.[...] DW
[206] 웹인용 Forced Labor at Ford Werke AG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summeroftruth[...] 2008-05-20
[207] 웹사이트 The Nazi Ostarbeiter (Eastern Worker) Program http://www.collectin[...]
[208] 웹인용 Soviet Prisoners of War: Forgotten Nazi Victims of World War II http://www.historyne[...] 2008-03-30
[209] 웹사이트 Soviet Prisoners-of-War http://www.gendercid[...]
[210] 웹사이트 The warlords: Joseph Stalin http://www.channel4.[...] Channel 4
[211] 웹인용 Remembrance (Zeithain Memorial Grove) http://www.stsg.de/m[...] 2017-05-12
[212] 뉴스 Patriots ignore greatest brutality http://www.smh.com.a[...]
[213] 웹인용 Joseph Stalin killer file http://www.moreorles[...] 2014-03-01
[214] 웹인용 Forced migration in the 20th century http://www.migration[...] 2015-02-17
[215] 웹사이트 UNRWA Palestine Refugees http://www.unrw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