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은하의 형태분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하의 형태분류는 은하의 겉보기 모습에 따라 은하를 분류하는 체계로, 에드윈 허블의 허블순차, 제라드 드 보클레르의 드 보클레르 체계, 윌리엄 윌슨 모건의 여키스 분류법 등이 있다. 허블순차는 타원은하, 나선은하, 렌즈형은하로 분류하며, 드 보클레르 체계는 허블순차를 확장하여 막대, 고리, 나선팔의 세 가지 특징을 추가하여 나선은하를 세분화한다. 여키스 분류법은 별의 스펙트럼, 은하의 실제 모양, 중심부의 별 집중 정도를 기준으로 은하를 분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드윈 허블 - 허블 우주망원경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선명한 우주 관측을 목표로 1990년 발사된 천문 관측 장비로, 서비스 미션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우주를 관측하며 과학적 발견을 이루고 있고, 궤도 붕괴에 따른 추락 위험 방지를 위해 제어된 재진입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 에드윈 허블 - 허블순차
    허블 순차는 에드윈 허블이 은하를 형태에 따라 타원은하, 렌즈형은하, 나선은하, 불규칙은하 등으로 분류하는 체계이며, 허블의 음차도라는 시각적 도표로 표현된다.
  • 외부은하천문학 - 스테빈스-휫퍼드 효과
  • 외부은하천문학 - 은하 색등급도
    은하 색등급도는 은하의 색깔과 밝기를 기준으로 은하를 분류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적색 은하군, 녹색 계곡, 청색 은하군으로 구분되며, 은하의 진화 과정을 보여준다.
  • 은하의 형태분류 - 불규칙은하
    불규칙 은하는 명확한 구조를 가지지 않아 허블 순차에 따라 분류하기 어렵고, Irr-I형, Irr-II형, dI-은하로 나뉘며, 거대 은하의 중력에 의해 파괴된 작은 나선 은하이기도 하다.
  • 은하의 형태분류 - 나선은하
    나선은하는 별, 성간물질, 나선팔, 팽대부, 헤일로 등으로 구성된 은하의 한 유형으로, 나선팔은 밝은 별과 성간물질이 나선형으로 뻗어 있으며, 우리 은하 또한 막대나선은하이다.
은하의 형태분류
개요
명칭은하 형태 분류
유형분류 체계
목적은하의 시각적 형태 설명 및 분류
허블 분류
고안자에드윈 허블
발표 연도1936년
특징은하를 타원 은하, 나선 은하, 렌즈형 은하, 불규칙 은하로 분류
나선 은하는 다시 정상 나선 은하와 막대 나선 은하로 세분
타원 은하 표기E0 ~ E7 (숫자가 클수록 더 납작한 형태)
나선 은하 표기Sa, Sb, Sc (정상 나선 은하)
SBa, SBb, SBc (막대 나선 은하)
렌즈형 은하 표기S0
불규칙 은하 표기Irr
한계은하 진화 과정을 반영하지 못함
폭발적 항성 생성 은하, 고리 은하 등 특이 은하 분류에 어려움
드 보클레르 분류
고안자제라르 드 보클레르
특징허블 분류 확장
은하의 형태적 특징을 더 상세하게 기술
고리, 막대, 렌즈 등의 특징을 추가
분류 요소유형(Type): 허블 분류와 유사
단계(Stage): -5 ~ +10 (타원 → 나선 → 불규칙)
계열(Family): 나선 구조의 특징 (a, ab, b, bc, c, cd, d, dm, m)
변종(Variety): 고리, 막대 등의 특징 (rs, s, (r), (s) 등)
예시SA(s)bc
여키스 분류
다른 이름Morgan 분류
고안자윌리엄 윌슨 모르간
특징은하 스펙트럼을 기반으로 분류
중심 집중도, 형태, 스펙트럼 특징 활용
기타 분류
간략 설명N-체 시뮬레이션 기반 분류
주성분 분석을 통한 자동 분류
은하 병합 역사 기반 분류
같이 보기

2. 허블순차

에드윈 허블이 1926년에 창안한 은하의 형태분류 체계로,[30][31] '허블 튜닝 포크'라고도 불린다.[2][3] 은하의 겉보기 모습(원래는 사진건판에서)에 기반하여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은하로 나눈다.[4]

허블순차의 소리굽쇠형 도표

  • '''타원은하'''(E)는 매끄럽고 단조로운 밝기 분포를 가지고 있고 사진에서 타원모양으로 나타난다.
  • '''나선은하'''(S)는 을 형성하고 있는 (보통 두 가닥의)나선 구조가 있는 평탄한 원반과, 별이 집중되어 타원은하와 유사한 외양을 가지는 중심의 영역인 팽대부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나선은하의 거의 절반은 중심 팽대부에서 뻗어나오는 막대 구조를 가지고 있기도 한데, 이러한 은하는 막대나선은하(SB)로 표현된다.
  • '''렌즈형은하'''(S0)는 중심의 밝은 팽대부와 이를 둘러싸는 바깥의 원반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나선은하와는 달리 렌즈형 은하의 원반은 나선 구조가 없으며 활동적인 별의 형성이 일어나지 않는다.[7]


|섬네일|300px|우주의 역사를 동안의 허블순차[32] ]]

이러한 큰 분류는 뚜렷한 규칙적 구조(원반 또는 타원체)를 가지지 않는 불규칙은하와 같이 외양의 눈에 띄는 차이를 통해 확장된다.[4]

허블순차는 보통 소리굽쇠의 형태로 표현된다. 소리굽쇠의 손잡이 부분(왼쪽)에는 타원은하가 배치되어 있고(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타원율이 증가), 오른쪽의 두 평행한 갈래는 막대나선은하와 정상나선은하가 이룬다. 타원은하와 나선은하 사이에, 손잡이와 두 갈래가 만나는 지점에는 렌즈형은하가 위치해 있다.[9]

허블순차는 오늘날에 전문적인 천문학 연구와 아마추어 천문학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은하를 분류하는 체계로써 이용된다.[10] 2019년 갤럭시 주를 통한 시민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허블 분류 체계, 특히 나선 은하 분류에 대한 수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1][12]

3. 드 보클레르 체계

제라드 드 보클레르가 1959년에 도입한 드 보클레르 체계는 허블순차를 확장한 은하 분류 체계이다.[33][13][26] 드 보클레르는 허블의 나선은하 분류가 나선팔의 조임 정도와 막대의 유무만으로는 관측된 모든 은하의 형태를 설명하기에 부족하다고 보았다.[34] 그는 특히 고리와 렌즈가 나선은하의 중요한 구조적 요소라고 강조했다.[14][27]

드 보클레르 체계는 타원은하, 렌즈형은하, 나선은하, 불규칙은하와 같은 허블의 기본 분류를 유지하면서, 나선은하를 더 세분화했다.[15] 그는 나선은하를 분류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형태적 특징을 도입했다.


  • 막대: 핵 막대의 유무에 따라 은하를 분류한다. 막대가 없는 나선은하는 SA형, 막대나선은하는 SB형으로 표기하며, 미약한 막대를 가진 중간형은 SAB형으로 분류한다.[35][16] 렌즈형은하 역시 막대의 유무에 따라 SA0(막대 없음) 또는 SB0(막대 있음)으로 분류한다. S0 표기는 막대 유무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 고리: 고리 구조의 유무에 따라 은하를 분류한다. 고리가 있으면 (r)형, 없으면 (s)형으로 표기하며, 전이 단계의 은하는 (rs)형으로 분류한다.[35][16]
  • 나선팔: 허블의 원래 체계와 마찬가지로 나선팔의 조임 정도에 따라 은하를 분류한다. 드 보클레르는 여기에 추가로 Sd, Sm, Im형을 도입했다.[15]
  • Sd (SBd)형: 희미하고 파괴된 나선팔과 매우 희미한 중심 팽대부를 가진다.
  • Sm (SBm)형: 외양이 불규칙하고 팽대부가 없다.
  • Im형: 매우 불규칙한 은하이다.

이 세 분류는 대부분 허블 분류에서 Irr I형으로 분류되었던 은하들이다. Sd형은 허블의 Sc형 은하 일부를 포함한다. Sm형과 Im형 은하는 마젤란은하의 이름을 따서 각각 마젤란형 나선 및 불규칙은하라고 불린다. 대마젤란은하는 SBm형, 소마젤란은하는 Im형이다.[15]

대마젤란 은하: SBm 유형.


분류 요소들을 결합하여 은하의 전체 분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느슨하게 감긴 나선팔과 고리를 가지는 미약한 막대나선은하는 SAB(r)c형으로 표기한다.

드 보클레르 체계는 허블의 소리굽쇠를 3차원으로 확장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36][17][28] x축은 나선의 유무(단계), y축은 막대의 유무(종류), z축은 고리의 유무(다양성)를 나타낸다.

드 보클레르는 은하의 형태를 정량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각 분류에 수치적 허블 단계(T)를 부여했다.[18] T 값은 -6에서 +10까지이며, 음수는 조기형은하(타원은하, 렌즈형은하), 양수는 만기형은하(나선은하, 불규칙은하)에 해당한다.[18] 타원은하는 cE, E, E+, 렌즈형은하는 S0-, S00, S0+로 세분화된다. 불규칙은하는 마젤란형 불규칙(T=10) 또는 밀집형(T=11)으로 분류된다.

수치적 허블단계
허블단계 T-6-5-4-3-2-101234567891011
드 보클레르 분류[36][17][28]cEEE+S0-S00S0+S0/aSaSabSbSbcScScdSdSdmSmIm
대략적인 허블 분류[37][20][29]ES0S0/aSaSa-bSbSb-cScSc-IrrIrr I


4. 여키스 분류법 (모건 분류법)

여키스 분류법(''Yerkes scheme'') 또는 모건 분류법(''Morgan scheme'')은 미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윌슨 모건이 만든 은하 분류법이다.[21][22] 모건은 필립 키넌과 함께 스펙트럼을 통한 별의 분류에 관한 MK 체계를 만들었다.[21] 여키스 분류법은 은하 내 별의 스펙트럼(주계열성의 종류), 은하의 실제 모양과 겉모습, 중심에 별이 집중된 정도를 이용한다.[21]

분류에 사용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분광형설명
aA형 별이 많음
afA-F형 별이 많음
fF형 별이 많음
fgF-G형 별이 많음
gG형 별이 많음
gkG-K형 별이 많음
kK형 별이 많음



은하의 모양설명
B막대나선
D나선 또는 타원 구조의 표명 없이 회전대칭
E타원
Ep먼지흡수를 보이는 타원
I불규칙
L표면밝기
N작고 밝은
S나선



경사설명
1"정면"으로 보이는 은하(Face-on 은하)
2
3
4
5
6
7"모서리"가 보이는 은하(Edge-on 은하)



예를 들어, 안드로메다 은하는 kS5형으로 분류된다.[22]

5. 한국 천문학에의 기여

5. 1. 한국 천문학자들의 은하 분류 연구

5. 2. 한국의 관측 시설

5. 3. 한국과 은하 연구의 미래

참조

[1] 웹사이트 A remarkable galactic hybrid https://www.spacetel[...] 2017-02-27
[2] 논문 Extra-galactic nebulae 1926
[3] 서적 The Realm of the Nebula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36
[4] 웹사이트 The Hubble tuning fork – classification of galaxies https://www.spacetel[...] 2019-02-06
[5] 서적 Galactic Astr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Elliptical Galaxy https://astronomy.sw[...] 2020-09-19
[7] 웹사이트 Lenticular Galaxies http://cas.sdss.org/[...] 2019-02-06
[8] 뉴스 Hubble explores the origins of modern galaxies http://www.spacetele[...] 2013-08-20
[9] 웹사이트 Galaxies http://www.jb.man.ac[...] 2019-02-06
[10] 웹사이트 THE HUBBLE SEQUENCE http://svn.ari.uni-h[...] 2019-02-06
[11] 뉴스 Citizen scientists re-tune Hubble's galaxy classification https://www.eurekale[...] 2019-06-11
[12] 논문 Galaxy Zoo: unwinding the winding problem – observations of spiral bulge prominence and arm pitch angles suggest local spiral galaxies are winding https://academic.oup[...] 2019-06-12
[13] 서적 Astrophysik IV: Sternsysteme / Astrophysics IV: Stellar Systems 1959
[14] 서적 Galactic Astr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15] 웹사이트 Galaxy – Types of galaxies https://www.britanni[...] 2019-02-06
[16] 논문 Revised Classification of 1500 Bright Galaxies 1963-04
[17] 논문 Global Physical Parameters of Galaxies https://www.stsci.ed[...] 2008-01-02
[18] 웹사이트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lassifications of Galaxies https://ned.ipac.cal[...] 2019-02-06
[19] 논문 Simulation of the Cosmic Evolution of Atomic and Molecular Hydrogen in Galaxies
[20] 서적 Galactic Astr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21] 웹사이트 The Yerkes Classification https://ned.ipac.cal[...] 2019-02-06
[22] 웹사이트 galaxy classification http://www.daviddarl[...] 2019-02-06
[23] 논문 Extra-galactic nebulae
[24] 서적 The Realm of the Nebulae Yale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Hubble explores the origins of modern galaxies - Astronomers see true shapes of galaxies 11 billion years back in time https://www.spacetel[...] 2024-04-06
[26] 논문 Classification and Morphology of External Galaxies
[27] 서적 Galactic Astr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논문 Global Physical Parameters of Galaxies http://www.stsci.edu[...] 2008-01-02
[29] 서적 Galactic Astr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저널 외부은하성운
[31] 서적 성운의 왕국 예일 대학교 프레스
[32] 뉴스 최근 은하의 기원에 관해 탐사한 허블 http://www.spacetele[...] 2013-08-20
[33] 저널 외부은하의 분류와 형태
[34] 서적 은하 천문학 프린스턴 대학교 프레스
[35] 저널 수정된 1500개의 밝은 은하에 대한 분류 2013-11-02
[36] 저널 은하에 관한 전반적인 물리계수 http://www.stsci.edu[...] 2008-01-02
[37] 서적 은하 천문학 프린스턴 대학교 프레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