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건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진 건판은 19세기 중반 습식 콜로디온 공정을 사용한 유리 건판의 등장으로 시작되었으며, 1871년 젤라틴 건판의 발명으로 사진 촬영이 간편해졌다. 1878년 공업 생산이 시작되어 대중화되었지만, 1880년대 후반 유연한 필름과 롤 필름의 등장으로 점차 쇠퇴했다. 한국에서는 개화기 이후 도입되어 전문 사진가와 아마추어에게 보급되었으나, 1930년대 후반 롤 필름 카메라의 보급으로 사용이 감소했다.
유리 건판은 천문학, 물리학, 전자 현미경, 의료 영상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특히 천문 관측과 고에너지 물리학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재는 CCD 이미지 센서, 디지털 이미징 기술 등으로 대체되었지만, 역사적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 때문에 사진 건판의 아카이브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흑백 사진술 - 헬리오그래피
헬리오그래피는 조제프 니세포르 니에프스가 1820년대 초에 개발한 사진 기술로, 유대 역청을 이용해 이미지를 얻는 방식이며 최초의 영구적인 사진 이미지 제작에 기여했고, 그의 친척에 의해 헬리오그라뷔르로 발전되었다. - 흑백 사진술 - 다게레오타이프
다게레오타이프는 루이 자크 망데 다게르가 발명한 은판 직접 사진 기술로, 네거티브 없이 좌우 반전된 단 한 장의 긍정 이미지를 얻는 특징을 가지며 초상 사진 분야에서 인기를 끌었다. - 입자 검출기 - 볼로미터
볼로미터는 입사 복사 에너지 흡수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로, 다양한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극저온 볼로미터는 첨단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입자 검출기 - 가이거 계수기
가이거 계수기는 방사선을 감지하는 장치로, 가이거-뮐러 계수관의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사선을 검출하고 방사선량 측정 및 입자 검출에 활용된다. - 광학 재료 - 은
은은 원자번호 47번의 전이 금속으로, 뛰어난 전기 및 열 전도성, 높은 광택과 가공성을 지녀 화폐, 장신구, 산업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태양전지 분야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광학 재료 - 석영
석영은 지구 지각에서 흔히 발견되는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진 규산염 광물로, 다양한 색상과 결정 구조를 가지며 도구 제작, 전자 제품, 장신구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소재이지만, 가공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사진건판 | |
---|---|
사진술 | |
종류 | 감광성 유리판 |
용도 | 천체사진 분광학 전자 현미경 |
재료 | 유리 할로겐화 은 젤라틴 |
역사 | |
발명 | 니세포르 니에프스 (1820년대) |
대중화 | 1850년대 |
대체 | 사진 필름 (20세기 초) |
2. 역사
19세기 중반, 습식 콜로디온 공정을 사용하는 유리 건판이 등장하여 사진 촬영에 혁명을 일으켰다. 1871년 영국의 의사 리처드 리치 매독스가 젤라틴 건판(건식 건판)을 발명하면서 사진 촬영 과정이 더욱 간편해졌다.[21][22] 초기에는 청색에만 감광되었지만, 1873년 헤르만 빌헬름 포겔이 황색과 녹색에 대한 감광성을 갖게 하는 방법을 발명하여[23] 컬러 사진의 가능성을 열었다. 1878년에는 건판이 공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하면서[22][24] 상자에 담아 구매하고 원하는 때에 현상할 수 있게 되어[21] 단기간에 습판을 대체했다.[22] 1884년에는 요제프 마리아 에더가 건판을 개량했다.[23]
건판은 감도가 습판보다 수 배나 높았고,[21] 핸드 카메라와 순간 셔터의 개발을 촉진하여[21] 휴대 촬영을 가능하게 했다.[21] 이는 아마추어 사진 작가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1888년, 니트로셀룰로스를 베이스로 한 롤 필름이 등장하면서[25] 건판의 수요는 감소했다. 1880년대 후반, 유연한 필름이 중형 카메라의 아마추어 용도로 판매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광학적 품질이 높지 않았고, 평평한 지지 표면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투명한 플라스틱 베이스의 생산 비용이 유리보다 비쌌다. 그러나 품질 개선과 제조 비용 절감으로 필름이 대중화되었다.
1910년대 후반, 전문 사진가용 대형 고품질 컷 필름이 도입되면서 일반 사진 촬영에서 건판 사용은 더욱 드물어졌다. 천문학 및 기타 과학 분야에서는 1980년대 초 전하 결합 소자(CCD)로 대체될 때까지 건판이 사용되었다.
2. 1. 한국에서의 건판
한국에서는 개화기 이후 사진 기술이 도입되면서 유리 건판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주로 전문 사진사들이 사용했으나, 점차 아마추어 사진가들에게도 보급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건판이 수입되어 사용되었다. 1931년 만주 사변을 계기로 일반 구매력이 증대되면서 아마추어 사진이 유행했으며, 롤 필름 카메라의 보급으로 건판 사용이 감소했다.[26] 다나카 마사오는 1935년을 "건판과 롤 필름의 교체기에 해당한다"고 했다.[26]3. 과학적 이용
유리 건판은 매우 안정적이고, 특히 광각 촬영을 위한 대형에서도 휘어지거나 왜곡되지 않아 연구용 촬영에서 필름보다 뛰어났다.
그러나 건판은 양자 효율이 약 2%에 불과했지만, 전하 결합 소자(CCD)는 양자 효율이 더 높고, 빛에 대한 응답의 선형성이 좋으며, 촬영과 이미지 처리가 용이해 1980년대 초부터 이 분야에서 사진 건판을 대체했다. 그럼에도 CCD는 현재 존재하는 최대 포맷에서도 많은 사진 건판의 해상도에 미치지 못해, 천문학에서 서베이 관측용 카메라에는 CCD 칩을 나란히 배열한 대규모 어레이를 사용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나 (FITS 등의) 데이터 형식의 "수명"에 대해 불확실한 점이 있어, 사진 건판의 필요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천체 관측 등의 전문적인 분야에서는 1990년대까지 사진 건판이 사용되었다.[4]
3. 1. 천문학
유리 건판은 안정적이고 휘어지거나 왜곡될 가능성이 적어 천체 관측에 혁명을 가져왔다. 특히 광시야 이미징을 위한 대형 프레임에서 더욱 그랬다.1891년 막스 볼프가 323 브루시아를 발견하면서 소행성 발견에 사진 건판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1898년 포에베를 시작으로 여러 천체의 위성들이 사진 건판을 통해 발견되었다. 1930년 명왕성은 블링크 비교기를 사용하여 사진건판으로 발견되었으며, 그 위성 카론은 1978년 미국 해군 천문대의 천문학자 제임스 W. 크리스티에 의해 발견되었다.[4]
1950년대의 최초 팔로마 천문대 천체 관측(POSS)과 1990년대의 후속 POSS-II 관측, 그리고 남쪽 적위의 영국 슈미트 망원경 관측 등 주요 천문 관측에 활용되었다.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와 존네베르크 천문대 등에서는 변광성 연구를 위해 사진 건판 아카이브를 보관하고 있다.
천체사진술의 여러 중요한 응용 분야, 즉 천문 분광학 및 천체 측량학 등은 디지털 이미징이 사진 결과보다 우수해질 때까지 건판을 계속 사용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전하 결합 소자(CCD)로 점차 대체되었는데, 이는 CCD가 양자 효율이 더 높고, 빛에 대한 응답의 선형성이 좋으며, 촬영과 이미지 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스트만 코닥과 기타 제조업체들은 1980년부터 2000년 사이에 건판 시장이 축소되면서 대부분의 종류의 건판 생산을 중단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CCD는 현재 존재하는 최대 포맷에서도 많은 사진 건판의 해상도에 미치지 못한다. 이 때문에 현재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서베이 관측용 카메라에서는 CCD 칩을 나란히 배열한 대규모 어레이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나 (FITS 등의) 데이터 형식의 "수명"에 대해서도 불확실한 점이 있기 때문에, 사진 건판의 필요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3. 2. 물리학
유리 건판은 전리 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초기 고에너지 물리학 연구에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사진 건판을 사용하여 방사선의 강도를 측정하고, 방사성 붕괴에서 생성된 광선이 다양한 물질에 흡수되는 현상을 연구했다.[6] 1910년대 빅토르 프란츠 헤스는 사진 건판을 겹쳐 쌓아 남은 흔적을 통해 우주선을 발견했다. 그는 사진 건판을 고산 지대로 가져가거나 기구를 이용해 높은 대기권으로 올려 관측을 수행했다.[6]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입자 검출을 위해 핵 건판이 최적화되었고, 이를 통해 1947년 파이 중간자, 1949년 K 중간자가 발견되어 20세기 후반 새로운 입자 발견의 물결을 이끌었다.[6]3. 3. 전자 현미경
사진 건판은 원래 전자 현미경으로 이미징하기 위해 얇은 유리판에 코팅되었는데, 이는 플라스틱 필름에 비해 더 견고하고 안정적이며 평평한 면을 제공했기 때문이다.[7] 1970년대부터 코닥(Kodak), 일포드(Ilford), 듀퐁(DuPont)에서 제조한 두꺼운 플라스틱 필름에 코팅된 고대비, 미세 입자 에멀젼이 유리판을 대체했다. 이러한 필름은 이후 디지털 이미징 기술로 대체되었다.[8]3. 4. 의료 영상
X-선에 대한 민감도를 가진 특정 유형의 사진건판은 의료 영상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이미지 플레이트 검출기 등 재사용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X-선 검출기로 대부분 대체되었다.[28]4. 보존
유리 건판은 깨지기 쉽고, 건판 위의 에멀젼은 열화될 수 있어 보존에 주의해야 한다.[9] 또한, 유리 건판은 깨지기 쉬우며 올바르게 보관하지 않으면 금이 갈 수 있다.[9]
4. 1. 역사적 아카이브
미국 의회도서관은 1855년부터 1900년까지의 습식 및 건식 사진 건판 네거티브를 방대하게 소장하고 있으며,[10] 이 중 7,500점 이상이 1861년부터 1865년까지의 기간에 디지털화되었다.[11]조지 이스트만 박물관도 광범위한 사진 건판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12] 1951년 홀터만 컬렉션의 일부로 발견된 1955년 약 1.22m × 약 0.91m 크기의 습식 건판 네거티브는 당시 발견된 가장 큰 유리 네거티브로 알려졌다.[13] 이 사진들은 1875년 찰스 베일리스[14]에 의해 촬영되었으며, 시드니 항의 "쇼어 타워" 파노라마[15]를 구성했다.[13] 이 네거티브로 제작된 알부민 인화 접촉 인화는 홀터만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으며, 네거티브는 컬렉션의 현재 소장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4][16]
4. 2. 과학적 아카이브
천문학에서 필름 대신 유리 건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개발 과정이나 환경 변화에서 눈에 띄게 수축하거나 변형되지 않기 때문이다.[5] 천체사진술의 여러 중요한 응용 분야, 즉 천문 분광학 및 천체 측량학 등은 디지털 이미징이 사진 결과보다 우수해질 때까지 건판을 계속 사용했다.[5]사진 건판의 보존은 천문학에서 특히 중요하다. 변화가 종종 느리게 일어나고 이 건판들이 1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는 하늘과 천체에 대한 대체 불가능한 기록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천문 사진 건판의 디지털화는 이러한 독특한 천문 데이터를 자유롭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를 보존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접근 방식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약 22,000개의 슈미트 망원경의 유리 및 필름 건판이 스캔되고 목록화된 발도네 천체물리 관측소에서 적용되었다.[17]
피스가 천문 연구소(PARI)의 천문 사진 데이터 보관소(APDA)는 2007년에 모여 천문 건판을 가장 잘 보존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모인 국제 과학자 그룹의 권고에 따라 만들어졌다. APDA는 원치 않는 건판을 보관하고 목록화하며, 전 세계 과학자, 연구원 및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APDA는 현재 40개 이상의 관측소에서 수집한 404,000개 이상의 사진 이미지를 소장하고 있다. 이 시설에는 허블 우주 망원경을 안내하고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가이드 스타 카탈로그 및 디지털화된 천구 측량을 개발하는 데 사용된 고정밀 스캐너인 GAMMA I 및 GAMMA II를 포함한 여러 건판 스캐너가 있다. APDA의 네트워크 저장 시스템은 100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18]
마운트 윌슨 천문대의 역사적인 사진 건판 컬렉션은 카네기 관측소에서 이용할 수 있다.[19] 메타데이터는 검색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20] 건판의 일부는 디지털화되었다.
5. 규격
유리 건판은 안정적이고 휘어지거나 왜곡될 가능성이 적어 연구 품질의 이미징에 필름보다 훨씬 우수했다. 특히 광시야 이미징을 위한 대형 프레임에서 더욱 그랬다. 다양한 크기의 유리 건판이 사용되었는데,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명칭 | 영국식 | 미터법 |
---|---|---|
쿼터 건판 | 3.25x | 83x |
하프 건판 | 4.75x | 120x |
풀 건판 | 6.5x | 216x |
1899년 조지 R. 로렌스는 "맘모스"라는 별명의 뷰 카메라를 제작했는데, 이 카메라는 8x 크기의 유리 건판으로 사진을 찍었다.[1]
5. 1. 일반 촬영용
1871년 Richard Leach Maddox영어가 발명했다.[21][22] 처음에는 청색에만 감광되었지만, 1873년 Hermann Wilhelm Vogel영어이 황색과 녹색에 대한 감광성을 갖게 하는 방법을 발명했고,[23] 1878년 공업 생산이 시작되어[22][24] 상자에 담아 구매하여 원하는 때에 현상할 수 있었기 때문에[21] 단기간에 습판을 대체했다.[22] 1884년 Josef Maria Eder영어가 개량했다.[23] 감도는 사진 습판보다 수 배나 높았으며,[21] 핸드 카메라와 순간 셔터의 개발을 촉진해[21] 휴대 촬영을 가능하게 했고,[21] 아마추어 사진 작가의 참여를 가능하게 했다.큰 판의 건판은 유리칼로 잘라 작은 건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27]
명칭 | 크기(cm) | 비고 |
---|---|---|
아톰판 | 4.5×6[29] | 휘티히가 발매한 아톰에서 유래. 소형 카메라에 주로 사용.[22] |
소명함판 | 5.7×8.3[30] | 미국에서 널리 사용. 수찰판의 절반 크기.[30] |
대명함판 | 6.5×9[27][30][31][29] | 1859년 프랑스의 데이데리가 창시. 유럽에서 널리 사용.[30] |
수찰판 | 8×10.5[31][29] | 미국에서 널리 사용. 옛 신분증 크기.[31] |
대륙수찰판 | 9×12[27][31][29] | 유럽에서 널리 사용.[31] |
엽서판 | 10×14[33] | |
캐비넷판 | 12×16.5 | 구미에서 장식장에 사진을 장식하는 습관에서 유래.[22] |
대캐비넷판 | 13×18[34][35] | 유럽 규격.[35] |
5. 2. 스테레오 사진용
- 4×10.5cm 판 - 명함판을 가로로 자른 크기로, 소네 슌스이도의 토키오스코프에 사용된 특수 크기이다.
- 4.5×10.7cm 판 - 1900년에 사용되기 시작하여[29] 널리 사용되었다.
- 6×13cm 판 - 널리 사용되었다.
6. 대체품
건판용 틀에 시트 필름을 넣어 대용할 수 있다.[27] 시트 필름(sheet film)을 건판처럼 쓸 수 있게 해주는 황동(놋쇠)판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0.3mm 두께의 황동판을 필름 크기보다 조금 작게 잘라 양면 테이프로 시트 필름에 붙이면 된다.[27] 이때 황동판은 뒷받침으로 사용되므로, 검게 칠하지 않아도 실제 사용에 문제는 없다.[27]
참조
[1]
웹사이트
The Largest Photograph in the World of the Handsomest Train in the World
https://web.archive.[...]
Chicago & Alton Railway
2016-01-30
[2]
웹사이트
Harrow Photos – History of the Hills & Saunders Photographic Collection
https://web.archive.[...]
2016-02-08
[3]
웹사이트
Belle Vue Studio - Photo Archive - Bradford Museums & Galleries
https://photos.bradf[...]
[4]
웹사이트
Charon Discovery Image – Galleries –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web.archive.[...]
2016-01-21
[5]
논문
The Southern Proper Motion Program. III. A Near-Complete Catalog to V = 17.5
[6]
논문
Nuclear Emulsions
https://cds.cern.ch/[...]
1966-05
[7]
서적
Biological electron microscopy : theory, techniques, and troubleshooting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2016-01-21
[8]
논문
Digital imaging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2000-10-01
[9]
논문
Glass plate negatives.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1986
[10]
웹사이트
Civil War Glass Negatives and Related Prints
https://www.loc.gov/[...]
2016-04-06
[11]
웹사이트
Civil War Glass Negatives and Related Prints
https://www.loc.gov/[...]
2016-04-06
[12]
웹사이트
Conservation
https://eastman.org/[...]
2016-03-23
[13]
논문
Australia's Holtermann collection of wet plate negatives
https://web.archive.[...]
2016-03-23
[14]
웹사이트
Panorama of Sydney and the Harbour, New South Wales
http://www.artgaller[...]
2016-03-24
[15]
웹사이트
Holtermann panorama
http://nga.gov.au/Ex[...]
2016-03-24
[16]
웹사이트
Three glass plate negatives of Sydney Harbour from the Holtermann residence, St. Leonards
http://acmssearch.sl[...]
2016-04-07
[17]
논문
Processing of Digital Plates 1.2m of Baldone Observatory Schmidt Telescope
2017-06
[18]
웹사이트
ADPA
https://www.pari.edu[...]
[19]
웹사이트
Plate Archive Search Tool (PAST)
https://obs.carnegie[...]
2020-12-16
[20]
웹사이트
Carnegie Observatories Plate Archive Database
https://plates.obs.c[...]
2021-01-07
[21]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
[22]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
[23]
서적
ツァイス・イコン物語
[24]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
[25]
서적
現代カメラ新書No.6、クラシックカメラ入門
[26]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No.2、名機105の使い方
[27]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
[28]
웹사이트
富士イメージングプレート _ 富士フイルム
http://fujifilm.jp/b[...]
富士フイルム
2015-12-13
[29]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No.22、アイレスのすべて/アトム判カメラの世界
[30]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
[31]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
[32]
웹사이트
AGFA APX 100 glass plates
https://www.macodire[...]
2016-09-02
[33]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
[34]
서적
クラシックカメラ専科
[35]
서적
銘機礼賛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