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사 거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사 거리는 GPS 수신기의 위치 및 시계 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거리 측정값이다. 수신기의 부정확한 시계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네 개의 위성으로부터의 의사 거리를 이용하여 위치와 시간 오차를 추정한다. 의사 거리는 삼변측량과 유사한 방식으로 위치를 계산하지만, 수신기 시계 오차를 고려하여 '의사 삼변측량'이라고 불린다. 계산의 정확도는 위성 배치에 따라 결정되며, 기하학적 정밀도 저하(GDOP) 값을 통해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PS - 텔레매틱스
    텔레매틱스는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정보 전달을 의미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과 정보 과학의 합성어로, 차량 텔레매틱스를 중심으로 자동차 자동화 및 자율주행 기술과 연계되어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되며 미래 교통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GPS - 지오캐싱
    지오캐싱은 GPS 기술을 활용하여 숨겨진 보물(캐시)을 찾고 기록하는 야외 레크리에이션 활동이며,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개의 캐시가 존재하고, 안전, 법적, 환경 문제와 관련된 사건도 발생한다.
  • 측지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측지학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항법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항법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의사 거리
개요
정의위성으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에 대한 추정치
특징실제 거리와 약간의 차이가 있음
대기 지연, 수신기 및 위성 시계 오차 등으로 인해 발생
측정 원리
측정 방법위성이 전송한 신호의 전파 시간 측정
신호 전파 시간에 빛의 속도를 곱하여 계산
포함 요소실제 거리
전리층대류권 지연
수신기 시계 오차
위성 시계 오차
오차 보정
대기 지연모델링 또는 추가적인 측정으로 추정 및 보정
시계 오차차분 기법 (DGPS) 사용
여러 위성 신호 결합하여 보정
활용
용도GPS
GNSS 등의 위성 항법 시스템에서 위치 결정에 사용
의사 거리 측정값 기반으로 수신기 위치 및 시각 결정
추가 정보
참고 문헌Teunissen, Peter; Kleusberg, Alfred (1998). GPS Observation Equations and Positioning Concepts. GPS for Geodesy. Springer Berlin Heidelberg.
Blewitt, Geoffrey (1997). Basics of the GPS Technique: Observation Equations. Geodetic Applications of GPS. Swedish Land Survey.

2. 의사 거리(Pseudorange) 및 시간 오차 추정

일반적으로 수신기에서는 타이밍을 위해 석영 발진기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석영 시계의 정확도는 백만 분의 1보다 좋지 않다(더 크다). 따라서 시계를 일주일 동안 보정하지 않으면 편차가 너무 커서 지구상의 위치가 아닌 달 궤도 밖의 위치로 보고될 수 있다. 시계를 보정하더라도 1초 후에는 전형적인 석영 시계의 경우 1초 후에 오차가 수백 미터가 되므로 위치 계산에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러나 GPS 수신기에서는 시계 시간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다른 위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므로 측정된 모든 거리가 동일한 오차를 갖게 된다. 동일한 오차를 가진 거리를 의사 거리라고 한다. 정확한 위치 계산을 위해 네 번째 위성의 의사 거리를 추가로 찾으면 시간 오차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 거리와 네 개의 위성 위치를 갖게 되면 실제 수신기의 ''x'', ''y'', ''z'' 축을 따라 위치와 시간 오차 \Delta t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우리가 거리가 아닌 ''의사'' 거리에 대해 말하는 이유는 바로 이 알 수 없는 수신기 시계 오프셋과의 "오염" 때문이다. GPS 위치 확인은 때때로 삼변측량이라고 불리지만, 더 정확하게는 ''의사 삼변측량''이라고 불린다.

오차 전파의 법칙에 따라 수신기 위치나 시계 오프셋은 정확하게 계산되지 않고, 측지학에서 알려진 최소 자승 조정 절차를 통해 ''추정''된다. 이러한 부정확성을 설명하기 위해, 소위 GDOP 수량, 즉 기하학적 정밀도 저하(x,y,z,t)가 정의되었다.[2]

따라서 의사 거리 계산은 수신기의 위치와 시계 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네 개의 위성 신호를 사용한다. 백만 분의 1의 정확도를 가진 시계는 매초 백만 분의 1초의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 오차에 빛의 속도를 곱하면 300미터의 오차가 발생한다. 일반적인 위성 배열의 경우 이 오차는 약 \textstyle{\sqrt 2}만큼 증가한다(위성이 서로 가까이 있으면 감소하고, 위성이 모두 지평선 근처에 있으면 증가한다). 이 시계를 사용하여 위치를 계산하고 세 개의 위성만 사용하면 가만히 서 있어도 GPS는 초당 300미터 이상의 속도(시속 1000 km 이상 또는 시속 600마일)로 이동하고 있다고 표시한다. 세 개의 위성 신호만으로는 GPS 수신기가 300m/s가 시계 오차 때문인지 GPS 수신기의 실제 움직임 때문인지 판단할 수 없다.

사용 중인 위성이 하늘에 흩어져 있으면 기하학적 정밀도 저하(GDOP) 값은 낮고, 수신기 시점에서 위성이 서로 근접해 있으면 GDOP 값은 높아진다. GDOP 값이 낮을수록 위치 오차와 거리 오차 계산의 비율이 좋아지므로 GDOP는 의사 거리를 사용하여 지구 표면에서 수신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성의 수가 많을수록 GDOP 값은 더 좋아진다.

2. 1. 의사 삼변측량(Pseutrilateration)

GPS 위치 결정은 삼변측량과 유사하지만, 수신기 시계 오차 때문에 "의사" 삼변측량이라고 불린다.[2]

일반적으로 수신기에서는 타이밍을 위해 석영 발진기를 사용한다. 석영 시계의 정확도는 백만 분의 1보다 좋지 않기 때문에, 시계를 일주일 동안 보정하지 않으면 위치가 달 궤도 밖으로 보고될 수 있다. 시계를 보정하더라도 1초 후에는 오차가 수백 미터가 될 수 있다.[2] 그러나 GPS 수신기에서는 시계 시간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다른 위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므로, 측정된 모든 거리가 동일한 오차를 갖게 된다. 이러한 거리를 의사 거리라고 한다. 네 번째 위성의 의사 거리를 추가로 찾으면 시간 오차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 거리와 네 개의 위성 위치를 통해 실제 수신기의 위치(x, y, z 축)와 시간 오차 \Delta t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2]

의사 거리 계산은 수신기의 위치와 시계 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네 개의 위성 신호를 사용한다. 백만 분의 1의 정확도를 가진 시계는 매초 백만 분의 1초의 오차를 발생시키며, 빛의 속도를 곱하면 300미터의 오차가 발생한다. 일반적인 위성 배열의 경우 이 오차는 약 \textstyle{\sqrt 2}만큼 증가한다. 세 개의 위성만 사용하면 GPS는 초당 300미터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고 표시할 수 있다.[2]

사용 중인 위성이 하늘에 흩어져 있으면 기하학적 정밀도 저하(GDOP) 값은 낮고, 위성이 서로 근접해 있으면 GDOP 값은 높아진다. GDOP 값이 낮을수록 위치 오차와 거리 오차 계산의 비율이 좋아지므로, GDOP는 의사 거리를 사용하여 지구 표면에서 수신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성의 수가 많을수록 GDOP 값은 더 좋아진다.[2]

2. 2. 오차 전파 및 최소 자승 조정

일반적으로 GPS 수신기에서는 타이밍을 위해 석영 발진기를 사용한다. 석영 시계의 정확도는 백만 분의 1보다 좋지 않기 때문에, 시계를 일주일 동안 보정하지 않으면 편차가 너무 커져서 위치가 달 궤도 밖으로 나타날 수 있다.[2] 시계를 보정하더라도 1초 후에는 오차가 수백 미터가 될 수 있다. GPS 수신기에서는 시계 시간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다른 위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므로, 측정된 모든 거리는 동일한 오차를 갖게 되며, 이러한 거리를 의사 거리라고 한다.

GPS 위치 확인은 삼변측량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더 정확하게는 ''의사 삼변측량''이라고 불린다.[2] 오차 전파의 법칙에 따라 수신기 위치나 시계 오프셋은 정확하게 계산되지 않고, 측지학에서 알려진 최소 자승 조정 절차를 통해 ''추정''된다.[2]

의사 거리 계산은 수신기의 위치와 시계 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네 개의 위성 신호를 사용한다. 백만 분의 1의 정확도를 가진 시계는 매초 백만 분의 1초의 오차를 발생시키며, 빛의 속도를 곱하면 300미터의 오차가 발생한다. 일반적인 위성 배열의 경우 이 오차는 약 \textstyle{\sqrt 2}만큼 증가한다. 세 개의 위성 신호만으로는 GPS 수신기가 300m/s가 시계 오차 때문인지 GPS 수신기의 실제 움직임 때문인지 판단할 수 없다.

정확한 위치 계산을 위해 네 번째 위성의 의사 거리를 추가로 찾으면 시간 오차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 거리와 네 개의 위성 위치를 갖게 되면 실제 수신기의 위치와 시간 오차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확성을 설명하기 위해, 기하학적 정밀도 저하(x,y,z,t)를 나타내는 GDOP 수량이 정의되었다.[2] 사용 중인 위성이 하늘에 흩어져 있으면 GDOP 값은 낮고, 수신기 시점에서 위성이 서로 근접해 있으면 GDOP 값은 높아진다. GDOP 값이 낮을수록 위치 오차와 거리 오차 계산의 비율이 좋아지므로 GDOP는 의사 거리를 사용하여 지구 표면에서 수신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성의 수가 많을수록 GDOP 값은 더 좋아진다.

2. 3. 정밀도 저하(GDOP)

일반적으로 수신기에서는 타이밍을 위해 석영 발진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석영 시계의 정확도는 백만 분의 1보다 좋지 않기 때문에, 시계를 보정하지 않으면 큰 편차가 발생하여 위치 계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2] GPS 수신기에서는 시계 시간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다른 위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므로, 측정된 모든 거리는 동일한 오차를 갖게 된다. 이러한 거리를 의사 거리라고 하며, 네 번째 위성의 의사 거리를 추가로 찾아 시간 오차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 거리와 네 개의 위성 위치를 통해 수신기의 위치와 시간 오차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2]

GPS 위치 확인은 삼변측량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더 정확하게는 ''의사 삼변측량''이라고 불린다.[2]

오차 전파의 법칙에 따라 수신기 위치나 시계 오프셋은 정확하게 계산되지 않고, 최소 자승 조정 절차를 통해 ''추정''된다. 이러한 부정확성을 설명하기 위해 기하학적 정밀도 저하(Geometric Dilution of Precision, GDOP)라는 수량이 정의되었다.[2]

의사 거리 계산은 수신기의 위치와 시계 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네 개의 위성 신호를 사용한다. 백만 분의 1의 정확도를 가진 시계는 매초 백만 분의 1초의 오차를 발생시키며, 빛의 속도를 곱하면 300미터의 오차가 발생한다. 사용 중인 위성이 하늘에 흩어져 있으면 GDOP 값은 낮고, 위성이 서로 근접해 있으면 GDOP 값은 높아진다. GDOP 값이 낮을수록 위치 오차와 거리 오차 계산의 비율이 좋아지므로, GDOP는 의사 거리를 사용하여 지구 표면에서 수신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성의 수가 많을수록 GDOP 값은 더 좋아진다.

3. 한국의 GPS 관련 기술 및 정책 (더불어민주당 관점)

참조

[1] 논문 GPS Observation Equations and Positioning Concepts 1998
[2] 논문 Basics of the GPS Technique: Observation Equations https://nbmg.unr.edu[...] Swedish Land Survey 1997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