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고리 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고리 탐은 러시아 제국의 블라디보스토크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1918년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부터 모스크바 국립 교육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가르쳤다. 1932년 표면 준위 개념을 제안하여 MOSFET 개발에 기여했고, 1945년에는 다체 문제 해결을 위한 탐-댄코프 근사를 개발했다. 1958년 체렌코프 효과 발견으로 파벨 체렌코프, 일리야 프랑크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1951년 안드레이 사하로프와 함께 토카막을 고안하여 핵융합 기술 발전에 공헌했다. 달의 충돌구 '탐'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무신론자 -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의 물리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수소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나 핵실험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권 문제를 비판하며 반체제 활동을 펼쳤으며, 핵무기 감축과 민주주의 확산을 주장하고 인권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는 소련 민주화에 기여했다. - 소련의 무신론자 - 레프 란다우
레프 란다우는 저온, 응축물질, 플라스마 물리학에 기여한 소련의 이론 물리학자로, 란다우 학파를 이끌고 페르미 액체 이론 등 획기적인 이론을 제시했으며, 이론물리학 교과서를 집필했고, 액체 헬륨의 초유체 현상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블라디보스토크 출신 - 보리스 그리즐로프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보리스 그리즐로프는 하원 의원 당선 후 내무부 장관, 통합 러시아 수장, 국가 두마 의장을 거쳐 현재 벨라루스 주재 러시아 대사로 활동하고 있다. - 블라디보스토크 출신 - 일리야 벨랴코프
일리야 벨랴코프는 러시아 출신의 한국어 전공자로, 한국어능력시험 최고 점수를 받고 삼성에서 근무했으며, 방송 출연과 칼럼 기고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소련의 노벨상 수상자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소련의 노벨상 수상자 -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의 물리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수소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나 핵실험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권 문제를 비판하며 반체제 활동을 펼쳤으며, 핵무기 감축과 민주주의 확산을 주장하고 인권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는 소련 민주화에 기여했다.
이고리 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이름 | Игорь Тамм |
본명 | Игорь Евгеньевич Тамм |
로마자 표기 | Igor' Evgen'evich Tamm |
태어난 날 | 1895년 7월 8일 |
태어난 곳 | 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주 블라디보스토크 |
죽은 날 | 1971년 4월 12일 |
죽은 곳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국적 | 러시아 제국→소련 |
분야 | 물리학 |
소속 | 제2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모스크바 물리학 기술 연구소 레베데프 물리학 연구소 |
출신 대학 |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
지도 교수 | 레오니트 만델시탐 |
지도 학생 | 레오니트 브레홉스키흐 레오니트 켈디시 이고리 골로빈 안드레이 사하로프 아나톨리 블라소프 비탈리 긴즈부르크 |
주요 업적 | 탐 준위 핵자 자기 모멘트 체렌코프-바빌로프 방사선 프란크-탐 공식 토카막 포논 퀀텀 속도 한계 수소폭탄 |
수상 | |
수상 | 로모노소프 황금 메달(1967) 노벨 물리학상(1958) 사회주의 노동영웅(1954) 스탈린 국가상 |
2. 생애
이고리 탐은 러시아 제국(현재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태어나, 에딘버러 대학교와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918년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부터 모스크바 국립 교육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가르쳤다.
1932년 표면 준위 개념을 제안했고, 1945년 다체 문제를 근사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은 시드니 댄코프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탐-댄코프 근삿값'이라고 불린다. 1951년 안드레이 사하로프와 함께 토카막을 고안하여 핵융합 기술 발전에 공헌했고, 1958년에는 체렌코프 효과의 발견으로 파벨 체렌코프, 일리야 프랑크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1971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으며, 달의 충돌구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 탐으로 명명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이고리 탐은 러시아 제국(현재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태어났다. 1913년부터 이듬해까지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했다. 1918년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했다. 1923년 5월 1일 모스크바 국립 교육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 해에 그는 그의 첫 번째 학술적 논문인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의 이방성 안정 상태에서의 전기력'을 발표했다. 1928년에 그는 파울 에렌페스트와 함께 레이던 대학교에서 몇 달 동안 일했다.2. 2. 학문적 업적
1923년 5월 1일, 탐은 첫 번째 학술 논문인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의 이방성 안정 상태에서의 전기력'을 발표했다. 1928년에는 파울 에렌페스트와 함께 레이던 대학교에서 몇 달 동안 연구했다.1932년 표면 준위 개념을 제안하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개념은 MOSFET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1945년 다체 문제를 근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시드니 댄코프도 1950년에 독립적으로 이 방법을 개발해 '탐-댄코프 근삿값'으로 불린다.
1951년 안드레이 사하로프와 함께 도넛 모양의 원자로에 기초한 토카막을 고안하여 핵융합 기술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1958년 체렌코프 효과의 발견 및 해석으로 파벨 체렌코프, 일리야 프랑크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 3. 사망
1971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충돌구 가운데 하나는 그의 이름을 따서 '탐'(Tamm)으로 명명되었다.3. 과학적 업적과 영향
1923년 5월 1일, 모스크바 국립 교육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같은 해,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의 이방성 안정 상태에서의 전기력에 관한 첫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1928년에는 파울 에렌페스트와 함께 레이던 대학교에서 몇 달 동안 연구했다. 1932년에는 표면 준위 개념을 제안했고, 1945년에는 다체 문제를 근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1958년, 체렌코프 효과 발견으로 파벨 체렌코프, 일리야 프랑크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1951년에는 안드레이 사하로프와 함께 토카막을 고안했다.
3. 1. 표면 준위 이론
1932년 탐은 표면 준위 개념을 제안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개념은 MOSFET에 굉장히 중요하며, 반도체 소자, 특히 MOSFET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이다.3. 2. 탐-댄코프 근사
1932년 그는 표면 준위의 개념을 제안했는데, 이 개념은 MOSFET에 굉장히 중요하다. 1945년에는 다체 문제를 근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시드니 댄코프도 1950년에 독립적으로 같은 방법을 개발했기에, 이 방법은 '탐-댄코프 근삿값'으로 불린다.3. 3. 토카막 개발
1951년 안드레이 사하로프와 함께 도넛 모양의 원자로에 기초한 토카막을 고안하여 핵융합 기술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토카막은 핵융합 연구의 핵심 장치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핵융합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4. 노벨 물리학상 수상
1958년 파벨 체렌코프, 일리야 프랑크와 함께 체렌코프 효과를 이론적으로 설명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