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난차 비르게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난차 비르게 칸은 나이만 칸국의 칸으로, 구추구트 씨족 출신이다. 그는 형 나얼시 타양과 함께 예니세이 키르기스를 정복하고, 1143년 야율대석이 죽은 후 독립했다. 그는 1174년 케레이트의 토그릴의 동생 에르케 카라를 지지했으며, 사후 나이만 칸국은 아들들에 의해 분열되었다. 몽골비사에서는 그를 나이만인들 사이에서 명예로운 인물로 묘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만족의 칸 - 타이양 칸
    타이양 칸은 12세기 말 나이만족의 칸으로 형을 살해하고 즉위, 이복동생과의 갈등, 몽골의 테무진(칭기즈 칸)과의 대립, 케레이트 옹 칸과의 동맹, 그리고 1204년 칭기즈 칸에게 패배하여 사망한 인물이다.
  • 1107년 출생 - 남송 고종
    고종은 금나라의 침략으로 북송이 멸망한 후 남송을 건국하고 군사력 강화와 문화 발전에 힘썼으며, 금나라와의 화평을 추구하다가 양위한 남송의 초대 황제이다.
  • 1107년 출생 - 엔리코 단돌로
    엔리코 단돌로는 고령과 실명에도 불구하고 제4차 십자군 원정을 이끌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베네치아의 이익을 극대화한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이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을 묵인하여 비잔티움 제국의 문화유산을 파괴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198년 사망 - 교황 첼레스티노 3세
    오르시니 가문 출신으로 산타 마리아 인 코스메딘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이었던 첼레스티노 3세는 교황 특사로도 활동했으며, 1191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하인리히 6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고 시칠리아 왕국, 덴마크, 이베리아 반도의 기독교 제국 문제에 관여하고 독일 기사단을 인가했다.
  • 1198년 사망 - 만적
    고려 신종 때 최충헌의 노비 만적은 1198년 신분 해방을 주장하며 봉기를 모의했으나 실패했고, 이는 고려 사회의 신분 질서에 대한 저항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자 한국 역사상 최초의 신분 해방 운동으로 평가받는다.
이난차 비르게 칸
인물 정보
이름이난치 빌게 칸
칸위 계승
통치 기간기원후 1143년경 – 1198년
선임자나에르시 타양 (纳儿黑失太阳)
후임자타이부카 (자이산 호수 근처)
사망일1198년 또는 1202년
배우자귀르베수 (古兒別速)
자녀타이부카
부이루크 칸
가문귀취귀트
가문 유형씨족
종교네스토리우스파

2. 가계와 가족 관계

이난차 비르게 칸은 나이만의 구추구트 씨족 출신으로, 베테긴 씨족을 따랐다.[6] 그는 형 나얼시 타양(納兒黑失太陽|납아흑실태양중국어)을 계승하였다.[4] 그가 죽은 후 나이만 칸국은 그의 아들들인 타이양 칸과 부이루크 칸이 다스리는 두 개의 파벌로 나뉘었다.

2. 1. 가족

이난차 비르게 칸은 여러 아내를 두었으며, 그중 이름이 알려진 후처는 그르베스(古兒別速|고아별속중국어)이다. 그는 최소 두 명의 아들을 두었다.

  • 전처 : 이름 미상
  • * 장남 : 타이양 칸 (타이부카)
  • ** 손자 : 쿠츨루크
  • * 차남 : 부이루크 칸
  • 후처 : 그르베스


이난차 비르게 칸 사후, 그의 후처 그르베스는 의붓아들인 타이양 칸과 수혼하였다.[8]

3. 통치와 업적

이난차 비르게 칸은 나이만의 구추구트 씨족 출신으로[6], 형 나얼시 타양(納兒黑失太陽)과 함께 예니세이 키르기스를 정복하는 업적을 세웠다. 이후 형의 뒤를 이어 칸이 되었다.[4]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나이만은 카라키타이로부터 독립하는 등[5] 세력을 키웠으며, 주변 부족과의 관계에도 관여하였다.[7] 그러나 그가 사망한 후 나이만 칸국은 그의 아들들에 의해 둘로 나뉘었다.

3. 1. 나이만의 독립

1143년 카라키타이(서요)의 군주였던 예루다시가 사망하자, 이난차 비르게 칸은 나이만의 독립을 선언하였다.[5]

3. 2. 케레이트와의 관계

1174년, 케레이트의 통치자 토그릴의 동생인 에르케 카라를 지지하였다.[7]

3. 3. 나이만의 분열

이난차 비르게 칸이 사망한 후, 나이만 칸국은 그의 두 아들인 타이양 칸과 부이루크 칸이 각각 이끄는 세력으로 나뉘어 분열되었다.

4. 평가

그는 《몽골비사》에 따르면 나이만인들 사이에서 명예로운 인물로 알려졌다.[2]

참조

[1] 문서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2] 문서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3] 서적 Çengiz Han (1155-1227) Istanbul
[4] 서적 Jami al Tawarikh The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5] 서적 Poiski vymyšlennogo carstva : legenda o "gosudarstve presvitera Ioanna" Ajris Press 2003
[6] 간행물 《聖武親征錄》 http://www.chinaknow[...] 1952-07-31
[7] 서적 Flexibility and Limitation in Steppe Formations: The Kerait Khanate and Chinggis Khan https://books.google[...] BRILL 1998-01-01
[8] 서적 Women and the making of the Mongol Empire 2018-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