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니세이 키르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8세기부터 13세기까지 존재했던 민족으로, 현재의 키르기스족, 하카스족, 푸유 키르기스족, 알타이족 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차아타스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중국 기록에는 다양한 이름으로 등장했다. 8세기 돌궐 제국 멸망 후 독자적인 국가를 건설했으며, 위구르를 멸망시키고 몽골 제국에 복속되기 전까지 중앙아시아에서 세력을 떨쳤다. 몽골 제국 시대 이후에는 농업 식민지로 바뀌었으며, 일부는 톈산 산맥으로 이주하여 키르기스족의 조상이 되었다.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튀르크계 언어를 사용했으며, 유목과 농업을 결합한 경제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카스 공화국의 역사 - 카라수크 문화
    카라수크 문화는 기원전 2300년에서 기원전 700년 사이 시베리아 남부에서 번성한 청동기 시대 문화로, 농업과 목축을 기반으로 움집에서 생활하며, 곡선형 칼과 마구를 특징으로 하는 청동기 제작 기술이 발달했다.
  • 하카스 공화국의 역사 - 아파나시에보 문화
    아파나시에보 문화는 기원전 3300년경부터 기원전 2500년경까지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준가리아에 이르는 지역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로서, 폰토스-카스피 스텝의 얌나야 문화와 유전적으로 가깝고 초기 목축 및 구리, 청동 야금술을 사용했으며 쿠르간 문화와의 연관성을 통해 초기 인도유럽어족과의 관련성이 제기된다.
  • 키르기스스탄의 역사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36년부터 1991년까지 존속한 소련의 구성 공화국으로, 계획경제 체제하에 면화 재배 중심의 농업과 소규모 공업이 발전했으나 중앙집권적 통제와 경제적 착취, 문화적 동화 정책, 민족 갈등, 종교적 자유 제한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독립 후에도 그 시대의 경험이 현재 키르기스스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키르기스스탄의 역사 - 2010년 키르기스스탄 혁명
    2010년 키르기스스탄 혁명은 경제난, 공공요금 인상, 부패, 족벌주의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폭발하여 쿠르만벡 바키예프 대통령의 퇴진과 과도 정부 수립을 초래한 정치적 격변이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역사 - 카라수크 문화
    카라수크 문화는 기원전 2300년에서 기원전 700년 사이 시베리아 남부에서 번성한 청동기 시대 문화로, 농업과 목축을 기반으로 움집에서 생활하며, 곡선형 칼과 마구를 특징으로 하는 청동기 제작 기술이 발달했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역사 - 아파나시에보 문화
    아파나시에보 문화는 기원전 3300년경부터 기원전 2500년경까지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준가리아에 이르는 지역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로서, 폰토스-카스피 스텝의 얌나야 문화와 유전적으로 가깝고 초기 목축 및 구리, 청동 야금술을 사용했으며 쿠르간 문화와의 연관성을 통해 초기 인도유럽어족과의 관련성이 제기된다.
예니세이 키르기스
기본 정보
키르기스스탄의 깃발
키르기스스탄의 깃발
키르기스스탄의 위치
키르기스스탄의 위치
언어오래된 튀르크어
종교텡그리 신앙
불교
마니교
관련 민족괵튀르크
키르기스인
하카스인
푸위 키르기스인
시베리아 타타르인
알타이인
카자흐인
역사
존속 기간539년 - 1207년
주요 사건539년: 키르기스족의 발흥
840년: 위구르족 격파 후 오르혼 강 유역 점령
1207년: 몽골 제국에 복속
정치
주요 세력키르기스족
문화
문자오르혼 문자

2. 역사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고고학적으로 차아타스 문화(Чаатас|차아타스ru) 및 타쉬티크 문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2][3] 중국 초기 역사 기록인 사기한서에는 각각 '게쿤'(鬲昆|Gekun중국어) 또는 '견곤'(堅昆|Jiankun중국어)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으며,[5] 이후 다양한 이름으로 표기되었다.[4] 피터 골든은 이들의 명칭이 고대 튀르크어 'qïr'(회색)에서 파생된 *''Qïrğïz'' < *''Qïrqïz'' < *''Qïrqïŕ'' 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6][7]

예니세이 키르기스가 이 지역을 장악했을 당시의 타쉬티크 문화의 끝 무렵에 사용된 장례 가면. 서기 5-6세기


예니세이 키르기스 유물


엘레게스트 비문


기원전 202년경, 흉노의 묵돌 선우에게 정복되어 흉노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8] 당나라 시대 문헌인 단성식의 유양잡조에는 키르기스의 신화적 조상이 "신과 암소"이며, 기원지는 사얀 산맥 또는 탄누올라 산맥으로 추정되는 '쿠만'(Quman) 산 북쪽 동굴이라는 기록이 있다.[9][10][11][12]

8세기 돌궐 제국이 멸망한 후,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돌궐의 오르혼 문자를 받아들이고 독자적인 예니세이 키르기스 카간국을 세웠다. 이들은 중국 및 아바스 칼리파조와 교역하며 번성했다. 키르기스 카간들은 한나라 장군 이릉의 후손임을 내세웠는데, 당나라 황실 역시 이릉의 조부 이광을 선조로 여겼기 때문에 당나라로부터 종친으로 인정받기도 했다.[13][14][15][16][17][18]

758년 위구르 카간국에 정복되었으나, 지속적인 저항 끝에 840년 위구르 수도 오르두 발리크를 함락시키고 위구르 세력을 몽골 고원에서 몰아냈다.[19][20] 그러나 키르기스는 몽골 고원을 장악하기보다는 예니세이 강 유역의 본거지에 머물렀다.

중국 기록에는 키르기스인이 "붉은 머리카락과 녹색 눈", "키가 크고 흰 얼굴"을 가졌다는 묘사가 자주 등장한다.[31][26][27][28][34] 이는 키르기스인이 원래 튀르크계가 아니거나, 정령, 사클라브족 등 다른 민족과 혼혈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4] 언어적으로도 일부 비(非)튀르크계 어휘가 발견되어 사모예드족 등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32] 8세기 이후 비문 등에서 확인되는 언어는 명백히 튀르크어이며, 외형이나 일부 차용어만으로 비튀르크계 기원을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존재한다.[32][33]

13세기 초 칭기즈 칸몽골 제국에 평화적으로 복속되어 독립 국가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이후 일부는 준가르 칸국에 의해 준가리아로 강제 이주되었고, 18세기 청나라가 준가르를 멸망시킨 후에는 오이라트 부족과 함께 만주의 넌니강 유역으로 이주하여 푸유 키르기스족을 형성하기도 했다.[21][22] 이들은 현재 대부분 몽골족이나 중국인에 동화되었다.[23][24][25]

오늘날 예니세이 키르기스의 후손으로는 현대 키르기스족, 하카스족, 푸유 키르기스족, 알타이족 등이 있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3세기 ~ 기원후 6세기)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고고학적으로 차아타스 문화(Čaatas culture) 및 타쉬티크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2][3]

이들은 중국의 초기 역사 기록인 사기한서에 처음 등장하는데, 각각 '게쿤'(鬲昆|Gekun중국어) 또는 '견곤'(堅昆|Jiankun중국어)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5] 이후 중국 기록에서는 'Jiegu'(結骨), 'Hegu'(紇骨), 'Hegusi'(紇扢斯), 'Hejiasi'(紇戛斯), 'Hugu'(護骨), 'Qigu'(契骨), 'Juwu'(居勿), 'Xiajiasi'(黠戛斯) 등 다양한 이름으로 표기되었다.[4] 피터 골든은 이들의 명칭이 고대 튀르크어 'qïr'(회색)에서 파생된 *''Qïrğïz'' < *''Qïrqïz'' < *''Qïrqïŕ'' 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6][7]

기원전 202년경, 흉노선우 묵돌은 당시 '게쿤'(鬲昆)으로 알려진 키르기스를 정복했다.[8] 이로써 키르기스는 흉노, 굴설, 정령(丁零), 신리(薪犁) 등과 함께 흉노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8]

당나라 시대의 문헌인 단성식의 유양잡조에는 키르기스 부족('Jiānkūn bùluò' 堅昆部落)의 기원 신화가 기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이들의 신화적 조상은 늑대였던 돌궐이나 고차와 달리 "신과 암소"(神與牸牛)였으며, 기원지는 '쿠만'(Quman, 曲漫山) 산 북쪽의 동굴이었다고 한다.[9][10][11] 이 '쿠만' 산은 오늘날의 사얀 산맥 또는 탄누올라 산맥과 동일시된다.[12] 구당서에는 키르기스 군대가 튀르크어 'Kögmän'(> 중. ''Quman'')과 옘 강(> 劍 ''Jiàn'')에서 파생된 'Qīngshān'(青山, "푸른 산") 옆에 주둔했다는 언급도 있다.[12]

중국 기록에는 예니세이 키르기스인의 신체적 특징에 대한 묘사가 남아있다. 당 회요(961년)는 안서도호부 도호 게자윈(Ge Jiayun)의 말을 인용하여, '젠쿤'(Jiankun)으로 알려진 키르기스인들이 모두 붉은 머리카락과 녹색 눈을 가졌다고 전한다.[31][26][27][28] 검은 눈과 검은 머리카락을 가진 이들은 한나라 장군 이릉의 후손이라는 이야기도 있는데, 이는 이릉이 흉노에 항복한 후 키르기스 여인과 결혼했다는 전승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1][26][27][28] 신당서(11세기) 역시 키르기스인이 "모두 키가 크고, 붉은 머리카락, 흰 얼굴, 녹색 눈을 가지고 있다"고 기록했다.[34] 이러한 독특한 외모 묘사는 키르기스인이 원래 튀르크계가 아니거나, 비(非)튀르크계 요소가 혼합된 집단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신당서는 키르기스가 정령과 혼혈되었다고도 기록했다.[34] 가르디지는 키르기스의 붉은 머리카락과 흰 피부가 "사클라브족"(슬라브족)과의 혼혈 때문이라고 보기도 했다.[34]

초기 키르기스인의 언어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중국 기록에 남은 키르기스 단어 중 일부(예: 철을 의미하는 'qaša' 또는 'qaš')가 튀르크어가 아니라고 보고, 이들이 사모예드족과 같은 비튀르크계 언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2] 그러나 에드윈 G. 풀리블랭크는 해당 단어가 통전의 기록("하늘에서 쇠가 비가 내리면, 그들은 그것을 모아 사용한다. 그들은 그것을 지아샤(jiasha, LMC kiaa-şaa)라고 부른다.")을 근거로 "운철"을 의미하는 튀르크어일 수 있다고 반박하며, 외모만으로 언어적 계통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주장했다.[32] 미국의 튀르크학자 마이클 드롬프 역시 외모나 일부 차용어만으로는 키르기스인이 튀르크어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33]

2. 2. 돌궐과 위구르 시대 (6세기 ~ 9세기)

6세기 중반, 돌궐 제국이 예니세이 강 유역을 장악하면서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돌궐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시기 키르기스는 돌궐 제국 내에서 어느 정도 자치권을 유지하며, 돌궐의 오르혼 문자를 받아들여 사용했다.[16][17] 8세기 중반 돌궐 제국이 멸망할 무렵,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돌궐의 국가 모델을 기반으로 자신들만의 번성하는 국가, 즉 예니세이 키르기스 카간국을 세웠다. 그들은 중앙아시아중동중국 및 아바스 왕조와 교역 관계를 맺기도 했다.

예니세이 키르기스 카간국의 카간들은 한나라의 유명한 장군 이광의 손자인 중국 장군 이릉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13][14][15] 이릉은 기원전 1세기에 흉노에게 포로로 잡혀 투항한 인물이다. 당나라의 황실 이씨 가문 역시 이광의 후손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키르기스 카간은 당 황실의 일원으로 인정받았다.[16][17] 당 중종은 키르기스 사신에게 "귀국과 우리나라는 같은 조상의 씨족(宗)이며, 너희는 다른 외국인들과 같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18]

8세기 중반 이후 중앙아시아의 패권은 위구르 카간국에게 넘어갔다. 758년, 위구르족은 키르기스 칸을 살해하고 키르기스를 자신들의 지배하에 두었다. 그러나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위구르의 지배에 순응하지 않고 자주 반란을 일으키며 저항했다. 이러한 저항은 840년에 결실을 맺어, 키르기스는 몽골 오르혼 계곡에 있는 위구르의 수도 오르두 발리크를 약탈하고 위구르족을 몽골 고원에서 완전히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19][20] 843년 2월 13일에는 "이방인 살해" 산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당나라 군대가 위구르 카간의 군대를 격파하기도 했다.[18] 하지만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위구르를 몰아낸 후 몽골 지역의 새로운 지배자가 되기보다는, 전통적인 고향인 예니세이 강 유역에 머물며 이전과 같이 생활했다. 위구르 카간국의 붕괴는 투르판, 쿠물, 간쑤 등지로 위구르족의 대규모 이주를 촉발했고, 이들은 그곳에서 고창 왕국과 간쑤 위구르 왕국을 세웠다.

2. 3. 키르기스 카간국 시대 (9세기 ~ 13세기)

840년,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위구르 카간국의 수도 오르두 발리크를 함락시키고 위구르족을 몽골 고원에서 몰아냈다.[19][20] 이는 당나라가 843년 위구르 잔존 세력에 결정적인 패배를 안긴 사건과 맞물려[18] 중앙아시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위구르를 대신하여 몽골 고원의 새로운 지배자가 되기보다는, 전통적인 근거지인 예니세이 강 유역에 머물렀다. 이들은 이미 8세기 돌궐 제국 멸망 시기부터 돌궐의 모델을 따라 국가 체제를 구축하고 있었으며,[1] 오르혼 문자를 사용하고 중국, 중앙아시아, 아바스 칼리파조 등과 교역 관계를 맺고 있었다.

예니세이 키르기스 카간국의 카간들은 한나라의 장군 이릉의 후손임을 주장했다.[13][14][15] 흉노에 투항했던 이릉의 조부 이광을 당나라 황실 이씨 역시 선조로 여겼기 때문에, 키르기스 카간은 당 황실로부터 종친(宗親)으로 인정받는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다.[16][17] 당 중종은 키르기스 사신에게 "귀국과 우리나라는 같은 조상의 씨족(宗)이며, 너희는 다른 외국인들과 같지 않다"고 말하며 이러한 관계를 확인해주었다.[18] 이는 키르기스가 당나라와의 관계를 통해 국제적 지위를 확보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13세기 초, 칭기즈 칸이 세력을 확장하자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저항 없이 평화적으로 몽골 제국에 복속되었고, 독립적인 국가로서의 지위를 상실했다. 몽골 제국 시기, 키르기스인들의 영토는 '켐-켐치크'라는 농업 식민지로 편입되었으며, 원나라는 이 지역에 몽골인한족 관리 및 식민지 주민을 파견하여 통치했다. 이로써 키르기스 카간국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4. 몽골 제국 시대 이후 (13세기 ~ 현재)

칭기즈 칸이 13세기 초에 권력을 잡았을 때,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그에게 평화롭게 복종했고, 그의 몽골 제국에 흡수되어 그들의 독립 국가를 종식시켰다. 몽골 제국 시대에 몽골 북부에 있던 예니세이 키르기스의 영토는 켐-켐치크라는 농업 식민지로 바뀌었다. 원나라를 건국한 쿠빌라이 칸몽골인한족 관리를 식민지 주민과 함께 키르기스 및 투바 지역의 판사로 파견했다.

이후 일부 예니세이 키르기스인들은 준가르 칸국에 의해 준가리아 지역으로 강제 이주되기도 했다. 1761년, 준가르가 청나라에 패배하자, 오이라트어를 사용하는 준가르 부족인 오엘레트가 중국 북동부(만주)의 넌니강 유역으로 추방되었는데, 이때 일부 예니세이 키르기스 집단도 오엘레트와 함께 이주하게 되었다.[21][22] 중국 북동부로 이주한 이들 키르기스는 푸유 키르기스족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나, 현재는 몽골족중국인과 대부분 동화되었다.[23][24][25]

오늘날 예니세이 키르기스의 후손으로는 키르기스족, 하카스족, 푸유 키르기스족, 알타이족 등이 있다.

3. 문화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3. 1. 언어와 문자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튀르크계였다. 당나라의 기록인 신당서 등에서는 이들이 위구르족과 동일한 언어를 사용했다고 전한다.[33]

다만 일부 학자들은 중국 기록에 남은 몇몇 키르기스어 단어(예: 철을 의미하는 ''qaša'' 또는 ''qaš'')가 튀르크어가 아닐 수 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키르기스가 원래 튀르크계가 아니거나 다른 민족과 혼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32] 헝가리의 언어학자 리게티는 사모예드족과의 연관성을 주장하기도 했다.[32] 그러나 에드윈 G. 풀리블랭크는 해당 단어들이 튀르크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키르기스인의 외모(붉은 머리, 녹색 눈 등) 묘사만으로 언어적 기원을 단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비판했다. 그는 당나라 시대의 다른 증거들이 키르기스가 당시 튀르크어를 사용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주장했다.[32] 미국의 튀르크학자 마이클 드롬프 역시 키르기스어에 포함된 소수의 비(非)튀르크어 어휘는 언어 차용으로 설명 가능하며, 키르기스가 튀르크어를 사용했다는 증거가 더 명확하다고 보았다.[33]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언어뿐 아니라 문자 역시 튀르크계의 것을 사용했다. 8세기 이후 제작된 엘레게스트 비문과 같은 예니세이 키르기스 비문들은 돌궐 문자와 유사한 형태의 고대 튀르크 문자로 기록되어 있으며,[33] 이는 신당서에서 이들이 위구르족과 같은 문자를 사용했다는 기록과도 일치한다. 이 비문들은 중앙아시아 튀르크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3. 2. 생활 양식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전통적인 유목민 방식의 가축 사육(주로 )과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혼합 경제를 가지고 있었다. 중국 기록에 따르면 이들은 히말라야 호밀, 보리, 좁쌀, 그리고 을 재배했다.[17] 또한, 이들은 숙련된 철기 기술자, 보석 세공인, 도공, 그리고 직조공이었다. 이들의 집은 전통적인 유목 텐트였으며, 농업 지역에서는 나무와 껍질로 만든 오두막이었다. 농업 정착지는 통나무 울타리로 보호되었다. 숲이 우거진 고향의 자원(주로 모피)은 예니세이 키르기스가 번성하는 상인이 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들은 중국, 티베트, 중동의 아바스 칼리파조 및 많은 지역 부족들과 무역 관계를 유지했다.[17] 키르기스 말은 또한 큰 덩치와 속도로 유명했다. 10세기의 페르시아 텍스트인 ''후두드 알-알람''은 키르기스를 "불을 숭배하고 죽은 자를 화장하는" 사람들이며, 사냥을 하는 유목민이라고 묘사했다.[35]

참조

[1] 간행물 "Xipoliya Yanke Suo Jian Xiajiesi Monijiao" ("Siberian Rock Arts and Xiajiesi's Manicheism") http://www.eurasianh[...] Gansu Mingzu Yanjiu 1998
[2] 서적 Siberia: A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 서적 The History of Central Asia: The Age of the Steppe Warriors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2
[4] 웹사이트 Xiajiasi 黠戛斯, Qirqiz http://www.chinaknow[...] 2012
[5] 논문 The Name of the Kirghiz Harrassowitz Verlag 1990
[6] 학술지 The Turkic World in Mahmûd al-Kâshgarî https://www.turkolog[...]
[7] 학술지 The Ethnogonic Tales of the Türks 2018-08
[8] 문서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zh.wikisourc[...]
[9] 문서 Youzang Zazu https://ctext.org/wi[...]
[10] 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2017
[11] 학술지 The Ethnogonic Tales of the Türks 2018-08
[12] 학술지 "Ethnonyms and Toponyms" of the Old Turkic Inscriptions in Chinese sources" 2014
[13] 서적 The role of women in the Altaic world: Permanent International Altaistic Conference, 44th meeting, Walberberg, 26-31 August 2001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2-02-08
[14] 서적 Tang China and the collapse of the Uighur Empire: a docu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2-02-08
[15] 서적 The Urban Civilization of Northern and Innermost Asi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Research http://nbdrx.ru/pdf/[...] ROMANIAN ACADEMY INSTITUTE OF ARCHAEOLOGY OF IAȘI Editura Academiei Romane - Editura Istros 2010
[16] 서적 The role of women in the Altaic world: Permanent International Altaistic Conference, 44th meeting, Walberberg, 26-31 August 2001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2-02-08
[17] 학술지 Breaking the Orkhon tradition: Kirghiz adherence to the Yenisei region after A. D. 840
[18] 서적 Tang China and the collapse of the Uighur Empire: a docu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19]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0-04-06
[20] 서적 China Inside Out: Contemporary Chinese Nationalism and Transnationalism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1] 서적 Manchuria: An Ethnic History https://books.google[...] Finno-Ugrian Society
[22]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1-02-11
[23] 서적 https://books.google[...] 2003
[24] 서적 https://books.google[...] 2006
[25] 서적 Tumen Jalafun Jecen Aku: Manchu Studies in Honour of Giovanni Stary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6] 서적 Interpreters in Early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2-02-08
[27] 서적 The role of women in the Altaic world: Permanent International Altaistic Conference, 44th meeting, Walberberg, 26-31 August 2001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2-02-08
[28] 서적 Tang China and the collapse of the Uighur Empire: a docu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2-02-08
[29] 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2017
[30] 학술지 The Formation of Modern Turkic 'Ethnic' Groups in Central and Inner Asia https://www.jstor.or[...] 2018
[31] 논문 The Name of the Kirghiz Harrassowitz Verlag 1990
[32] 서적 Central Asia and Non-Chinese Peoples of Ancient China Ashgate Publishing
[33] 웹사이트 The Yenisei Kyrgyz from Early Times to the Mongol Conquest https://www.academia[...] 2016-12-13
[34] 학술지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https://brill.com/vi[...] 2017-10-18
[35]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Indian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