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양 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양 칸은 1198년 나이만족의 칸이 되었으나, 형을 살해하고 칸 자리에 오른 잔혹함으로 인해 이복동생 부이루크가 반란을 일으켜 나이만족은 분열되었다. 칭기즈 칸과 대립하여 옹구트족과의 동맹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204년 몽골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함으로써 나이만족은 붕괴되었다. 그의 아들 쿠츨루크는 서요로 망명했으나 칭기즈 칸의 장수에게 패하여 처형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만족의 칸 - 이난차 비르게 칸
이난차 비르게 칸은 《몽골비사》에 언급된 나이만 부족의 지도자이자 야율이열의 아들이며, 1164년부터 1177년까지 통치하며 예니세이 키르기스를 정복한 뛰어난 지휘 능력과 용맹함으로 명성이 높은 인물이다. - 1134년 출생 - 예수게이
예수게이는 몽골 제국을 세운 칭기즈 칸의 아버지이자 몽골 부족의 지도자였으며, 1171년 타타르족에게 독살되어 사망했다. - 1204년 사망 - 마이모니데스
마이모니데스는 12세기 유대인 랍비이자 철학자, 의사로서, 유대교 법전을 집대성하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유대교 신학을 조화시키려 했으며, 의학에도 정통하여 유대교, 철학, 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204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아버지 요리토모 사후 쇼군에 올랐으나 고케닌들의 반발과 권력 다툼으로 물러난 뒤 암살당해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타이양 칸 | |
---|---|
타얀 칸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타얀 칸 (塔陽汗) |
본명 | 타이부카 (脱兒魯黒) |
씨족 | 구추구트 |
통치 정보 | |
칭호 | 칸 |
통치 국가 | 북부 나이만 |
재위 기간 | 기원후 1198년 ~ 1204년경 |
선임자 | 이난치 빌게 칸 |
후임자 | 쿠츨루크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난치 빌게 칸 |
배우자 | 귀르베수 (古兒別速) |
자녀 | 쿠츨루크 |
종교 | |
종교 | 네스토리우스교 |
사망 | |
사망 년도 | 1204년 |
2. 생애
1198년, 아버지 이난차 비르게 칸이 사망하자 타이양 칸은 나이만족의 칸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형을 살해하는 잔인함을 보였고, 이복동생 부이루크는 이에 반발하여 알타이 산맥을 거점으로 독립했다. 이로써 나이만족은 둘로 나뉘게 되었다.[7]
타이양 칸은 몽골 중부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케레이트족의 토그릴 완 칸 및 그의 동맹인 테무진(칭기즈 칸)과 대립했다. 1202년에는 메르키트족과 연합하여 몽골족을 공격했으나 패배했고, 1203년에는 토그릴 칸과 손을 잡고 테무진을 견제하려 했으나 이마저도 실패했다.
1204년, 타이양 칸은 메르키트족, 오이라트족, 자무카 등과 연합하여 테무진에게 맞섰으나 오르혼강 전투에서 대패했다. 이 전투에서 타이양 칸은 큰 부상을 입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13] 몽골 역사서 《원조비사》는 타이양 칸이 겁이 많아 몽골군의 위세에 눌려 패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타이양 칸의 사후, 그의 아들 쿠츨루크는 숙부 부이루크에게 의탁했으나, 부이루크마저 몽골군에 패배하면서 쿠츨루크는 서요로 망명했다. 쿠츨루크는 서요의 황제 야율직로고의 사위가 되어 권력을 잡았지만, 1218년 칭기즈 칸의 장수 제베에게 패배하고 파미르 고원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승계
1198년 나이만족의 칸인 아버지 이난차 비르게 칸이 고령으로 사망하자 뒤를 이어 즉위했다. 하지만, 자신이 칸 자리에 오르기 위해 형을 살해했고, 이에 분노한 이복동생 부이루크가 알타이 산맥 지역을 거점으로 스스로 칸을 칭하면서 나이만족은 둘로 나뉘었다.[7] 몽골 중부에 세력을 떨치고 있던 케레이트족의 토그릴 완 칸과 그의 동맹자인 몽골족의 테무진(칭기즈 칸)이 세력을 확장했다. 1202년 타이양 칸은 메르키트족과 동맹하고 몽골족을 습격했지만 크게 패했다.1203년 토그릴 완 칸과 테무진의 사이가 나빠지자, 타이양 칸은 토그릴 칸과 동맹하여 부이루크에 대항하는 계략을 세웠다. 그러나 테무진에 의해 토그릴 칸이 패배하면서, 몽골 중부를 장악하여 강력한 세력이 된 테무진과 싸우게 되었다. 타이양 칸은 몽골 남부 오르도스 지역의 유목 민족인 옹구트족과 동맹하여 몽골족을 포위하려고 했지만, 옹구트족의 칸 아라쿠시 테긴은 테무진의 몽골족 진영에 속해 있었다.[10]
1204년 타이양 칸은 메르키트족, 오이라트족, 망명자 자무카 등과 연합군을 결성하여, 산맥을 넘어 오르혼강에서 테무진이 이끄는 몽골군과 전쟁을 벌였지만 크게 패했다. 이로 인해 케레이트족과 대등했던 나이만족의 세력이 붕괴되었다. 몽골의 역사서 《원조비사》에 따르면, 타이양 칸 진영에 있던 자무카가 몽골군의 군대 배치와 무장에 대한 일화를 설명하면서, 겁이 많았던 타이양 칸이 이에 무서워하여 패배하였다고 한다. 타이양 칸 자신도 이 전투에서 입은 상처가 원인이 되어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13]
2. 2. 칭기즈 칸과의 대립
1198년 나이만족의 칸인 아버지 이난차 비르게 칸이 사망하자 뒤를 이어 즉위했으나, 자신이 칸이 되기 위해 형을 살해했기 때문에 이복동생 부이루크가 알타이 산맥 지역을 거점으로 스스로 칸을 칭하면서 나이만족은 양분되었다. 몽골 중부에 세력을 떨치고 있던 케레이트족의 토그릴 완 칸과 그의 동맹자인 몽골족의 테무진(칭기즈 칸)이 세력을 확장하였고, 1202년 메르키트족과 동맹하여 몽골족을 습격했지만 대패했다.[3]1203년, 토그릴 완 칸과 테무진의 사이가 나빠지자, 타이양 칸은 토그릴 칸과 동맹하여 부이루크에게 대항하는 계략을 세웠다. 그러나 테무진에 의해 토그릴 칸이 패배하면서 몽골 중부를 장악한 테무진과 싸우게 되었다. 타이양 칸은 몽골 남부 지방의 옹구트족과 동맹하여 몽골족을 포위하려 했지만, 옹구트족의 칸 아라쿠시 테긴은 테무진의 몽골족 진영에 속해 있었다.[4]
1204년, 타이양 칸은 메르키트족, 오이라트족, 그리고 망명자 자무카 등과 연합군을 결성하여 산맥을 넘어 오르혼강에서 테무진이 이끄는 몽골군과 전쟁을 벌였다. 그러나 이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면서 케레이트족과 대등했던 나이만족의 세력이 붕괴되었다. 몽골의 역사서 《원조비사》에 따르면, 타이양 칸 진영에 있던 자무카가 몽골군의 군대 배치와 무장에 대한 일화를 설명하면서 겁쟁이였던 타이양 칸이 거기에 무서워하여 패배하였다고 한다. 타이양 칸 자신도 이 전투에서 입은 상처가 원인이 되어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11][12][13]
타이양 칸 사후, 쿠츨루크는 숙부였던 부이루크에게 의지했다. 하지만 숙부도 몽골군에 패배하였고, 쿠츨루크는 쫓겨나 중앙아시아의 서요 황제 야율직로고에게 의탁하여 그의 사위가 되었고, 서요의 제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1218년 칭기즈 칸의 장수 제베의 군대에게 패배하였고, 쿠츨루크는 파미르 고원으로 도망갔지만, 그곳에 거주하는 무슬림들에게 참살되었다.
2. 3. 최후
1198년 나이만족의 칸인 아버지 이난차 비르게 칸이 고령으로 사망하자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러나 자신이 칸이 되기 위해 형을 살해했기 때문에 이복동생 부이루크가 알타이 산맥 지역을 거점으로 스스로 칸을 칭하면서 나이만족은 분열되었다.1203년 토그릴 완 칸과 테무진(칭기즈 칸)의 사이가 나빠지자, 토그릴 칸과 동맹하여 부이루크와 대항하는 계략을 세웠으나, 테무진에게 토그릴 칸이 패배하면서 몽골 중부를 장악한 테무진과 싸우게 되었다. 타이양 칸은 몽골 남부 오르도스 지역의 유목 민족인 옹구트족과 동맹하여 몽골족을 포위하려 했지만, 옹구트족의 칸 아라쿠시 테긴은 테무진의 몽골족에 속해 있었다.
1204년 타이양 칸은 메르키트족, 오이라트족 그리고 망명자 자무카 등과 연합군을 결성하여 산맥을 넘어 오르혼강에서 테무진이 이끄는 몽골군과 전쟁을 벌였다. 그러나 대패를 당했고, 이로 인해 케레이트족과 대등했던 나이만족의 세력이 붕괴되었다. 몽골의 역사서 《원조비사》는 이 전쟁에 대해 타이양 칸의 진영에 있던 자무카가 몽골군의 군대 배치와 무장에 대한 일화를 설명하면서, 겁쟁이였던 타이양 칸이 거기에 무서워하여 패배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타이양 칸 자신도 이 전투에서 입은 상처가 원인이 되어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13]
3. 타이양 칸 사후
타이양 칸 사후, 그의 아들 쿠츨루크는 숙부 부이루크 칸에게 의지했다.[3] 하지만 숙부도 몽골군에 패배했고, 쿠츨루크는 중앙아시아의 서요 황제 야율직로고에게 의탁하여 그의 사위가 된 후, 서요의 제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1218년 칭기즈 칸의 장수 제베에게 패배한 후, 파미르 고원으로 도망갔지만, 그곳 주민들에게 살해되었다.
4. 나이만 왕가
- 이난추 빌게 부쿠 칸
- * 부이루크 칸
- * 타이양 칸
- ** 쿠츨루크
차운
* 차우스
** 베테킨
- 나르크슈 타양 칸
참조
[1]
서적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2]
서적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for the first time done into English out of the original tongue and provided with an exegetical commentary
http://catalog.hathi[...]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3]
서적
Women and the making of the Mongol Empire
2018-07-18
[4]
서적
The history of the Mongol conques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1
[5]
서적
親征録
[6]
서적
元史
[7]
기타
ポール・ペリオの推測
1970
[8]
기타
1968
[9]
기타
[10]
기타
1968
[11]
기타
1972
[12]
기타
1968
[13]
기타
19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