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디-호프스티 다이어그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디-호프스티 다이어그램은 효소 반응 속도와 기질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을 직선 형태로 변환하여 시각화한다. 이 다이어그램은 반응 속도(v)를 v/a에 대해 플롯하며, 이를 통해 미카엘리스 상수(Km)와 최대 반응 속도(V)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다이어그램은 실험 설계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며, 특히 부실한 실험 설계를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데 강점이 있다. 과거에는 Km과 V 매개변수를 빠르게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비선형 회귀 분석 방법이 더 정확하게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소반응속도론 - 효소 저해제
    효소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 방식에 따라 가역적 및 비가역적 저해제로 나뉘며 의약품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효소반응속도론 - 경쟁적 저해
    경쟁적 저해는 억제제가 기질과 유사한 구조로 효소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 결합을 방해하는 효소 저해의 한 형태로, 기질 농도 증가로 억제 효과를 상쇄할 수 있으며 최대 반응 속도는 변하지 않으나 기질의 겉보기 친화도는 감소하는 특징을 가진다.
  • 다이어그램 - 회로도
    회로도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의 구성 요소와 연결을 기호와 선으로 나타낸 도식적 표현으로, 표준화된 기호와 규칙을 따르며 전자 제품 설계 및 교육에 필수적인 도구이지만 표기법 통일은 아직 완벽하지 않다.
  • 다이어그램 -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HR도표)는 항성의 광도와 표면 온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항성의 분류, 진화 단계,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이며, 주계열성, 거성, 초거성 등 다양한 항성의 종류와 분포를 보여주며 항성물리학 발전에 기여한다.
  • 생명공학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생명공학 - CRISPR
    CRISPR은 세균과 고세균이 외래 유전 물질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적응 면역 시스템으로, CRISPR-Cas9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기술로 발전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유전 질환 치료,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잠재력을 지닌다.
이디-호프스티 다이어그램
개요
종류효소 반응 속도론 그래프
목적효소 반응 속도론 분석
특징Michaelis-Menten 방정식을 선형으로 변환
역사
고안자길버트 스티븐 이디
베른하르트 호프스티
발표 년도이디: 1942년
호프스티: 1952년
수학적 표현
x축반응 속도 (v)
y축반응 속도를 기질 농도로 나눈 값 (v/[S])
기울기-Km (미카엘리스 상수)
y절편Vmax (최대 반응 속도)
방정식v = -Km (v/[S]) + Vmax
활용
장점Vmax와 Km을 시각적으로 쉽게 결정 가능
데이터 점들이 더 고르게 분포
단점x축과 y축 모두 종속 변수를 포함하여 오차 발생 가능성 증가
통계적 분석에 부적합
다른 이름
명칭이디-호프스티 플롯 (Eadie–Hofstee plot)
이디 플롯 (Eadie plot)
호프스티 플롯 (Hofstee plot)
아우구스틴손 플롯 (Augustinsson plot)

2. 방정식 유도

이디-호프스티 다이어그램의 기본이 되는 효소 반응 속도(v)와 기질 농도(a)의 관계는 미카엘레스-멘텐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v =

여기서 V는 기질이 충분히 많아 반응 속도가 최대일 때의 값(최대 반응 속도)이며, K_\mathrm{m}은 반응 속도가 최대 속도의 절반(v = 0.5V)일 때의 기질 농도로, 미하엘리스 상수라고 한다.

이디[3]와 호프스티[4]는 이 비선형적인 관계를 직선 관계로 변환하여 분석하기 쉽게 만들었다. 미카엘레스-멘텐 방정식의 양변에 를 곱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K_\mathrm{m} \cdot {v \over a} + v = V

이 식을 v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직선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v = V - K_\mathrm{m} \cdot {v \over a}

이 식은 v/a를 x축, v를 y축으로 하는 그래프(호프스티 플롯)를 그렸을 때, y절편이 V이고 기울기가 -K_\mathrm{m}인 직선이 됨을 보여준다.

한편, 축을 바꾸어 v를 x축, v/a를 y축으로 하는 그래프(이디 플롯)를 그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식은 다음과 같이 변형된다.

:{v \over a} = {V \over K_\mathrm{m}} - {1 \over K_\mathrm{m}} \cdot v

이 그래프에서는 y절편이 V \over K_\mathrm{m}이고 기울기가 - {1 \over K_\mathrm{m}}인 직선이 그려진다.

이러한 방식의 그래프는 리간드 결합 실험에서 사용되는 스캐차드 플롯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19]

3. 오귀스틴손 기여

이 그래프는 때때로 오귀스틴손(Augustinsson)의 기여로 여겨지기도 한다.[5] 이 때문에 '''울프-오귀스틴손-호프스티 그래프'''[6][7][8] 또는 단순히 '''오귀스틴손 그래프'''[9]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오귀스틴손이 vv/a 방정식을 처음 소개했을 때, 홀데인(Haldane), 울프(Woolf) 또는 이디(Eadie)를 명시적으로 인용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다른 연구에서는 홀데인[10]과 이디[3]의 연구를 인용하였고, 참고 문헌 목록에도 이들의 연구가 포함되어 있다.[5]

4. 실험 오차의 영향

실험 오차는 일반적으로 기질 농도 a가 아닌 반응 속도 v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는 v가 종속 변수이기 때문이다.[11] 결과적으로, 이디-호프스티 다이어그램의 세로축 v와 가로축 v/a 모두 실험 오차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편차는 세로축과 평행하지 않고 원점을 향하거나 원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 다이어그램이 매개변수 추정이 아닌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점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려 사항과 관계없이, 다양한 연구자들은 데이터를 표시하고 분석하기 위한 여러 가지 플롯들의 적합성을 비교해왔다.[12][13][14]

5. 매개변수 추정

다이어그램의 가장 기본이 되는 효소와 반응 속도의 관계식은 미카엘레스-멘텐 방정식으로, 효소 촉매 반응의 비율(속도) v를 기질 농도 a의 함수로 나타내는 가장 간단한 방정식이며 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v =

여기서 V는 기질이 포화 상태일 때의 반응 속도이며, a가 무한대에 가까워질 때의 한계 속도이다. K_\mathrm{m}은 미하엘리스 상수로, 반응 속도가 최대 속도의 절반(v = 0.5V)일 때의 기질 농도 a 값이다. 이디[17]와 호프스티[18]는 이 식을 다음과 같이 직선 형태로 변환하고자 했다. 먼저, 미카엘레스-멘텐 방정식의 양변에 역수를 취하면 라인위버-버크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 {1 \over v} = {1 \over V} + {K_\mathrm{m} \over V} · {1 \over a}

이를 다시 정리하여 또 다른 직선 방정식을 만들면 다음과 같다.

: v = V - K_\mathrm{m} · {v \over a}

이 식은 vv/a에 대해 그래프로 그리면 세로축 절편이 V이고 기울기가 -K_\mathrm{m}인 직선이 됨을 보여준다 (호프스티 도표). 이디 도표에서는 축이 반대로 표시되지만 원리는 동일하다. 이 도표는 리간드 결합 실험에 사용되는 Scatchard plot|스캐차드 도표영어의 동역학적 버전으로 볼 수 있다.[19]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을 직선 형태로 변환한 다른 방법들과 마찬가지로, 이디-호프스티 도표는 과거에 K_\mathrm{m}V 같은 매개변수를 빠르게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데이터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훨씬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계산적으로도 더 이상 어렵지 않은 비선형 회귀 분석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6. 실험 설계 결함 가시화

이디-호프스티 도표에서 부실한 설계를 인식하는 예시. 대부분의 기질 농도(a) 값이 너무 큰 경우(왼쪽) 또는 너무 작은 경우(오른쪽)를 보여준다.


이디-호프스티 도표는 세로축이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반응 속도(v) 값의 범위, 즉 0에서 최대 반응 속도(V)까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도표를 보면 실험 설계가 이론적인 범위 내에서 데이터를 얼마나 잘 분포시키는지 한눈에 알 수 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실험 설계가 부실할 경우 이를 숨기기 어렵다. 반면, 다른 잘 알려진 직선 형태의 도표들은 축의 눈금을 조절하여 실제보다 설계가 더 잘 된 것처럼 보이게 만들기 쉬운 경우가 있다.

오른쪽 그림처럼, 실험 설계가 부실한 경우는 흔히 나타난다. 예를 들어 기질(substrate)이 충분히 녹지 않거나, 미카엘리스 상수(K_\mathrm{m}) 값보다 높은 농도의 기질을 사용하는 것이 비용 문제 등으로 어려울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V/K_\mathrm{m} 값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어렵다. 반대로 기질 농도(a) 값이 K_\mathrm{m}보다 높은 범위에 집중되는 경우(왼쪽 그림)는 상대적으로 덜 흔하지만, 예를 들어 질산염 환원 효소 연구 등에서는 관찰되기도 한다.[15]

참조

[1] 서적 Allgemeine Chemie der Enzyme Theodor Steinkopff
[2] 논문 Graphical Methods in Enzyme Chemistry 1957
[3] 논문 The Inhibition of Cholinesterase by Physostigmine and Prostigmine 1942
[4] 논문 Non-inverted versus inverted plots in enzyme kinetics 1959-10
[5] 논문 Cholinesterases: A study in comparative enzymology. https://archive.org/[...] 1948
[6]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tivity is reduced in brain microvessel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1984-06
[7] 논문 Ontogenesis of taurocholate transport by rat ileal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s 1985-03
[8] 논문 Evidence for a high-affinity sodium-dependent D-glucose transport system in the kidney 1987-07
[9] 논문 Limitations of Augustinsson plots 1992-10
[10] 서적 Enzymes Longmans, Green, & Company
[11] 문서
[12] 논문 A comparison of estimates of Michaelis-Menten kinetic constants from various linear transformations. 1965-02
[13] 논문 A comparison of seven methods for fitting the Michaelis-Menten equation 1975-09
[14] 서적 Fundamentals of Enzyme Kinetics Wiley-Blackwell 2012-02-27
[15] 논문 Kinetic studies of a soluble αβ complex of nitrate reductase A from ''Escherichia coli'': Use of various αβ mutants with altered β subunits
[16] 서적 Allgemeine Chemie der Enzyme Steinkopff 1932
[17] 논문 The Inhibition of Cholinesterase by Physostigmine and Prostigmine https://archive.org/[...] 1942
[18] 논문 Non-inverted versus inverted plots in enzyme kinetics 1959-10
[19] 논문 Explicit Treatment of Non-Michaelis-Menten and Atypical Kinetics in Early Drug Discovery* 202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