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시는 타이완 이란현의 현 정부 소재지로, 란양 평원 중앙에 위치한다. 온난 습윤 기후를 보이며, 38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에는 카발란족의 거주지였으며, 1796년 한족의 이주를 시작으로 현재의 이란시가 형성되었다. 일본 통치 시기에는 지란 시로 개편되었으며, 1946년 중화민국으로 대만 이양 후 이란현의 현할시가 되었다.
이란현 정부와 이란현 의회가 시의 행정을 담당하며, 국립 이란 대학 등 교육 기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타이완 철로관리국 이란선, 국도 5호선 등을 통해 교통이 편리하며, 미국과 일본의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 및 교류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현의 행정 구역 - 터우청진
터우청진은 이란현 최북단에 위치한 진으로, 이란현에서 가장 먼저 개발되었으며 센카쿠 열도를 관할하고 란양 공과대학과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 이란현의 행정 구역 - 쑤아오진
타이완 이란현 동부 연안에 위치한 쑤아오진은 태평양과 접한 해안 경관, 쑤아오항과 난팡아오 어항을 중심으로 한 어업 및 상업 활동, 냉천 등의 자연 현상과 역사 유적지, 그리고 철도 및 도로 교통의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인구 37,602명의 진이다. - 대만의 현할시 - 타이둥시
타이둥시는 타이완 타이둥현의 현청 소재지로, 비난시 충적평야에 위치하며, 푸유마족과 아미족의 농경 생활 지역으로 '비남'으로 불리다 시로 승격되었고, 현재는 농업, 어업,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교육기관과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헝가리 데브레첸과 자매 도시 관계이다. - 대만의 현할시 - 화롄시
화롄시는 타이완 화롄현의 현할시로, 스페인 금광 개발 이후 한족 농민들이 정착하여 발전했으며, 1945년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에 반환된 후 화롄 시로 개칭되었고, 타이완 원주민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며, 철도, 공항, 항만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지고, 타로코 협곡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이란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이란시 |
| 다른 이름 | 기란 이란 |
| 유형 | 현 관할 도시 |
![]() | |
| 별칭 | 해당 없음 |
| 행정 구역 | |
| 현 (County) | 이란 현 |
| 하위 행정 구역 | 리 (里) |
| 리 (里) 수 | 38개 |
| 지리 | |
| 면적 | 29.87 제곱킬로미터 |
| 인구 | |
| 총 인구 | 95019명 |
| 인구 조사 기준 | 2023년 9월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정치 및 행정 | |
| 시장 | 장충위안 ()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국가 표준시 |
| UTC 오프셋 | +8 |
| 우편 번호 | 260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언어 정보 (추가 정보) | |
| 한어 병음 | yí lán shì |
| 민난어 | Gî-lân-chhī |
| 객가어 | Ngì-làn-sṳ |
| 일본어 | ぎらん (기란) |
| 한국어 | 의란시 |
2. 지리
이란시는 이란현 북부, 란양 평원의 중앙에 위치하며, 이란 현 정부의 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좡웨이향, 서쪽으로는 위안산향, 남쪽으로는 란양시를 사이에 두고 우제향, 북쪽으로는 자오시향과 접해 있다. 평균 해발 고도는 7.38m이다.[4] 면적은 29.87km2이다.[4]
기후는 온난 습윤 기후(Cfa)로, 온난한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을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섭씨 22.9도, 연평균 강수량은 2,744.3mm이다.
2. 1. 행정 구역
이란시는 38개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11][12]| 지역 | 리(里) |
|---|---|
| 북 | , , , , |
| 남 | , , , , |
| 동 | , , , , , , |
| 서 | , , , , , , , , |
| 중 | , , , , , , , , , , |
이란시는 옛 대만 원주민 평포족 카발란족의 거주지였다. 17세기 초 스페인 선교사들이 이 지역을 처음으로 기록했으며, 이후 네덜란드의 지배를 받았다. , 噶瑪蘭|갈마란|Kat-má-lán중국어 등으로 불렸다.[1]
현재 제공된 자료에는 이란시의 전반적인 정치 상황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다만, 역대 시장에 대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생략합니다.
3. 역사
18세기 말(1796년), 청나라는 푸젠성 장저우와 취안저우, 광둥 사람들을 이끌고 온 오사를 통해 이란 평원에 대한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했다. 이때 탄생한 '5위'가 현재 이란 시의 시작이다. 19세기 초(1812년)에는 가마란청(噶瑪蘭廳)이 설치되어 행정 통치가 시작되었으며,[2] 1876년에는 이란현(宜蘭縣)으로 승격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1895년~1945년)에는 이란현이 기란 지청(1895년), 변무서(1897년), 지란 청(1902년) 등으로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1940년에는 지란 가(街)를 포함한 여러 행정 구역이 합병되어 지란 시(市)가 성립되었고, 이것이 현재 이란시 행정구역의 기초가 되었다.
1945년 중화민국 반환 이후, 1946년 이란현의 현할시로 지정되었다.[3] 1947년 2.28 사건 당시 이란시에서도 많은 시민들이 희생되었다.
전후 국민당 정권 하에서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어 반국민당 정서가 강한 지역으로 여겨졌으며, 최근에는 민진당 소속 시장이 선출되기도 했다.
4. 정치
4. 1. 역대 시장
제3대진아보 1954년 - 1960년 제4대 진조지 1960년 - 1964년 제5대
제6대엽환배 1964년 - 1973년 제7대
제8대간무송 1973년 - 1979년 [17] 대리 백토염 1979년 - 1982년 제9대 임건영 중국 국민당 1982년 - 1986년 제10대 오반룡 중국 국민당 1946년 - 1949년 제11대
제12대임건영 중국 국민당 1990년 - 1996년 선출 의원 보궐 곽시남 민주진보당 1996년 - 1998년 제13대
제14대여국화 중국 국민당 1998년 - 2006년 제15대
제16대황정화 중국 국민당 2006년 - 2014년 제17대 강총연 민주진보당 2014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