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란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선은 일본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현재 중화민국에서 운영하는 철도 노선이다. 1924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1980년대 복선화, 2000년과 2003년에 걸쳐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주요 여객 열차로는 자강호, 거광호, 구간차 등이 운행되며, 2020년 산사태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복구되었다. 이란선은 27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 차오링 터널 등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시설물들이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바르셀로나 지하철
    바르셀로나 지하철은 바르셀로나 도시권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TMB와 FGC가 12개 노선을 운영하며, 1863년 개통 이후 1920년대 확장을 거쳐 100km가 넘는 연장 길이와 187개 이상의 역을 갖춘 광역 대중교통망이다.
  • 192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한신 난바선
    한신 난바선은 아마가사키역과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덴포선으로 개통하여 니시오사카선을 거쳐 200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킨테쓰 난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광역적인 운행을 실시하는 총 연장 10.1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
  • 대만 철로 관리국 - 북회선
    북회선은 타이완 이란과 화롄 사이의 산악 지형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시작되었으나 1970년대에 재개되어 1979년 개통되었고, 현재는 타이완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 대만 철로 관리국 - 구간차
    타이완 철로 관리국에서 운행하는 구간차는 중·단거리 수송을 담당하며, 2006년부터 여러 등급의 열차를 통합하여 부르는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첩운화 정책에 따라 통근형 전동차를 투입하여 수송력을 증대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 대만의 철도 노선 - 북회선
    북회선은 타이완 이란과 화롄 사이의 산악 지형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시작되었으나 1970년대에 재개되어 1979년 개통되었고, 현재는 타이완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 대만의 철도 노선 - 핑둥선
    핑둥선은 타이완 철로 관리국이 운영하며 가오슝시에서 핑둥현을 지나 팡랴오향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1941년 개통 이후 복선화, 전철화, 지하화 등의 업그레이드를 거쳐 현재 21개의 역이 운영되고 있다.
이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이란선 노선도
이란선 노선도
노선 종류여객/화물 철도
기점바두역
종점쑤아오역
역 수27개
개통1924년 11월 30일
소유주대만 철로 관리국
운영자대만 철로 관리국
선로 수2개
궤간1,067 mm
노선 길이93.6 km
전철화교류 25 kV/60 Hz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150 km/h
명칭
한국어이란선
로마자 표기Ilan seon
중국어 (정체)宜蘭線
중국어 병음Yílán Xiàn
통용 병음Yílánsiàn
주음 부호ㄧˊ ㄌㄢˊㄒㄧㄢˋ
대만어Gî-lân Soàⁿ
객가어Ngì-làn Sien
일본어宜蘭線
기술 정보 (정거장)
연결 노선 (바두역)종관선
연결 노선 (쑤아오역)북회선

2. 역사

이란선은 타이완 철로 관리국이 관리하는 철도 노선으로, 1919년 일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24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단선으로 건설되었으나, 1980년대에 복선화되었고, 2000년대에는 전철화가 이루어졌다. 2020년에는 산사태로 인해 일부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복구 작업을 통해 정상화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이란선은 1917년 타이완 총독부에 의해 착공되어[9] 1924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9]. 초기에는 단선 철도로 건설되었으나, 이후 교통량 증가에 따라 1986년에 복선화되었다[9][4].

개통 당시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1919년 3월 24일이란~뤄둥 구간 개통[4]
1919년 5월 5일바두~루이팡 구간 개통[5]
1919년 11월 15일자오시~쑤아오 구간 개통[4]
1920년 1월 27일루이팡~허우둥 구간 개통[6]
1920년 12월 10일남선이 다리까지 개통[7]
1924년 12월 1일구 차오링 터널 완공으로 전 노선 개통[9]



구 차오링 터널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시설물들이 남아있다.

2. 2. 중화민국 시기

1945년 일본 패전 후 중화민국이 이란선을 접수하였다.[9] 1980년대에 복선화 사업을 시작하여[8] 1986년 1월 9일 전 구간 복선화가 완료되었다.[9][4] 2000년 5월 3일에는 바두에서 뤄둥까지 전철화되었고,[10] 2003년 7월 4일 뤄둥 이남 구간까지 전철화하여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12]

2020년 12월 4일, 산사태로 루이팡 구의 허우통과 루이팡 사이 구간이 매몰되어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1] 이후 복구 작업을 거쳐 12월 14일 해당 구간 운행을 재개통하였고,[3] 2021년 2월 3일 모든 구간의 운행이 정상화되었다.[17]

3. 운행 형태

이란선은 타이완 철로 유한공사가 관리하며, 바두에서 쑤아오 간 93.6km 구간을 운행한다. 궤간은 1067mm이고, 전 구간 복선 및 전철화(교류 25,000V, 60Hz)되어 있다. 1919년에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고, 1924년 12월 1일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23]


  • 구간차·구간쾌차
  • 수린-쑤아오 구간을 기본으로 운행하며, 종관선에서는 먀오리, 후커우 발착 등이 있다. 이란선 내에서는 루이팡, 푸룽, 터우청, 이란, 쑤아오신 발착 등이 있고, 이란 발착을 중심으로 베이후이선으로 직통하는 열차도 있다.

  • 동부간선대호열차
  • 상행 열차는 대부분 타이둥, 화롄을 시발점으로 하며, 일부는 쑤아오에서 출발한다.
  • 하행 열차는 대부분 수린을 시발점으로 하며, 화롄, 타이둥 및 쑤아오까지 운행한다.
  • 일부 열차는 서부간선으로 직통하여 신주, 타이중, 장화 등으로 운행된다.

3. 1. 여객 열차


  • 자강호/타이루거호
  • * 전동차
  • ** E1000형 푸시-풀 방식 전동차
  • ** 진자식 TEMU1000형 전동차 (타이루거호)
  • ** 차체 경사식 TEMU2000형 전동차 (푸유마호)
  • ** EMU3000형 (2021년부터[23])
  • * 기동차
  • ** DR2800형
  • ** DR2900형
  • ** DR3000형
  • 거광호/부흥호
  • * 일등 객차/이등 객차 (평쾌 제외)
  • 구간차/구간쾌차
  • * EMU500형
  • * EMU600형
  • * EMU700형
  • * EMU800형
  • * EMU900형 (2021년부터[24])
  • DR1000형

3. 2. 화물 열차

주어진 자료에 따르면, 이란선은 화물 운송에 직접적으로 이용된다는 내용은 없다. 따라서 이전 답변은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 제공된 정보는 이란선을 경유하는 여객 열차에 관한 것이므로, "화물 열차" 섹션에 포함될 수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4. 차량

자강호(자강호)는 타이완 철로 관리국의 특급 열차이며, 거광호(거광호)는 여객 열차, 구간차와 구간쾌차는 통근 열차이다.

이 외에 사용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 EMU500형
  • EMU600형
  • EMU700형
  • EMU800형
  • EMU900형 (2021년부터[24])
  • DR1000형

4. 1. 여객용

전동차

  • E1000형 푸시-풀 방식 전동차
  • 진자식 TEMU1000형 전동차 (타이루거호)
  • 차체 경사식 TEMU2000형 전동차 (푸유마호)
  • EMU3000형 (2021년부터[23])

기동차

  • DR2800형
  • DR2900형
  • DR3000형

4. 2. 화물용

타이완 철로 관리국에서 운행하는 화물용 차량은 다음과 같다.

차종설명
E1000형푸시-풀 방식 전동차
TEMU1000형진자식 전동차 (타이루거호)
TEMU2000형차체 경사식 전동차 (푸유마호)
EMU3000형2021년부터 운행[23]
DR2800형기동차
DR2900형기동차
DR3000형기동차
EMU500형전동차
EMU600형전동차
EMU700형전동차
EMU800형전동차
EMU900형2021년부터 운행[24]
DR1000형기동차


5. 역 목록

번호역명중국어명영문명영어역간 거리 (km)누계 거리 (km)등급접속 노선소재지
093바두八堵Badu영어0.00.02등종관선기륭시 난난구
091놘놘暖暖Nuannuan영어1.61.6초호기륭시 난난구
090쓰자오팅四腳亭Sijiaoting영어2.33.93등신베이시 루이팡구
089루이팡瑞芳Ruifang영어5.18.91등선아오 선신베이시 루이팡구
088허우퉁猴硐Houtong영어4.513.53등신베이시 루이팡구
087싼댜오링三貂嶺Sandiaoling영어2.616.03등핑시 선신베이시 루이팡구
086무단牡丹Mudan영어3.519.6초호신베이시 솽시구
085솽시雙溪Shuangxi영어3.322.92등신베이시 솽시구
084궁랴오貢寮Gongliao영어5.428.3을간신베이시 궁랴오구
083푸룽福隆Fulong영어3.832.03등신베이시 궁랴오구
082스청石城Shicheng영어5.437.4초호이란현 터우청진
081다리大里Dali영어2.740.1갑간이란현 터우청진
080다시大溪Daxi영어4.744.8초호이란현 터우청진
079구이산龜山Guishan영어4.649.4갑간이란현 터우청진
078와이아오外澳Wai'ao영어3.653.0초호이란현 터우청진
077터우청頭城Toucheng영어3.656.63등이란현 터우청진
076딩푸頂埔Dingpu영어1.458.8초호이란현 터우청진
075자오시礁溪Jiaoxi영어4.962.93등이란현 자오시향
074쓰청四城Sicheng영어4.767.6을간이란현 자오시향
073이란宜蘭Yilan영어3.771.31등이란현 이란시
072얼제二結Erjie영어5.877.13등이란현 우제향
071중리中里Zhongli영어1.278.3초호이란현 우제향
070뤄둥羅東Luodong영어1.880.12등이란현 뤄둥진
069둥산冬山Dongshan영어5.085.12등이란현 둥산향
068신마新馬Xinma영어4.289.3초호이란현 쑤아오진
067쑤아오신蘇澳新Su'aoxin영어0.990.21등북회선이란현 쑤아오진
066쑤아오蘇澳Su'ao영어3.493.62등이란현 쑤아오진


6. 주요 시설물


  • 구 차오링 터널 (푸룽 - 스청 간) - 이란현 지정 고적이다. 복선화 사업으로 폐지되어 2008년에 자전거 도로(둥베이 자싱처다오)로 재이용되고 있다.[20] 이후 환도 1호선에 포함되었다.[21]
  • 구 산디아오링 터널 (산디아오링 - 무단 간) - 신베이시 지정 역사 건축물이다.[19]
  • 이란역 급수탑 및 구 창고 - 이란현 지정 역사 건축물이다.[22]

7. 사건/사고

2020년 12월 4일, 루이팡 구의 허우퉁과 루이팡역 사이 구간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여 선로가 매몰되고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1] 긴급 복구 작업을 통해 10000m3의 잔해를 제거하고 전차선을 복구하여,[2] 12월 14일에 해당 구간의 운행이 완전히 재개되었다.[3]

8. 한국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

이란선은 한국의 동해선과 여러 유사점을 가지면서도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유사점'''


  • '''지리적 위치:''' 두 노선 모두 국토의 동쪽 해안을 따라 건설되어 수도권과 동해안 지역을 연결한다.
  • '''역할:''' 여객 및 화물 운송을 담당하며, 지역 경제 및 관광 산업 활성화에 기여한다.
  • '''역사:'''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었으며, 이후 현대화 과정을 거쳤다.[9]


'''차이점'''

이란선은 전 구간이 복선 전철화(교류 25,000V, 60Hz)되어 있지만, 동해선은 일부 구간만 전철화되어 있다.[1] 또한, 이란선에는 틸팅 열차인 타이루거호와 푸유마호가 운행되지만, 동해선에는 틸팅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다.[1]

8. 1. 유사점

이란선은 동해선과 다음과 같은 유사점을 갖는다.

  • 지리적 위치: 두 노선 모두 국토의 동쪽 해안을 따라 건설되어, 수도권과 동해안 지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역할: 여객 및 화물 운송을 담당하며, 지역 경제 및 관광 산업 활성화에 기여한다.
  • 역사: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었으며, 이후 현대화 과정을 거쳤다.[9]

8. 2. 차이점

이란선은 전 구간이 복선 전철화(교류 25,000V, 60Hz)되어 있는 반면, 한국의 동해선은 일부 구간만 전철화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1] 또한, 이란선에는 틸팅 열차인 타이루거호와 푸유마호가 운행되지만, 동해선에는 틸팅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다.[1]

참조

[1] 뉴스 Landslide disrupts travel in the north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0-12-31
[2] 뉴스 Reopening of landslide-hit railway in northern Taiwan delayed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0-12-31
[3] 뉴스 New Taipei railway line damaged by landslide reopens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0-12-31
[4] 서적 宜蘭縣交通史-宜蘭縣史系列經濟類3 https://tm.ncl.edu.t[...] 宜蘭縣立文化中心 2001-08-01
[5] 서적 官報第2040号 台湾総督府告示第63号 https://dl.ndl.go.jp[...] 大蔵省印刷局 1919-05-24
[6] 서적 官報第2044号 台湾総督府告示第10号 https://dl.ndl.go.jp[...] 大蔵省印刷局 1920-01-29
[7] 서적 官報第2585号 台湾総督府告示第63号 https://dl.ndl.go.jp[...] 大蔵省印刷局 1921-03-17
[8] 간행물 臺灣鐵路統計年報 https://twinfo.ncl.e[...] 國家圖書館 政府統計資訊網 1981-06
[9] 서적 羅東鎮志 http://www.lotong.go[...] 羅東鎮公所
[10] 웹사이트 臺鐵大事紀 66年度~98年度 https://www.railway.[...] 台湾鉄路管理局 2021-02-02
[11] 뉴스 蕭萬長院長參加宜蘭鐵路電氣化八堵至羅東間通車典禮 https://www.youtube.[...] Youtube 2000-05-02
[12] 뉴스 北迴鐵路通車30週年紀念專輯-戀戀北迴三十有成 https://www.railway.[...] 臺灣鐵路管理局 2010-08
[13] 뉴스 北迴今全線電氣化 https://tw.appledail[...] 台灣蘋果日報 2003-07-04
[14] 뉴스 牡丹站、大溪站改無人招呼站後 台鐵局這麼做 https://tw.appledail[...] 台灣蘋果日報 2017-09-03
[15] 뉴스 改善血汗 台鐵將增2860人 https://tw.appledail[...] 台灣蘋果日報 2017-09-22
[16] 뉴스 台鉄瑞芳-猴硐区間、12/8の運行再開目指す https://jp.rti.org.t[...] RTI 台湾国際放送 2020-12-05
[17] 뉴스 台鐵瑞芳-猴硐明恢復雙向通車 坍方62天終於搶修完工 https://tw.appledail[...] 台灣蘋果日報 2021-02-02
[18] 뉴스 "壱圓で9つの旅" 日本時代のトンネル、市古跡へ https://news.livedoo[...] Livedoor뉴스 2012-08-21
[19] 뉴스 日本時代建設の廃トンネルが自転車道に 来月供用開始へ/台湾・新北 https://japan.focust[...] 중앙사 포커스 대만 2022-06-10
[20] 뉴스 東北角舊草嶺隧道自行車道 8月10日正式啟用 https://travelnews.n[...] 旅遊新聞網/Travel King 2008-08-05
[21] 웹사이트 "自行車環島1號線"正式啟用 東北角自行車道更添樂趣 https://www.thb.gov.[...] 공로총국 2017-09-27
[22] 뉴스 台鐵87處古蹟、歷史建築 完整名單看這裡 https://www.chinatim[...] 中国時報 2017-04-18
[23] 뉴스 EMU3000型城際列車今上路 初期每天6班 http://www.ksnews.co[...] 更生日報 2021-12-29
[24] 뉴스 台湾鉄道、新型通勤電車第2陣を今月中旬に投入=最も美しい普通列車 https://japan.focust[...] 중앙사 포커스 대만 2021-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