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병률(1967년 ~ )은 대한민국의 시인, 텔레비전 작가, 산문 작가이다. 199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2006년 현대시학작품상을 수상했다. MBC 라디오 프로그램 작가로 활동했고, 여행 에세이 《끌림》,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등을 출간하며 대중적으로 알려졌다. 현재 문학동네 자회사 달 출판사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그의 시는 사랑, 이별, 죽음 등 삶의 다양한 장면을 서정적으로 다루며, 여행 에세이는 여행지 묘사를 넘어 독자와 소통하는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힘 동인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시힘 동인 - 안도현
안도현은 1961년 예천에서 태어나 1981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연어》 등의 작품을 썼으며, 교사, 작가, 교수로 활동하며 사회 참여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 현대시학작품상 수상자 - 박형준 (1966년)
박형준은 1991년 등단하여 꿈과 시 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작가로, 시간, 기억, 과거, 현재, 미래를 주요 주제로 시를 발표하고 산문집 또한 출간했으며 현재 동국대학교 창작 교수로 재직 중이다. - 현대시학작품상 수상자 - 이장욱
이장욱은 삶의 어두운 면과 희망을 섬세하게 그려내고 사회 참여적인 문학관을 가진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 문학평론가로, 구체적인 시어와 몽환적인 문장으로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하고 대학교수와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 제천시 출신 - 이원종 (1942년)
이원종은 1942년 출생하여 체신부, 서울특별시청 등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용산구청장, 성동구청장, 서울특별시장, 충청북도지사를 역임하고 대통령 비서실장 등을 지낸 자유한국당 소속의 정치인이다. - 제천시 출신 - 유인태
유인태는 민청학련 사건으로 투옥된 후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국회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이병률 | |
---|---|
이병률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병률 |
출생일 | 1967년 (56세) |
출생지 | 충청북도 제천 |
직업 | 시인, 방송작가, 출판인 |
작품 활동 | |
장르 | 시 |
2. 생애 및 활동
199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2006년 제11회 현대시학작품상을 수상했다. MBC 라디오 프로그램 《이소라의 FM 음악도시》 작가로도 활동했다.[2] 존 레논에 관한 평전을 쓰기도 했다. 여행 에세이 《끌림》,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를 출간하며 대중적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에서 여행 에세이 100만 부 이상 판매를 기록한 유일한 작가이다.[3] 현재 문학동네의 자회사인 달 출판사 대표이자 시힘 회원이다.
2. 1. 초기 생애 및 등단
이병률|李炳律한국어(1967년 ~ )은 충청북도 제천에서 태어났다.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모두 적어보고 싶다는 생각에 글쓰기를 시작했으며, 서울예술대학교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했다. 199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2] 존 레논에 관한 평전을 쓰기도 했다.2. 2. 문학 활동 및 작품 세계
이병률은 서정시인이다. 그의 작품들은 사랑, 이별, 죽음과 같은 삶의 다양한 장면들을 다룬다. 그의 첫 시집 《당신은 어딘가로 가려 한다》는 고독한 사람의 이미지를 자세히 묘사한다. 하지만 시인은 고립된 채 머물지 않고 외부 세계와 소통하려 한다. 그는 ‘자신의 그림자가 자신의 집으로 드리우는 것이 놀랍도록 아름다운 일’임을 알기 때문이다. 그는 사물이나 사람들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그들을 사랑하고, 보살피고, 연민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그의 시는 무겁고 비극적인 삶, 고독과 고립의 삶에 따뜻함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이러한 미학적 비판적 사고는 이병률의 후기 시에도 이어진다. 하지만 그의 시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요소들을 보여준다. 그의 두 번째 시집 《바람의 사생활》(창비, 2006)에서는 누군가를 간절히 그리워하는 강한 감정을 표현했다. 시인은 닿을 수 없는 것들, 쉽게 말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애착을 보였다. 《찬란》에서는 ‘삶’이 무엇인가를 생각하며,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삶의 행위 자체가 ‘찬란한’ 것임을 독자들에게 일깨워준다. 《눈사람 여관》(문학과지성사, 2013)에서는 시적 의식으로서의 ‘자기 자신’과 마주하며 순간과 영원을 관통하는 존재의 의미를 추구한다. 여기서 시인은 문학이 ‘나’의 존재를 이해하기 위해 자신을 찾아가는 끝없는 여정과 같다는 인식을 보여준다.[4] 이러한 사유 과정을 거쳐 그는 ‘나’는 개인이 사회에서 맺어온 수많은 ‘관계’를 쌓아온 ‘사람’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이병률은 이러한 철학적 통찰을 서정적인 표현으로 그려낼 수 있었던 시인으로 칭송받는다.[5]
2. 3. 방송 작가 및 기타 활동
1996년 4월부터 1997년까지 MBC FM 《신해철의 FM 음악도시》, 1997년 10월부터 2001년까지 MBC FM 《유희열의 FM 음악도시》, 2001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MBC FM4U 《이소라의 FM 음악도시》 방송 작가로 활동했다.[2] 2008년에는 MBC FM4U 《타블로와 꿈꾸는 라디오》에 객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다.[8] 1999년에는 토이 4집 《A Night In Seoul》 수록곡 〈혼자있는 시간〉을 작사했다.2. 4. 여행 작가로서의 활동
이병률은 여행 에세이 《끌림》,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를 출간하며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의 여행 에세이는 여행지를 묘사하고 그곳에서 일어난 에피소드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독자와 소통하며 새로운 감정으로 여행지를 그려낸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한민국에서 여행 에세이 100만 부 이상 판매를 기록한 유일한 작가이다.[3]3. 작품 목록
종류 |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
시집 | 당신은 어딘가로 가려 한다 | 문학동네 | 2003 |
시집 | 바람의 사생활 | 창비 | 2006 |
시집 | 찬란 | 문학과지성사 | 2010 |
시집 | 눈사람 여관 | 문학과지성사 | 2013 |
시집 | 바다는 잘 있습니다 | 문학과지성사 | 2017 |
시집 | 이별이 오늘 만나자고 한다 | 문학동네 | 2020 |
시집 |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 | 문학동네 | 2024 |
산문집 | 끌림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 |
산문집 |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 달 | 2012 |
산문집 | 어떤 날 1 | 북노마드 | 2013 |
산문집 | 내 옆에 있는 사람 | 달 | 2015 |
산문집 | 혼자가 혼자에게 | 달 | 2019 |
산문집 | 그리고 행복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 달 | 2022 |
대화집 | 안으로 멀리 뛰기 | 북노마드 | 2016 |
3. 1. 시집
- 《당신은 어딘가로 가려 한다》 (문학동네, 2003)
- 《바람의 사생활》 (창비, 2006)
- 《찬란》 (문학과지성사, 2010)
- 《눈사람 여관》 (문학과지성사, 2013)
- 《바다는 잘 있습니다》 (문학과지성사, 2017)
- 《이별이 오늘 만나자고 한다》 (문학동네, 2020)
-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 (문학동네, 2024)
3. 2. 산문집
- 《끌림》 (랜덤하우스코리아, 2005) (달, 2010; 개정판)
-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달, 2012)
- 《어떤 날 1》 (북노마드, 2013)
- 《내 옆에 있는 사람》 (달, 2015)
- 《혼자가 혼자에게》 (달, 2019)
- 《그리고 행복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달, 2022)
3. 3. 대화집
이병률한국어 시인은 대화집 《안으로 멀리 뛰기》(북노마드, 2016)를 출간하였다.3. 4. 번역된 작품
4. 수상 경력
- 2006년 제11회 현대시학작품상[7]
참조
[1]
웹사이트
이병률 :: 네이버 인물검색
http://people.search[...]
2017-06-28
[2]
웹사이트
마음의 내과
http://terms.naver.c[...]
2017-06-28
[3]
웹사이트
Hankook Kyungjae
http://www.hankyung.[...]
[4]
웹사이트
The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http://terms.naver.c[...]
[5]
웹사이트
Naver Books
http://book.naver.co[...]
[6]
웹사이트
이병률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ltiko[...]
2017-12-01
[7]
웹사이트
네이버 책: '이병률' 검색결과
http://m.book.naver.[...]
2017-06-28
[8]
웹인용
MBC 아카데미
http://e.www.evermbc[...]
2019-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