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은 (신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은은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목사이자 서울장신대학교 교수로, 교의학, 해석학, 신학적 윤리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조직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칼 바르트와 이삭 아우구스트 도르너의 신학 연구를 주로 진행했다. 공공신학, 사회 윤리, 통일 신학, 과학과 신학의 대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직신학자 - 조지 린드벡
조지 린드벡은 중국과 한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미국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예일 대학교 교수로서, 중세 연구와 교회일치운동에 참여했으며, 특히 포스트리버럴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교리의 본질》을 저술하여 종교를 문화-언어적 체계로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 조직신학자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이낙연
이낙연은 1952년 전라남도 영광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4선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낸 후 새로운미래를 창당하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이상은 (신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상은 |
활동 기간 | 2010년 ~ 현재 |
출생일 | 1970년 10월 18일 |
직업 | 대학 교수 저술가 |
사용 언어 | 한국어 영어 독일어 |
분야 | 조직신학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설명 | 이상은 서울장신대학교 교수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Dr. Theol.) |
2. 학력
학력 |
---|
단국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졸업 (문학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목회학 석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졸업 (신학 석사) |
독일 마인츠 대학교, 기센 대학교 (어학 및 고전어 신학 수학) |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대학원 졸업 (신학 박사, 지도교수: 미카엘 벨커) |
3. 경력
4. 학위논문
Karl Barth und Isaak August Dorner: Eine Untersuchung zu Barths Rezeption der Theologie Dorners|칼 바르트와 이삭 아우구스트 도르너: 바르트의 도르너 신학 수용에 대한 연구de, Dr. Theol. diss.,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2011.
5. 주요 연구 분야
이상은은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측) 소속 목사로서 서울장신대학교에서 교의학, 해석학, 신학적 윤리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미카엘 벨커 교수의 지도로 조직신학을 전공했으며, 19세기 독일 중재신학자 도르너와 20세기 칼 바르트의 상관관계에 대한 학위논문으로 신학박사(Dr. Theol.) 학위를 취득했다. 독일 개신교회의 통일정책 및 공공신학,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화에 대한 대응 연구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 프로젝트 과제를 여러 차례 수행했으며, 과학과 신학의 대화 주제에 대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1]
5. 1. 칼 바르트와 도르너 신학 연구
이상은은 2011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칼 바르트와 이삭 아우구스트 도르너: 바르트의 도르너 신학 수용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의 신학 박사 학위 논문을 발표했다.5. 2. 과학과 신학의 대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측) 소속 목사인 이상은은 현재 서울장신대학교에서 교의학, 해석학, 신학적 윤리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미카엘 벨커 교수의 지도로 조직신학을 전공했으며, 19세기 독일 중재신학자 도르너와 20세기 칼 바르트의 상관관계에 대한 학위논문으로 신학박사(Dr. Theol.) 학위를 취득했다. 독일 개신교회의 통일정책 및 공공신학,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화에 대한 대응 연구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 프로젝트 과제를 여러 차례 수행했으며, 과학과 신학의 대화 주제에 대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5. 3. 4차 산업혁명과 신학
이상은은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측) 소속 목사로서 현재 서울장신대학교에서 교의학과 해석학, 신학적 윤리학 등의 분야를 가르치고 있다.[1]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미카엘 벨커 교수의 지도로 조직신학을 전공했으며, 19세기 독일 중재신학자 도르너와 20세기 칼 바르트의 상관관계에 대한 학위논문으로 신학박사(Dr. Theol.) 학위를 취득했다.[1] 독일 개신교회의 통일정책 및 공공신학,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화에 대한 대응 연구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 프로젝트 과제를 여러 차례 수행했으며, 과학과 신학의 대화 주제에 대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한 바 있다.[1]6.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Karl Barth und Isaak August Dorner | 2014년 | |
Gottes Geist und Menschlicher Geist | 2013년 | 공저 |
종말론 | 2012년 | 공저 |
바르트 신학연구 3 | 2013년 | 공저 |
계몽주의 이후 독일 개신교 신학 개관: 칸트에서 리츨까지 | 2015년 | 단독 |
오늘의 생명신학 | 2015년 | 공저 |
목회를 위한 교의학 주제 해설 | 2016년 | 공저 |
성령론 | 2017년 | 공저 |
화해론에 기반한 통일 | 2017년 | 단독 |
신학방법론 | 2018년 | 공저 |
인간론 | 2021년 | 공저 |
신학과 과학의 만남 | 2021년 | 공저 |
신학과 과학의 만남2 | 2022년 | 공저 |
7. 역서
- A Multiperspective Biblical Approach to Today's Theological Issues영어, (공역) (2015)
- Resilient Reformers: The Lives and Ideas of Four Men Who Shaped the History of Europe영어, (공역) (2017)
- Evangelical Ecclesiology: Introducing a Postmodern Evangelical Approach영어, (단독) (2019)
외 다수
8. 논문
출판 연도 | 논문 제목 | 학술지/출판 정보 |
---|---|---|
2012년 9월 | 칼 바르트와 이삭 아우구스트 도르너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 한국조직신학회편, 『한국조직신학논총』(33). 211-242. |
2012년 | Die Theologie Isaak August Dorners: Die Christozentrik als Grundlage fuer die Theologie und Praxis영어 | KPTJ. Vol, 44 no. 3. 187-207. |
2012년 | 칼 바르트의 종말론 | 한국조직신학회 편, 『종말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3-208. |
2013년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 그 윤리적 함의 | 『한국개혁신학』 |
2013년 | 본회퍼의 시간과 ‘현실’: 그리스도 중심적인 현재의 시간이해 | 『서울장신논단』 |
2014년 | 고난속에 맺힌 열매: 갈리칸 신조(1559)의 확신의 신학 | 『한국개혁신학』 |
2015년 | 루돌프 보렌의 설교론에 있어서 칼빈과 바르트의 신학 | 『서울장신논단』 |
2016년 | 칼 바르트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 『한국개혁신학』 |
2016년 | 분단의 상황을 넘어선 그리스도의 현실, 칼 바르트 신학의 기여 | 『한국조직신학논총』 |
2016년 | 신학과 인공지능: AI와의 만남을 통한 인간과 세계관에 대한 성찰 | 『한국신학논총』 |
2017년 | 차이의 인정 속의 공존: 독일 개신교총회(EKD)의 정책에 반영되어 있는 이슬람 문제 인식 | 『한국개혁신학』 |
2017년 | 공적 지평 속의 교회: 춘계 이종성이 말하는 한국교회와 한국사회 | 『장신논단』 |
2017년 | 관계적 정의: 후버(W. Huber)가 말하는 다원사회 안에서의 교회적 구심점 | 『신학사상』 |
2017년 | 칼 바르트의 시간론: 성취된 시간속의 인간 | 『서울장신논단』 |
2018년 | 분단상황하 균형자로서의 교회의 역할: 독일 ‘연합교회’(EKU)의 역할과 실천 연구 | 『선교와 신학』 |
2018년 | 개혁자들의 신앙고백과 한국교회: 바르트(K. Barth)의 스코틀랜드 신앙고백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개혁신학』 |
2018년 | 종교개혁의 정신 그리고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가는 교회의 자세 | 『조직신학연구』 |
2018년 | 불평등 시대 ‘돈’ 문제의 직면: 두 ‘민주적 시장경제론’ 신학자들의 모색의 고찰 | 『서울장신논단』 |
2019년 | 기술혁명시대에 돌아보는 하나님의 형상론: 달페르트의 인간론 고찰 | 『조직신학연구』 |
2019년 | 도르트신조의 예정론에 대한 바르트의 수용 | 『한국개혁신학』 |
2019년 | 칼 바르트의 제2스위스 신앙고백(1562) 수용 | 『한국개혁신학』 |
2020년 | 니묄러와 디벨리우스: 고백교회의 동반자, 다른 길을 걸었던 이상주의자와 현실주의자 | 『한국개혁신학』 |
2020년 | 복음이 과학과 만날 때: 영미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진화’는 단지 배제의 대상이었는가 | 『신학사상』 |
2020년 | 살아있는 교회의 길에 대한 탐구: 역사속의 ‘핵심교회’로서의 고백교회의 성찰 | 『선교와 신학』 |
2020년 | 노동과 인간의 미래: 인간의미의 원천으로서 노동의 미래에 대한 신학적 전망 | 『신학과 선교』 |
2021년 | 사회통합의 중심으로서의 독일개신교회(EKD)의 공공신학연구 | 『한국조직신학논총』 |
2021년 | 시민사회 속에서의 교회의 길: 볼프강 후버(W. Huber)의 소통적 자유의 교회론 | 『선교와 신학』 |
2022년 | 다원성의 도전 속의 기독교윤리: 현대 기독교 사회윤리의 도전으로서의 ‘다원주의’의 질문 | 『조직신학연구』 |
2022년 | 두 에온(Aeon) 사이에 서 있는 교회: 틸리케의 ‘두-왕국-론’의 재정립과 공적교회의 모색 | 『한국개혁신학』 |
2023년 | 자연과 대화하는 그리스도교 신앙: 존 햅구드(John Habgood)의 신학적 자연관 연구 | 『신학사상』 |
참조
[1]
웹사이트
서울장신대학교 교수소개
https://www.sjs.ac.k[...]
[2]
뉴스
하나님의 자유의 완전성 - 이상은 교수
https://www.christia[...]
기독일보
2015-02-21
[3]
뉴스
“한국교회 회복과 미래,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발견할 수 있다”
https://www.igoodnew[...]
아이굿뉴스
2023-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