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지우 캄푸 데스포르티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타지우 캄푸 데스포르티부(Estádio Campo Desportivo)는 마카오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이다. 1995년에 마카오 운동장으로 건설되었으며, 2005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개막을 위해 증축되었다. 주요 행사로 2005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2007년 실내 아시안 게임, 2006년 포르투갈어권 게임 등이 개최되었으며,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다. 2010년 마카오 올림픽 스포츠센터 스타디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전, 2019년 인터내셔널 슈퍼컵 등 다양한 국제 축구 경기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카오의 스포츠 - 중국 마카오 체육 올림픽 위원회
중국 마카오 체육 올림픽 위원회는 마카오 스포츠 발전을 위해 설립되어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가입 및 국제 스포츠 대회 유치 등을 통해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위상을 높여왔으나, 현재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마카오의 건축물 - 민정총서대루
민정총서대루는 마카오에 위치한 역사적인 건물로, 과거 마카오 시의회 건물이었으며 현재는 민정총서 본부 청사로 사용되고 있고, 명나라 관리들과의 회담 장소였던 정자 터에 1784년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축된 후 신고전주의 양식을 가미하여 개수되었으며, 2005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U자형 건물 내에 전시 홀, 도서관, 컨벤션 홀 등이 있다. - 마카오의 건축물 - 마카오 특별행정구 정부청사
마카오 특별행정구 정부청사는 마카오 특별행정구의 정부 기관이 위치한 청사이다. - 1995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프리스테이트 스타디움
프리스테이트 스타디움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블룸폰테인에 위치한 다용도 경기장으로, 럭비 월드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FIFA 월드컵 등 여러 국제 대회를 개최했으며, 현재는 블룸폰테인 셀틱스와 프리스테이트 치타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된다. - 1995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리버사이드 스타디움
리버사이드 스타디움은 잉글랜드 미들즈브러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미들즈브러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1995년 개장 이후 축구 경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이스타지우 캄푸 데스포르티부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주소 | 아베니다 올림픽, 타이파, 마카오 |
| 대중교통 | 이스타지우 |
| 개요 | |
| 개장 | 1995년 |
| 리모델링 | 2005년 |
| 소유주 | 마카오 정부 |
| 경기장 정보 | |
| 표면 | 잔디 |
| 잔디 크기 | 105m x 68m |
| 수용 인원 | 16,272명 |
| 사용 정보 | |
| 주요 사용 팀 |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 벤피카 드 마카오 리가 드 엘리트 (다양한 클럽, 일부 경기) |
| 명칭 (중국어) | |
| 간체 | 澳门运动场 |
| 병음 | Àomén Yùndòngchǎng |
| 광둥어 | ou3 mun4 wan6 dung6 coeng4 |
| 월병 | ou mùhn wahn duhng chèuhng |
| 한국어 번역 | 마카오 운동장 |
| 명칭 (포르투갈어) | |
| 포르투갈어 | Centro Desportivo Olímpico - Estádio |
2. 역사
메인 스타디움은 1995년에 '마카오 운동장'(Estádio Campo Desportivopor)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어졌다. 마카오 올림픽 스포츠 단지 내에 위치하며, 1997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2]
마카오 올림픽 스포츠 단지 내에 있으며, 1997년에 사용되기 시작했다.[2] 경기장의 부지 면적은 35585m2이다.[3]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된다.
이 경기장은 1995년 '마카오 운동장'(Estádio Campo Desportivopt)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2005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개최를 앞두고 2004년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다기능 체육관을 추가했으며, 2005년 8월 3일에 공사를 완료했다. 같은 해 10월 29일부터 11월 6일까지는 2005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개막식을 위해 메인 스타디움의 육상 트랙을 정비했다. 이후 2010년 7월 12일, 《마카오 특별행정구 성명》 제100/2010호에 따라 현재의 이름인 '마카오 올림픽 스포츠센터 스타디움'(Estádio Centro Esportivo Olímpicopt)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5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개막식을 준비하기 위해 2004년에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다기능 체육관을 건설했고, 2005년 8월 3일에 완료했다. 같은 해 10월 29일부터 11월 6일까지는 대회 개막식을 위해 메인 스타디움 내 육상 트랙을 정비했다. 또한, 이 대회 축구 경기의 결승전이 이곳에서 열렸다.
2007년 10월 26일에는 2007년 실내 아시안 게임 개막식이 개최되었다.
2010년 7월 12일, 《마카오 특별행정구 성명》 제100/2010호에 따라 경기장 이름이 '마카오 올림픽 스포츠센터 스타디움'(Estádio Centro Esportivo Olímpicopor)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는 다음 날부터 효력이 발생했다.
현재는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되며,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이 홈구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수용 인원은 15,490명이고 부지 면적은 35585m2이다.[3] 여러 친선 경기도 개최되었는데, 2002년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대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2005년 FC 바르셀로나 대 선전 훙찬, 2007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대 선전 훙찬, 첼시 FC 대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FC 등의 경기가 열렸다. 2018년에는 AFC 챔피언스 리그 8강 2차전 톈진 톈하이와 가시마 앤틀러스의 경기가 이곳에서 진행되었다.
3. 시설
2005 동아시아 경기 대회를 위해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거쳤는데, 이때 동쪽 및 서쪽 스탠드가 재건축되었다. 개조 이전에는 서쪽 스탠드에만 지붕이 있었지만, 이후 시설이 개선되었다. 새롭게 단장된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약 16,272명[2]이지만, 다른 자료에서는 15,490명[3]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4. 주요 경기 및 행사
이곳에서는 마카오 반환 경축 행사, 2005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2006년 포르투갈어권 게임, 2007년 실내 아시안 게임 등 다양한 주요 행사와 경기가 개최되었다. 특히 2007년 실내 아시안 게임 개막식이 2007년 10월 26일에 이곳에서 열렸다.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되며,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으로 이용된다.[3] 재건축 이후 여러 차례 국제적인 친선 경기가 열렸는데, 중국 대 포르투갈(2002년), FC 바르셀로나 대 선전(2005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대 선전(2007년), 첼시 대 광저우 의약(2019년), 사우샘프턴 대 광저우 R&F(2019년) 등의 경기가 대표적이다. 또한,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경기(2015년)와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2차전 경기(2018년) 등 공식 국제 대회 경기도 개최되었다.[1]
4. 1. 국제 축구 경기
이 경기장은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며, 다수의 국제 축구 경기를 개최했다. 재건축 이후 여러 유명 클럽 및 국가대표팀 간의 친선 경기가 열렸으며, 주요 국제 대회 경기도 유치했다. 2018년 9월 18일에는 AFC 주관으로 중국의 톈진 취안젠과 일본의 가시마 앤틀러스 간의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2차전이 이곳에서 열렸다.[1]
주요 국제 경기 기록은 다음과 같다.
| 날짜 | 대회 | 팀 1 | 결과 | 팀 2 | 득점자 및 비고 |
|---|---|---|---|---|---|
| 2002년 5월 25일 | 친선 경기 | 중국 | 0 - 2 | 포르투갈 | 누누 고메스 (50), 파울레타 (61). 관중 18,000명. 심판: 권종철 (대한민국). |
| 2005년 | 친선 경기 | FC 바르셀로나 | 정보 없음 | 선전 FC | 정보 없음 |
| 2005년 | 2005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 축구 결승전 개최 | 정보 없음 | ||
| 2007년 | 친선 경기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정보 없음 | 선전 FC | 정보 없음 |
| 2015년 3월 17일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 마카오 | 1 - 1 | 캄보디아 | 렁 카 항 (52, 페널티킥) / 티에리 빈 (28). 관중 1,000명.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오만). |
| 2018년 8월 29일 | 친선 경기 | 마카오 | 1 - 4 | 솔로몬 제도 | 람 카 셍 (75) / 저드 몰리아 (39), 아트킨 카우아 (47), 알빈 호우 (52), 벤자민 토토리 (61'). |
| 2018년 9월 18일 |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2차전 | 톈진 취안젠 (중국) | 정보 없음 |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 | [1] |
| 2019년 | 친선 경기 | 첼시 FC | 정보 없음 | 광저우 의약 | 정보 없음 |
| 2019년 | 친선 경기 | 사우샘프턴 FC | 정보 없음 | 광저우 R&F | 정보 없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