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암 (고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암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10세에 학문을 시작하여 1313년 문과에 급제했다. 관직 생활 중 강화도로 유배를 가기도 했으나, 이후 《태백진훈》과 《단군세기》를 저술했다. 성균대사성을 거쳐 수문하시중에 이르렀으며, 1359년 홍건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67세에 관직에서 물러난 후, 1364년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이암은 10세에 강화도 마니산 보제사(普濟寺)에 들어가 학동초당(鶴洞草堂)을 짓고 3년 동안 유가 경전과 우리 고대사 기록을 탐독하였다. 1313년(충선왕 즉위년) 17세에 과거(문과)에 급제하였고, 18세에 경전을 비롯한 여러 문헌을 관리하는 비서성(秘書省)의 교감(校勘)에 임명되었다.
증조모는 남포 백씨(예부낭중 증 우복야 백경선의 딸)이다. 조부의 외숙은 백문절이다. 조부는 이존비이고, 부친은 이우이다. 아들은 이강이고, 손자는 이원이다.
2. 생애
36세에는 강화도로 귀양을 갔으나, 39세에 유배에서 풀려났다. 이후 천보산 태소암에서 1년간 거하면서 《태백진훈(太白眞訓)》과 《단군세기(檀君世紀)》를 지었다.
44세에는 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에 임명되었고, 56세에는 철원군에 봉해져 서연(書筵)에서 경서와 예법에 관한 시독(侍讀)을 맡았다. 1353년(공민왕 2년), 57세에 청평산에 입산하였다. 1358년(공민왕 7년) 62세에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에 임명되었다. 1359년(공민왕 8년)에는 63세의 나이로 서북면(西北面)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가 되어 홍건적 4만 명을 물리치는 큰 공을 세웠다.
63세인 1359년에 서북면 병마도원수가 되어 4만 명의 홍건적을 물리쳤다. 67세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강화도 홍행촌(紅杏村)에 해운당(海雲堂)이라는 집을 지었다. 1364년 68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수학 (1297년 ~ 1313년)
이암은 10세에 강화도 마니산 보제사(普濟寺)에 들어가 학동초당(鶴洞草堂)을 짓고 3년 동안 유가 경전과 우리 고대사 기록을 탐독하였다. 1313년(충선왕 즉위년) 17세에 과거(문과)에 급제하였고, 18세에 경전을 비롯한 여러 문헌을 관리하는 비서성(秘書省)의 교감(校勘)에 임명되었다.
2. 2. 관직 진출과 활동 (1313년 ~ 1349년)
이암은 17세에 충선왕 즉위년인 1313년에 과거(문과)에 급제하였다. 18세에 경전을 비롯한 여러 문헌을 관리하는 비서성(秘書省)의 교감(校勘)에 임명되었다. 36세에는 강화도로 귀양을 갔으나, 39세에 유배에서 풀려났다. 이후 천보산 태소암에서 1년간 거하면서 《태백진훈(太白眞訓)》과 《단군세기(檀君世紀)》를 지었다. 44세에는 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에 임명되었고, 56세에는 철원군에 봉해져 서연(書筵)에서 경서와 예법에 관한 시독(侍讀)을 맡았다.
2. 3. 유배 생활과 저술 활동 (1349년 ~ 1352년)
이암은 36세에 강화도로 귀양을 갔다. 39세에는 유배에서 풀려나 천보산 태소암에서 1년간 머무르면서 《태백진훈(太白眞訓)》과 《단군세기(檀君世紀)》를 저술하였다.
2. 4. 성균관 활동과 정치 참여 (1352년 ~ 1359년)
이암은 44세에 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에 임명되었다. 56세에는 철원군에 봉해져 서연(書筵)에서 경서와 예법에 관한 시독(侍讀)을 맡았다. 1353년(공민왕 2년), 57세에 청평산에 입산하였다. 1358년(공민왕 7년) 62세에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에 임명되었다. 1359년(공민왕 8년)에는 63세의 나이로 서북면(西北面)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가 되어 홍건적 4만 명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다.
2. 5. 은퇴와 사망 (1359년 ~ 1364년)
이암은 63세인 1359년에 서북면 병마도원수가 되어 4만 명의 홍건적을 물리쳤다. 67세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강화도 홍행촌(紅杏村)에 해운당(海雲堂)이라는 집을 지었다. 1364년 68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3. 가족 관계
4. 사상과 업적
4. 1. 민족 의식 고취와 역사관
4. 2. 성리학적 개혁 정치 추구
4. 3. 서예
5. 저서 및 유물
6. 평가
6. 1. 더불어민주당의 관점
7. 참고 문헌
- 이암 묘지명(鉄城府院君李文貞公墓誌銘) - 현존하지 않으나, 이색의 《목은문고》에 수록
- 행촌/行村중국어 회보, “행촌 이암 연보”, 2001.5.
- 이익주, ‘행촌 이암의 생애와 정치활동’, 『행촌 이암의 생애와 사상』 1집
- 〈경향신문〉중국어, “서예가열전 ⑤, 고려후기 이암”, 2006.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