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인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인휘는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겪고 학교를 자퇴한 후 노동 운동에 참여했으며, 1988년 단편 소설 '우리 억센 주먹'으로 문단에 데뷔하여 노동 문제를 다룬 소설을 주로 집필했다. 1997년에는 진보적 문학 잡지 '삶이 보이는 창'을 창간했으며, 2005년 소설 '날개 달린 물고기' 출간 이후 10년 넘게 글쓰기를 중단했다가 2016년 단편 소설집 '폐허를 보다'를 발표하며 복귀했다. 2016년 만해문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해문학상 수상자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만해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명지대학교 동문 - 우근민
    우근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가로, 총무처 공무원 요직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역임하며 민자당, 새정치국민회의, 열린우리당 등 다양한 정당 활동을 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 성희롱 소송 패소, 새누리당 입당 논란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명지대학교 동문 - 장승태
    장승태는 일제강점기 강원도 영월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제7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4선 의원, 체신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97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대한민국의 소설가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소설가 - 백민석
    백민석은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5년 "내가 사랑한 캔디"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잔혹하고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의 '기괴소설'을 통해 권력과 '정상성'에 대한 비판, 일상 속 공포를 탐구하는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목화밭 기이한 이야기》, 《죽은 올빼미를 위한 농장》 등이 있다.
이인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인휘
출생1958년
출생지서울특별시
직업작가 및 소설가
활동노동 권리 운동, "노동 문학"
주요 작품우리 억센 주먹
활화산
폐허를 보다
수상2016년 만해문학상

2. 생애

이인휘는 1958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명지대학교 국제통상학과에 재학 중이던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학교 밖으로 끌려가 대한민국 정보기관의 조사를 받고 학교를 자퇴했다.[1] 이후 병역 의무를 수행하고 1984년 구로공단에서 노동 운동을 시작했다.[1]

1988년 단편 소설 ''우리 억센 주먹''으로 등단, 1990년대 초반까지 노동 문제를 다룬 소설들을 발표했으며, 1997년에는 진보적 문학 잡지 ''삶이 보이는 창''을 창간했다. 가수 정태춘을 포함한 13명의 가수들이 잡지 기금 마련을 위한 공연에 참여했고,[4] 정태춘의 노래는 2017년 이인휘의 소설 ''건너간다''에 영감을 주었다.[4]

2005년 소설 ''날개 달린 물고기'' 출간 후 10년 넘게 작품 활동을 중단하고, 생계와 아내의 치료비를 위해 강철 공장, 합판 공장, 호떡 공장 등에서 일하며 열악한 노동 현실을 직접 경험했다.[4] 이는 2016년 단편 소설집 ''폐허를 보다''에 반영되었다.[4]

2016년 ''폐허를 보다''를 통해 작품 활동을 재개, 1980년대 노동 운동 이후에도 저임금과 과로에 시달리는 노동자들의 삶을 묘사했다.[8] 2017년에는 소설 ''건너간다''를 통해 박정희 정부 시절부터 5·18 광주 민주화 운동, 6월 항쟁, 촛불 집회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사의 굴곡과 민중의 희망을 그려냈다.[9]

2. 1. 초기 생애 및 민주화 운동 참여

이인휘는 1958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1980년 5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명지대학교 국제통상학과 3학년 학생이었으며, 학교 밖으로 끌려가 대한민국 정보기관의 조사를 받았다. 이 충격적인 경험으로 인해 그는 학교를 자퇴했다.[1] 그는 병역 의무를 수행했으며, 1984년 구로공단에서 노동자의 권리를 위해 투쟁하기 시작했다.[1]

2. 2. 작가 활동 및 노동 현실

이인휘는 1988년 단편 소설 ''우리 억센 주먹''으로 등단하여, 1990년대 초반까지 노동 문제를 다룬 소설들을 발표했다. 1997년에는 진보적 문학 잡지인 ''삶이 보이는 창''을 창간했다. 이때 가수 정태춘을 포함한 13명의 가수들이 잡지 기금 마련을 위한 공연에 참여했으며,[4] 정태춘의 노래는 이후 이인휘의 2017년 소설 ''건너간다''에 영감을 주었다.[4]

2005년 소설 ''날개 달린 물고기''를 출간한 후, 이인휘는 10년 넘게 작품 활동을 중단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생계와 7년간 병을 앓고 있는 아내의 치료비를 마련하기 위해 강철 공장, 합판 공장, 호떡 공장 등에서 일했다.[4] 그는 여러 공장에서 일하면서 수년 동안 근로 조건이 개선되지 않은 열악한 노동 현실을 직접 경험했고, 이는 2016년 단편 소설집 ''폐허를 보다''에 반영되었다.[4]

2016년, 이인휘는 단편 소설집 ''폐허를 보다''를 통해 작품 활동을 재개했다. 이 소설집은 1980년대 노동 운동 이후 30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저임금과 과로에 시달리며, "낡은 기계 부품처럼 취급받는" 노동자들의 삶을 묘사하며 변화 없는 노동 현실을 고발했다.[8] 2017년에는 소설 ''건너간다''를 출간했다. 이 소설은 가수 정태춘의 삶과 노래를 통해 박정희 정부 시절부터 5·18 광주 민주화 운동, 6월 항쟁, 촛불 집회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사의 굴곡과 그 속에서 피어난 민중의 희망을 그려냈다.[9]

3. 작품 세계

이인휘는 1990년대에도 민중과 노동 문제에 관해 계속 글을 쓴 몇 안 되는 한국 작가 중 한 명이었다. 문학 평론가 진정석은 "한국 사회와 노동 현장은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5]

1990년대 작품으로는 광부들의 생활 환경을 묘사한 『활화산』(1990), 1987년 7월부터 8월까지 전국적인 파업 이후 노동자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문밖의 사람들』(1992), 노동자와 여성의 권리를 다룬 『그 아침은 다시 오지 않는다』(1993) 등이 있다.[6]

2005년 『날개 달린 물고기』는 2003년 10월 분신자살한 근로복지공단 하청업체 직원 이영석의 이야기를 소설화했다.[7] 이후 이인휘는 11년 동안 휴지기를 가졌다.

2016년 단편 소설 모음집 『폐허를 보다』를 통해, 1980년대 노동 운동 이후 30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쉽게 교체될 수 있는 낡은 기계 부품처럼 취급받는" 저임금, 과로에 시달리는 노동자들의 삶을 묘사하며 문단에 복귀했다.[8]

2017년 소설 『건너간다』는 정태춘의 삶과 작품을 통해, 1970년대 박정희 정부의 권위주의에서 1980년대 광주 민주화 운동, 1987년 6월 항쟁, 그리고 촛불 집회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사의 굴곡과 민중의 희망을 형상화했다.[9]

3. 1. 1980년대 노동 문학의 전성기와 1990년대의 변화

1980년대 전두환 정권의 광주 민주화 운동 유혈 진압은 오랫동안 군사 독재에 반대해 온 많은 한국 지식인들을 급진화시켰다. 사회주의는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고, 작가들은 노동 현장을 묘사하거나 노동자들이 이끄는 사회 혁명을 구상했다.[4] 그러나 1987년 헌법 개정 이후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국가가 되고 경제가 성장하면서 국가 분위기는 바뀌었다. 1990년대의 이러한 새로운 정치적 자유와 풍요는 노동자 대신 새로운 소비 계층을 낳았다. 작가들은 소비주의적 감성에 주목했다. 1980년대에 문학이 대중에게 힘을 실어주는 이데올로기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유명한 문학 평론가 김명인은 이 시기를 "민중의 문화 유산은 상업화되었고, 상업화에 실패한 것은 폐기되었다."라고 묘사한다.[4]

3. 2. 이인휘 문학의 특징

이인휘는 1990년대에도 민중과 노동 문제에 관해 계속 글을 쓴 몇 안 되는 한국 작가 중 한 명이었다. 문학 평론가 진정석은 "한국 사회와 노동 현장은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5]

  • 1990년대 작품:
  • 활화산』(1990): 광부들의 생활 환경을 묘사.[6]
  • 『문밖의 사람들』(1992): 1987년 7월부터 8월까지 전국적인 파업 이후 노동자들에 대해 이야기.[6]
  • 『그 아침은 다시 오지 않는다』(1993): 노동자와 여성의 권리를 다룸.[6]


2005년 『날개 달린 물고기』는 2003년 10월 분신자살한 근로복지공단 하청업체 직원 이영석의 이야기를 소설화했다.[7] 이후 이인휘는 11년 동안 휴지기를 가졌다.

2016년 단편 소설 모음집 『폐허를 보다』를 통해, 1980년대 노동 운동 이후 30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쉽게 교체될 수 있는 낡은 기계 부품처럼 취급받는" 저임금, 과로에 시달리는 노동자들의 삶을 묘사하며 문단에 복귀했다.[8]

2017년 소설 『건너간다』는 정태춘의 삶과 작품을 통해, 1970년대 박정희 정부의 권위주의에서 1980년대 광주 민주화 운동, 1987년 6월 항쟁, 그리고 2016-2017년 촛불 집회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사의 굴곡과 민중의 희망을 형상화했다.[9]

4. 작품 목록

제목출판 연도
활화산1990년
문 밖의 사람들1992년
그 아침은 다시 오지 않는다1993년
내 생의 적들2004년
날개 달린 물고기2005년
폐허를 보다2016년
건너간다2017년


5. 수상 경력

2016년 만해문학상[1]

참조

[1] 웹사이트 제31회 만해문학상 발표 {{!}} 창비 – Changbi Publishers http://www.changbi.c[...] 2017-12-03
[2] 서적 이인휘 "우리가 살아온 시대를 공감하고 싶어" {{!}} YES24 문화웹진 채널예스 http://ch.yes24.com/[...] Channel Yes 24 2024-06-15
[3] 뉴스 "[소설 <건너가다>의 이인휘 작가] '내 소설의 원천은 반자본주의, 노동현장에서 읽히기를' - 매일노동뉴스" http://www.labortoda[...] 2017-12-03
[4] 간행물 다시 문학을 부른다 Literature and Practice 2007
[5] 서적 1990년대와 탈이념시대의 문학 Changbi 2009
[6] 뉴스 자본이 만들어 놓은 수의를 찢어버려라! - 현장언론 민플러스 http://www.minplus.o[...] 2017-12-03
[7] 뉴스 날개 달린 물고기는 세상으로 뛰어든다 - 매일노동뉴스 http://www.labortoda[...] 2024-06-15
[8] 웹사이트 실천문학사 http://www.silcheon.[...] 2017-12-03
[9] 웹사이트 건너간다 {{!}} 창비 – Changbi Publishers http://www.changbi.c[...] 2017-12-03
[10] 웹인용 제31회 만해문학상 발표 {{!}} 창비 – Changbi Publishers http://www.changbi.c[...] 2017-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