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떡은 밀가루 반죽에 꿀, 설탕, 견과류 등을 넣어 둥글게 구운 한국의 전통 간식이다. 9세기 문헌에 '호병'으로 처음 등장하며, 19세기 말 임오군란 이후 한국에 정착한 중국 상인들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초기에는 '오랑캐 떡'이라는 의미로 불렸으며, 현재는 씨앗 호떡, 꿀 호떡 외에도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어 판매된다. 호떡은 밀가루 반죽을 발효시켜 속을 채운 후 기름에 굽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삼양사, 오뚜기, CJ제일제당 등에서 가정용 호떡 믹스를 판매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후식 - 찹쌀떡
찹쌀떡은 찹쌀로 만든 한국의 전통 떡으로, 팥앙금 등을 넣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며, 찹쌀떡 아이스크림과 같은 현대적인 응용 요리도 있다. - 한국의 후식 - 옥춘당
옥춘당은 환갑 잔치상에 주로 사용되던 다채로운 색과 모양의 전통 과자이다. - 부침 - 부꾸미
부꾸미는 찹쌀가루와 멥쌀가루 반죽에 팥고물을 넣어 지져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부침 - 빈대떡
빈대떡은 녹두를 갈아 만든 한국 전통 음식으로, 녹두 반죽에 다양한 재료를 넣어 부쳐내며, 중국어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고, 조선 시대에는 구황 음식으로, 현대에는 길거리 음식이나 술안주로 즐겨 먹는다. - 대한민국의 길거리 음식 - 떡갈비
떡갈비는 다진 고기를 양념하여 빚어 구운 한국 요리로, 떡과 비슷한 모양과 식감에서 유래했으며, 지역 특산물로 자리매김하기도 했지만 궁중 요리라는 설에 대한 근거는 부족하다. - 대한민국의 길거리 음식 - 주먹밥
주먹밥은 쌀을 먹기 시작한 이후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도시락 등으로, 격변기에는 식량으로 활용되었고, 외환위기에는 저렴한 식사 대용으로, 2010년대 이후에는 다양한 형태로 상품화가 발전한 밥을 뭉쳐 만든 음식이다.
호떡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기원 | 한국 |
창시자 |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 상인 |
종류 | 팬케이크 |
주요 재료 (반죽) | 밀가루, 물, 우유, 설탕, 이스트 |
주요 재료 (소) | 흑설탕, 꿀, 땅콩, 계피 |
한국어 정보 | |
한글 | 호떡 |
한자 | 胡떡 |
로마자 표기 | hotteok |
2. 역사 및 유래
9세기 책 《입당구법순례행기》에 '호병(胡餠)'이라는 말이 등장하며[15], 송나라 때 역사서 《자치통감》에도 이 낱말이 등장한다.[16]
호떡에는 빵 반죽,[13] 옥수수 가루,[14] 녹차, 꿀, 팥앙금, 깨, 견과류, 콩류, 치즈 등을 넣거나,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굽거나, 아무것도 넣지 않고 반죽만 부풀려 굽는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호떡은 비단길과도 관련이 깊다. 이 음식이 한국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세기 말로 추정된다. 임오군란 때 같이 들어온 청나라 상인들이 자국이 망하고 나서도 본토로 돌아가지 않고 생계를 위해 식당을 열고 음식을 팔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호떡이라고 한다.[17] 호떡은 중국식 빵인 탕병(甜餅, "달콤한 팬케이크"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1] 1920년대 많은 중국인 상인들이 일제강점기 한국에 정착하여 이 탕병을 팔았다. 한국인들은 이것을 "호떡"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오랑캐의 떡"이라는 뜻이다. 당시 한국은 일본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인들은 이것을 "시나빵"(支那パン)이라고 불렀다.[5]
일반적으로 19세기 말 한국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중국계 한국인 상인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호떡을 만들어 팔았고, 이것이 한국 전역에 호떡이 퍼지는 데 기여했다고 여겨진다.[5] 많은 중국식 팬케이크들이 흔히 짭짤한 고기 소를 넣는 것과 달리, 호떡은 한국인의 음식 취향에 맞춰 주로 달콤한 소를 넣었다.[6] "호떡"은 오랑캐(조선어에서의 오랑캐 참조)의 떡을 의미하며, 19세기 말에 이주해 온 중국 상인이 만들어낸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에서는 인기 있는 포장마차에는 줄이 길게 늘어설 정도로 널리 사랑받고 있다.
3. 종류
3. 1. 전통적인 호떡
설탕과 같은 속을 둥글고 흰 떡이 둘러싼 형태로, 겨울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보통 계피맛이 나는 흑설탕을 넣지만 요즘엔 야채를 넣어 만들기도 하고, 흑설탕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밀가루를 첨가하거나 땅콩 등의 견과류를 갈아넣어 점성을 높이기도 한다.
호떡의 떡은 보통 흰색이지만 녹차가루를 넣어 색이 녹색인 녹차호떡으로 만들 수 있다. 시장이나 길거리에서 주로 팔린다. 잡채호떡이나 해물호떡도 있다. 씨앗 호떡, 꿀 호떡을 보통 판매하지만 최근에는 인절미 호떡, 초코 호떡 등의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계피와 땅콩소를 선호하지만, 21세기 초 이후로 말차 호떡,[7] 딸기(Rubus coreanus) 호떡, 옥수수 호떡, 피자 호떡 등 많은 변종이 개발되었다.[6] 여기에 더해 많은 판매업체들이 잡채와 채소를 넣은 야채 호떡을 판매하고 있다.[8]
3. 2. 현대적인 호떡
설탕과 같은 속을 둥글고 흰 떡이 둘러싼 형태로, 겨울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보통 계피맛이 나는 흑설탕을 넣지만 요즘엔 야채를 넣어 만들기도 하고, 흑설탕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밀가루를 첨가하거나 땅콩 등의 견과류를 갈아넣어 점성을 높이기도 한다.
호떡의 떡은 보통 흰색이지만 녹차가루를 넣어 색이 녹색인 녹차호떡으로 만들 수 있다. 시장이나 길거리에서 주로 팔린다. 잡채호떡이나 해물호떡도 있다. 씨앗 호떡, 꿀 호떡을 보통 판매하지만 최근에는 인절미 호떡, 초코 호떡 등의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계피와 땅콩소를 선호하지만, 호떡의 종류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21세기 초 이후로 말차 호떡,[7] 딸기(Rubus coreanus) 호떡, 옥수수 호떡, 피자 호떡 등 많은 변종이 개발되었다.[6] 여기에 더해 많은 판매업체들이 잡채와 채소를 넣은 야채 호떡을 판매하고 있다.[8] 삼양식품, 오뚜기, CJ 등의 회사에서 가정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호떡 제품들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호떡에는 다양한 변형이 있다. 빵 반죽을 사용한 것,[13] 옥수수 가루를 사용한 것,[14] 녹차를 넣은 것, 꿀이나 팥앙금 등을 넣은 것, 깨나 견과류, 콩류, 치즈를 넣은 것 외에도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구운 것, 아무것도 넣지 않고 반죽만 부풀려 구운 것 등도 있다.
3. 3. 중국식 호떡
호떡은 중국식 빵인 탕병(甜餅, 탕병|tángbǐng중국어)에서 유래되었다.[1] 1920년대 많은 중국인 상인들이 한국에 정착하여 이 탕병을 팔았다. 한국인들은 이것을 "호떡"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오랑캐의 떡"이라는 뜻이다. 당시 한국은 일본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인들은 이것을 "시나빵"(支那パン)이라고 불렀다.[5]
일반적으로 19세기 말 한국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중국계 한국인 상인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호떡을 만들어 팔았고, 이것이 한국 전역에 호떡이 퍼지는 데 기여했다고 여겨진다.[5] 많은 중국식 팬케이크들이 흔히 짭짤한 고기 소를 넣는 것과 달리, 호떡은 한국인의 음식 취향에 맞춰 주로 달콤한 소를 넣었다.[6]
4. 조리법
호떡 반죽은 밀가루, 물, 우유, 설탕, 효모로 만들고 몇 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뻣뻣한 반죽을 한 움큼씩 떼어내어 설탕, 꿀, 다진 땅콩, 계피 등을 넣은 단맛이 나는 속을 채운다. 그런 다음 채워진 반죽을 기름을 바른 핫플레이트에 올려놓고 둥글게 납작하게 눌러준다. 이때는 조리 과정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원형틀과 나무 손잡이를 사용한다.[2][3]
밀가루와 찹쌀가루로 만든 반죽에 흑설탕과 계피를 넣은 속을 넣어 만두처럼 빚은 후, 기름을 충분히 두른 철판 위에서 튀기듯이 굽는다.[12] 중간에 호떡 누르개라는 전용 도구로 눌러서 납작하게 만든다. 갓 구운 호떡은 안에 흑설탕이 뜨겁게 녹아 꿀처럼 되어 있어 먹을 때 화상에 주의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기성품 건조 호떡 믹스가 플라스틱 포장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믹스에는 설탕과 땅콩가루 또는 참깨가루로 구성된 속도 함께 들어 있다.[4]
4. 1. 전통적인 조리법
호떡 반죽은 밀가루, 물, 우유, 설탕, 그리고 효모로 만든다. 반죽은 몇 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뻣뻣한 반죽을 한 움큼씩 떼어내어 설탕, 꿀, 다진 땅콩, 계피 등을 넣은 단맛이 나는 속을 채운다. 그런 다음 채워진 반죽을 기름을 바른 핫플레이트에 올려놓고 둥글게 납작하게 눌러준다. 이때는 조리 과정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원형틀과 나무 손잡이를 사용한다.[2][3]밀가루와 찹쌀가루로 만든 반죽에 흑설탕과 계피를 넣은 속을 넣어 만두처럼 빚은 후, 기름을 충분히 두른 철판 위에서 튀기듯이 굽는다.[12] 중간에 호떡 누르개라는 전용 도구로 눌러서 납작하게 만든다.
갓 구운 호떡은 안에 흑설탕이 뜨겁게 녹아 꿀처럼 되어 있어 먹을 때 화상에 주의해야 한다.
4. 2. 간편 조리법
대한민국에서는 기성품 건조 호떡 믹스가 플라스틱 포장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 믹스에는 설탕과 땅콩가루 또는 참깨가루로 구성된 속도 함께 들어 있다.[4] 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가정용 믹스가루에는 드라이이스트가 함께 들어 있어 굽기 전 발효 시간을 단축하거나 없앤 제품도 있다.5. 상업용 상품
삼양사, 오뚜기, CJ제일제당 등에서 호떡 재료를 담은 상품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이 상품들은 가정에서 호떡을 만들 수 있게 고안되었다.
6. 기타
한국어에서는 시끄러운 상황을 가리켜 "호떡집에 불났다"라고 한다. 이 표현은 중국 상인들이 호떡 가판대에서 난 불의 원인을 두고 다투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5]
7. 영양
참조
[1]
웹사이트
The Warm, Sticky-Sweet Resurgence of Hotteok
https://www.nytimes.[...]
2022-02-28
[2]
웹사이트
Hotteok
http://kordic.nate.c[...]
2011-07-14
[3]
웹사이트
Recipe for hotteok
http://kitchen.naver[...]
2024-08
[4]
뉴스
Snack mix popularity on the rise
http://news.naver.co[...]
Yonhap News
2010-06-27
[5]
뉴스
호떡, 가난한 쿨리의 가장 먹기 편한 음식
http://h21.hani.co.k[...]
The Hankyoreh
2017-07-11
[6]
뉴스
Hotteok
http://news.naver.co[...]
Kyunghyang News
2010-06-27
[7]
이미지
photo
https://www.flickr.c[...]
[8]
웹사이트
Hotteok filled with vegetables & noodles (Yachae-hotteok: 야채호떡) recipe by Maangchi
https://www.maangchi[...]
2021-11-13
[9]
뉴스
Winter snacks
http://news.kukinews[...]
Kukinews
2007-01-07
[10]
백과사전
2023-02-01
[11]
웹사이트
ホットッ食べ比べ2007!!
https://www.seoulnav[...]
ソウルナビ
2023-02-01
[12]
웹사이트
韓国の定番おやつ
https://aumo.jp/arti[...]
aumo
2023-02-01
[13]
웹사이트
ホットク
https://www.konest.c[...]
韓巣
2023-02-01
[14]
웹사이트
韓国各地から選ぶ!行列ができる人気のホットク6選!
https://www.seoulnav[...]
ソウルナビ
2023-02-01
[15]
서적
입당구법순례행기
841-01-06
[16]
서적
자치통감
756-06-13
[17]
웹인용
실크로드를 통해 전해진 서역의 음식 - 호떡
https://www.cha.go.k[...]
2021-07-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오늘 아니면 못 올 것 같아서" 안동 대피소서 호떡 구운 60대
선망과 원망 뒤섞인 아찔한 ‘모던의 맛’ [.txt]
[책과 삶] 일제강점기 인기 끈 중국 ‘호떡’…왜 ‘숨어서 먹는다’고 표현했을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