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재용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용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으로, 충남고등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영화아카데미 7기를 수료했다. 1990년 단편 영화 《호모 비디오쿠스》로 데뷔하여 클레르몽페랑 국제 단편 영화제와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장편 데뷔작 《정사》(1998)는 흥행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으며, 이후 《순애보》(2000),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2003), 《다세포 소녀》(2006), 《여배우들》(2009) 등 다양한 작품을 연출했다. 2012년에는 삼성 갤럭시 노트 프로젝트 '시네노트'에 참여하여 단편 영화를 연출하고, 원격 연출 기법을 활용한 장편 영화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를 제작했다. 2014년에는 소설을 원작으로 한 《두근두근 내 인생》을 연출했으며, 2016년에는 노년 여성의 성매매 문제를 다룬 《죽여주는 여자》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남고등학교 동문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충남고등학교 동문 - 권상우
    권상우는 2001년 드라마로 데뷔하여 여러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국내외에서 인기를 얻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 대전광역시 출신 - 김수장 (법조인)
    김수장은 1945년 대전 출생으로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임용되어 검사장까지 승진, 주요 검찰 요직을 역임하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과 법무부 검찰인사위원장을 지냈으나 권인숙 성고문 사건 관련 논란이 있었다.
  • 대전광역시 출신 - 황인철 (1940년)
    황인철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변호사, 사회운동가로서, 판사 출신으로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며 민청학련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민주화 운동에 기여하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창립,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연합 대표 등 사회운동에도 참여했다.
이재용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이재용
출생일1966년 9월 5일
출생지대전광역시
직업영화 감독, 각본가
활동 기간1990-현재
학력한국외국어대학교 - 튀르키예어
추가 학력한국영화아카데미 - 영화 제작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I Jae-yong
한글이재용
한자李在容
RR 표기I Jae-yong
MR 표기I Chae-yong

2. 학력

3. 경력

이재용은 1990년 단편 영화 《호모 비데오쿠스》로 데뷔한 이후, 장편 영화와 단편 영화, 다큐멘터리, 모큐멘터리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실험적인 작품을 선보였다. 특히, 사회적 통념을 깨는 파격적인 소재와 섬세한 연출력으로 주목받았다.

2004년 말에는 온라인으로 공개된 단편 영화 《사랑의 기쁨》에 조현재와 이소연을 캐스팅했다.[2]

2007년에는 한국 전쟁과 이재용 감독 어머니의 죽음을 다룬 영화 《귀향》 프로젝트가 홍콩 아시아 영화 투자 포럼(HAF)에 선정되었다.[13]

3. 1. 초기 경력 (1990-1997)

이재용은 1990년 단편 영화 《호모 비디오쿠스》로 처음 이름을 알렸으며, 변혁과 공동 연출하였다. 이 작품은 클레르몽페랑 국제 단편 영화제에서 연구상과 청소년 심사위원상을, 1992년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단편 영화상을 수상했다.[2] 이후 《내 어머니의 여름》, 《거울 속의 시간》 등의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 1994년 다큐멘터리 프로젝트 《어느 도시의 이야기》는 제작사와의 문제로 제작이 중단되었다.[3]

3. 2. 장편 영화 데뷔 및 성공 (1998-2009)

1998년 장편 데뷔작 《정사》는 파격적인 소재와 미니멀하고 세련된 연출로 관객과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흥행에도 성공했다. 이미숙의 배우 경력을 되살린[4] 이 영화는 부산국제영화제에 상영되었고, 그 해 한국 영화 흥행 순위 7위를 기록했다.[5] 《정사》는 후쿠오카 아시아 영화제 대상,[2] 뉴포트 비치 영화제 아시아 영화 칼레이도스코프 상, 베로나 영화제 평론가상 및 최우수 예술, 기술 또는 창의적 기여상을 수상했다.[6]

2000년에는 한국과 일본 합작 영화 《순애보》를 연출했다. 이 영화는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배우와 스태프를 거의 동등한 조건으로 활용한 최초의 한일 합작 영화 중 하나로, 이정재가 주인공으로 출연했다.[7]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여러 영화제에 초청되었고, 한일 문화 교류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받았다.[4][2][6]

2003년에는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를 선보였다. 이 영화는 프랑스 소설 《위험한 관계》를 원작으로 하지만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흥행에 크게 성공하며 그해 한국 영화 최고 오프닝 주말 기록을 세웠고, 300만 장 이상의 티켓 판매고를 올렸다.[8][9] 배용준의 첫 번째 주요 영화 역할이기도 했다.[8] 이재용은 원작 소설의 정신을 충실히 따르면서 완전히 새로운 미학을 부여하여, 익숙한 이야기를 예상치 못한 병치와 시각적 우아함, 효율적인 스토리텔링으로 흥미롭게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0][11]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는 상하이 국제 영화제 최우수 감독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2][6]

2006년에는 웹툰 원작의 영화 《다세포 소녀》를 선보였다. 이 영화는 캠프적이고 장난스러운 뮤지컬 코미디로, 독특한 스타일과 외설적인 내용으로 화제를 모았다. 흥행 수입은 였는데, 이는 평균 예산의 한국 영화로서는 실망스러운 성적으로 여겨진다.[12][4]

2009년에는 저예산 모큐멘터리 영화 《여배우들》을 제작했다. 이 영화는 윤여정, 이미숙, 고현정, 최지우, 김민희, 김옥빈 등 한국의 유명 여배우 6명을 캐스팅하여 화제를 모았으며, 베를린 국제 영화제 파노라마 부문에 초청되었다.[14][15][16][17]

3. 3. 실험적 시도와 최근 작품 (2012-현재)

2012년 삼성은 갤럭시 노트를 홍보하기 위한 PPL 프로젝트 '시네노트'를 기획하고, 이재용, 강형철, 장훈 감독에게 단편 영화 제작을 의뢰했다. 이재용 감독은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단편 영화 《10분 만에 사랑에 빠지는 방법》을 연출했다.[18]

같은 해, 이재용 감독은 촬영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 모바일 기기와 인터넷을 통해 영화를 제작하는 '원격 연출'이라는 실험적인 방식으로 장편 영화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를 제작했다.[19][20][21] 로스앤젤레스에서 스카이프를 통해 영화를 연출하려는 그의 시도는 배우와 스태프의 좌절을 불러일으켰고, 픽션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상황이 연출되었다. 이재용 감독은 이 영화가 다큐멘터리처럼 보이지만, 리얼리티 쇼와 유사한 드라마적 요소도 가지고 있어 장르를 분류하기 어렵다고 밝혔다.[19][20][21] 이는 모큐멘터리 장르를 더욱 초현실적인 단계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4년에는 김애란 작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두근두근 내 인생》을 연출했다.[22] 프로게리아를 앓는 소년의 젊은 부모 역할로 강동원송혜교를 캐스팅했으며,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특수 분장 아티스트 Greg Cannom에게 훈련받은 스태프가 참여했다.[23]

2016년에는 노년 여성의 성매매 문제를 다룬 영화 《죽여주는 여자》를 통해 다시 한번 사회적 문제를 제기하며 주목받았다.[24]

4. 작품 목록

이재용 감독은 1990년 변혁과 공동 연출한 단편 영화 《호모 비데오쿠스》로 데뷔하여 클레르몽페랑 국제 단편 영화제와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이후 《내 어머니의 여름》, 《거울 속의 시간》 등의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 1998년에는 장편 데뷔작 《정사》를 통해 평단과 관객의 호평을 받았으며, 부산국제영화제를 비롯한 여러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2000년에는 한일 합작 영화 《순애보》를 연출했고, 2003년에는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스캔들 - 조선남녀상열지사》로 흥행에 성공했다. 2006년에는 파격적인 소재의 《다세포 소녀》를 선보였으며, 2009년에는 6명의 여배우들이 출연한 모큐멘터리 영화 《여배우들》을 통해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 초청받았다.

2012년에는 삼성 갤럭시 노트의 PPL 영화 프로젝트 《시네노트》에 참여하여 단편 《10분 만에 사랑에 빠지는 방법》을 연출했고, 이를 장편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로 발전시켰다. 2014년에는 김애란 작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두근두근 내 인생》을 통해 감동적인 이야기를 선보였다. 2016년에는 노년층의 성매매 문제를 다룬 《죽여주는 여자》를 통해 사회적 문제를 제기했다.[24]

4. 1. 장편 영화

장편 영화 목록
개봉 연도제목역할비고
영어한국어
1998정사감독
2000Asako in Ruby Shoes순애보감독, 각본순애보|순애보한국어
2003스캔들 - 조선남녀상열지사감독, 각본
2006다세포 소녀감독, 각본
2009여배우들여배우들감독, 각본, 제작
2013Behind the Camera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감독, 각본, 총괄 프로듀서
2014두근두근 내 인생감독, 각본
2016죽여주는 여자죽여주는 여자감독, 각본
2019The Big Picture감독


4. 2. 단편 영화

이재용은 1990년 단편 영화 《호모 비디오쿠스》로 영화계에 데뷔했다. 이 작품은 변혁과 공동 연출했으며, 클레르몽페랑 국제 단편 영화제에서 연구상과 청소년 심사위원상을, 1992년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단편 영화상을 수상했다.[2][3] 이후 《내 어머니의 여름》, 《거울 속의 시간》 등의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 2004년에는 단편 영화 《사랑의 기쁨》을 온라인으로 공개했다.[2] 2008년에는 아버지와 한국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귀향》을 감독했다.[13] 2012년에는 삼성 갤럭시 노트의 PPL 영화 프로젝트인 《시네 노트》의 단편 중 하나인 《10분 만에 사랑에 빠지는 방법》을 감독했다.[18] 이 작품은 원격 연출이라는 실험적인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장편 영화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로 확장되었다.[19][20][21]

5. 수상 기록

연도영화제작품결과
1994샌프란시스코 영화제최우수단편영화상호모 비디오쿠스수상
1994클레르몽페랑 영화제예술공로상, 젊은 비평가상호모 비디오쿠스수상
1999후쿠오카 아시아 영화제그랑프리정사수상
1999황금촬영상신인감독상정사수상
2004상하이 국제 영화제최우수 감독상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수상
2015우디네 극동 영화제관객상두근두근 내 인생3위
2016몬트리올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각본상죽여주는 여자수상


참조

[1] 웹사이트 Film-makers on film: E J Yong https://www.telegrap[...] 2005-04-21
[2] 웹사이트 The E J-yong Page http://www.koreanfil[...] 2004-12-23
[3] 웹사이트 E J-yong http://www.koreanfil[...]
[4] 웹사이트 E J-yong Interview http://www.hangulcel[...] 2012-02-23
[5] 웹사이트 Films Released in 1998 http://www.koreanfil[...]
[6] 웹사이트 E J-yong Info Sheet http://www.koreanfil[...] 2004-12-23
[7] 웹사이트 Asako in Ruby Shoes http://www.koreanfil[...]
[8] 웹사이트 Scandal erupts at South Korean box office http://www.screendai[...] 2003-10-07
[9]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E J-yong http://www.koreanfil[...] 2003-10-08
[10] 웹사이트 E J-yong is February's Director at the KCC. http://londonkoreanl[...] 2012-01-28
[11] 웹사이트 That was about one year ago: Interview with E J-yong http://www.koreasoci[...]
[12] 웹사이트 Dasepo Naughty Girls http://www.koreanfil[...]
[13] 웹사이트 E J-YONG - Homecoming http://www.screendai[...] 2007-09-21
[14] 웹사이트 INTERVIEW: Director E J-yong of ''Actresses'' - Part 1 http://www.asiae.co.[...] 2009-12-11
[15] 웹사이트 INTERVIEW: Director E J-yong of ''Actresses'' - Part 2 http://www.asiae.co.[...] 2009-12-11
[16] 웹사이트 INTERVIEW: Director E J-yong of ''Actresses'' - Part 3 http://www.asiae.co.[...] 2009-12-11
[17] 웹사이트 Q&A with E J-Yong: The Director of Actresses Talks Rivalries, Egos and the Truth about Korean Celebrities http://www.mtviggy.c[...] 2010-07-12
[18] 웹사이트 Smartphones help directors look at films from new angles http://nwww.koreaher[...] 2012-01-20
[19] 웹사이트 Director of BEHIND THE CAMERA E J-yong: What Could the Future & Filmmaking Be Like? http://koreanfilm.or[...] 2013-02-04
[20] 웹사이트 "Behind the Camera" director works his magic - via Skype https://koreajoongan[...] 2013-02-08
[21] 웹사이트 Behind the Camera: Why Mr. E Went to Hollywood http://www.filmbiz.a[...] 2013-01-14
[22] 웹사이트 GANG Dong-won and SONG Hye-kyo to Collaborate on Human Drama http://www.koreanfil[...] 2013-12-05
[23] 웹사이트 A-listers bring to life sad story of a fast-aging boy http://koreajoongang[...] 2014-08-08
[24] 웹사이트 E J-yong's THE KILLER WOMAN Selected as Next Feature Project of ''KAFA + Next D'' http://www.koreanfil[...] 2015-07-22
[25] 웹사이트 Working only with people you like is the best revenge: Yoon Yeo-jeong : 69-year old vet earns kudos for role of aged prostitute in 'The Bacchus Lady' http://koreajoongang[...] 2016-10-10
[26] 웹사이트 E J-yong Takes in THE BIG PICTURE with Mirovision http://koreanfilm.or[...]
[27] 뉴스 서울의하루 타임캡슐用「한도시 이야기」 영화에담아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9-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