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한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다. 덕흥대원군의 현손이자 선조의 백형 하원군의 증손이며, 인조 때 돈녕부 도정에 제수되었다. 오위도총부 부총관과 도총관을 역임하고, 청나라 사신을 맞이하는 영위사 등을 지냈다. 현종 때 개성부별문안사를 거쳐 파직되기도 했으나 다시 등용되었고, 1665년 가의대부 동지돈녕부사에 봉해졌다. 1671년에 70세로 사망했으며, 묘는 경기도 양주군 별내면 덕송리에 있다.
이정한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601년(선조 34) 9월 25일 응천도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음보로 출사하여 참봉을 역임했다. 1626년(인조 4) 7월 27일, 진성군 이해령 등이 덕흥대원군의 제사를 모시는 문제에 대해 상소하여, 인조의 명으로 대원군 적장손 제도가 다시 시작되면서 돈녕부 도정(都正)에 제수되었다.[1]
[1]
역사기록
진성군과 예조가 덕흥 대원군의 제례에 대한 것을 논의하다
1626-07-27
2. 생애
1640년(인조 18) 1월 8일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거쳐 도총관이 되었다. 1643년(인조 21) 안주영위사가 되어 청나라 사신을 맞이하였으며, 1647년(인조 25) 9월 11일 전위사가 되었다. 1649년(효종 즉위년) 6월에는 기우제헌관을 지냈고, 1651년(효종 2) 황주영위사, 1657년(효종 8) 2월 13일 의주영위사, 1659년(효종 10) 황주연위사를 역임했다.
1661년(현종 2) 2월 4일 개성부별문안사(開城府別問安使)가 되었다. 1663년(현종 4) 2월 14일 시부모에게 주는 기수(器數) 문제로 파직되었다가 이해 6월 15일에 다시 서용되었고, 1664년(현종 5) 오위도총부 부총관(副摠管)을 역임했다. 1665년(현종 6) 10월 23일 오위도총부 도총관(都摠管)에 제수되었다가 가의대부(嘉義大夫)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에 봉해졌고, 1671년(현종 12) 8월 30일 70세로 별세하였다.[2]
2. 1. 생애 초기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정한(挺漢), 초명은 대승(大承), 자는 수보(秀甫)이다. 덕흥대원군의 현손이며, 선조의 백형(伯兄) 하원군 이정은 증조부이고, 당은군 이인령은 조부이다. 아버지는 종실 응천도정 이돈이며, 어머니는 감사(監司) 성주인(星州人) 이욱의 딸로 성산현부인 이씨(星山縣夫人 李氏)이다. 일설에는 승적(承嫡)했다는 설이 있다.[1]
부인은 승지(承旨) 파평인(坡平人) 윤청의 딸로 증 정부인(貞夫人) 파평윤씨(坡平尹氏)와 선교랑(宣敎郞) 청송인(靑松人) 심욱의 딸로 정부인(貞夫人)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1601년(선조 34) 9월 25일 응천도정의 장남으로 탄생하였다. 음보로 출사하여 참봉을 역임하고, 1626년(인조 4) 7월 27일 진성군 이해령 등이 덕흥대원군의 주사자(主祀者)의 종실 4대 이후의 주사하는 사람은 돈녕부 도정(都正)의 직을 세습하는 제도가 시행되지 않고 있으니 시행할 것을 상소하여, 인조의 명으로 시행되지 않았던 대원군 적장손 제도가 다시 시작되게 되어 특별히 돈녕부 도정(都正)에 제수되었다.
2. 2. 관료 생활
1640년(인조 18) 1월 8일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거쳐 도총관이 되었다.
1643년(인조 21) 안주영위사가 되어 청나라 사신을 맞이하였으며, 1647년(인조 25) 9월 11일 전위사가 되었다.
1649년(효종 즉위년) 6월에 기우제헌관을 하고, 1651년(효종 2) 황주영위사를 거쳐 1657년(효종 8) 2월 13일 의주영위사를 역임하고, 1659년(효종 10) 황주연위사가 되었다.
2. 3. 생애 후반
1661년(현종 2) 2월 4일 개성부별문안사(開城府別問安使)가 되었다.
1663년(현종 4) 2월 14일 시부모에게 주는 기수(器數) 문제로 파직되었다가 이해 6월 15일에 다시 서용되었고, 1664년(현종 5) 다시 오위도총부 부총관(副摠管)이 되었다.
1665년(현종 6) 10월 23일 오위도총부 도총관(都摠管)에 제수되었다가 가의대부(嘉義大夫)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의 봉작받고, 1671년(현종 12) 8월 30일 향년 70세로 별세하였다.[2]
3. 사후
4.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출생-사망 비고 증조부 하원군 이정 1545년 - 1597년 덕흥대원군의 아들 조부 당은군 이인령 1562년 - 1615년 아버지 응천군 이돈 어머니 성산현부인 이씨 감사 이욱의 딸 부인 및 자녀 1부인 증 정부인 파평윤씨 승지 윤청의 딸 자녀 (양자) 이홍일 동생 이석한의 장남 장녀 장선연 덕수인 2녀 허정 양천인 3녀 심재 청송인 2부인 정부인 청송심씨 선교랑 심욱의 딸 4녀 송기태 은진인, 송시열의 양아들 5녀 홍천서 남양인 6녀 김석연 청풍인, 김우명의 아들, 명성왕후 김씨의 동생 기타 동생 이석한 1614년 - 1677년 사돈 송시열 호는 우암
참조
[2]
문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3]
문서
사후 응천군으로 추증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