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47년은 남명 영력 원년, 청 순치 4년, 일본 쇼호 4년, 후 레 푹타이 5년, 막 투언득 10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중국 반란군 지도자 장헌충의 사망, 남명 소무제의 죽음, 옹리제의 선포 등이 있었으며, 유럽에서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논의, 네덜란드와 스페인의 해상 전투, 나폴리 반란, 잉글랜드 내전 관련 사건 등이 발생했다. 또한, 이 해에는 존 윌못,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드니 파팽, 피에르 바유 등 많은 인물이 태어났고, 장시안중, 프레데릭 헨드릭,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47년 - 헨젤과 그레텔
헨젤과 그레텔은 그림 형제의 민담으로, 가난한 아이들이 숲에서 마녀를 만나 위기를 겪지만 지혜롭게 극복하고 행복하게 된다는 내용이며, 다양한 판본과 각색으로 존재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647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연도 | 1647년 |
사건 | |
정치 및 사회 | 신성 로마 제국의 대사들이 뮌스터와 오스나브뤼크에서 베스트팔렌 조약 협상을 시작함. 나폴리에서 마사니엘로의 반란이 일어남. 잉글랜드에서 군대의 영향력이 증대되어 장로교와 의회의 영향력이 축소됨. 런던에서 급진파 레벨러들이 처음으로 등장함. 프랑스에서 마자랭이 총리로 임명되고, 그의 정책에 반대하여 프롱드의 난이 발발함. |
과학 및 기술 | 마르케트 대학이 설립됨. 블레즈 파스칼이 기압 연구를 시작함. |
문화 및 예술 | 장 라신이 시인으로 데뷔함. 제라르드 테르 보르흐가 "뮌스터 조약 비준"을 그림. |
기타 | 1월 1일: 뉴잉글랜드에서 성경을 기초로 한 달력이 처음으로 사용됨. 3월 14일: 바이에른 선제후국의 군대가 마르크트슈바벤에서 반란을 일으킴. 3월 26일: 스코틀랜드의 의회가 잉글랜드 군대에 20만 파운드를 지불하고 스코틀랜드에서 철수시킴. 5월 13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지진이 발생함. 6월 5일: 로마에서 지진이 발생함. 10월 19일: 콜체스터에서 폭동이 발생함. 12월 21일: 아이슬란드에서 화산 폭발이 일어남. 조선에서 소현세자가 독살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됨. |
탄생 | |
1월 | 1월 1일: 아돌포 루이지 (이탈리아 작곡가) 1월 12일: 야콥 데 라 가르디 (스웨덴 장군) 1월 14일: 프란치스코 (포르투갈의 왕자) 1월 17일: 마리아 시비야 메리안 (독일계 스위스 박물학자) |
2월 | 2월 1일: 요한나 조피 (브란덴부르크의 선제후비) 2월 2일: 피에르 드 라트르 (프랑스 성직자) 2월 20일: 프란체스코 솔리메나 (이탈리아 화가) 2월 23일: 제임스 루카스 (영국 해군 제독) 2월 25일: 루돌프 (작센의 공작) 2월 27일: 마리아 아나 (합스부르크가의 여대공) |
3월 | 3월 1일: 크리스토프 엘리아스 슈테인바흐 (독일 언어학자) 3월 4일: 요한 알브레히트 (홀스타인고토르프의 공작) 3월 10일: 윌리엄 3세 (잉글랜드의 국왕) 3월 11일: 다니엘 로이(프랑스 박물학자) 3월 24일: 클라우디오 바티스타 (이탈리아의 화가) 3월 27일: 오토 헨리크 (덴마크 왕자) |
4월 | 4월 2일: 토마스 플레이어 (영국 상인) 4월 5일: 에우세비오 키노 (이탈리아 예수회 선교사) 4월 13일: 요한 빌헬름 아돌프 (작센아이제나흐의 공작) 4월 15일: 마리아 에드워즈 (영국 박애주의자) 4월 18일: 엘리아스 베렌츠 (스웨덴 의사) |
5월 | 5월 2일: 요한 프레데릭 (브란덴부르크 안스바흐의 후작) 5월 6일: 마르케 (프랑스 장교) 5월 12일: 안드레아스 슈바바흐 (독일 역사가) 5월 22일: 파이아노(이탈리아의 화가) 5월 26일: 요한 프라이헤어 (독일의 작가) 5월 30일: 제인스 (프랑스 철학자) |
6월 | 6월 1일: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 (이탈리아 천문학자) 6월 4일: 요아힘 한센 (독일 신학자) 6월 6일: 요한 아드리안 (네덜란드 화가) 6월 11일: 요한 벤크 (독일 화가) 6월 12일: 에우스타치오 디 카스탈도 (이탈리아 조각가) 6월 13일: 카트린 드 바르 (프랑스 수녀) 6월 19일: 요한 볼프강 폰 구트만스하우젠 (독일 군인) |
7월 | 7월 5일: 요한 아우구스트 (작센의 공작) 7월 12일: 크리스티안 (호흐베르크의 백작) 7월 17일: 파이케 (네덜란드 화가) 7월 19일: 요한 칼렌베르크 (독일 군인) 7월 23일: 헨리크 바르나드 (네덜란드 화가) 7월 26일: 마테오 가르시아 (스페인 시인) |
8월 | 8월 2일: 니콜라스 파르마 (프랑스 수학자) 8월 5일: 한스 에드워드 (덴마크 군인) 8월 9일: 도미니크(이탈리아 작가) 8월 10일: 루이즈 프랑소아즈 (프랑스 왕족) 8월 11일: 요한 (아나할트제르프스트의 공작) 8월 18일: 루트라프 (네덜란드 군인) 8월 20일: 존 워너 (영국 의사) 8월 25일: 요한 율리우스 (라인슈타인백작) |
9월 | 9월 1일: 루카스 마테 (독일의 화가) 9월 2일: 요한 루돌프 (독일 화가) 9월 6일: 프랑소와 데 랑시 (프랑스 배우) 9월 8일: 마리아 (오스트리아 여대공) 9월 17일: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 (독일 화학자) 9월 19일: 프랑수아 조르주 (프랑스 군인) 9월 21일: 카롤리나 (폴란드의 공주) 9월 26일: 요한 프라이헤르 (독일 작가) |
10월 | 10월 1일: 안드레아스 벤켄 (독일 화가) 10월 5일: 요한 크리스토프 (독일 화가) 10월 11일: 조반니 (이탈리아의 화가) 10월 14일: 요한 폰 그뤼니겐 (스위스 군인) 10월 20일: 알렌산더 (브란덴부르크의 선제후) 10월 26일: 도미니코(이탈리아 화가) |
11월 | 11월 1일: 파울 펠스 (네덜란드 화가) 11월 2일: 한스 헤닝 (덴마크 군인) 11월 5일: 마테오 지라드(프랑스 작가) 11월 11일: 다니엘 에드워드 (영국 작가) 11월 13일: 지오반니 보나벤투라 (이탈리아 화가) 11월 18일: 도미니쿠스(이탈리아의 철학자) 11월 21일: 니콜라스 르미에 (프랑스 작가) 11월 28일: 루드비히 폰 헤르츠 (독일 군인) |
12월 | 12월 6일: 토마스 플레밍 (영국 군인) 12월 15일: 피에르 드 파미에 (프랑스 작가) 12월 21일: 조반니 바티스타(이탈리아의 배우) 12월 26일: 지오반니 바티스타 (이탈리아 화가) 12월 28일: 조반니 가우데(이탈리아의 화가) 12월 30일: 빈첸츠 라이슈 (독일 화가) |
사망 | |
1월 | 1월 1일: 얀 스테니쿠스 (폴란드 역사학자) |
2월 | 2월 2일: 프랑수아 드 보테 (프랑스 작가) 2월 5일: 조반니 (이탈리아 공작) |
3월 | 3월 12일: 프리드리히 (헤센카셀의 백작) |
4월 | 4월 1일: 콘스탄틴(폴란드 작가) 4월 11일: 프란체스코 (이탈리아 군인) 4월 24일: 요아힘 프레데릭 (독일 군인) |
5월 | 5월 2일: 조반니 파노(이탈리아 작가) 5월 11일: 미하일 (러시아의 차르) 5월 20일: 요한 (바텐베르크 공작) |
6월 | 6월 11일: 프랑소와 (프랑스 장군) 6월 16일: 레오나르도(이탈리아의 화가) |
7월 | 7월 5일: 프랑소와 드 라 리셰 (프랑스 작가) 7월 27일: 조반니 (이탈리아 추기경) |
8월 | 8월 4일: 피에르 르메르 (프랑스 작가) 8월 18일: 페리(프랑스 장군) 8월 21일: 조반니 마르케 (이탈리아 작가) 8월 26일: 로자리오(이탈리아 추기경) |
9월 | 9월 2일: 에드워드 (영국 작가) 9월 20일: 다니엘 디커슨 (영국 시인) 9월 22일: 지오반니 (이탈리아 작가) 9월 25일: 보크만 (네덜란드 의사) |
10월 | 10월 1일: 필립 (프랑스 추기경) 10월 7일: 크리스토퍼 하드만 (영국 군인) 10월 11일: 요한 (독일 장군) 10월 18일: 페터 게라르트 (네덜란드 신학자) 10월 25일: 에브라르드 (독일 작가) 10월 28일: 루돌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
11월 | 11월 8일: 필립(독일 군인) 11월 20일: 크리스티안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11월 28일: 조반니 바티스타 (이탈리아 군인) |
12월 | 12월 1일: 제임스 (잉글랜드 군인) 12월 13일: 요한 (네덜란드 군인) 12월 14일: 프리드리히 (폰 촐레른-헤힌겐의 백작)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1월 2일 – 1644년부터 쓰촨성을 지배해 온 중국 반란군 지도자 장헌충(張獻忠)이 휘하 장교 유진중(劉進忠)의 배신으로 시충현(西充縣)에서 청나라 궁수에 의해 사망하였다.[1]
- 1월 7일 – 웨스트민스터 총회(Westminster Assembly)가 새로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를 뒷받침할 성경적 근거 조항들을 논의하기 시작하였다.[2]
- 1월 16일 – 더블린 시민들이 조반니 바티스타 리누치니(Giovanni Battista Rinuccini)를 지지하고, 오먼드 후작(Marquis of Ormond)의 군대를 지지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다.[3]
- 1월 17일 – 노르웨이 우정청(Posten Norge)이 포스트베세네트(Postvesenet)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4]
- 1월 20일 – 이청동(李成棟)이 이끄는 소규모 청나라 군대가 광저우(廣州)를 점령하고 남명(南明)의 소무제(紹武帝, Zhu Yuyue)를 죽였다.[5]
- 2월 5일 – 주유랑(朱聿𨱈)이 남명의 옹리제(永曆帝)로 선포되면서 옹리(永曆) 연호가 선포되었다.
- 2월 24일 – 토마스 버셸(Thomas Bushell)이 브리스틀 해협(Bristol Channel)의 런디 섬(Lundy)을 의회파에게 항복시켰다. 런디 섬은 당시 영국의 마지막 남은 왕당파 영토였다.[6]
- 5월 13일 – 1647년 산티아고 지진이 칠레를 강타하였다.
- 5월 24일 – 아가일 후작(Marquis of Argyll)과 데이비드 레슬리가 연합하여 킨타이어(Kintyre)의 루나호어린 포인트(Rhunahoarine Point)에서 알라스데어 맥콜라(Alasdair MacColla)를 물리쳤다. 맥콜라는 아일랜드로 도피하고, 그의 추종자들은 학살당하였다.[8]
- 6월 6일 – 잉글랜드 의회파(Parliamentarians)에 의해 더블린 총독으로 임명된 마이클 존스(Michael Jones (soldier))가 2,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상륙하여 가톨릭 신자들을 추방하고 왕당파 프로테스탄트들을 체포하기 시작하였다.
- 6월 10일 – 네덜란드 공화국의 12척의 대형 군함으로 구성된 함대가 마닐라 만으로 진입하여 도시의 많은 지붕에 포격을 가하면서 스페인령 필리핀에서 카비테 항구 전투(Battle of Puerto de Cavite)가 시작되었다. 스페인 방어 함대는 이틀간의 전투 끝에 네덜란드 함대를 격퇴하였다.
- 6월 19일 – 왕당파 더블린 총독인 오먼드 공작(James Butler, 1st Duke of Ormond)이 영국 연방(English Commonwealth)의 앵글시 백작(Arthur Annesley, 1st Earl of Anglesey)과 조약을 체결하여, 아일랜드 반란에 가담하지 않은 프로테스탄트와 로마 가톨릭 왕당파의 이익을 보호한다는 영국의 약속을 받고 더블린의 통제권을 연방에 넘겨주었다.
- 6월 25일 – 전 왕실 군대 지지자들이 잉글랜드 의회에 "군대의 항의(Remonstrance of The Army)"를 제출하여 새로운 영국 연방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였다.
- 7월 7일 – 마사니엘로가 스페인 통치에 맞서 나폴리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 8월 8일 – 덩컨스 힐 전투: 아일랜드군이 잉글랜드 의회군에게 패배하였다.
- 8월 17일 – 피터 스투이베산트가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에 의해 뉴네덜란드(훗날 미국의 뉴욕주가 되는 지역)의 지사로 임명되었다.[12]
- 9월 27일 – 네덜란드 상선 ''프린세스 아멜리아''호가 웨일스 멈블스 포인트 해안에서 좌초되어 침몰하고, 전 뉴네덜란드 주지사 빌렘 키프트를 포함한 승선 인원 107명 중 86명이 사망하였다.
- 11월 15일 – 앙리 드 기즈가 나폴리에 상륙하여 나폴리 공화국의 지도자가 되었다.
- 웨일스의 아베리스트위스 성(Aberystwyth Castle)이 왕당파의 거점이었던 과거를 뒤로하고, 크롬웰이 펜디나스 언덕 꼭대기에 설치한 포대와 의회파(Roundhead) 군대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13]
- 아이슬란드(Iceland)에서 주교 스베인손(Sveinson)이 처음으로 게이시르(Geysir)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14]
- 네덜란드 화가 살로몬 판 루이스다엘(Salomon van Ruysdael)이 유화 그림 「나이메헌(Nijmegen)의 도하」를 완성하였다.[15]
4. 1. 동아시아
- 간지: 정해
- 조선
- * 이씨조선 : 인조 25년
- * 단기 3980년
- 중국
- * 청 : 순치 4년
- ** 蔣爾恂|장이순중국어 : 중흥 원년
- * 남명 : 영력 원년
- 일본
- * 쇼호 4년
- * 신무천황 즉위기원 2307년
- 베트남
- * 후레 왕조 : 복태 5년
- ** 고평막씨 : 순덕 10년
4. 2. 유럽
- 3월 14일 - 30년 전쟁: 바이에른 선제후국, 쾰른 선제후국, 프랑스 왕국, 스웨덴이 울름 휴전에 서명하다.
- 3월 – 울름 조약으로 바이에른이 30년 전쟁에서 빠지자, 바이에른 군대 사령관이자 신성 로마 제국군 장군인 요한 폰 베르트가 막시밀리안 1세 바이에른 선제후의 명령을 거부하고 바이에른 군대를 바이에른에서 오스트리아로 이동시켜 제국 관할권 아래 두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군대가 거부하자 폰 베르트는 오스트리아로 도망쳤다.[7]
- 4월 3일 – 잉글랜드에서 신모델군의 궐기자들이 봉급 지급 지연에 항의하는 편지를 하원에 제출했다.
- 6월 8일 – 잉글랜드 장기의회의 청교도 지도자들이 "모든 공휴일을 폐지하고 학생, 견습생, 하인을 위한 다른 날을 스포츠와 오락의 날로 지정하는 법령"을 통과시켰다. 이 법령은 크리스마스, 부활절, 휘트선데이 축제를 폐지했지만 매달 둘째 화요일을 세속적인 공휴일로 지정했다. 이 법은 "그리스도의 탄생 축제, 부활절, 휘트선데이, 그리고 일반적으로 공휴일이라고 불리는 다른 축제들이 지금까지 미신적으로 사용되고 관찰되어 왔기 때문에, 상기 축제들을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더 이상 관찰하지 않도록 명한다"라고 선언했다.[9][10]
- 6월 16일 – 로마 왕 페르디난트 4세가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인 프레스부르크에서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으로 즉위했다.
- 7월 27일 – 폭도들이 웨스트민스터의 영국 의회 양원을 침입하여 하원 의장과 상원 의장을 비롯한 다른 국회의원과 귀족들을 몰아냈다.[11]
- 8월 5일 – 신모델군이 런던으로 진군하여 "장로파 국회의원들의 최악의 악몽을 실현시키고" 7월 27일에 축출된 국회의원들을 복귀시켰다.[11]
- 8월 22일 – 트리블 전투: 신성 로마 제국군이 보헤미아에서 기습 공격으로 스웨덴군을 물리쳤다.
- 10월 28일 – 의회가 왕당파 찰스 1세의 절대 군주제를 군사적으로 패배시킨 후, 신모델군 장교들이 퍼트니의 세인트 메리 교회에서 새로운 공화국 영국 연방에서 군주제를 대체할 정부 형태에 대해 논의하는 일련의 토론인 퍼트니 논쟁이 시작되었다.
- 12월 28일 – 잉글랜드의 찰스 1세가 교회 개혁을 약속했다. 이 합의는 잉글랜드 내전 (제2차)로 이어졌다.
-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달 표면에 있는 산맥을 아펜니누스 산맥으로 명명하였다.
- 청교도 혁명: 독립파가 입헌군주제를 골자로 한 『청원서』를 발표하였다. 이에 맞서 평등파가 민주주의적인 헌법 초안인 『인민협약』을 발표하였다. 10월 28일 두 파벌은 논쟁(토론)(퍼트니 논쟁)을 벌였다.
4. 3. 아메리카
피터 스투이베산트가 New Netherland영어의 새 총독으로 임명되어 뉴암스테르담을 떠나는 빌렘 키프트를 대신하게 되었다.[12] 그러나 키프트를 태운 네덜란드 상선 프린세스 아멜리아 호는 웨일스 해안에서 좌초되어 키프트를 포함한 많은 사람이 사망했다.5. 탄생
1647년에 태어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월일 | 이름 | 직업/활동 | 사망 |
---|---|---|---|
1월 2일 | 네이선얼 베이컨 | 버지니아 식민지 개척자, 반란군 | 1676년 |
1월 6일 | 크리스티안 빌헬름 1세 | 슈바르츠부르크존더스하우젠 공작 (1666년 ~ 1720년) | 1721년 |
1월 6일 | 윌리엄 월 | 영국 신학자 | 1728년 |
1월 7일 | 빌헬름 루트비히 | 뷔르템베르크 공작 | 1677년 |
2월 11일 |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 안할트-하르츠게로데 백작부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플뢱-노르부르크 공작부인 | 1723년 |
2월 17일 | 윌리엄 헤이 | 스코틀랜드 성직자, 고위 성직자 | 1707년 |
2월 17일 | 필립 라인하르트 비트리아리우스 | 독일 법률가 | 1720년 |
2월 18일 | 드니-니콜라 르 누리 | 프랑스 베네딕토회 학자 | 1724년 |
3월 1일 | 주앙 드 브리토 | 포르투갈 예수회 선교사, 순교자 | 1693년 |
3월 12일 | 빅토르-모리스 드 브로이 | 프랑스 군인, 장군 | 1727년 |
3월 17일 | 요한 볼프강 예거 | 독일 신학자 | 1720년 |
3월 19일 | 안나 엘리자베트 | 안할트-베른부르크 백작부인, 뷔르템베르크-베른슈타트 공작 부인 | 1680년 |
3월 20일 | 장 드 오트푀유 | 프랑스 성직자, 과학자 | 1724년 |
4월 1일 | 존 윌못 | 로체스터 제2백작, 잉글랜드 시인, 찰스 2세 궁정의 궁정인 | 1680년[16] |
4월 2일 | 마리아 시빌라 메리안 | 독일 태생 박물학자, 과학 삽화가 | 1717년 |
4월 3일 | 토머스 리틀턴 | 제3대 남작, 잉글랜드 정치가 | 1709년 |
4월 16일 | 마티스 나이베우 | 네덜란드 화가 | 1726년 |
4월 18일 | 엘리아스 브레너 | 핀란드 화가 | 1717년 |
4월 26일 | 윌리엄 애슈허스트 | 런던 시장(1693–1694) | 1720년 |
5월 20일 | 바실리우스 페트리츠 | 독일 작곡가, 크로이츠키르헤 | 1715년 |
6월 3일 | 요하나 발푸르기스 레닌겐-베스터부르크 백작부인 | 독일 귀족 여성, 젝스-바이센펠스 공작부인 | 1687년 |
6월 17일 | 제임스 켄달 | 잉글랜드 군인, 정치가 | 1708년 |
6월 19일 | 마일스 게일 | 잉글랜드 고고학자 | 1721년 |
6월 20일 | 요한 게오르크 3세 | 작센 선제후 | 1691년 |
6월 22일 | 이반 라트카이 | 크로아티아 예수회 선교사, 탐험가 | 1683년 |
7월 2일 | 다니엘 핀치 노팅험 백작 2세 | 잉글랜드 비밀 내각 의원 | 1730년 |
7월 8일 | 프랜시스 스튜어트 리치먼드 공작 부인 | 찰스 2세의 정부가 되는 것을 거부한 잉글랜드 왕정 복고 시대 궁정 인사 | 1702년 |
7월 22일 | 마르가레트 마리 알라코크 | 프랑스 가톨릭 수녀, 신비가, 성녀 | 1690년 |
7월 23일 | 루이제 마리 폰 데어 팔츠 | 독일 공주 | 1679년 |
7월 29일 | 카를 파이퍼 | 스웨덴 정치가 | 1716년 |
8월 4일 | 조반니 2세 코나로 | 베네치아 귀족, 정치가 | 1722년 |
8월 12일 | 요한 하인리히 아커 | 독일 작가 | 1719년 |
8월 12일 | 에버하르트 베르너 하펠 | 독일 작가 | 1690년 |
8월 22일 | 드니 파팽 | 프랑스 발명가 | 1713년 |
8월 28일 | 에릭 카를손 셰블라드 | 스웨덴 총독, 제독, 남작 | 1725년 |
8월 31일 | 메리 스콧 버클루 공작 부인 3세 | 스코틀랜드 귀족 여성 | 1661년 |
9월 1일 | 덴마크의 안나 소피 공주 | 프레데리크 3세 국왕의 딸 | 1717년 |
9월 4일 | 게르하르트 노트 | 네덜란드 법학자 | 1725년 |
9월 23일 | 조셉 더들리 | 매사추세츠 식민지 총독 | 1720년 |
9월 23일 | 프리드리히 7세 바덴-두르라흐 변경백 | 1677년부터 사망 시까지 | 1709년 |
10월 3일 | 요하네스 포에트 | 네덜란드 법학자 | 1713년 |
11월 11일 | 요한 빌헬름 바이어 | 독일 신학자 | 1695년 |
11월 11일 | 요하네스 포어하우트 | 네덜란드 화가 | 1723년 |
11월 18일 | 피에르 바이유 | 프랑스 철학자 | 1706년[17] |
11월 20일 | 후흐텐부르크 | 네덜란드 화가 | 1733년 |
11월 26일 | 헤세-다름슈타트의 마리 헤드비히 | 작센-마이닝겐 공작 부인 (1671년 ~ 1680년) | 1680년 |
11월 27일 | 바드르 운 니사 | 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와 나와브 바이의 딸 | 1670년 |
11월 28일 | 콘스탄틴 마르셀리스 | 덴마크 남작 | 1699년 |
12월 4일 | 다니엘 에벌린 | 독일 작곡가 | 1715년 |
12월 7일 | 조반니 체바 | 이탈리아 수학자 | 1734년 |
12월 7일 | 프란체스코 델 지우디체 |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 1725년 |
12월 11일 | 야코브 요한 하스트페르 | 스웨덴 장교, 리보니아 총독 | 1695년 |
12월 11일 | 다비드 판 데르 플라스 | 네덜란드 화가 | 1704년 |
12월 22일 | 니콜라스 노이스 | 세일럼 마녀 재판 당시 매사추세츠 식민지 목사 | 1717년 |
12월 30일 | 장 마르티나이 | 프랑스 베네딕토회 학자 | 1717년 |
생몰일 불명 | 헨리 올드리치 | 영국 신학자, 철학자 | 1710년 |
생몰일 불명 | 콘스탄틴 포홀콘 | 그리스 모험가 | 1688년 |
생몰일 불명 | 엘리자베트 헤벨리우스 | 폴란드 천문학자 | 1693년 |
생몰일 불명 | 사카타 도지로 (초대) | 가부키 배우 | 1709년 |
생몰일 불명 | 하라 모토타츠 | 적호 낭사 | 1703년 |
생몰일 불명 | 신도 슌시키 | 하리마 적호 번 무사 | 1730년 |
생몰일 불명 | 오쿠노 사다요시 | 하리마 적호 번 무사 | 1727년 |
생몰일 불명 | 카지카와 요리테루 | 기본 | 1722년 |
생몰일 불명 | 스기야마 스기후 | 하이쿠 시인, 교문십철 중 한 명 | 1732년 |
5. 1. 주요 인물
월일 | 이름 | 직업/활동 | 사망 |
---|---|---|---|
1월 2일 | 네이선얼 베이컨 | 버지니아 식민지 개척자, 반란군 | 1676년 |
1월 6일 | 크리스티안 빌헬름 1세 | 슈바르츠부르크-존더스하우젠 공작 (1666~1720) | 1721년 |
1월 6일 | 윌리엄 월 | 영국 신학자 | 1728년 |
1월 7일 | 빌헬름 루트비히 | 뷔르템베르크 공작 | 1677년 |
2월 11일 | 엘리자베스 샤를로테 | 안할트-하르츠게로데 백작부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플뢱-노르부르크 공작부인 | 1723년 |
2월 17일 | 윌리엄 헤이 | 스코틀랜드 성직자, 고위 성직자 | 1707년 |
2월 17일 | 필립 라인하르트 비트리아리우스 | 독일 법률가 | 1720년 |
2월 18일 | 드니-니콜라 르 누리 | 프랑스 베네딕토회 학자 | 1724년 |
3월 1일 | 주앙 드 브리토 | 포르투갈 예수회 선교사, 순교자 | 1693년 |
3월 12일 | 빅토르-모리스 드 브로이 | 프랑스 군인, 장군 | 1727년 |
3월 17일 | 요한 볼프강 예거 | 독일 신학자 | 1720년 |
3월 19일 | 안나 엘리자베트 | 안할트-베른부르크 백작부인, 뷔르템베르크-베른슈타트 공작 부인 | 1680년 |
3월 20일 | 장 드 오트푀유 | 프랑스 성직자, 과학자 | 1724년 |
4월 1일 | 존 윌못 | 로체스터 제2백작, 잉글랜드 시인, 찰스 2세 궁정의 궁정인 | 1680년[16] |
4월 2일 | 마리아 시빌라 메리안 | 독일 태생 박물학자, 과학 삽화가 | 1717년 |
4월 3일 | 토머스 리틀턴 | 제3대 남작, 잉글랜드 정치가 | 1709년 |
4월 16일 | 마티스 나이베우 | 네덜란드 화가 | 1726년 |
4월 18일 | 엘리아스 브레너 | 핀란드 화가 | 1717년 |
4월 26일 | 윌리엄 애슈허스트 | 런던 시장(1693–1694) | 1720년 |
5월 20일 | 바실리우스 페트리츠 | 독일 작곡가, 크로이츠키르헤 | 1715년 |
6월 3일 | 요하나 발푸르기스 레닌겐-베스터부르크 백작부인 | 독일 귀족 여성, 젝스-바이센펠스 공작부인 | 1687년 |
6월 17일 | 제임스 켄달 | 잉글랜드 군인, 정치가 | 1708년 |
6월 19일 | 마일스 게일 | 잉글랜드 고고학자 | 1721년 |
6월 20일 | 요한 게오르크 3세 | 작센 선제후 | 1691년 |
6월 22일 | 이반 라트카이 | 크로아티아 예수회 선교사, 탐험가 | 1683년 |
7월 2일 | 다니엘 핀치 노팅험 백작 2세 | 잉글랜드 비밀 내각 의원 | 1730년 |
7월 8일 | 프랜시스 스튜어트 리치먼드 공작 부인 | 잉글랜드 찰스 2세의 정부가 되는 것을 거부한 것으로 유명한 잉글랜드 왕정 복고 시대 궁정 인사 | 1702년 |
7월 22일 | 마르가레트 마리 알라코크 | 프랑스 가톨릭 수녀, 신비가, 성녀 | 1690년 |
7월 23일 | 루이제 마리 폰 데어 팔츠 | 독일 공주 | 1679년 |
7월 29일 | 카를 파이퍼 | 스웨덴 정치가 | 1716년 |
8월 4일 | 조반니 2세 코나로 | 베네치아 귀족, 정치가 | 1722년 |
8월 12일 | 요한 하인리히 아커 | 독일 작가 | 1719년 |
8월 12일 | 에버하르트 베르너 하펠 | 독일 작가 | 1690년 |
8월 22일 | 드니 파팽 | 프랑스 발명가 | 1713년 |
8월 28일 | 에릭 카를손 셰블라드 | 스웨덴 총독, 제독, 남작 | 1725년 |
8월 31일 | 메리 스콧 버클루 공작 부인 3세 | 스코틀랜드 귀족 여성 | 1661년 |
9월 1일 | 덴마크의 안나 소피 공주 | 덴마크 프레드릭 3세 국왕의 딸 | 1717년 |
9월 4일 | 게르하르트 노트 | 네덜란드 법학자 | 1725년 |
9월 23일 | 조셉 더들리 | 매사추세츠 식민지 총독 | 1720년 |
9월 23일 | 프리드리히 7세 바덴-두르라흐 변경백 | 1677년부터 사망 시까지 | 1709년 |
10월 3일 | 요하네스 포에트 | 네덜란드 법학자 | 1713년 |
11월 11일 | 요한 빌헬름 바이어 | 독일 신학자 | 1695년 |
11월 11일 | 요하네스 포어하우트 | 네덜란드 화가 | 1723년 |
11월 18일 | 피에르 바이유 | 프랑스 철학자 | 1706년[17] |
11월 20일 | 후흐텐부르크 | 네덜란드 화가 | 1733년 |
11월 26일 | 헤세-다름슈타트의 마리 헤드비히 | 작센-마이닝겐 공작 부인 (1671–1680) | 1680년 |
11월 27일 | 바드르 운 니사 | 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와 나와브 바이의 딸 | 1670년 |
11월 28일 | 콘스탄틴 마르셀리스 | 덴마크 남작 | 1699년 |
12월 4일 | 다니엘 에벌린 | 독일 작곡가 | 1715년 |
12월 7일 | 조반니 체바 | 이탈리아 수학자 | 1734년 |
12월 7일 | 프란체스코 델 지우디체 |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 1725년 |
12월 11일 | 야코브 요한 하스트페르 | 스웨덴 장교, 리보니아 총독 | 1695년 |
12월 11일 | 다비드 판 데르 플라스 | 네덜란드 화가 | 1704년 |
12월 22일 | 니콜라스 노이스 | 세일럼 마녀 재판 당시 매사추세츠 식민지 목사 | 1717년 |
12월 30일 | 장 마르티나이 | 프랑스 베네딕토회 학자 | 1717년 |
헨리 올드리치 | 영국 신학자, 철학자 | 1710년 | |
콘스탄틴 포홀콘 | 그리스 모험가 | 1688년 | |
엘리자베트 헤벨리우스 | 폴란드 천문학자 | 1693년 | |
생몰일 불명 | 사카타 도지로 (초대) | 가부키 배우 | 1709년 |
생몰일 불명 | 하라 모토타츠 | 적호 낭사 | 1703년 |
생몰일 불명 | 신도 슌시키 | 하리마 적호 번 무사 | 1730년 |
생몰일 불명 | 오쿠노 사다요시 | 하리마 적호 번 무사 | 1727년 |
생몰일 불명 | 카지카와 요리테루 | 기본 | 1722년 |
생몰일 불명 | 스기야마 스기후 | 하이쿠 시인, 교문십철 중 한 명 | 1732년 |
5. 2. 기타 인물
- 1월 2일 - 네이선얼 베이컨(Nathaniel Bacon), 버지니아 식민지 개척자이자 반란군 (사망 1676년)
- 1월 6일
- * 크리스티안 빌헬름 1세(Christian William I), 슈바르츠부르크존더스하우젠 공작 (1666년 ~ 1720년) (사망 1721년)
- * 윌리엄 월(William Wall), 영국 신학자 (사망 1728년)
- 1월 7일 - 빌헬름 루트비히(Wilhelm Ludwig), 뷔르템베르크 공작 (사망 1677년)
- 2월 11일 -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안할트-하르츠게로데 백작부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플뢱-노르부르크 공작부인 (사망 1723년)
- 2월 17일
- * 윌리엄 헤이(William Hay), 스코틀랜드 성직자이자 고위 성직자 (사망 1707년)
- * 필립 라인하르트 비트리아리우스(Philipp Reinhard Vitriarius), 독일 법률가 (사망 1720년)
- 2월 18일 - 드니-니콜라 르 누리(Denis-Nicolas Le Nourry), 프랑스 베네딕토회 학자 (사망 1724년)
- 3월 1일 - 주앙 드 브리토(John de Brito), 포르투갈 예수회 선교사이자 순교자 (사망 1693년)
- 3월 12일 - 빅토르-모리스 드 브로이(Victor-Maurice, comte de Broglie), 프랑스 군인이자 장군 (사망 1727년)
- 3월 17일 - 요한 볼프강 예거(Johann Wolfgang Jäger), 독일 신학자 (사망 1720년)
- 3월 19일 - 안나 엘리자베트 안할트-베른부르크 백작부인, 뷔르템베르크-베른슈타트 공작 부인 (사망 1680년)
- 3월 20일 - 장 드 오트푀유(Jean de Hautefeuille), 프랑스 성직자, 과학자 (사망 1724년)
- 4월 1일 - 존 윌못, 로체스터 제2백작, 잉글랜드의 시인이자 찰스 2세 궁정의 궁정인 (사망 1680년)[16]
- 4월 2일 - 마리아 시빌라 메리안(Maria Sibylla Merian), 독일 태생의 박물학자이자 과학 삽화가 (사망 1717년)
- 4월 3일 - 토머스 리틀턴, 제3대 남작, 잉글랜드의 정치가 (사망 1709년)
- 4월 16일 - 마티스 나이베우(Matthijs Naiveu), 네덜란드 화가 (사망 1726년)
- 4월 18일 - 엘리아스 브레너(Elias Brenner), 핀란드 화가 (사망 1717년)
- 4월 26일 - 윌리엄 애슈허스트(William Ashhurst), 런던 시장 (1693년 ~ 1694년) (사망 1720년)
- 5월 20일 - 바실리우스 페트리츠(Basilius Petritz), 독일 작곡가이자 크로이츠키르헤 (사망 1715년)
- 6월 3일 - 요하나 발푸르기스 레닌겐-베스터부르크 백작부인, 독일 귀족 여성, 젝스-바이센펠스 공작부인 (사망 1687년)
- 6월 17일 - 제임스 켄달(James Kendall),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가 (사망 1708년)
- 6월 19일 - 마일스 게일(Miles Gale), 잉글랜드의 고고학자 (사망 1721년)
- 6월 20일 - 요한 게오르크 3세, 작센 선제후 (사망 1691년)
- 6월 22일 - 이반 라트카이(Ivan Ratkaj), 크로아티아 예수회 선교사이자 탐험가 (사망 1683년)
- 7월 2일 - 다니엘 핀치 노팅험 백작 2세, 잉글랜드의 비밀 내각 의원 (사망 1730년)
- 7월 8일 - 프랜시스 스튜어트 리치먼드 공작 부인, 찰스 2세의 정부가 되는 것을 거부한 잉글랜드 왕정 복고 시대의 궁정 인사 (사망 1702년)
- 7월 22일 - 마르가레트 마리 알라코크(Margaret Mary Alacoque), 프랑스의 가톨릭 수녀, 신비가이자 성녀 (사망 1690년)
- 7월 23일 - 루이제 마리 폰 데어 팔츠(Luise Marie of the Palatinate), 독일 공주 (사망 1679년)
- 7월 29일 - 카를 파이퍼(Carl Piper), 스웨덴 정치가 (사망 1716년)
- 8월 4일 - 조반니 2세 코나로(Giovanni II Cornaro), 베네치아 귀족이자 정치가 (사망 1722년)
- 8월 12일
- * 요한 하인리히 아커(Johann Heinrich Acker), 독일 작가 (사망 1719년)
- * 에버하르트 베르너 하펠(Eberhard Werner Happel), 독일 작가 (사망 1690년)
- 8월 22일 - 드니 파팽(Denis Papin), 프랑스 발명가 (사망 1713년)
- 8월 28일 - 에릭 카를손 셰블라드(Erik Carlsson Sjöblad), 스웨덴 총독, 제독, 남작 (사망 1725년)
- 8월 31일 - 메리 스콧 버클루 공작 부인 3세, 스코틀랜드 귀족 여성 (사망 1661년)
- 9월 1일 - 덴마크의 안나 소피 공주, 프레데리크 3세 국왕의 딸 (사망 1717년)
- 9월 4일 - 게르하르트 노트(Gerhard Noodt), 네덜란드 법학자 (사망 1725년)
- 9월 23일
- * 조셉 더들리(Joseph Dudley), 매사추세츠 식민지 총독 (사망 1720년)
- * 프리드리히 7세 바덴-두르라흐 변경백 (사망 1709년)
- 10월 3일 - 요하네스 포에트(Johannes Voet), 네덜란드 법학자 (사망 1713년)
- 11월 11일
- * 요한 빌헬름 바이어(Johann Wilhelm Baier), 독일 신학자 (사망 1695년)
- * 요하네스 포어하우트(Johannes Voorhout), 네덜란드 화가 (사망 1723년)
- 11월 18일 - 피에르 바이유(Pierre Bayle), 프랑스 철학자 (사망 1706년)[17]
- 11월 20일 - 후흐텐부르크(Huchtenburg), 네덜란드 화가 (사망 1733년)
- 11월 26일 - 헤세-다름슈타트의 마리 헤드비히, 작센-마이닝겐 공작 부인 (1671년 ~ 1680년) (사망 1680년)
- 11월 27일 - 바드르 운 니사(Badr-un-Nissa), 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와 나와브 바이의 딸 (사망 1670년)
- 11월 28일 - 콘스탄틴 마르셀리스(Constantin Marselis), 덴마크 남작 (사망 1699년)
- 12월 4일 - 다니엘 에벌린(Daniel Eberlin), 독일 작곡가 (사망 1715년)
- 12월 7일
- * 조반니 체바(Giovanni Ceva), 이탈리아 수학자 (사망 1734년)
- * 프란체스코 델 지우디체(Francesco del Giudice),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사망 1725년)
- 12월 11일
- * 야코브 요한 하스트페르(Jacob Johan Hastfer), 스웨덴 장교, 리보니아 총독 (사망 1695년)
- * 다비드 판 데르 플라스(David van der Plas), 네덜란드 화가 (사망 1704년)
- 12월 22일 - 니콜라스 노이스(Nicholas Noyes), 세일럼 마녀 재판 당시 매사추세츠 식민지 목사 (사망 1717년)
- 12월 30일 - 장 마르티나이(Jean Martianay), 프랑스 베네딕토회 학자 (사망 1717년)
- 헨리 올드리치(Henry Aldrich), 영국의 신학자이자 철학자 (사망 1710년)
- 콘스탄틴 포홀콘(Constantine Phaulkon), 그리스의 모험가 (사망 1688년)
- 엘리자베트 헤벨리우스(Elisabeth Hevelius), 폴란드의 천문학자 (사망 1693년)
- 사카타 도지로 (초대), 가부키 배우 (사망 1709년)
- 하라 모토타츠, 적호 낭사 (사망 1703년)
- 신도 슌시키, 적호 사건 전에 탈맹한 하리마 적호 번 무사 (사망 1730년)
- 오쿠노 사다요시, 적호 사건 전에 탈맹한 하리마 적호 번 무사 (사망 1727년)
- 카지카와 요리테루, 송의 대랑하의 칼부림에서 아사노 나가나리를 제압한 기본 (사망 1722년)
- 스기야마 스기후, 하이쿠 시인, 교문십철 중 한 명 (사망 1732년)
6. 사망
- 1월 2일 - 장시안중(張獻忠), 중국 반란군 지도자 (張獻忠|장헌충중국어, * 1606년)
- 1월 6일 -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데 우레아(Francisco Ximénez de Urrea), 스페인 역사가 (* 1589년)
- 1월 14일 - 프랑수아 랑글루아(François L’Anglois), 프랑스 화가 (* 1589년)
- 1월 29일 - 프랜시스 메어스(Francis Meres), 잉글랜드 작가 (* 1565년)
- 2월 6일 - 후안 알폰소 엔리케스 데 카브레라(Juan Alfonso Enríquez de Cabrera), 시칠리아 및 나폴리 총독 (* 1599년)
- 2월 17일 - 요한 헤르만(Johann Heermann), 독일 시인이자 찬송가 작곡가 (* 1585년)
- 3월 2일 - 요하나 엘리자베트 나사우-하다마르 공녀(Johanna Elisabeth of Nassau-Hadamar), 안할트-하르츠게로데 공녀 (* 1619년)
- 3월 12일 - 고보리 마사카즈, 오미고무라 번 초대 번주, 다도가 (* 1579년)
- 3월 29일 - 찰스 버틀러(Charles Butler), 잉글랜드 양봉가이자 언어학자 (* 1560년)
- 4월 20일 - 존 호바트 2세 남작(Sir John Hobart, 2nd Baronet), 잉글랜드 정치인 (* 1593년)
- 6월 2일 - 크리스티안(Christian, Prince-Elect of Denmark), 덴마크 왕세자 (* 1603년)
- 6월 9일 - 레오나드 캘버트(Leonard Calvert), 메릴랜드 식민지 총독 (* 1606년)
- 6월 12일 - 토마스 파나비(Thomas Farnaby), 잉글랜드 문법학자 (* 1575년경)
- 7월 1일 - 프랜시스 월싱엄(Francis Walsingham), 잉글랜드 예수회 신부 (* 1577년)
- 7월 7일 - 토마스 후커(Thomas Hooker), 코네티컷 식민지 개척자 (* 1586년)
- 7월 12일 - 프란체스코 마리아 파르네세(Francesco Maria Farnese),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 1619년)
- 8월 27일 - 피에트로 노벨리(Pietro Novelli), 이탈리아 화가 (* 1603년)
- 9월 9일 - 에드워드 오즈번 1세 남작(Sir Edward Osborne, 1st Baronet), 잉글랜드 정치인 (* 1596년)
- 9월 18일 - 피에트로 카레라(Pietro Carrera), 이탈리아 체스 선수 (* 1573년)
- 10월 9일 - 안셀름 카지미어 밤볼트 폰 움슈타트(Anselm Casimir Wambold von Umstadt), 마인츠 대주교 (* 1582년)
- 10월 15일 - 바르톨다 반 스비텐(Bartholda van Swieten), 네덜란드 외교관 (* 1566년)
- 11월 5일 - 빈첸초 레이니에리(Vincentio Reinieri), 이탈리아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 1606년)
- 11월 25일
- * 에어바흐-쇤베르크 백작 게오르크 알브레히트 1세(George Albert I, Count of Erbach-Schönberg) (* 1597년)
- * 오다 노부마사, 오다 노부나가의 서장자(하나와 나오마사의 누이와 노부나가의 자식) (*1554년)
- 12월 1일 - 조제프 골티에 드 라 발레트(Joseph Gaultier de la Vallette), 프랑스 천문학자 (* 1564년)
- 12월 10일 - 아베 마사츠구, 오사카 성대, 무사시하토가야 번주, 카즈사오타키 번주, 사가미오다와라 번주, 무사시이와츠키 번 초대 번주 (* 1569년)
- 12월 31일 - 조반니 마리아 트라바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 1575년경)
- 월일 불명 - 상현왕, 류큐 왕국제이 상씨 왕조국왕 (* 1625년)
6. 1. 주요 인물
- 1월 2일 - 장시안중(張獻忠), 중국 반란군 지도자 (생년 1606년)
- 3월 14일 - 오라니예 공 프레데릭 헨드릭, 네덜란드 총독 (생년 1584년)
- 5월 21일 - 피터르 코르넬리손 호프트(Pieter Corneliszoon Hooft), 네덜란드 시인이자 역사가[18] (생년 1581년)
- 7월 16일 - 마사니엘로(Masaniello), 이탈리아 반란군 지도자 (생년 1622년)[19]
- 8월 24일 - 니콜라스 스톤(Nicholas Stone), 잉글랜드 조각가이자 건축가 (생년 1586년)
- 10월 8일 - 크리스텐 쇠렌센 롱고몽타누스, 덴마크 천문학자 (생년 1562년)
- 10월 25일 -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이탈리아 수학자이자 물리학자[20] (생년 1608년)
- 11월 30일 - 보나벤투라 카발리에리, 이탈리아 수학자 (생년 1598년)
- 11월 30일 - 조반니 란프랑코, 이탈리아 화가 (생년 1582년)
6. 2. 기타 인물
- 1월 2일 - 장시안중(張獻忠), 중국 반란군 지도자 (張獻忠|장헌충중국어, * 1606년)
- 1월 6일 -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데 우레아(Francisco Ximénez de Urrea), 스페인 역사가 (* 1589년)
- 1월 14일 - 프랑수아 랑글루아(François L’Anglois), 프랑스 화가 (* 1589년)
- 1월 29일 - 프랜시스 메어스(Francis Meres), 잉글랜드 작가 (* 1565년)
- 2월 6일 - 후안 알폰소 엔리케스 데 카브레라(Juan Alfonso Enríquez de Cabrera), 시칠리아 총독 겸 나폴리 총독 (* 1599년)
- 2월 17일 - 요한 헤르만(Johann Heermann), 독일 시인이자 찬송가 작곡가 (* 1585년)
- 3월 2일 - 요하나 엘리자베트 나사우-하다마르 공녀(Johanna Elisabeth of Nassau-Hadamar), 안할트-하르츠게로데 공녀 (* 1619년)
- 3월 12일 - 고보리 마사카즈, 오미고무라 번 초대 번주, 다도가 (* 1579년)
- 3월 14일 - 오라니예 공 프레데릭 헨드릭, 네덜란드 총독 (* 1584년)
- 3월 29일 - 찰스 버틀러(Charles Butler), 잉글랜드 양봉가이자 언어학자 (* 1560년)
- 4월 20일 - 존 호바트 2세 남작(Sir John Hobart, 2nd Baronet), 잉글랜드 정치인 (* 1593년)
- 5월 21일 - 피터르 코르넬리손 호프트(Pieter Corneliszoon Hooft), 네덜란드 시인이자 역사가 (* 1581년)[18]
- 6월 2일 - 크리스티안(Christian, Prince-Elect of Denmark), 덴마크 왕세자 (* 1603년)
- 6월 9일 - 레오나드 캘버트(Leonard Calvert), 메릴랜드 식민지 총독 (* 1606년)
- 6월 12일 - 토마스 파나비(Thomas Farnaby), 잉글랜드 문법학자 (* 1575년경)
- 7월 1일 - 프랜시스 월싱엄(Francis Walsingham), 잉글랜드 예수회 신부 (* 1577년)
- 7월 7일 - 토마스 후커(Thomas Hooker), 코네티컷 식민지 개척자 (* 1586년)
- 7월 12일 - 프란체스코 마리아 파르네세(Francesco Maria Farnese),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 1619년)
- 7월 16일 - 마사니엘로(Masaniello), 이탈리아 반란군 지도자 (* 1622년)[19]
- 8월 24일 - 니콜라스 스톤(Nicholas Stone), 잉글랜드 조각가이자 건축가 (* 1586년)
- 8월 27일 - 피에트로 노벨리(Pietro Novelli), 이탈리아 화가 (* 1603년)
- 9월 9일 - 에드워드 오즈번 1세 남작(Sir Edward Osborne, 1st Baronet), 잉글랜드 정치인 (* 1596년)
- 9월 18일 - 피에트로 카레라(Pietro Carrera), 이탈리아 체스 선수 (* 1573년)
- 10월 8일 - 크리스텐 쇠렌센 롱고몽타누스, 천문학자 (* 1562년)
- 10월 9일 - 안셀름 카지미어 밤볼트 폰 움슈타트(Anselm Casimir Wambold von Umstadt), 마인츠 대주교 (* 1582년)
- 10월 15일 - 바르톨다 반 스비텐(Bartholda van Swieten), 네덜란드 외교관 (* 1566년)
- 10월 25일 -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물리학자 (* 1608년)[22]
- 11월 5일 - 빈첸초 레이니에리(Vincentio Reinieri), 이탈리아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 1606년)
- 11월 25일
- * 에어바흐-쇤베르크 백작 게오르크 알브레히트 1세(George Albert I, Count of Erbach-Schönberg) (* 1597년)
- * 오다 노부마사, 오다 노부나가의 서장자(하나와 나오마사의 누이와 노부나가의 자식) (*1554년)
- 11월 30일
- * 보나벤투라 카발리에리(Bonaventura Cavalieri), 이탈리아 수학자 (* 1598년)
- * 조반니 란프랑코(Giovanni Lanfranco), 이탈리아 화가 (* 1582년)
- 12월 1일 - 조제프 골티에 드 라 발레트(Joseph Gaultier de la Vallette), 프랑스 천문학자 (* 1564년)
- 12월 10일 - 아베 마사츠구, 오사카 성대, 무사시하토가야 번주, 카즈사오타키 번주, 사가미오다와라 번주, 무사시이와츠키 번 초대 번주 (* 1569년)
- 12월 31일 - 조반니 마리아 트라바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 1575년경)
- 월일 불명 - 상현왕, 류큐 왕국제이 상씨 왕조국왕 (* 1625년)
참조
[1]
간행물
The Culmination of a Chinese Peasant Rebellion: Chang Hsien-chung in Szechwan, 1644–46
1957-05
[2]
간행물
The Work of the Westminster Assembly
1942
[3]
서적
History of the Great Civil War vol. iii
1889
[4]
웹사이트
Milestones in Norway Post's history
https://web.archive.[...]
postennorge.com
2016-10-01
[5]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6]
서적
Bushell and Harman of Lundy
Gazette Printing Service
1961
[7]
서적
Lives of the Warriors of the Thirty Years' War: Warriors of the 17th Century
John Murray Publishing
1865
[8]
서적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in Scotland 1644–1651
1977
[9]
서적
The Parliamentary Or Constitutional History of England
https://books.google[...]
William Sandry
1755
[10]
웹사이트
Christmas abolished! - Why did Cromwell abolish Christmas?
http://www.olivercro[...]
The Cromwell Association
2011-10-23
[11]
서적
Following the Levellers: Political and Religious Radicals in the English Civil War and Revolution, 1645–1649
Palgrave Macmillan UK
2018
[12]
서적
The Encyclopedia of North American Indian Wars, 1607–1890: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2011
[13]
서적
The New Aberystwyth Guide
Lewis Jones, Bookseller
1824
[14]
웹사이트
Geysir Volcano, Iceland
http://www.volcanoli[...]
volcanolive.com
2016-03-04
[15]
웹사이트
Salomon van Ruysdael: The Crossing at Nijmegen
https://www.artrenew[...]
artrenewal.org
2016-03-04
[16]
서적
Anne Bronte
Northcote House Pub
2000
[17]
백과사전
Bayle, Pierre
[18]
서적
Art at auction in 17th century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2
[19]
웹사이트
Encyclopedia Briticanna
https://www.britanni[...]
2018-07-12
[20]
서적
Wonderful Inventions: From the Mariner's Compass to the Electric Telegraph Cable
https://archive.org/[...]
George Routledge and Sons
1868
[21]
웹사이트
Denis Papin British physicist
https://www.britanni[...]
[22]
웹사이트
Evangelista Torricelli Italian physicist and mathematician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