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65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59년은 남명 영력 13년, 청 순치 16년, 조선 효종 10년에 해당하며, 현종이 조선의 18대 국왕으로 즉위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엘바스 전선 전투, 피에르 코르네유의 연극 '오이디푸스' 초연, 리처드 크롬웰의 호국경 사임, 헤이그 조약 체결, 피레네 조약 체결 등이 있었다. 또한, 헨리 퍼셀, 숙종의 희빈 장씨 등이 태어났고, 조선 효종, 아벨 타스만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659년
1659년
달력
1659년 달력
1659년 달력
주요 사건
사건4월 29일 - 청나라의 효장태후, 강희제를 보정하기 시작하다.
사건5월 8일 - 잉글랜드의 찰스 2세, 왕정복고를 위해 다시 권좌에 오르다.
사건7월 8일 - 코로나도 해전: 스페인 함대가 네덜란드 함대를 격파하다.
탄생
탄생2월 1일 - 한희순, 조선의 문신 (1728년 사망)
사망
사망2월 9일 - 빌헬름 실브라, 독일의 법률가, 외교관 (1597년 출생)
사망8월 6일 - 디에고 벨라스케스, 스페인의 화가 (1599년 출생)
사망9월 1일 - 후안 호세 데 아우스트리아, 스페인의 군인, 정치인 (1629년 출생)

2. 연호 및 기년

{| class="wikitable"

|-

! 간지

| 기해

|-

! 조선

| 효종 10년

|-

! 단기

| 3992년

|-

! 중국

|

순치 16년
남명영력 13년
주단석정무 14년[1]



|-

! 일본

|

일본만지 2년
황기2319년



|-

! 베트남

|

후 레 왕조영수 2년
고평 막씨순덕 22년



|-

! 불멸기원

| 2201년 - 2202년

|-

! 이슬람력

| 1069년 - 1070년

|-

! 유대력

| 5419년 - 5420년

|-

! 율리우스력

| 1658년 12월 22일 - 1659년 12월 21일

|}

3. 사건


  • 조선의 18대 국왕 현종이 즉위했다.
  • 조선의 효종이 북벌 계획을 추진했다.
  • 1월 6일 - 영국 공화국: 제5 군주국 의회가 해산하고, 군사 위원회가 영국의 정부를 장악했다.
  • 1월 14일 - 포르투갈 복원 전쟁 중 엘바스 전선 전투에서 루이스 멘데스 데 하로가 지휘하는 스페인군은 약 16,000명의 병사 중 11,000명 이상이 사망, 부상 또는 포로로 잡히는 큰 피해를 입었다. André de Albuquerque Ribafria가 지휘하는 10,500명의 포르투갈군은 900명 미만의 사상자를 냈다.
  • 1월 24일 - 피에르 코르네유의 ''오이디푸스''가 파리에서 초연되었다.
  • 1월 27일 - 잉글랜드 연방,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 연방의 제3차 호국경 의회가 리처드 크롬웰에 의해 개회되었고, Chaloner Chute가 하원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날 "크롬웰의 또 다른 의회"가 개회되었으며, 리처드 크롬웰이 의장을 맡았다.
  • 1월 31일 - 조반나 데 그란디스가 로마에서 체포되어 아쿠아 토파나 독극물 거래 혐의로 기소되었다. 2월 2일, 그녀는 독극물 제조 주모자인 지로나마 스파나를 지목하여 스파나 기소 사건이 시작되었다.
  • 2월 2일 - 얀 판 리베크가 희망봉에서 최초의 남아프리카 와인을 생산했다.
  • 2월 11일 - 스웨덴 군대의 코펜하겐 공격 (1659년)이 격퇴되었다.
  • 2월 16일 - 최초의 수표 (400파운드)가 작성되었다.
  • 2월 21일 - 제5 군주국 의회의 마지막 남은 의원들이 리처드 크롬웰을 복귀시키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 3월 1일 - 찰스 2세는 에드워드 하이드, 제1대 클래런던 백작을 중심으로 왕정 복고 계획을 세웠다.
  • 3월 9일 - 찰로너 추트가 병에 걸리자 제3차 호국경 의회에서 리슬본 롱 경이 하원의장으로 선출되었으나 6일 만에 사망했다. 추트는 의장직을 유지했지만 4월 14일에 사망했고, 토머스 뱀필드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 3월 11일 - 다라 시코 왕자는 아지메르 근처에서 아우랑제브가 보낸 군대와 싸웠지만 패배하여 도망쳤다.
  • 3월 18일 - 영국 공화국: 군사 위원회가 리처드 크롬웰을 해임했다.
  • 3월 28일 - 헨드릭 칼로프에게 덴마크 아프리카 회사(''Dansk afrikanske kompagni'')가 설립되어 덴마크 골드 코스트 식민지 주변 지역에서 아프리카 노예를 잡아 서인도 제도에서 사용하려 했다.
  • 4월 22일 - 리처드 크롬웰은 잉글랜드 군대의 압력으로 세 번째 호국경 의회를 해산한다.[4]
  • 5월 6일 - 잉글랜드 육군 장군 헤제키아 하인스는 찰스 플리트우드 등과 함께 "육군 장교들의 선언"을 발표하여 "럼프 의회"를 복원하고 크롬웰의 사임을 촉구했다. 크롬웰은 다음 날 의회 통치를 복원하고 사임하기로 결정한다.[5]
  • 5월 7일 - 영국 공화국: 장로파 의회(장기 의회)가 다시 소집되었다.
  • 5월 21일 - 프랑스 왕국, 잉글랜드 연방 및 네덜란드 공화국은 헤이그 협약을 체결하여 제2차 북방 전쟁에 대한 공통 입장을 합의했다.
  • 6월 4일 - 잉글랜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로버트 보일기압계의 성능을 시연했다.
  • 6월 10일 - 다라 시코는 아프간 족장 주나이드 칸 바로자이에 의해 배신당해 아우랑제브에게 넘겨져 8월 30일에 살해된다.
  • 6월 24일 - 스웨덴덴마크 사이의 코펜하겐 포위전이 시작되었다.
  • 6월 29일 - 러시아-폴란드 전쟁 중 코노토프 전투에서 폴란드 코사크 ''헤트만'' 이반 비호프스키와 그의 동맹국들은 알렉세이 트루베츠코이가 이끄는 러시아 차르국 군대를 격파했다.
  • 7월 5일 - 아쿠아 토파나 독을 유포하여 살인 혐의로 기소된 지로니마 스파나, 조반나 데 그란디스 등 여성 5명이 로마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2]
  • 7월 16일 - 나사우의 공주 헨리에트 카트린이 흐로닝언에서 안할트-데사우의 요한 게오르크 2세 공과 결혼했다.
  • 7월 31일 - 도다 켐파데바라자가 마이소르 왕국의 새로운 마하라자가 되었다.
  • 7월 - 크리스티안 호이겐스의 ''Systema Saturnium''이 출판된다.[9]
  • 8월 3일 - 조지 부스가 이끄는 부스의 봉기가 체스터에서 시작되었다.
  • 8월 7일 - 부스의 봉기가 리버풀로 확산되면서 토마스 미들턴 등이 웨일스렉섬을 점령하고 찰스 2세를 왕으로 선포했다.
  • 8월 15일 - 영국 군함 두 척이 디 강 입구를 봉쇄하고, 존 램버트 소장은 체셔의 낸트위치로 진격한다.
  • 8월 19일 - 위닝턴 다리 전투에서 존 램버트 소장이 이끄는 5,000명의 호국경 육군이 반정부 반군 4,000명을 격파했다.[10]
  • 8월 30일 - 예르지 세바스티안 루보미르스키 등이 이끄는 폴란드 군대가 그루지아츠를 7일간의 포위 끝에 탈환했다.
  • 9월 20일 - 얼스터 군 (뉴욕주)에서 네덜란드 정착민과 에소푸스족인 원주민 레나페족 간의 전쟁이 발발했다.
  • 9월 22일 - 키질히사르가 베네치아 공화국 해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 9월 30일 - 뉴네덜란드의 피터 스토이베산트는 종교 행사 중 테니스 경기를 금지했다.
  • 10월 12일 - 잉글랜드의 잔부 의회가 존 램버트와 다른 장군들을 해임했다.
  • 10월 13일 - 존 램버트가 잉글랜드 잔부 정부를 몰아냈다.
  • 11월 - 프랑스루이 14세가 마리 테레즈와 결혼했다.
  • 11월 25일 - 미힐 데 로이테르 휘하의 네덜란드군은 덴마크 도시 뉘보르를 해방시켰다.
  • 12월 - 영국에서, 에드워드 하이드가 찰스 2세의 재출마를 위한 계획을 세웠다.
  • 12월 16일 - 조지 몽크는 스코틀랜드에서 자유로운 의회 선거를 요구했다.
  • 12월 26일 - 장기 의회의 개혁이 웨스트민스터에서 이루어졌다.
  • 수피의 종교적 지도자인 무라드 바흐시가 죽었다.
  • 중국에서 명나라를 무너뜨린 청나라가 타이완을 침략했다.
  • 최초의 영국 식민지 개척자들이 세인트헬레나에 도착했다.
  • 스페인 공주 마리아 테레사가 코코아를 파리에 들여왔다.
  •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 초상화가 처음 전시되었다.
  • 토마스 홉스가 ''인간론''(De Homine)을 출판했다.
  • 파리 경찰이 수도원을 급습하여 사순절 기간에 고기를 먹고 포도주를 마신 수도사들을 감옥에 보냈다.
  • 인도에 가뭄이 발생했다.[11]
  • 매사추세츠에서 토지를 소유한 최초의 비백인 정착민이자 스프링필드에 거주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알려진 피터 스윙크가 도착했다.

3. 1. 동아시아

3. 2. 서양

3. 3. 기타 지역

4. 탄생


  • 1월 1일 - 마거릿 웨미스, 웨미스 백작 부인 스코틀랜드 귀족
  • 1월 4일 - 제임스 피어폰트, 예일 대학교 설립자 중 한 명인 코네티컷 회중 목사
  • 1월 11일 - 앰브로즈 브라운, 잉글랜드 정치인
  • 1월 13일 - 요한 아르놀트 네링, 독일 건축가
  • 1월 17일
  • * 다카쓰카사 카네히로, 에도 시대 일본 궁정 귀족
  • * 안토니오 베라치니, 이탈리아 작곡가
  • 1월 18일 - 다마리스 커드워스 매샴, 잉글랜드 철학자
  • 1월 21일 - 아드리안 반 데르 베르프, 네덜란드 화가
  • 1월 28일 - 제2대 준남작 시어 새뮤얼 바나디스턴, 잉글랜드 정치인
  • 2월 1일 - 야코프 로게벤, 네덜란드 태평양 탐험가
  • 2월 14일 - 슐츠바흐의 테오도어 에우스타스 팔츠 백작
  • 2월 27일 - 윌리엄 셰라드, 잉글랜드 식물학자
  • 3월 4일 - 피에르 르포트르 (1659–1744), 프랑스 조각가
  • 3월 6일 - 잘로몬 프랑크, 독일 변호사, 과학자, 시인
  • 3월 8일 - 아이작 드 보소브르, 프랑스 개신교 목사
  • 3월 25일 - 존 아스길, 아일랜드 정치인
  • 3월 26일 - 윌리엄 울라스턴, 잉글랜드 철학자
  • 4월 8일 - 크리스토퍼 탄크레드, 잉글랜드 정치인
  • 4월 14일
  • * 작센-바이센펠스의 알브레히트, 독일 공자
  • * 윌리엄 델론, 잉글랜드 학계 행정가이자 성직자
  • 4월 15일 - 아담 루드비히 레벤하웁트, 스웨덴 장군
  • 4월 16일 - 자크 르 모인 드 생테렌, 캐나다 군인
  • 4월 29일
  • * 소피아 엘리자베트 브레너, 스웨덴 작가
  • * 다테 쓰나무라, 다테 소도 중심의 일본 다이묘
  • 5월 4일 - 존 던턴, 잉글랜드 서적상 겸 작가
  • 6월 3일 - 데이비드 그레고리, 스코틀랜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 6월 5일 - 팔츠-노이부르크의 볼프강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독일 주교
  • 6월 7일 - 헨리 톰슨 (1659–1700), 잉글랜드 정치인 겸 지주
  • 6월 11일 - 야마모토 쓰네토모, 일본 사무라이
  • 6월 15일 - 클로드 드 라메세이, 캐나다 정치인
  • 6월 22일 - 시몽 피에르 드니 드 보나벤처, 프랑스 장교이자 아카디아 총독
  • 6월 26일 - 제3대 준남작 존 브라운로, 잉글랜드 정치인
  • 7월 3일 - 프란츠 베어, 오스트리아 건축가
  • 7월 6일 - 호엔로에-랑엔부르크 백작 알베르트 볼프강
  • 7월 8일 - 유스투스 판 하위섬, 네덜란드 화가
  • 7월 14일 - 존 허튼 (1659–1731), 잉글랜드 정치인
  • 7월 16일 - 앤 워턴, 잉글랜드 시인
  • 7월 18일 - 아쟁트 리가우, 프랑스 화가
  • 7월 22일 - 노아디아 러셀, 예일 대학교 설립자 중 한 명인 미국 식민지 성직자
  • 7월 28일
  • * 아사노 쓰나나가, 히로시마 번의 지배자인 일본 다이묘
  • * 샤를 앙실론, 프랑스 개신교 목사
  • 8월 1일 - 세바스티아노 리치, 이탈리아 화가
  • 8월 2일 - 앤드루 아처, 잉글랜드 정치인
  • 8월 17일 - 로베르 샬, 프랑스 식민주의자
  • 8월 20일 - 헨리 에버리, 잉글랜드 해적
  • 9월 1일 - 도메니코 에지디오 로시, 이탈리아 건축가
  • 9월 5일 - 미셸 사라진, 캐나다 과학자
  • 9월 10일 - 헨리 퍼셀, 잉글랜드 작곡가
  • 9월 12일
  • * 디르크 마스, 네덜란드 화가
  • * 뷔르템베르크-노이슈타트의 페르디난트 빌렘 공작, 네덜란드 장군이자 귀족
  • 9월 13일 - 클로드 해밀턴, 애버콘 백작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 귀족
  • 9월 18일 - 케일럽 뱅크스, 잉글랜드 정치인
  • 10월 13일 - 조지 버니, 브로크 남작 잉글랜드 귀족이자 성직자
  • 10월 22일 -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독일 화학자
  • 10월 28일 - 니콜라스 브래디 (시인), 잉글랜드 시인이자 성공회 성직자
  • 11월 3일 - 장희빈, 조선 숙종의 빈
  • 11월 10일 - 알베르트 보가르, 덴마크 포병 및 공병 장교
  • 11월 19일 - 자크 루이 드 발론, 프랑스 시인
  • 12월 2일 - 존 브레튼, 브레튼 남작, 아일랜드 귀족
  • 12월 12일 - 프란체스코 갈리 비비에나, 이탈리아 건축가
  • 12월 18일 - 마티외 프티-디디에, 프랑스 베네딕트회 신학자
  • 12월 28일 - 프랑수아 카트루, 프랑스 역사가이자 예수회 사제

분류:1659년 출생

5. 사망


빌렘 드로스트


아벨 타스만

참조

[1] 서적 Historia de Portugal Restaurado, Volume III Joseph Filippe Publishing
[2] 서적 The Black Widows of the Eternal City: The True Story of Rome’s Most Infamous Poisoner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 문서 On display at Westminster Abbey
[4] 서적 The Army in Cromwellian England, 1649-1660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Major-General Hezekiah Haynes and the Failure of Oliver Cromwell’s Godly Revolution, 1594–1704 Taylor & Francis
[6] 뉴스 Richard Cromwell Resigns as Lord Protector https://www.historyt[...] History Today 2009-05-05
[7] 간행물 Richard Cromwell's Renunciation https://www.british-[...] House of Commons Journal 1659-05-25
[8] 서적 Compendium of British Office Holders Palgrave Macmillan
[9] 서적 Giants of Delft: Johannes Vermeer and the Natural Philosophers : the Parallel Search for Knowledge During the Age of Discovery https://books.google[...] Bucknell University Press
[10] 서적 Tracts Relating to the Civil War in Cheshire, 1641–1659; including Sir George Booth's rising in that county The Chetham Society
[11] 서적 Coping with Natural Hazards: Indian Context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