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욱은 오대십국 시대 남당의 마지막 군주이자 시인으로, 본래 이름은 이종가였다. 그는 겹눈을 가진 특이한 외모와 뛰어난 시, 글, 그림 재능을 지녔으며, 형의 죽음으로 오왕에 봉해진 후 961년 태자가 되었다. 961년 이경이 홍주로 천도하면서 태자로 책봉되었고, 이경 사후 이름을 이욱으로 바꾸고 황위에 올랐다. 통치 기간 동안 송나라의 압박 속에서 국호를 강남으로 바꾸는 등 생존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975년 송나라에 항복하고 포로가 되었다. 그는 망국의 슬픔을 시로 표현하며, 특히 40년래가국(四十年來家國)과 같은 작품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이욱은 사(詞) 시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초기에는 화려한 시풍을, 망국 후에는 비애를 담은 시를 남겨 당송 교체기 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대 십국 시대의 작가 - 유후 (역사가)
    유후는 오대십국 시대 탁주 출신으로, 왕처지의 추천으로 관직에 등용되어 후당, 후진 시대를 거치며 재상, 한림학사 등 요직을 역임하고 《구당서》 편찬에 기여했으며, 후진 멸망 후 요나라에 항복하는 등 뛰어난 정치적 생존 능력을 보여준 인물이다.
  • 오대 십국 시대의 작가 - 왕연 (전촉)
    왕연은 오대 십국 시대 전촉의 마지막 황제로서, 사치와 실정으로 민심을 잃어 후당의 침략으로 전촉이 멸망하고 살해되었다.
  • 남당의 황제 - 이변 (남당)
    이변은 오대십국시대 남당의 초대 황제로, 오나라 섭정에서 양보의 선양을 통해 황제가 되었고, 국호를 제에서 당으로 변경하였으며, 재위 기간 동안 민생 안정과 법률 정비, 주변국과의 평화적인 관계를 추구했다.
  • 남당의 황제 - 이경 (남당)
    이경은 남당의 2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적극적인 대외 원정 정책을 통해 남당의 최대 판도를 이룩했으나 후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신하국으로 전락했으며, 정치보다는 문화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 남당의 시인 - 풍연사
    풍연사는 오대 십국 시대 남당의 문인이자 정치가로, 두 황제의 신임을 받아 재상을 네 차례 역임했으나 정치적 갈등과 외세의 침략 속에서 불안정한 삶을 살았으며, 시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다.
  • 남당의 시인 - 이경 (남당)
    이경은 남당의 2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적극적인 대외 원정 정책을 통해 남당의 최대 판도를 이룩했으나 후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신하국으로 전락했으며, 정치보다는 문화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이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욱
칭호국주
왕조남당 (강남)
재위 기간건륭 2년 7월 29일 - 개보 8년 11월 27일 (961년 9월 11일 - 976년 1월 1일)
도읍강녕
성-이름이(李) - 종가(從嘉) → 이욱(李煜)
중광(重光)
소자해당 없음
시호해당 없음
묘호없음
출생승원 원년 3월 22일 (937년 5월 5일)
사망태평흥국 3년 7월 7일 (978년 8월 13일)
아버지원종
어머니종황후
황후대주후, 소주후
능묘해당 없음
연호해당 없음
비고해당 없음
통치자
직함남당의 군주
더 보기중국
계승 순서남당의 3대이자 마지막 통치자
통치 기간961년 여름 – 976년 1월 1일
이전 통치자이경(아버지)
후임 통치자해당 없음
이름
이(李)
이름종가(從嘉), 후에 이욱(煜)으로 변경
중광(重光)
왕의 칭호'즉위 전': 안정공, 959–961: 오왕, '남당 통치자': 961–971: 당 국주, 971–975: 강남 국주, '항복 후': 975년 이후: 위명후
가족
아버지이경
어머니종황후
배우자대주후(965년 사망), 소주후
자녀이중유(아들), 또 다른 아들은 요절함
생애
출생937년 또는 938년 초
출생지현재의 장쑤성 난징시, 남당
사망978년 8월 15일 (40–41세)
사망 장소현재의 허난성 카이펑시, 북송
왕가 및 왕조
왕가이(李)
왕조남당
이미지
삼재도회(1609)에 실린 그림
'역대군신화상'에 수록된 모습

2. 생애

이욱은 남당의 마지막 군주로, 그의 통치 기간은 정치적으로는 쇠퇴기였지만 문화적으로는 황금기였다.

태조는 중국 통일을 목표로 각국을 공격해 멸망시켰다. 971년, 남당의 남쪽에 있던 남한이 송나라에게 멸망당하자 남당은 더욱더 송나라를 두려워하게 되었다. 이에 남당은 자국이 복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국호를 '강남(江南)'으로 바꾸고, 중앙 정부 관청의 명칭을 고치고, 왕의 작위를 공(公)으로 낮추는 등 여러 조치를 취했다.[15][11]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974년 송 태조는 이욱에게 입궐을 명했으나, 이욱이 병을 이유로 거절하자 이를 구실로 남당을 침공했다. 이욱은 신하 서현을 보내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고, 975년 금릉이 함락되면서 남당은 3대만에 멸망했다. 이욱은 포로로 잡혀 송나라 수도 개봉으로 압송되었고, 위명후(違命侯)에 봉해졌다. 이후 태종 시대에는 농서공(隴西公)이 되었다.[22]

이욱은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해있음에도 한가로운 시나 지으며 문화에만 관심을 쏟은 군주로 평가받는다. 결국 송의 침공을 받아 나라를 빼앗기고 몰락한 왕족의 비운을 겪었다.

978년 이욱은 자신의 생일인 7월 7일에 송 태종이 보낸 술을 마시고 사망했다. 송 태종이 보낸 술은 칠전팔도(일곱 번 구르고 여덟 번 거꾸러짐)하게 만드는 독주였다는 설과, '고국불감회수(故國不堪回首)'라는 구절이 담긴 이욱의 시를 보고 노한 태종이 독약을 내려 자진하게 했다는 설이 있다.[23]

이욱 사후 오왕(吳王)으로 추봉되었으며, 왕의 예로 낙양에 묻혔다. 이욱이 발전시킨 남당의 문화는 송의 문화에 흡수되어 그 찬란한 부분을 차지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이욱의 본래 이름은 이종가(李從嘉)이다. 건륭(昇元) 원년(937년)에 제2대 황제 원종 이경(李璟)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종황후이며, 형으로는 이홍기(李弘冀) 등 다섯 명, 아우로는 이종선(李從善) 등 다섯 명, 아들로는 이중우(李仲寓), 이중선(李仲宣) 등이 있었다. 특이한 신체적 특징으로는 눈동자가 겹눈(重瞳)이었다는 점이 있다. 어릴 적부터 시와 글, 그림에 재능을 보였다.[13]

이종가는 6세 때, 아버지 이경이 남당 황제가 되었다. 이경이 동생 이경수(李景遂)를 황태자로 삼았기 때문에, 이종가는 왕위를 계승할 가능성이 없어 보였다. 그러나 이종가의 많은 형제들은 매우 어린 나이에 죽었고, 951년 둘째 형 이홍묘(李弘茂)가 죽은 후, 이종가는 형인 이홍지와 삼촌 이경수 바로 뒤에 계승 순위에 서게 되었다.[11][12]

은둔적이고 문제가 많았던 이홍지는 황태자 삼촌을 원망했고, 같은 어머니를 두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남동생 이종가를 싫어했다. 가족적 적대감의 결과를 두려워한 이종가는 눈에 띄지 않으려고 노력했고, 시, 그림, 음악을 포함한 예술에 전념했다. 그는 독서를 좋아했는데, 이는 역시 뛰어난 시인이었던 그의 아버지가 장려한 열정이었다.[13] 17세에 이종가는 주어황(周娥皇), 재상 주종의 딸이자 그보다 한 살 연상인 여성과 결혼했다. 주씨는 고등 교육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음악과 예술에도 다재다능했으며, 젊은 부부는 매우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14]

959년 이홍기가 죽은 직후, 이욱은 정무를 익히도록 상서령(尚書令)의 직책을 받았다. 그러나 왕의 장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모(鍾謨)를 포함한 몇몇 신하들은 그를 황태자로 삼기에는 방탕하고 무능하다고 여겼다. 중모는 이욱의 동생 이종산을 황태자로 삼을 것을 간청했고, 이경은 이를 불쾌하게 여겨 중모를 좌천시켰다.[12][16]

건강이 악화된 이경은 모든 책임을 계승자에게 넘기기로 결정했다. 그는 961년 봄, 이욱을 황태자로 책봉하여 수도 금릉(金陵)(현재 난징, 장쑤성)을 맡기고 자신은 남쪽 도시 홍주(洪州)(현재 난창, 장시성)로 은퇴했다. 건륭(建隆) 2년(961년) 6월, 원종이 죽자, 이종가는 강녕에서 즉위하여 '''이유'''(李煜)로 개명하였다. 이욱은 이종산의 마지막 반발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즉위했다. 그때 중모도 이미 죽었기에 이종산은 재상 서유(徐𫖯)에게 이항의 유언을 가져오라고 요청했지만, 서유는 거절하고 이종산의 의도를 이욱에게 알렸다. 이욱은 그의 동생을 약간 좌천시키는 것 외에는 처벌하지 않았다.[13]

이경(李景)이 죽자, 이욱이 금릉에서 즉위했다. 이 일로 수도는 다시 금릉이 되었다. 이욱은 송나라 태조(조광윤)에게 이경을 황제로서 제사지낼 수 있기를 요청하였다. 태조는 이를 허락하였고, 황제로서 예우를 해주었다.

2. 2. 통치와 멸망

이경이 죽자, 이욱이 금릉에서 즉위했다. 이욱은 송 태조에게 이경을 황제로서 제사지낼 수 있기를 요청하였고, 태조는 이를 허락했다.

송 태조는 중국 통일을 목표로 각국을 여러 이유를 들어 공격해 멸망시켰다. 971년, 남당의 남쪽에 있던 남한이 송나라에게 멸망당하자 남당은 더욱더 송나라를 두려워하게 되었다. 그래서 자국이 복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971년, '남당'은 국호를 '강남(江南)'으로 바꾸었다. 또한 중앙 정부가 사용하던 관청의 이름을 좌내사부(左內史府), 우내사부(右內史府)라고 명칭을 바꾸었다. 또 남당에서 작위가 왕이라고 했던 것을 모두 공(公)으로 하였다.

974년 태조가 이욱에게 입궐하라는 명령을 내렸을 때 이욱은 병을 이유로 거절했다. 태조는 이를 구실로 삼아 조빈(曹彬), 반미(潘美)에게 명령을 내려 남당을 침공했다. 이욱은 신하 서현을 사신으로 보내, 이를 막고자 하였으나 오히려 송 태조를 자극하여 금릉의 포위는 10개월간 계속되었고, 결국 이욱은 항복해 이로써 남당은 3대로써 멸망하였다. 이욱은 송나라의 수도 개봉으로 옮겨져 위명후(違命侯)의 작위를 하사받았다. 태조의 뒤를 이은 태종의 시대에는 농서공(隴西公)이 되었다.

이욱은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해있음에도 한가로운 시나 지으며 문화에만 관심을 쏟은 암군(暗君)으로 결국 송에 의해 무력침공을 받아 나라를 빼앗기고 몰락한 왕족의 비운을 겪었다. 마지막 남아있던 오월국이 송에 합병되던 바로 그 해 자신의 생일인 7월 7일, 송 태종(송태조 동생)이 보내온 생일 축하주를 마신 후 칠전팔도(일곱번 구르고 여덟번 거꾸러짐)하여 죽었다. 또는 송태종이 '고국불감회수(故國不堪回首)'의 사구를 읽고 크게 노한 나머지 약을 내려 자진하게 하였다고도 한다.

이욱은 죽은 후 오왕(吳王)에 봉해졌다. 왕의 예로 낙양에 묻혔으며 그가 성숙시킨 남당의 문화는 송의 문화 속에 흡수되었다.[15][11][12][16][13][18][21][10][22]

2. 3. 포로 생활과 죽음

974년 송 태조가 이욱에게 입궐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나, 이욱은 병을 이유로 거절하였다. 송 태조는 이를 구실로 삼아 조빈, 반미에게 군사를 주어 남당을 침공하게 하였다. 이욱은 신하 서현을 사신으로 보내 이를 막고자 하였으나, 오히려 송 태조를 자극하여 금릉은 10개월간 포위되었고, 결국 975년 이욱은 항복하였다. 이로써 남당은 3대만에 멸망하였다.[22] 이욱은 송나라의 수도 개봉으로 압송되어 위명후(違命侯)에 봉해졌고, 태조의 뒤를 이은 태종 때에는 농서공(隴西公)에 봉해졌다. 송 태조가 이욱의 사신 서현에게 "남이 코 고는 소리는 참을 수 없다"고 말한 것에서 타인한수(他人鼾睡)라는 사자성어가 유래하였다.

이욱은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해있음에도 한가로운 시나 지으며 문화에만 관심을 쏟은 군주로 평가받는다. 결국 송의 침공을 받아 나라를 빼앗기고, 몰락한 왕족의 비운을 겪었다.

978년 이욱은 자신의 생일인 7월 7일에 송 태종이 보낸 술을 마시고 사망했다. 송 태종이 보낸 술은 칠전팔도(일곱 번 구르고 여덟 번 거꾸러짐)하게 만드는 독주였다는 설과, '고국불감회수(故國不堪回首)'라는 구절이 담긴 이욱의 시를 보고 노한 태종이 독약을 내려 자진하게 했다는 설이 있다.[23]

이욱 사후 오왕(吳王)으로 추봉되었으며, 왕의 예로 낙양에 묻혔다. 이욱이 발전시킨 남당의 문화는 송의 문화에 흡수되어 그 찬란한 부분을 차지했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이경
  • 어머니: 종황후(光穆皇后|광무황후|중국어) (965년 사망)
  • 형제: 이홍기 등 다섯 명
  • 아우: 이종선 등 다섯 명
  • 아들: 이중우, 이중선

3. 1. 황후

주아황(周娥皇)은 961년부터 965년까지 재위했으며, 936년에 태어나 965년에 사망했다. 이욱은 자신의 아내 주황후와 매우 가까웠으며, 때로는 그녀의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정무를 중단하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행동은 감찰어사의 비판을 받을 때까지 계속되었다.[14]

964년경, 부부의 둘째 아들이 예상치 못하게 사망했다. 이욱은 아내의 슬픔을 더하지 않기 위해 혼자서 슬픔에 잠겼다.[11] 그러나 주황후는 극심한 슬픔에 잠겨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이욱은 그녀의 병간호를 위해 며칠 동안 옷을 갈아입지 않았다.[14] 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이욱은 극심한 슬픔에 잠겨 "뼈가 드러날 정도로 수척해져 지팡이 없이는 일어설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18] 그는 여러 편의 애도시와 함께, 약 2,000자에 달하는 "조휘주후제(昭惠周后誄)"(시호는 조휘이다)를 직접 비석에 새겼다.[14]

주황후가 죽어가는 동안, 이욱은 주황후의 여동생이자 당시 14세 정도였던 소주황후(小周皇后)와 비밀스러운 관계를 맺었다. 주황후는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는 아마도 그녀의 죽음을 앞당기고 이욱의 후회를 더욱 크게 했을 것이다.[20]

소주황후(小周皇后)는 소혜국후의 동생으로, 968년부터 975년까지 재위했으며, 950년에 태어나 978년에 사망했다. 965년 말, 중황태후가 사망하고 상복 기간으로 인해 이욱은 소주황후와의 결혼을 968년까지 미루게 되었다.[14]

3. 2. 후궁

봉호이름(성씨)비고
보의(保儀)황씨(黃氏)
빈어(嬪御)유주(流珠)
궁인(宮人)교씨(喬氏)
궁인(宮人)추수(秋水)
궁인(宮人)요낭(窅娘)
궁인(宮人)장씨(臧氏)


3. 3. 황자

이욱의 아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1]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별칭비고
1청원군공(淸源郡公)李仲寓중국어958년 ~ 994년소주황후 주씨
2기왕(岐王)회헌(懷獻)李仲宣중국어961년 ~ 964년소주황후 주씨선성공(宣城公)요절함.


  • 李仲寓중국어: 958년 ~ 994년, 소주황후 주씨(周氏) 소생, 청원군공(淸源郡公)
  • 李仲宣중국어: 961년 ~ 964년, 소주황후 주씨(周氏) 소생, 기왕(岐王), 회헌(懷獻). 선성공(宣城公), 요절.

3. 4. 황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이욱'의 '황녀'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4. 문예 활동

이욱은 사 시뿐만 아니라 서예와 그림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특히 당(唐) 현종이 편곡한 「영상우의곡(霓裳羽衣曲)」을 복원하는 데 힘쓰는 등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다. 그의 서예는 "금착도(金錯刀)"라 불릴 정도로 힘차고 섬세한 떨림이 특징적이었다.

이욱은 문방구(文房具)(문방사보(文房四宝))에도 관심을 기울여 옥으로 만든 붓(筆), 용미연(歙州硯)이라는 연(硯), 명장 이정규(李廷珪)의 먹(墨), 징심당지(澄心堂紙)라는 종이(紙) 등 뛰어난 품질의 문방사보를 직접 만들도록 장려했다.

강행초설(江行初雪) 화원 학생 조간(趙幹)상

4. 1. 시(詞)

이욱(李煜)은 사 시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그의 작품은 당송(唐宋) 교체기 오대십국(五代十國) 시대 남당의 문화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그는 당시(唐詩)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송나라 시와 관련된 사 시풍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24]

이욱의 사 시는 크게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초기에는 궁중 생활의 즐거움과 문학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화려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964년 아내의 죽음 이후, 그의 시는 슬픔과 애절함을 담은 스타일로 변화했다.[24] 특히 975년 송나라에 항복한 후 포로 생활을 하면서 지은 시들은 잃어버린 왕국에 대한 후회와 그리움을 절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욱은 사의 영역을 연애에서 역사철학으로 확장시켰으며, 두 형식을 도입하고, 긴 행과 짧은 행의 대조를 활용하는 등 시 형식의 발전에도 기여했다. 그의 작품 중 45편의 사 시와 17편의 시체 시가 남아있으며, 그중 30편의 사 시는 그의 진품으로 확인되었다. 그의 이야기는 광동 오페라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욱이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약 40수의 시는 아래 표에 요약되어 있으며, 정해진 형식이나 선율 (詞牌중국어)을 따른다.

몇몇 시는 현대에 음악으로 편곡되었는데, 특히 등려군의 1983년 앨범 《담담한 그윽한 정취》에 수록된 세 곡이 가장 유명하다.

선율첫 구절참고
채상자 (采桑子중국어)륙로금정오동만 (轆轤金井梧桐晚중국어)
정전춘축홍영진 ()
장상사 (長相思중국어)운일규 (雲一緺중국어)
도련자령 (搗練子令중국어)심원정 (深院靜중국어)
접련화 (蝶戀花중국어)요야정고한신보 (遙夜亭臯閑信步중국어)
환계사 (浣溪沙중국어)홍일이고삼장투 ()
랑도사 (浪淘沙중국어)렴외우찬찬 (簾外雨潺潺중국어)랑도사령 (浪淘沙令중국어)으로 기록됨
왕사지감애 (往事只堪哀중국어)
임강선 (臨江仙중국어)진루불견취소녀 ()으로 기록됨
여섯 번째 줄에 한자 하나 누락
앵도락진춘귀거 (櫻桃落盡春歸去중국어)마지막 3줄의 진위 여부에 의문 제기[25]
류지 (柳枝중국어)풍정점로견춘수 ()
파진자 (破陣子중국어)사십년래가국 ()샤오리허가 만다린으로 불렀음[26]
보살만 (菩薩蠻중국어)화명월암롱경무 (花明月暗籠輕霧중국어)
봉래원폐천대녀 (蓬萊院閉天台女중국어)
인생주한하능면 (人生愁恨何能免중국어)자야가 (子夜歌중국어)로 기록됨
동황운취창한죽 (銅簧韻脆鏘寒竹중국어)
심춘수시선춘조 (尋春須是先春早중국어)자야가 (子夜歌중국어)로 기록됨
청평악 ()별래춘반 (別來春半중국어)
완랑귀 (阮郎歸중국어)동풍취수일함산 ()풍연사의 작품일 가능성 있음[27]
삼대령 (三臺令중국어)불매권장경 (不寐倦長更중국어)저작권에 의문 제기[28]
왕강남 (望江南중국어)다소한 (多少恨중국어)
다소뢰 (多少淚중국어)
한몽원 (閑夢遠중국어)
두 번째 줄: 남국정방춘 ()
왕강매 (望江梅중국어)로 기록됨
한몽원 (閑夢遠중국어)
두 번째 줄: 남국정청추 ()
오야제 ()작야풍겸우 ()
희천앵 (喜遷鶯중국어)소월추이 (曉月墜중국어)
상견환 ()임화사료춘홍 ()등려군이 만다린어로 불렀음[29]
무언독상서루 (無言獨上西樓중국어)등려군이 만다린어로 불렀음[30]
샤오리허가 만다린어로 불렀음[31]
사신은 ()금창력곤기환용 (金窗力困起還慵중국어)나머지 시구 누락
염염추광류부주 (冉冉秋光留不住중국어)시구 및/또는 한자 누락 가능성 있음[32]
정공객산인귀후 (庭空客散人歸後중국어)
앵화락진춘장곤 (櫻花落盡春將困중국어)2줄 누락
앵화락진계전월 (櫻花落盡階前月중국어)
일곡주 (一斛珠중국어)만장초과 (晚妝初過중국어)
어부 (漁父중국어)랑화유의천중설 (浪花有意千重雪중국어)
일도춘풍일엽주 ()
옥루춘 (玉樓春중국어)만장초료명기설 (晚妝初了明肌雪중국어)창천이 만다린어로 불렀음[33]
우미인 (虞美人중국어)춘화추월하시료 (春花秋月何時了중국어)등려군이 만다린어로 불렀음[34]
천호탁이 광둥어로 불렀음[35]
황이령 등이 타이완어로 불렀음[36]
황페이가 타이완어로 불렀음[37]
풍회소원정무록 ()


《서루에 홀로 오르다》(獨上西樓)이 시는 이욱이 체포된 후의 심정을 표현한 작품으로, 천홍모(Chan Hong-mo)의 번역은 다음과 같다.[38]

서쪽 누각에 홀로 말없이 오르니
달은 갈고리 같고
쓸쓸한 오동나무는
깊은 뜰에 맑은 가을을 가두었네
끊을 수 없고
정리해도 어지럽기만 하네
이는 이별의 슬픔이로다
마음속에는 또 다른 맛이 있네



이 시는 등려군에 의해 노래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강남 추억》(望江南) 2절

얼마나 많은 한이
지난밤 꿈속에 있었던가
옛날 상원을 유람하던 것과 같았네
수레는 물처럼 흐르고 말은 용과 같았네
[39][40]꽃과 달은 봄바람 속에 있었네


4. 2. 기타

이욱은 사 시에 관심이 많았으며, 당시(唐詩)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송나라 시와 관련된 사 시풍을 대표한다.[24] 그는 사를 연애에서 역사철학으로 그 범위를 넓혔고, 두 형식을 도입하는 등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사 시 중 45편만이 남아 있으며, 시체 시는 17편이 남아있다. 그의 이야기는 광동 오페라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이욱의 시 작품에는 "병기제산사벽(病起題山舍壁; "병들어 일어나 산 속 오두막 벽에 쓴 시")", "도중강망석성읍하(渡中江望石城泣下; "강 중간에서 석성(南京)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림")" 등이 있다.

이욱의 서예는 그 강렬함 때문에 "금으로 박은 단검"(金錯刀중국어)이라고 불린다.[41]

정무에 열심이지 않았던 이욱은 문예적 재능을 시, 서예, 그림 등 여러 분야에 쏟았으며, 당(唐) 현종이 편곡한 「영상우의곡(霓裳羽衣曲)」 복원에 힘썼다. 그의 서법은 “금착도(金錯刀)”라 불리며, 미세한 떨림의 표현이 특징이다.

이욱의 시는 망국을 경험하기 전후로 작풍이 다르다. 궁중 생활 시절의 작품은 화려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유폐 생활 이후에는 애절한 표현과 비장함을 띠게 되어 예술적으로 더 높은 경지에 이르렀다. 등려군(テレサ・テン)은 앨범 『담담유정(淡淡幽情)』에서 이욱의 시 3수에 현대적인 곡을 붙여 불렀다.

이욱은 문방구(文房具)(문방사보(文房四宝)) 발전에도 기여했다. 옥으로 만든 붓(筆), 용미연(歙州硯)이라는 연(硯), 명장 이정규(李廷珪)의 먹(墨), 징심당지(澄心堂紙)라 불린 종이(紙)가 유명하다.

참조

[1] 서적 Xu Zizhi Tongjian Changbian http://zh.wikisource[...]
[2] 문서 Song dynasty era names adopted
[3] 문서 961, the 2nd year of Jianlong
[4] 문서 Sexagenary cycle calendar used without era name
[5] 문서 Birthdate deduction based on death date and age
[6] 서적 Book of Southern Tang https://zh.wikisourc[...]
[7] 서적 Book of Southern Tang https://zh.wikisourc[...]
[8] 문서 Li Yu's reign and title as king
[9] 서적 Indiana Companion
[10] 웹사이트 新五代史三十列傳: 二十五史風流人物--新五代史 https://books.google[...] 谷月社 2015-05-14
[11] 서적 Shiguo Chunqiu http://zh.wikisource[...]
[12] 서적 Wudai Shiji http://zh.wikisource[...]
[13] 서적 Kurz
[14] 서적 Shiguo Chunqiu http://zh.wikisource[...]
[15] 서적 Shiguo Chunqiu http://zh.wikisource[...]
[16] 서적 Shiguo Chunqiu http://zh.wikisource[...]
[17] 문서 Li Zhongxuan, posthumous name of the child
[18] 서적 Bryant
[19] 서적 Bryant
[20] 문서 Expectations of faithfulness in Chinese sovereigns
[21] 서적 Shiguo Chunqiu https://zh.wikisourc[...]
[22] 서적 Wu
[23] 서적 Hsiung
[24] 서적 Davis
[25] 서적 Bryant
[26] 문서 "Shān Hé Lèi" song information
[27] 서적 Bryant
[28] 서적 Bryant
[29] 문서 "Yān Zhǐ Lèi" song information
[30] 문서 "Dú Shàng Xī Lóu" song information
[31] 문서 "Dú Shàng Xī Lóu" song information
[32] 서적 Bryant
[33] 문서 "Yù Lóu Chūn" song information
[34] 문서 "Jǐ Duō Chóu" song information
[35] 문서 "Chèun Fà Chàu Yùht" song information
[36] 문서 Chhun Hoe Chhiu Go̍at (春花秋月)
[37] 문서 Gû Bí Jîn (虞美人)
[38] 논문
[39] 웹사이트 望江南·多少恨 https://m.gushiwen.o[...]
[40] 웹사이트 Fan Calligraphy Zhang Fengju 张风举 https://www.flickr.c[...] 2019-09-03
[41]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