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상이다. 고려 말 나옹선사가 부모를 위해 조성했다는 설화가 전해지며, 나옹선사가 이곳에서 지장기도를 하여 어머니의 병을 낫게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불상으로 지정되었으나, 머리 모양, 복식, 육계의 유무 등으로 인해 나한상이나 조사상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영월암의 창건조사 또는 고승을 기리기 위해 조각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여래상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천시의 문화유산 - 이천 설봉산성
이천 설봉산성은 이천 설봉산에 위치한 삼국시대 산성으로, 약 3만 평의 고원지대에 흙으로 쌓은 포곡식 산성이며, 삼국시대 군사적 요충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이천시의 문화유산 - 김좌근 고택
김좌근 고택은 김병기가 별장으로 지은 조선 후기 양반 가옥으로, 현재 안채와 사랑채만 남아있으며, 권문세가의 주택 형태와 천원지방 사상을 반영한 연못을 통해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경기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경기도의 보물 - 두시언해
두시언해는 두보의 시를 번역한 것으로, 조선 성종 때 초간본이 간행되었으며, 한국어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총 52부로 구성되어 있다. - 경기도의 보물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는 불교의 참회법회 내용을 담은 경전으로, 고려 시대에 간행된 후 조선 초기에 인쇄되었으며, 조선시대 불교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마애불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은 굴불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사방불 형식 석조 조각상으로, 각 면에는 아미타불, 약사여래, 석가모니불, 미륵보살이 조각되어 있으며, 창건 설화와 함께 통일신라 시대 조각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 마애불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높이 13m의 화강암 마애불로서, 부드러운 신체 표현과 힘있는 얼굴 선이 특징이며, 과거 목조 건축물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구멍이 있고, 덕주 공주 창건 설화가 전해지나 조성 시기와 차이가 있으며, 고려 초기 지방 호족 세력의 불교 번성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
로마자 표기 | Icheon Yeongwolam Maae Yeoraeipsang |
문화재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822 |
지정일 | 1985년 1월 8일 |
소재지 |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 산64-1, 영월암 |
시대 | 고려 |
문화재청 ID | 12,08220000,31 |
2. 조성 배경 및 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723&bbsId=BBSMSTR_1021&pageUnit=10&searchCnd=tc&searchWrd=&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searchUseYn=Y&mn=NS_03_08_01 한국사지총람] 등에 따르면, 이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3][4]
2. 1. 구전 설화
고려 말의 고승인 나옹선사가 부모님을 천도하기 위해 이 마애여래입상을 조성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6] 또한 나옹선사가 이 마애여래입상 앞에서 지장기도를 드려 어머니의 병을 낫게 했다는 설화도 있으며, 이로 인해 이곳이 지장기도 도량으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5]한편, <용주사본말사지>에는 고려 중기의 산악(山岳)법사가 새긴 것이라는 다른 기록도 남아 있다.[6]
3. 형태 및 특징
높이 약 10m, 두께 4m 가량의 동남쪽을 향한 바위면에 선으로 새겨져 있다(선각, 線刻). 마애불상의 높이는 9.6m, 어깨 폭은 3m 가량으로, 경기도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불상이다. 머리는 승려처럼 삭발한 민머리 형태여서 지장보살의 모습으로 여겨진다. 얼굴은 둥글고 살이 오른 편이며, 입이 크게 표현되어 다소 투박한 느낌을 준다.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왼손은 가사 자락을 움켜쥔 모습이며, 이 손에서부터 흘러내린 옷주름이 무릎 아래까지 길게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가슴 앞으로 들어 올려 손바닥을 펴서 밖을 향하게 한 시무외인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불상은 허리 부분에 가로로 긴 균열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723&bbsId=BBSMSTR_1021&pageUnit=10&searchCnd=tc&searchWrd=&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searchUseYn=Y&mn=NS_03_08_01 한국사지총람]에서는 이 마애여래입상이 고려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3][4]
4. 불상 논란
이 마애상은 보물 지정 당시 부처의 모습으로 보고 마애여래입상(磨崖如來立像)으로 명명되었다. 하지만 상세 조사 결과, 부처의 특징인 육계가 없는 승려의 머리 모양을 하고 있고, 옷 역시 법의가 아닌 일반 승려가 입는 가사 형식을 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이 상을 나한상이나 조사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3][7] 반면, 고려시대 일반적인 승려상과는 다른 특징도 있어 여전히 여래상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도 존재한다.[2]
4. 1. 나한상 또는 조사상 주장
이 마애상은 보물로 지정될 당시 부처의 모습으로 인식되어 마애여래입상(磨崖如來立像)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상세 조사 결과, 몇 가지 특징 때문에 나한상이나 조사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우선, 머리 모양이 부처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육계(정수리 부분이 솟아오른 모양) 없이 일반 승려와 같은 민머리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옷차림 역시 부처가 입는 법의가 아니라 일반 승려들이 입는 가사 형식이다. 이러한 점들을 근거로 하여, 이 마애상은 불상이 아니라 영월암을 창건한 조사나 사찰과 깊은 인연을 맺었던 고승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상일 가능성이 제기된다.[3][7] 실제로 영월암은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하였고, 고려 말의 고승인 나옹선사도 이곳에 머물렀던 역사가 있어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6]
하지만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일반적인 승려상과는 다른 특징들도 있어, 여전히 여래상으로 보는 것이 맞다는 견해도 존재한다.[2]
4. 2. 여래상 주장
이 마애상은 보물 지정 당시 마애여래입상(磨崖如來立像)으로 명명되었으나, 부처의 상징인 육계가 없고 승려의 머리 모양과 가사 형식의 복식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한상이나 조사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6][3][7] 하지만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일반적인 승려상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여전히 여래상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 역시 존재한다.[2]참조
[1]
관보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10-08-25
[2]
웹인용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 경기문화재연구원
https://gjicp.ggcf.k[...]
2021-08-05
[3]
웹인용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利川映月庵磨崖如來立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8-01
[4]
웹인용
문화재청 자료 - 한국사지승람(상)
http://116.67.83.213[...]
2021-08-01
[5]
저널
History and People of Bukaksa(Youngwolam) in Gyeongido Icheon
https://www.kci.go.k[...]
2013
[6]
웹인용
"[고려시대 불상을 찾아서]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http://www.ibulgyo.c[...]
2021-08-01
[7]
웹인용
"[경기도의 아름다운 사찰] 이천 설봉산 영월암, 펑퍼짐한 얼굴의 마애여래입상 정감 물씬"
http://www.joongboo.[...]
2021-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