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카와 다이스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치카와 다이스케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시미즈 에스펄스 유소년 시스템 출신으로, 1998년 J1리그에서 데뷔하여 오른쪽 풀백과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시미즈 에스펄스에서 1999년 J1리그 2라운드 우승, 아시안 컵 위너스 컵 1999-2000 우승, 2001년 천황배 우승에 기여했다. 2010년 시미즈 에스펄스를 떠난 후, 반포레 고후, 미토 홀리호크, 후지에다 MYFC, FC 이마바리, 반라레 하치노헤 등 여러 팀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16년에 은퇴했다. 1998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A매치 10경기에 출전했으며, 2002년 FIFA 월드컵에도 참가했다. 은퇴 후에는 시미즈 에스펄스에서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가가와 신지
가가와 신지는 2006년 세레소 오사카에서 프로 데뷔하여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등 유럽 명문 클럽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일본의 축구 선수로, 현재 J1리그의 세레소 오사카에서 미드필더로 뛰고 있다. - 일본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오사코 유야
오사코 유야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프로 데뷔 후 독일 리그를 거쳐 빗셀 고베로 이적하여 J1리그 득점왕과 MVP를 수상하며 팀 우승을 이끌었고, 일본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했다. - FC 이마바리의 축구 선수 - 고마노 유이치
고마노 유이치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오른쪽 풀백으로 활약하며 2012년 J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고, 2022년 은퇴 후에는 스쿨 코치로 활동하며 2023년 J리그 공로상을 수상했다. - FC 이마바리의 축구 선수 - 미즈타니 다쿠마
일본의 탁구 선수 미즈타니 다쿠마는 2020년 도쿄 올림픽 혼합 복식 금메달 획득을 포함, 올림픽 4회 출전 및 세계 선수권, 아시안 게임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고, 예능 프로그램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반라우레 하치노헤의 축구 선수 - 아키요시 다이스케
아키요시 다이스케는 1985년 구마모토현에서 태어난 일본 축구 선수로, SK 슈투름 그라츠 리그 우승 기여를 포함해 불가리아, 오스트리아, 싱가포르, 일본 등 다양한 프로 축구팀에서 활동했다. - 반라우레 하치노헤의 축구 선수 - 사토 고다이
사토 고다이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2008년부터 2015년까지 NEC 토킨, 그루자 모리오카, 반라우레 하치노헤에서 활약하며 그루자 모리오카 소속 당시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J3리그와 JFL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이치카와 다이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치카와 다이스케 |
원어 이름 | 市川 大祐 (일본어) |
로마자 표기 | Ichikawa Daisuke |
출생일 | 1980년 5월 14일 |
출생지 | 시즈오카 시, 시즈오카 현 |
신장 | 1.81m |
포지션 | 수비수,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시미즈 에스펄스 유스 (1996-1997) |
선수 경력 | |
클럽 | 시미즈 에스펄스 (1997-2010): 325경기 (12골) 방포레 고후 (2011): 22경기 (0골) 미토 홀리호크 (2012): 32경기 (1골) 후지에다 MYFC (2013-2014): 14경기 (0골) FC 이마바리 (2015): 1경기 (0골) 반라우레 하치노헤 (2016): 20경기 (2골) |
총 출전 및 득점 | 414경기 (15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1998-2002): 10경기 (0골) |
수상 내역 | |
소속팀 | 시미즈 에스펄스 |
준우승 | J1리그 (1999) J리그컵 (2008) |
우승 | 천황배 (2001) |
준우승 | 천황배 (1998) 천황배 (2000) 천황배 (2005) 천황배 (2010) |
국가대표 | 일본 |
대회 | AFC U-19 챔피언십 |
은메달 | 1998년 태국 |
2. 클럽 경력
이치카와는 1995년 메니콘 컵 클럽 유스 동서 대항전에 출전하여 최우수 선수상을 받았고, 유소년 연령대의 일본 대표로 선출되기도 했다. 시미즈 에스펄스 유소년 팀을 거쳐 1998년 프로 선수로 데뷔하여 2010년까지 시미즈에서 활약하였다. 이후 반포레 고후(2011), 미토 홀리호크(2012), 후지에다 MYFC(2013-2014), FC 이마바리(2015), 반라우레 하치노헤(2016)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며, 2016년 은퇴하였다.
프로 클럽 경력은 다음과 같다.
2. 1. 시미즈 에스펄스 시절
이치카와는 시미즈 에스펄스 유소년 시스템 출신으로, 오른쪽 풀백과 오른쪽 미드필더로 뛰었다. 1998년 3월 21일 콘사돌레 삿포로를 상대로 J1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같은 해 11월 14일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를 상대로 리그 첫 골을 기록했다. 당시 그는 고등학생이었다.[4]1999년 J1리그 2라운드, 1999-2000년 아시안 컵 위너스컵, 2001년 천황배 우승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이치카와가 오른쪽, 알레산드로 산토스가 왼쪽에서 펼치는 측면 공격은 시미즈의 주요 공격 무기였다.
2003년 12월에는 동갑내기 여성과 결혼했다. 2004년 시즌에는 부상으로 출전 기회가 적었지만, 2006년에는 리그에서 4년 만에 골을 기록하는 등 부활했다. 특히 측면 미드필더 병든 아키히로와의 연계 플레이는 팀의 주요 공격 패턴 중 하나였다. 2007년에는 페르난지뉴 영입으로 이치카와의 중거리 슛이라는 새로운 공격 패턴이 확립되기도 했다.
2009년 시즌 초반에는 부진으로 타카기 쥰페이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기도 했지만, 제14절 몬테디오 야마가타전 이후 주전 자리를 되찾았다. 이후 14경기에서 9어시스트 1득점을 기록하며 팀 공격에 크게 기여했다.[4]
2010년 12월, 계약 만료로 시미즈를 떠났다.[5]
2. 2. 시미즈 에스펄스 이후
2010년 12월, 계약 만료에 따라 시미즈 에스펄스를 떠났다.[5]2011년 이토 테루요시와 함께 반포레 고후로 이적했지만, 같은 해 전력 외 통보를 받고 팀을 떠났다. 2012년에는 미토 홀리호크로 이적했지만, 역시 같은 해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
이후 J리그 클럽으로부터 오퍼는 한 건도 없었고[6], 2013년부터 당시 JFL 소속이었던 후지에다 MYFC로 이적했다. 2015년 7월 27일, FC 이마바리에 입단했지만, 같은 해 11월에 팀을 떠났다.
2016년 1월 7일, 반라레 하치노헤에 입단하여, 10월에 2016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7]
3. 국가대표 경력
이치카와는 여러 연령대에서 일본 대표로 활약했다. 1998년 4월 1일,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17세 322일의 나이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으며, 이는 2022년 현재까지도 일본 대표팀 최연소 출전 기록으로 남아있다.[3] 같은 해 1998년 FIFA 월드컵 대표팀에도 이름을 올렸으나, 오카다 다케시 감독의 판단으로 미우라 가즈요시, 기타자와 쓰요시와 함께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하지만 팀에는 동행했다.
필립 트루시에 감독 체제에서는 초기부터 높은 신뢰를 받았지만, 과훈련 증후군으로 장기간 대표팀에서 이탈하며 월드 유스와 시드니 올림픽 본선에는 출전하지 못했다.[8]
2001년 말 대표팀에서 멀어졌던 선수들이 포함된 합숙에 소집되었고, 이듬해 유럽 원정부터 A매치에 복귀, 2002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여 튀니지전에서 나카타 히데토시의 득점을 어시스트하는 등 활약했다. 트루시에 감독의 시스템에서 오른쪽 측면 수비수를 본업으로 하는 선수가 적었기에, 2002년 월드컵 일본 대표팀 중 유일하게 해당 포지션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과훈련 증후군과 부상으로 컨디션 유지에 어려움을 겪어 지코 감독 체제에서는 9월 친선 경기에만 소집되었고(출전은 없음), 1998년부터 2002년까지 A매치 10경기에 출전했지만 골을 기록하지는 못했다.[1]
3. 1. 연령별 대표팀
이치카와는 여러 연령대에서 일본을 대표했다. 1998년 4월 1일, 17세 322일의 나이로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는데, 이는 일본 대표팀 최연소 출전 기록이었다.[1][3] 1998년 FIFA 월드컵 대표팀 최종 훈련에는 참가했지만, 오카다 다케시 감독은 미우라 가즈요시, 기타자와 쓰요시와 함께 이치카와를 최종 명단에서 제외했다.필립 트루시에 감독이 지휘한 일본 대표팀에서는 취임 초기부터 높은 신뢰를 받았으나 과훈련 증후군으로 장기간 대표팀에서 이탈했다.[8] 1998년 아시안 게임에는 U-21 대표팀으로, 시드니 올림픽 예선에는 U-22 대표팀으로 참가했지만, 월드 유스와 시드니 올림픽 본선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2001년 말 대표팀에서 멀어졌던 선수들이 소집된 합숙을 통해, 이듬해 유럽 원정부터 A매치에 복귀하여 2002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다. 튀니지전에서는 나카타 히데토시의 득점을 어시스트하기도 했다. 2002년 월드컵 일본 대표팀에서 유일하게 오른쪽 측면 수비수로 선발되었지만, 이후 과훈련 증후군과 부상으로 컨디션을 유지하지 못해 지코 감독 체제 이후에는 대표팀에 소집되지 못했다.
3. 2. 성인 대표팀
이치카와는 여러 연령대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을 대표했다. 1998년 4월 1일, 17세 322일의 나이로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는데, 이는 일본을 대표한 최연소 선수 기록이었다.[1][3] 1998년 FIFA 월드컵 출전 후보 명단에는 포함되었으나, 최종 훈련에서 오카다 타케시 감독은 미우라 카즈요시, 키타자와 츠요시와 함께 그를 제외했다. 하지만 팀에는 동행했다.필립 트루시에 감독 체제에서는 초기부터 높은 신뢰를 받았으나, 과훈련 증후군으로 장기간 대표팀에서 이탈했다.[8] 이로 인해 월드 유스 및 시드니 올림픽 본선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2001년 말, 대표팀에서 멀어졌던 선수들이 포함된 합숙에 소집되었고, 이듬해 유럽 원정부터 A매치에 복귀하여 2002년 FIFA 월드컵에도 출전했다. 튀니지전에서는 나카타 히데토시의 득점을 어시스트했다. 트루시에 감독의 시스템에서 오른쪽 사이드 플레이어를 본업으로 하는 선수가 적었기에, 2002년 월드컵 일본 대표팀 중 유일하게 해당 포지션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과훈련 증후군과 부상으로 컨디션 유지에 어려움을 겪어, 지코 감독 체제에서는 9월 친선 경기에만 소집되었고 출전은 없었다.
이치카와의 A매치 출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98년 4월 1일 | 서울 | ● 1-2 | 오카다 다케시 | 월드컵 기념 경기 | ||
2. | 2002년 3월 21일 | 오사카부 | 나가이 육상 경기장 | ○ 1-0 | 필립 트루시에 | 기린 챌린지 컵 | |
3. | 2002년 3월 27일 | 우치 | ○ 2-0 | 국제 친선 경기 | |||
4. | 2002년 4월 17일 | 가나가와현 |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 | △ 1-1 | 기린 챌린지 컵 | ||
5. | 2002년 5월 2일 | 효고현 | 미사키 공원 구기장 | △ 3-3 | 기린 컵 | ||
6. | 2002년 5월 14일 | 오슬로 | ● 0-3 | 국제 친선 경기 | |||
7. | 2002년 5월 25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 1-1 | 기린 챌린지 컵 | ||
8. | 2002년 6월 4일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 2-2 | 월드컵 | ||
9. | 2002년 6월 14일 | 오사카부 | 나가이 육상 경기장 | ○ 2-0 | 월드컵 | ||
10. | 2002년 6월 18일 | 미야기현 | 미야기 스타디움 | ● 0-1 | 월드컵 |
4. 플레이 스타일
오른쪽 풀백과 미드필더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멀티 플레이어였다.[4] 빠른 스피드와 정확한 크로스를 바탕으로 한 측면 공격 능력이 뛰어났다. 시미즈 에스펄스 시절, 다양한 감독 아래서 여러 공격 패턴에 기여했다. 2006년에는 병든 아키히로와 연동한 측면 공격이 팀의 주요 공격 패턴 중 하나였고, 2007년에는 페르난지뉴의 영입으로 풀백 전방에 넓은 공간이 만들어져 페르난지뉴의 드리블 키핑에서 이치카와의 중거리 슛이라는 공격 패턴이 확립되었다. 2009년에는 적진 중앙에서의 패스 교환에서 오른쪽 측면을 오버래핑한 이치카와에게 연결, 니어 사이드로 쇄도하는 오카자키 신지, 에다무라 쇼마에게 크로스를 연결하는 패턴으로 14경기에서 9어시스트 1득점을 기록했다.[4]
5. 은퇴 후
2017년 1월, 시미즈 에스펄스의 보급부 스태프로 취임했다. 같은 해 10월, J리그는 이치카와에게 공로 선수상을 수여한다고 발표했다.[9]
2018년 1월 8일, 시즈오카시 IAI 스타디움 니혼다이라에서 은퇴 경기가 열렸다. 경기는 'S-펄스 올스타즈'와 'JAPAN ALL STARS'의 대결로 진행되었으며, 이치카와는 양 팀 모두에서 뛰며 총 4골을 기록했다. 경기는 3-2로 JAPAN ALL STARS가 승리했으며, 11,646명의 관중이 참석했다.[10]
은퇴 후 이치카와는 시미즈 에스펄스에서 다음과 같은 직책을 맡았다.
연도 | 직책 |
---|---|
2017년 - 2018년 | 축구 스쿨 코치 |
2019년 | U-13 감독 |
2020년 | U-14 감독 |
2021년 | U-15 감독 |
2022년 | 주니어 유스 미시마 U-13 감독 |
2023년 - | 1군 코치 |
6. 통산 기록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득점 |
---|---|---|---|
일본 | 1998 | 1 | 0 |
1999 | 0 | 0 | |
2000 | 0 | 0 | |
2001 | 0 | 0 | |
2002 | 9 | 0 | |
합계 | 10 | 0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98년 4월 1일 | 서울 | 대한민국 | ● 1-2 | 오카다 다케시 | 월드컵 기념 경기 | |
2 | 2002년 3월 21일 | 오사카부 | 나가이 육상 경기장 | 우크라이나 | ○ 1-0 | 필립 트루시에 | 기린 챌린지 컵 |
3 | 2002년 3월 27일 | 우치 | 폴란드 | ○ 2-0 | 국제 친선 경기 | ||
4 | 2002년 4월 17일 | 가나가와현 |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 | 코스타리카 | △ 1-1 | 기린 챌린지 컵 | |
5 | 2002년 5월 2일 | 효고현 | 미사키 공원 구기장 | 온두라스 | △ 3-3 | 기린 컵 | |
6 | 2002년 5월 14일 | 오슬로 | 노르웨이 | ● 0-3 | 국제 친선 경기 | ||
7 | 2002년 5월 25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스웨덴 | △ 1-1 | 기린 챌린지 컵 | |
8 | 2002년 6월 4일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벨기에 | △ 2-2 | 2002년 FIFA 월드컵 | |
9 | 2002년 6월 14일 | 오사카부 | 나가이 육상 경기장 | 튀니지 | ○ 2-0 | 2002년 FIFA 월드컵 | |
10 | 2002년 6월 18일 | 미야기현 | 미야기 스타디움 | 터키 | ● 0-1 | 2002년 FIFA 월드컵 |
- 1998년 4월 1일 서울특별시에서 개최된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당시 고등학교 재학 중으로 17세 322일의 출전은 2022년 현재에도 역대 최연소 기록이다.[3]
6. 1. 클럽 기록
클럽 | 시즌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AFC | 합계 | ||||||
---|---|---|---|---|---|---|---|---|---|---|---|---|
디비전 | 출전 | 골 | 출전 | 골 | 출전 | 골 | 출전 | 골 | 출전 | 골 | ||
시미즈 에스펄스 | 1997 | J1리그 | 0 | 0 | 1 | 0 | 0 | 0 | – | 1 | 0 | |
1998 | 20 | 1 | 3 | 0 | 0 | 0 | – | 23 | 1 | |||
1999 | 22 | 0 | 3 | 1 | 4 | 0 | – | 29 | 1 | |||
2000 | 26 | 2 | 4 | 0 | 6 | 1 | – | 36 | 3 | |||
2001 | 30 | 2 | 1 | 0 | 2 | 0 | – | 33 | 2 | |||
2002 | 30 | 1 | 3 | 0 | 2 | 0 | 2 | 0 | 37 | 1 | ||
2003 | 23 | 0 | 0 | 0 | 4 | 0 | 0 | 0 | 27 | 0 | ||
2004 | 3 | 0 | 0 | 0 | 1 | 0 | – | 4 | 0 | |||
2005 | 34 | 0 | 3 | 1 | 5 | 0 | – | 42 | 1 | |||
2006 | 31 | 1 | 3 | 0 | 5 | 0 | – | 39 | 1 | |||
2007 | 33 | 4 | 3 | 1 | 6 | 1 | – | 42 | 6 | |||
2008 | 27 | 0 | 2 | 0 | 5 | 0 | – | 34 | 0 | |||
2009 | 25 | 1 | 5 | 0 | 5 | 0 | – | 35 | 1 | |||
2010 | 21 | 0 | 2 | 0 | 4 | 0 | – | 27 | 0 | |||
벤트포렛 고후 | 2011 | J1리그 | 22 | 0 | 0 | 0 | 1 | 0 | – | 23 | 0 | |
미토 홀리호크 | 2012 | J2리그 | 32 | 1 | 1 | 0 | – | – | 33 | 1 | ||
후지에다 MYFC | 2013 | 재팬 풋볼 리그 | 8 | 0 | 1 | 0 | – | – | 9 | 0 | ||
2014 | J3리그 | 6 | 0 | 1 | 0 | – | – | 7 | 0 | |||
FC 이마바리 | 2015 | 지역 리그 | 1 | 0 | 0 | 0 | – | – | 1 | 0 | ||
반라레 하치노헤 | 2016 | 재팬 풋볼 리그 | 20 | 2 | 0 | 0 | – | – | 20 | 2 | ||
통산 | 414 | 15 | 34 | 3 | 45 | 2 | 2 | 0 | 495 | 20 |
6. 2. 국가대표팀 기록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득점 |
---|---|---|---|
일본 | 1998 | 1 | 0 |
1999 | 0 | 0 | |
2000 | 0 | 0 | |
2001 | 0 | 0 | |
2002 | 9 | 0 | |
합계 | 10 | 0 |
1998년 4월 1일 서울특별시에서 개최된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당시 고등학교 재학 중으로 17세 322일의 출전은 2022년 현재에도 역대 최연소 기록이다.[3]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98년 4월 1일 | 서울 | 대한민국 | ● 1-2 | 오카다 다케시 | 월드컵 기념 경기 | |
2 | 2002년 3월 21일 | 오사카부 | 나가이 육상 경기장 | 우크라이나 | ○ 1-0 | 필립 트루시에 | 기린 챌린지 컵 |
3 | 2002년 3월 27일 | 우치 | 폴란드 | ○ 2-0 | 국제 친선 경기 | ||
4 | 2002년 4월 17일 | 가나가와현 |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 | 코스타리카 | △ 1-1 | 기린 챌린지 컵 | |
5 | 2002년 5월 2일 | 효고현 | 미사키 공원 구기장 | 온두라스 | △ 3-3 | 기린 컵 | |
6 | 2002년 5월 14일 | 오슬로 | 노르웨이 | ● 0-3 | 국제 친선 경기 | ||
7 | 2002년 5월 25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스웨덴 | △ 1-1 | 기린 챌린지 컵 | |
8 | 2002년 6월 4일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벨기에 | △ 2-2 | 2002년 FIFA 월드컵 | |
9 | 2002년 6월 14일 | 오사카부 | 나가이 육상 경기장 | 튀니지 | ○ 2-0 | 2002년 FIFA 월드컵 | |
10 | 2002년 6월 18일 | 미야기현 | 미야기 스타디움 | 터키 | ● 0-1 | 2002년 FIFA 월드컵 |
참조
[1]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s://web.archive.[...]
2018-06-12
[2]
서적
J1&J2&J3選手名鑑 2014 (NSK MOOK)
Nippon Sports Kikaku Publishing inc./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2014-02-14
[3]
간행물
日本代表公式記録集The Yearbook of JFA 2011
日本サッカー協会編
[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5]
간행물
市川大祐選手の契約満了に伴う来季契約非更新について
http://www.s-pulse.c[...]
清水エスパルス
2010-12-06
[6]
서적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No.1443 「JFL支局」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7]
간행물
選手引退のお知らせ
http://www.vanraure.[...]
ヴァンラーレ八戸
2016-10-29
[8]
웹사이트
【日本代表】超過密日程が心配される香川真司
http://www.jsports.c[...]
2008-11-10
[9]
웹사이트
功労選手賞について
https://www.jleague.[...]
2017-10-24
[10]
문서
ヘッドコーチの[[スティーブ・ペリマン]]は体調不良、[[犬飼智也]]は所用のため不参加となった。
[11]
문서
[[眞田雅則]]の息子
[12]
문서
ケガのため出場せ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