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35년 개관하여, 한국전쟁 중 부산으로 피난하는 등 역사를 거쳐 1990년 현재의 건물을 신축했다. 1999년 담인복식미술관을 조성하고, 2006년 현대미술전시관을 신설했다. 주요 소장품으로는 국보 제107호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를 비롯하여, 보물, 등록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등으로 지정된 다양한 유물들이 있다. 또한, 다양한 주제의 도록과 연구 서적을 발행하며 학술적 연구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5년 설립된 박물관 - 그리피스 천문대
    그리피스 천문대는 1935년 개관하여 대중에게 천문학을 소개하고 항공 및 우주비행사 훈련에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로스앤젤레스의 랜드마크로서 대중문화적으로도 인기가 높은 천문대이다.
  • 이화학당 (학교법인)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는 1886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종합대학교로, 12개의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국제 교류를 진행하고, 친일 행적 논란 등 사회적 이슈에도 연루되었다.
  • 이화학당 (학교법인) - 영란여자중학교
    영란여자중학교는 1969년 이화학당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 사립 여자 중학교로, 50년이 넘는 역사 동안 2만 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동문들을 배출했다.
  • 이화여자대학교 - 김활란
    김활란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여성운동가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서,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여성 교육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다.
  • 이화여자대학교 - 이대 (지역)
    이대는 이화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트렌디한 카페, 쇼핑, 캠퍼스 밸리, 길거리 음식 등으로 유명하며, 특히 여성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K-뷰티와 K-패션의 중심지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박물관
관리 주체이화여자대학교
국가대한민국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개관일1935년 4월 6일
웹사이트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홈페이지

2. 역사

1930년 에드나 밴 플리트(Edna M. Van Fleet) 교수의 제안으로 설립이 추진되어 1935년 4월 6일 이화여자대학교 본관 109호에 개관하였다. 한국전쟁 중에는 부산으로 피난하여 임시캠퍼스 필승각에서 운영되기도 하였다.[3] 1960년 단독 건물을 신축하여 박물관을 운영하였고, 1990년 이화여자대학교 100주년 기념으로 현재의 박물관을 신축하였다. 100주년 기념 신축 건물은 1991년 서울특별시 건축상 동상을 수상하였다.[4] 1999년 담인복식미술관과 조각공원을 조성하였고, 2005년에는 박물관을 증축하였으며 2006년에는 현대미술전시관을 신설하였다.[1]

3. 담인복식미술관

1999년 5월 31일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장숙환(張淑煥) 교수가 개인 소장품 5,000여 점을 기증하여 담인복식미술관이 개관하였다.[6] 기증품은 장숙환 교수의 어머니 담인(澹人) 장부덕(張富德:1908-1967)의 유품을 바탕으로, 장 교수가 40여 년간 수집한 것이다. 어머니의 뜻을 기리고자 '담인복식미술관'이라 이름 지었다. 기증품은 조선 시대의 남녀 장신구가 주를 이루며, 의복, 수예품, 목공소품, 가구 등도 포함되어 있다. 이 유물은 조선 시대 왕실과 사대부 계층에서 사용되었던 것이 대부분으로, 당시 상류 사회의 세련되고 우아한 미의식이 담겨 있어 미적, 역사적 가치가 높다.[6]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지하 1층에 있다.[7]

4. 주요 소장품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은 국보, 보물, 중요민속문화재, 등록문화재 등 다양한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주요 소장품은 다음과 같다.

명칭비고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국보 제107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보물 제237호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보물 제351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보물 제352호
기사계첩보물 제638호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보물 제416호
고구려 평양성 석편보물 제642호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보물 제644호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보물 제645호
유제화형촛대등록문화재 제454호
청초중단중요민속문화재 제61호
적초의중요민속문화재 제62호
왕비 록원삼중요민속문화재 제63호
영암 최원립장군 묘 출토복식·유물중요민속문화재 제253호


4. 1. 국보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국보 제107호이다.

4. 2. 보물

명칭비고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보물 제237호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보물 제351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보물 제352호
기사계첩보물 제638호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보물 제416호
고구려 평양성 석편보물 제642호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보물 제644호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보물 제645호



기사계첩

4. 3. 등록문화재

유제화형촛대는 등록문화재 제454호이다.

4. 4. 중요민속문화재

명칭비고
청초중단중요민속문화재 제61호
적초의중요민속문화재 제62호
왕비 록원삼중요민속문화재 제63호
영암 최원립장군 묘 출토복식·유물중요민속문화재 제253호



왕비 록원삼

5. 주요 간행물

발간 연도제목
2016년목木·공工
2014년근대회화 - 대한제국에서 1950년대까지
2012년상차림의 미학
2007년한국미술과의 대화(이화여자대학교 명품 100선)
2006년여성·일·미술(이화여자대학교 창립 120주년 특별기획전)
2005년시간을 넘어선 울림(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창립 7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2003년미술속의 여성
2001년도요지 발굴 성과 20년(제32회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특별전)
2000년제3의 전통, 옹기의 원류를 찾아서
1999년영암의 토기전통과 구림도기
1999년오당 안동숙
1999년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名品
1997년探梅...매화를 찾아서(제25회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품 특별전)
1984년분청사기(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 13)
1982년부안류천리요 고려도자(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 12)
1982년소반(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 11)


참조

[1] 웹사이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개 http://cms.ewha.ac.k[...]
[2] 웹인용 전시관 안내 http://cms.ewha.ac.k[...] 2016-11-09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http://encykorea.aks[...]
[4] 아우름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http://www.aurum.re.[...]
[5] 웹사이트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맵 http://www.ewha.ac.k[...]
[6] 서적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7기 도슨트 교육자료집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16
[7] 웹인용 박물관 http://www.ewha.ac.k[...] 2016-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