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는 18세기 영조 때 금사리 가마에서 제작된 조선 후기 왕실 관요 백자 항아리이다. 달항아리처럼 상하 부분을 따로 제작하여 접합했으며, 검은 철사 안료로 포도 넝쿨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회화적인 특징을 보인다. 형태는 짧은 목과 벌어진 어깨, 좁아지는 하부를 가지며, 18세기 화가들의 포도 그림 화풍과 비견될 정도로 뛰어난 예술성을 지닌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화백자 -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석간주로 용 무늬를 그린 궁중용 항아리로, 관요 운영의 어려움 속에서 경기도 광주 선동리 가마터에서 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품 - 백자청화 칠보화훼문 사각병
    백자청화 칠보화훼문 사각병은 19세기 전반 분원 관요에서 제작된 조선 백자로, 사각형 몸체에 매화, 칠보문, 화훼, 수류문 등의 청화 문양이 장식되었으며, 조선과 일본의 문화 교류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로, 1848년경 경수궁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의례용기로 추정된다.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품 - 고구려 평양성 석편
    고구려 평양성 석편은 평양성 축조 시기를 알려주는 석재 조각으로, 고구려의 역사, 사회,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기유' 간지와 축성 공사 관련 명문이 새겨져 있어 고구려의 관등 체계와 토목 기술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 서울특별시의 국보 - 훈민정음
    훈민정음은 1443년에 세종에 의해 창제된 한국의 고유 문자로, 한글의 창제목적, 원리, 사용법 등을 담은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1446년에 반포되었으며,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문자로 평가받는다.
  • 서울특별시의 국보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은 김대성이 발원하여 조성된 불상으로, 이상적인 비례와 사실적인 옷 주름, 아미타정인 중 상품하생인의 수인, 주형 광배와 연화대좌를 갖추고 있으며, 명문을 통해 8세기 신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이름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영문 이름White Porcelain Jar with Grape Design in Underglaze Iron
유형국보
지정 번호107
지정일1962년 12월 20일
시대조선 (18세기)
소유자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참고 사항높이 53.3cm, 아가리지름 19.4cm, 밑지름 18.6cm
소장 위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박물관 (대현동)
꼬리말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문화재청 ID11,01070000,11

2. 제작 기법 및 특징

백자에 산화철을 사용하여 무늬를 넣는 철화문 기법은 고려 시대부터 제작되던 분청사기의 철화문 기법을 이어받은 것이다. 철화문 백자에는 매화, 난, 국화, 대나무, 초화문, 포도 등 다양한 식물 문양이 그려졌다.[1] 철화백자는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만들어졌지만, 임진왜란 이후 값비싼 청화 안료 대신 쉽게 구할 수 있는 철사를 널리 사용하면서 17세기에 크게 유행하였다.[2] 조선은 질 좋은 백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1467년경 경기도 광주시사옹원(司甕院) 분원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3]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는 이러한 제작 기법과 형태, 문양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1. 제작 기법

철화문 백자는 백토로 빚어 초벌구이한 도자기 위에 산화철 가루인 철사로 그림을 그리고 투명한 유약인 백자유를 뿌린 후 굽는 방식으로 제작된다.[2] 이러한 철화문 기법은 고려시대부터 제작되던 분청사기의 철화문 기법을 이어받은 것이다.[1]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 이후 값비싼 청화 안료 대신 쉽게 구할 수 있는 철사를 널리 사용하면서 철화문 백자가 크게 유행하였다.[2]

2. 2. 형태 및 특징

높이는 53.8 cm로 매우 큰 편이고, 포도문은 입구 바로 아래에서 몸체의 상반에만 그려 넣어 여백의 미를 살렸다. 철사의 농담을 조절해 잎과 가지, 포도송이를 능란한 필치로 살려낸 솜씨가 탁월하다.[2] 포도 그림은 예로부터 장수와 풍요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널리 사랑받아 왔다. 특히 17-18세기에 조업했던 경기도 광주시의 관요 가마터에서 철화로 포도문을 그린 백자 파편들이 수습되는데, 온전한 모양을 갖춘 것으로는 이 항아리가 거의 유일하게 알려져 있다.[10]

기형(器形)은 목이 짧고 어깨가 당당하게 벌어져 아래로 갈수록 좁아진다. 몸체 중간에 부분적으로 보이는 가로줄은 대형 항아리를 만들기 위해 위와 아래를 따로 만들어 접합했던 흔적으로, 굽는 과정에서 틈이 벌어져 생긴 것이다.[10] 이런 항아리는 장호(長壺)라고 하는데 궁중 연회에서 술항아리로 쓰였다.[8] 이와 유사한 크기와 형태의 항아리에 윤룡문이 그려진 용준(龍樽)이 왕실 의례용으로 사용된 바가 있어 큰 연회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10]

18세기 영조 때 금사리 가마에서 빚어낸[8]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는 조선 후기 왕실 관요의 결정체로 달항아리와 같이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만든 후 이어 붙여 구운 것이다. 몸 전체에 유약을 고르게 발라 이어진 부분이 도드라지지 않게 하였다.[9] 항아리의 일부분에 유약이 벗겨져 태토가 드러난 것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유약이 고르게 입혀졌고 몸체도 정제가 잘 된 고운 백토로 만들어져 매끄럽다.[10]

항아리의 기면 전체에 검은 빛깔의 철사(鐵砂) 안료로 묵(墨)의 농담(濃淡)을 주면서 그려진 이파리와 포도 넝쿨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한 폭의 묵포도도(墨葡萄圖)를 연상케 한다. 이러한 포도 그림은 당시의 화원 화가들이 그린 것으로 예상되며, 그림의 전체적인 구도와 세부 표현 등에서는 심정주(1678-1750)나 권경(權儆, 생몰 미상), 혹은 이인문(1745-1821) 같은 18세기의 화가들의 포도 화풍에 비견되기도 한다. 이 항아리의 회화적이고 문기 넘치는 문양 표현은 여타의 포도문을 뛰어넘는 회화성을 보여주는 18세기 조선 백자 항아리 중에서도 뛰어난 제작 솜씨를 보여주는 수작(秀作)이다.[10] 당대 일류 화공이 그린 것은 분명하나 누가 그렸는지는 짐작되는 사람은 없다.[8]

2. 3. 문양

포도 그림은 예로부터 장수와 풍요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널리 사랑받아 왔다. 특히 17-18세기에 조업했던 경기도 광주시의 관요 가마터에서 철화로 포도문을 그린 백자 파편들이 수습되는데, 온전한 모양을 갖춘 것으로는 이 항아리가 거의 유일하게 알려져 있다.[10]

항아리의 표면 전체에 검은 빛깔의 철사(鐵砂) 안료를 사용하여 묵(墨)의 농담(濃淡)을 주면서 그려진 이파리와 포도 넝쿨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한 폭의 묵포도도(墨葡萄圖)를 연상케 한다. 이러한 포도 그림은 당시 화원 화가들이 그린 것으로 예상되며, 그림의 전체적인 구도와 세부 표현 등에서는 심정주(1678-1750), 권경(생몰 미상), 혹은 이인문(1745-1821) 같은 18세기 화가들의 포도 화풍에 비견되기도 한다. 이 항아리의 회화적이고 문기 넘치는 문양 표현은 여타의 포도문을 뛰어넘는 회화성을 보여주는 18세기 조선 백자 항아리 중에서도 뛰어난 제작 솜씨를 보여주는 수작(秀作)이다.[10] 당대 일류 화공이 그린 것은 분명하나 누가 그렸는지는 짐작되는 사람이 없다.[8]

3. 역사

고려시대 분청사기의 철화문 기법을 이어받아 백자에 산화 철로 무늬를 넣었다. 철화문 백자에는 매화, 난, 국화, 대나무, 초화문, 포도 등 다양한 식물이 그려졌다.[1] 대한민국 국보 제93호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와 함께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는 대표적인 철화문 백자로 꼽힌다.[7]

3. 1. 제작 및 초기 역사

철화 백자는 백토로 빚어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산화철 가루인 철사로 그림을 그리고 투명한 유약인 백자유를 뿌린 후 구워 만든다. 철화백자는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만들어졌지만, 17세기에 크게 유행했는데 임진왜란 이후 값비싼 청화 안료 대신 쉽게 구할 수 있는 철사를 널리 사용했기 때문이다.[2] 조선은 질 좋은 백자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1467년경 경기도 광주시사옹원(司甕院) 분원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3]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는 18세기 무렵 제작되어 일본과 한국을 오가는 우여곡절 끝에 1965년 이화여자대학교에 소장되었다.[4] 포도 그림은 예로부터 장수와 풍요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널리 사랑받아 왔으며, 특히 17-18세기에 조업했던 경기도 광주의 관요 가마터에서 철화로 포도문을 그린 백자 파편들이 수습되는데, 온전한 모양을 갖춘 것으로는 이 항아리가 거의 유일하게 알려져 있다. 이와 유사한 크기와 형태의 항아리에 용 문양이 그려진 용준(龍樽)이 왕실 의례용으로 사용된 바가 있어 큰 연회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10] 이런 항아리는 장호(長壺)라고 하는데 궁중 연회에서 술항아리로 쓰였다.[8]

3. 2. 소장 이력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는 일제강점기 조선철도주식회사 전무였던 시미즈 고지(淸水幸次)가 소장하고 있었으나, 해방 이후 일본으로 돌아가면서 한국인 김 아무개에게 맡겼다. 그러나 이 백자는 암거래 되었고, 1946년 김 아무개는 권명근에게 25000KRW에 팔았다. 권명근은 당시 수도경찰청장이었던 장택상에게 백자를 넘겼으나, 장택상은 장물이라는 점을 들어 권명근을 겁박하고 50000KRW에 백자를 빼앗다시피 নিজের 소유로 만들었다.[5] 이 과정에서 권명근은 경찰에 끌려가 폭행을 당했다고 하며, 장택상은 소유권이 김 아무개에게 있는 것처럼 문서를 조작했다.[6]

1960년 장택상은 정치자금 마련을 위해 백자를 미술품 시장에 내놓았다. 김활란은 이를 15000KRW에 구매하여 1965년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 기증하였다.[5] 이로써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는 일본과 한국을 오가는 우여곡절 끝에 이화여자대학교에 소장되었고,[4] 현재까지 한국의 조형미를 대표하는 도자기로 꼽힌다.

4. 의의 및 평가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는 조선 후기 왕실 도자기 제작 기술과 예술 경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고려시대부터 제작된 분청사기의 철화문 기법을 이어받아 백자에 산화 철로 무늬를 넣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값비싼 청화 안료 대신 철사를 사용하면서 철화백자가 크게 유행하였다.

18세기에 제작된 이 항아리는 경기도 광주의 관요 가마터에서 발견된 철화 포도문 백자 파편들과 유사하며, 온전한 형태로는 거의 유일하다. 왕실 의례용 용준(龍樽)과 비슷한 크기와 형태를 가져, 큰 연회에서 술항아리로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국보 93호인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와 함께 철화문 백자의 대표작이다.[7]

4. 1. 예술적 가치

18세기 영조 때 금사리 가마에서 빚어낸 白磁 鐵畵葡萄文 壺|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중국어는 조선 후기 왕실 관요의 결정체로 달항아리와 같이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만든 후 이어 붙여 구운 것이다. 몸 전체에 유약을 고르게 발라 이어진 부분이 도드라지지 않게 하였다.[9] 항아리의 일부분에 유약이 벗겨져 태토가 드러난 것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유약이 고르게 입혀졌고 몸체도 정제가 잘 된 고운 백토로 만들어져 매끄럽다.[10]

항아리의 기면 전체에 검은 빛깔의 철사(鐵砂) 안료로 묵(墨)의 농담(濃淡)을 주면서 그려진 이파리와 포도넝쿨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한 폭의 묵포도도(墨葡萄圖)를 연상케 한다. 이러한 포도 그림은 당시의 화원 화가들이 그린 것으로 예상되며, 그림의 전체적인 구도와 세부 표현 등에서는 심정주(沈廷胄, 1678-1750)나 권경(權儆, 생몰 미상), 혹은 이인문(1745-1821) 같은 18세기 화가들의 포도 화풍에 비견되기도 한다. 이 항아리의 조형미와 회화적이고 문기 넘치는 문양 표현은 여타의 포도문을 뛰어넘는 회화성을 보여주는 18세기 조선 백자 항아리 중에서도 뛰어난 제작 솜씨를 보여주는 수작(秀作)이다.[10] 당대 일류 화공이 그린 것은 분명하나 누가 그렸는지는 짐작되지 않는다.[8]

4. 2. 역사적 가치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는 조선 후기 왕실 관요의 기술 수준과 예술 경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백자에 산화 철을 사용하여 무늬를 넣는 철화문 기법은 고려시대부터 제작되던 분청사기의 철화문 기법을 이어받은 것이다.[1] 철화백자는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만들어졌지만, 17세기 임진왜란 이후 값비싼 청화 안료 대신 쉽게 구할 수 있는 철사를 널리 사용하면서 크게 유행하였다.[2]

특히 17-18세기에 조업했던 경기도 광주의 관요 가마터에서 철화로 포도문을 그린 백자 파편들이 수습되는데, 온전한 모양을 갖춘 것으로는 이 항아리가 거의 유일하게 알려져 있다.[10] 이와 유사한 크기와 형태의 항아리에 용 문양을 그린 용준(龍樽)이 왕실 의례용으로 사용된 바가 있어 큰 연회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10] 이런 항아리는 장호(長壺)라고 하는데 궁중 연회에서 술항아리로 쓰였다.[8]

대한민국 국보 93호인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와 함께 철화문 백자의 대표작으로 꼽힌다.[7]

참조

[1] 서적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2 넥서스북스 2004
[2] 뉴스 도자기가 있는 단상 .16 -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006-01-01
[3] 간행물 가평 하판리유적 - 조선 중기 철화백자운룡문항아리를 구운 지방 가마터 경기도자박물관 2008
[4] 저널 백자철화 포도문 항아리 https://web.archive.[...] 2016-11-08
[5] 웹사이트 컬렉터 김활란과 백자철화포도무늬 항아리 http://www.mise1984.[...]
[6] 뉴스 조선 백자중 으뜸 http://www.popcornne[...] 팝콘뉴스 2007-06-07
[7] 웹사이트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http://www.cha.go.kr[...] 문화재청
[8] 뉴스 유홍준의 국보순례 50 - 백자 철화 포도문 항아리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3-10
[9] 웹사이트 한국의 美 -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4) 백자철화포도문항아리 http://daljin.com/co[...] 교수신문, 김달진 미술연구소 재인용
[10] 서적 조선백자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15-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