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제읍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에 위치한 읍이다. 소양강과 내린천의 합류 지점에 있으며, 꿀 생산량이 많고 내설악 일대의 수려한 자연 경관을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과거 현내면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가리산리, 가아리 등 11개의 법정리와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제군청이 있는 상동리에 읍사무소가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설치 - 강동구
강동구는 서울특별시 동쪽에 위치하며 한강 동쪽의 지리적 특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암사동 유적과 같은 역사 유적과 현대적 시설을 갖추고 5, 8, 9호선 지하철과 버스, 고속도로를 통해 수도권과 연결되는 교통 요충지이며 약 45만 명이 거주하는 자치구이다. - 1979년 설치 - 팽성읍
팽성읍은 경기도 평택시 북부에 위치한 읍으로,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가 위치하며 25개의 법정리와 7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읍·면 - 정선읍
정선읍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위치한 읍으로, 국도와 철도가 지나 교통의 요지이며, 메밀, 황기, 옥수수 등의 특산물이 있고, 조양강이 읍 중앙부를 흐르며, 정선군청 등 다양한 행정 기관이 위치해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읍·면 - 평창읍
평창읍은 강원도 평창군의 행정 중심지로, 태백산맥 서쪽 산악 지형에 위치하며 평창강이 흐르고, 담배, 견직물, 꿀 생산과 월정사 등의 문화재 및 관광지로 알려져 있으며,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서 지역 경제에 기여한다.
인제읍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인제읍 |
유형 | 읍 |
한글 표기 | 인제읍 |
한자 표기 | 麟蹄邑 |
로마자 표기 | Inje-eup |
매큔-라이샤워 표기 | Inje-ŭp |
국가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강원특별자치도 |
기초 자치 단체 | 인제군 |
하위 행정 구역 | 20개 리 |
면적 | 315.15 km² |
인구 (2011년) | 9,961명 |
시간대 | |
시간대 | Korea Standard Time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9 |
기타 정보 | |
행정리 수 | 20개 |
반 수 | 119개 |
읍사무소 주소 | 인제읍 인제로 205번길 9 |
홈페이지 | 인제읍사무소 |
2. 역사
1948년 38선이 생기면서 38선 이북 10개 리가 공산 치하로 넘어갔고, 38선 이남 원대리는 홍천군 신남면에 편입되었다.[1] 1951년 다시 인제군에 편입되었으며,[1] 1979년 5월 1일 대통령령 제9409호에 의거하여 읍으로 승격되었다.[1]
2. 1. 고대 ~ 조선 시대
인제읍은 본래 현내면(縣內面)이라고 하여 하도리(下道里), 상도리(上道里), 덕산(德山), 덕적리(德積里), 청계동(淸溪洞), 고사동(古沙洞)의 7개 리를 관할하였다.[1] 1906년 군내면(郡內面)으로 고치고 상도(上道), 동(東), 남(南), 북(北), 합강(合江), 덕산(德山), 니(泥), 가아(加兒), 덕적(德積), 고사(古沙), 차평(車坪)의 11개 리로 개편하였다.[1]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면의 원대(院垈), 하추동(下楸洞), 이탄(耳呑)을 편입하여 귀둔(貴屯), 하추(下楸), 원대(院垈), 가리산(加里山), 고사(古沙), 남북(南北), 상동(上洞), 합강(合江), 가아(加兒), 덕산(德山), 덕적(德積)의 11개 리로 개편하였다.[1] 1917년 인제면으로 개칭하였다.[1]2. 2. 일제 강점기 및 광복 이후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면의 원대(院垈), 하추동(下楸洞), 이탄(耳呑)을 편입하여 귀둔(貴屯), 하추(下楸), 원대(院垈), 가리산(加里山), 고사(古沙), 남북(南北), 상동(上洞), 합강(合江), 가아(加兒), 덕산(德山), 덕적(德積)의 11개 리로 개편되었다.[1] 1917년 인제면으로 개칭되었다.[1] 1948년 38선이 생기면서 38선 이북 10개 리가 공산 치하로 넘어가고, 38선 이남 원대리는 내면을 제외한 인제군의 38선 이남 지역을 통합한 홍천군 신남면에 편입되었다.[1] 1951년 다시 인제군에 편입되어 11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다.[1] 1979년 5월 1일 대통령령 제9409호에 의거하여 읍으로 승격되었다.[1]3. 행정 구역
인제읍은 11개의 법정리와 17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읍사무소는 상동리에 있다.
3. 1. 법정리 및 행정리 목록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가리산리 | 加里山里 | 가리산리 | |
가아리 | 加兒里 | 가아1리, 가아2리 | |
고사리 | 古沙里 | 고사리 | |
귀둔리 | 貴屯里 | 귀둔리 | |
남북리 | 南北里 | 남북1리, 남북2리 | |
덕산리 | 德山里 | 덕산리 | |
덕적리 | 德積里 | 덕적리 | |
상동리 | 上東里 | 상동1리, 상동2리, 상동3리, 상동4리, 상동5리 | 인제읍사무소 소재지 |
원대리 | 院垈里 | 원대리 | |
하추리 | 下楸里 | 하추리 | |
합강리 | 合江里 | 합강1리, 합강2리, 합강3리 |
4. 지리
인제읍은 동쪽으로는 양양군 서면, 서쪽으로는 남면, 남쪽으로는 기린면, 북쪽으로는 북면과 접해 있다. 상동리에 인제군청이 있고, 읍사무소 직할 귀둔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1]
4. 1. 자연 환경
소양강과 내린천의 합류점 가까이에 있고 부근 일대는 경치가 아름답다. 대한민국 제일의 밀원지로 꿀의 생산량이 많고 임산물의 생산량도 많다. 금강산에 못지않는 내설악 일대의 기암 괴석, 비폭, 벽담, 삼림미 등의 경승지가 많아 관광사업이 유망한 곳이다.5. 경제
인제읍은 소양강과 내린천이 합류하는 지점 근처에 있어 주변 경관이 아름답다. 대한민국에서 꿀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이며, 임산물 생산도 활발하다.[1] 내설악은 금강산에 버금가는 아름다운 기암괴석, 폭포, 연못, 삼림 등을 갖추고 있어 관광 사업의 잠재력이 큰 곳으로 평가받는다.[1]
5. 1. 관광 산업
소양강과 내린천 합류점 부근에 있어 주변 경관이 수려하다. 대한민국 제일의 밀원지로 꿀 생산량이 많고 임산물 생산도 많다.[1] 금강산에 버금가는 내설악 일대의 기암괴석, 폭포, 연못, 삼림 등 아름다운 경승지가 많아 관광 사업이 유망한 곳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