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동구는 1979년 서울 강남구에서 분리되어 발족한 서울특별시의 구이다. 1988년 송파구 분구로 17개 행정동으로 축소되었고, 이후 행정동의 분동 및 통폐합을 거쳐 현재 1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석기 시대 유적과 백제 초기 도읍지였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고려 시대에는 광주목에 속했고 조선 시대에는 구천면으로 불렸다. 1979년 강남구에서 분리된 이후 서울 지하철 5호선, 8호선, 9호선 등의 철도와 올림픽대로, 강동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 교통의 요지이며, 암사동 유적, 강동선사문화축제 등 문화 관광 명소와 교육 시설, 쇼핑 시설을 갖추고 있다.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동구 - 고덕평생학습관
고덕평생학습관은 평생학습을 지원하는 시설이며, 전경, 로비, 휴게실 등의 사진을 통해 시설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서울 강동구 - 강동도서관
강동도서관은 서울특별시 도서관 설치 조례에 따라 1984년 개관하여 전자자료실 개실 및 시설 개선을 통해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창의학습공간을 조성했다. - 서울 강동구의 행정 구역 - 암사동
암사동은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 사찰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며, 조선시대 구암사리로 불렸고, 특히 신석기 시대 암사동 선사 유적지가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서울 강동구의 행정 구역 - 강일동
강일동은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주요 시설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학교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1979년 설치 - 팽성읍
팽성읍은 경기도 평택시 북부에 위치한 읍으로,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가 위치하며 25개의 법정리와 7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1979년 설치 - 은평구
은평구는 서울특별시의 구로, 서울 서북부에 위치하며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1979년 서대문구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북한산과 불광천 등의 자연환경과 다양한 철도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강동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강동구 (江東區) |
로마자 표기 | Gangdong-gu |
행정 구역 유형 | 특별 자치구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서울특별시 |
하위 행정 구역 | 21개 행정동 |
정치와 행정 | |
구청장 | 이수희 (국민의힘) |
국회의원 | 강동구 갑: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강동구 을: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
지방 의회 | 강동구의회 |
정당 | 국민의힘 |
면적 | |
전체 면적 | 24.587 km² |
인구 | |
총인구 (2024년) | 465,807 명 |
총인구 (2023년) | 459,167 명 |
인구 밀도 | 자동 |
남성 인구 | 224,423 명 |
여성 인구 | 234,744 명 |
시간대 | |
표준 시간대 | 한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9 |
우편 및 지역 번호 | |
우편 번호 | 05200 – 05499 |
지역 번호 | +82-2-400~ |
기타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강동구청 공식 웹사이트 |
구목 | 잣나무 |
구화 | 매화 |
구조 | 종달새 |
![]() | |
![]() | |
![]() |
2. 역사
1979년 10월 1일 강남구에서 명일동, 하일동, 상일동, 고덕동, 길동, 둔촌동, 암사동, 천호동, 성내동, 풍납동, 송파동, 거여동, 마천동, 방이동, 석촌동, 이촌동, 오금동, 가락동, 문정동, 잠실동, 신천동, 삼성동, 삼전동, 수서동, 자곡동, 율현동, 장지동을 분할하여 강동구가 발족했다.[6] 당시 강동구는 1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는데, 하일동, 명일동, 암사1동, 암사2동, 천호1동, 천호2동, 성내동, 풍납동, 길동, 거여동, 마천동, 방이동, 송파동, 잠실1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4동, 잠실5동이었다.[7]
1980년 7월 1일 암사3동, 천호3동, 성내2동, 둔촌동, 마천2동, 잠실6동이 신설되었고,[8] 1983년 1월 1일에는 가락동과 문정동이, 1983년 12월 1일에는 길2동과 잠실본동이 신설되었다. 1985년 9월 1일에는 상일동, 고덕동, 천호4동, 풍납2동, 둔촌2동, 오금동, 석촌동이 신설되었다.[9]
1988년 1월 1일, 가락동, 거여동, 마천동, 문정동, 방이동, 삼전동, 석촌동, 송파동, 오금동, 잠실동, 장지동, 풍납동을 관할로 하는 송파구가 설치되면서[10] 강동구는 17개의 행정동으로 축소되었다. 이후 1988년 7월 1일 명일2동, 고덕2동, 성내3동이 신설되었고,[11] 1991년 8월 6일 암사4동이 신설되었다.[12]
2000년 1월 1일 하일동이 강일동으로 개칭되었고,[13] 2007년 1월 1일 법정동 하일동이 강일동으로 개칭되었다.[14] 2007년 8월 1일 강일동의 업무를 고덕2동에서 통합운영하였으며,[15] 2008년 7월 7일 암사4동을 암사1동으로, 천호4동을 천호2동으로, 길1동과 길2동을 길동으로 통합하였다.[16] 2021년 7월 1일에는 강일동을 강일동, 상일2동으로 분동하고, 상일동을 상일1동으로 개칭하였다.
2. 1. 선사 시대

강동구 서울 암사동 유적(사적 제 267호)에는 기원전 5000년경에 세워진 신석기 시대의 집터들이 많이 남아 있다. 암사동선사주거지에서는 신석기 유물 뿐 아니라 민무늬토기 등 청동기 시대 유물도 발견되었다.
이외에도 강동구 고덕동과 명일동 일대에서 청동기 시대 유물이 출토되어 청동기 시대에도 강동구에 사람이 거주했음을 알 수 있다.
2. 2. 삼국 시대
기원전 5년 온조왕 14년부터 475년 개로왕까지 백제의 수도였던 하남위례성이 이 남측(지금의 풍납동으로 추정)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1960년대 학자에 의해 강동구 암사동과 천호동에서는 백제 시대의 토성으로 추정되는 곳이 발견되기도 해 이 곳이 백제의 영토였음을 분명히 해 주고 있다.천호동~암사동 지역은 삼국시대때 백제의 초기도읍지로 추정되는 풍납토성 동북방향의 지역으로서 풍납토성 동북쪽~ 고덕산 사이에 이르는 지역이 바로 지금의 천호동과 암사동의 지역이다. 과거 해발50~60m에 낮은 산들이 위치해 백제 초기도읍 북쪽지역의 방어와 한강의 범람으로부터 서민들을 지키는 마을로써 쓰였던것으로 추정된다.
강동구에서는 백제의 초대 임금인 온조왕(?~28)의 이름을 딴 온조대왕 문화체육관을 고덕동에 건설해 온조왕과 백제를 기념하고 있다.
475년 장수왕의 침략으로 하남위례성이 함락당해 고구려의 영토가 된다. 고구려는 강동구를 포함한 백제의 수도였던 곳에 '''한산군'''을 설치하고 551년 나제동맹군에 의해 점령되기 전까지 이곳을 77년간 다스리게 된다. 나제동맹으로 백제가 잠시 한강유역을 다시 차지하게 되었으나, 553년 신라가 동맹을 깨고 이 지역을 점령해 신주라고 이름 붙였다. 신주는 이후 북한산주, 한산주 등으로 이름이 바뀌다가 남북국 시대인 757년에 이르러 '''한주'''라고 칭하고 현재의 경기도, 충청북도 북부, 황해도 일대를 관할하였는데, 강동구를 포함한 고구려 때 한산군 지역은 당시 한주의 중심지였다.
2. 3. 고려 시대
938년 성종 2년에 강동구 일대는 광주목으로 개편되었다. 이 일대가 마을로 발전하기 시작해 원터골에 명일원이라는 숙박시설을 보급하고 천호동, 명일동 지역에 역참을 설치하였다.2. 4. 조선 시대
선조 10년(1577년) 강동구 일대는 광주부로 승격된다. 당시 강동구 일대의 명칭은 조선 성종 때 구천면(龜川面)이라 불렸는데, 이는 구천(龜川) 어효첨(魚孝瞻) 선생이 살았던 고장이었기 때문에 그의 아호를 따서 지어진 이름이었다.일제는 한일합방 이후 행정구역을 새로 정하면서 구천면(龜川面)의 龜(거북 구)자가 복잡하다는 이유로 九(아홉 구)자로 바꾸어 구천면(九川面)으로 변경하였다.
현종 8년(1667년) 현재의 암사동 일대에 '''구암서원'''(龜巖書院)이 건립되었다. 이 서원은 숙종 23년(1697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어 크게 성장하였으나, 고종 8년(1871년)에 실시된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허가 되었다. 이후 이 서원이 있던 자리 인근에 '''서원마을'''이라는 자연부락이 들어섰다.
강동구에는 조선시대에 건립된 '''신도비'''(죽은 사람의 일생을 기록한 비석)가 많이 남아 있다. 대표적으로 연산군 2년(1496년) 3월에 건립된 광릉부원군 이극배의 '''익평공신도비'''와 헌종 12년(1846년) 건립된 옥천부원군 유창의 '''유창신도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96호) 등이 있다.
조선시대 때 광주군 구천면 지역엔 굽은다리, 벽동말, 차재말, 당말, 은호말 등이 존재했다.
2. 5. 일제 강점기
너른나루는 일찍이 고려, 조선 시대부터 발전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도 동쪽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의 요충지가 되었다. 송파와 더불어 양 마을이 홍수로 지위가 자주 바뀌었으며, 좌로수참의 물목이 집중되던 곳이었다.구천면에서 가장 큰 지역으로 암사동과 천호동이 발전되기 시작해 1936년에 광진교가 지어졌다. 이로써 그 당시 제2한강교나 다름없던 다리가 놓여졌다. 이와 동시에 일제는 조선 시대 때 이미 만들어진 천호동과 암사동 지역에 경기도 광주에서 서울로 가던 역(驛)과 장터 길들을 우회, 재건하여 2차선 도로를 만들었다. 이 길이 바로 지금의 구천면로이다.
2. 6. 대한민국
1979년 10월 1일 강남구의 탄천 동쪽을 관할로 강동구가 분리 설치되었다.[6] 당시 강동구는 1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는데, 하일동, 명일동, 암사1동, 암사2동, 천호1동, 천호2동, 성내동, 풍납동, 길동, 거여동, 마천동, 방이동, 송파동, 잠실1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4동, 잠실5동이었다.[7]1980년 7월 1일 암사3동, 천호3동, 성내2동, 둔촌동, 마천2동, 잠실6동이 신설되었고,[8] 1983년 1월 1일에는 가락동과 문정동이, 1983년 12월 1일에는 길2동과 잠실본동이 신설되었다. 1985년 9월 1일에는 상일동, 고덕동, 천호4동, 풍납2동, 둔촌2동, 오금동, 석촌동이 신설되었다.[9]
1988년 1월 1일, 가락동, 거여동, 마천동, 문정동, 방이동, 삼전동, 석촌동, 송파동, 오금동, 잠실동, 장지동, 풍납동을 관할로 하는 송파구가 설치되면서[10] 강동구는 17개의 행정동으로 축소되었다. 이후 1988년 7월 1일 명일2동, 고덕2동, 성내3동이 신설되었고,[11] 1991년 8월 6일 암사4동이 신설되었다.[12]
2000년 1월 1일 하일동이 강일동으로 개칭되었고,[13] 2007년 1월 1일 법정동 하일동이 강일동으로 개칭되었다.[14] 2007년 8월 1일 강일동의 업무를 고덕2동에서 통합운영하였으며,[15] 2008년 7월 7일 암사4동을 암사1동으로, 천호4동을 천호2동으로, 길1동과 길2동을 길동으로 통합하였다.[16] 2021년 7월 1일에는 강일동을 강일동, 상일2동으로 분동하고, 상일동을 상일1동으로 개칭하였다.
3. 지명
본래 강동구는 광주군 구천면이었는데, 구천이라는 지명은 조선 성종 때 이곳에 살던 판중추부사 어효첨(魚孝瞻)의 호를 따라 붙여졌다. 1979년 분구될 때 한강의 동쪽에 위치해서 강동이란 구명이 신설되었다.
아이가 넘을 만한 작은 산이라고 일컬어지는 아이재 또는 강의 서쪽아치(강 서쪽 강에 아차산과 언덕)와 함께 강의 동쪽 아치(강 동쪽에 일자산과 작은 언덕들) 라는 말이 강동의 어원이 되었다. 이로써 옛 경기도 광주/이천 사람들이 이르길 "서울에 거의 다 다다렀을 때 길 끝에 작은 두 재(언덕 - 치)를 지나쳐야 서울에 도착한다 " 고 말했는데 그것이 바로 서아재(아차산)와 동아재(당산재 - 천호동 별북망지언덕 - 고덕산(高德山) - 일자산)이다. 실제로 강동의 작은 언덕들을 넘고 한강을 건너 아차산만 넘으면 과거 한양의 관할영역인 살곶이 다리가 나왔으니 그들은 이 언덕배기 나루터 마을을 그렇게 인식했던것 같다.
강동구는 서울특별시의 남동부에 위치한다.
강동구의 산으로는 고덕산(高德山), 성산봉(城山峰), 응봉(鷹峰), 일자산이 있다. 강동구의 하천으로는 한강(漢江), 고덕천(高德川), 망월천(望月川)이 있다.
4. 행정 구역
강동구의 행정 구역은 9개의 법정동과 이를 관리하는 1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7] 강동구의 면적은 24.58km2이며, 2015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인구는 458,658명, 180,508세대이다.[17]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명) | 세대 |
---|---|---|---|---|
강일동 | 江一洞 | 2.80 | 33,166 | 11,210 |
상일1동 | 上一洞 | 2.66 | 11,138 | 4,181 |
상일2동 | 1.09 | ? | ? | |
명일1동 | 明逸洞 | 0.61 | 22,503 | 8,189 |
명일2동 | 0.97 | 18,043 | 5,898 | |
고덕1동 | 高德洞 | 1.73 | 27,512 | 9,118 |
고덕2동 | 2.01 | 8,007 | 3,551 | |
암사1동 | 岩寺洞 | 1.02 | 38,056 | 16,327 |
암사2동 | 1.18 | 14,796 | 5,890 | |
암사3동 | 2.51 | 18,971 | 6,312 | |
천호1동 | 千戶洞 | 0.71 | 31,492 | 12,947 |
천호2동 | 1.57 | 36,838 | 17,552 | |
천호3동 | 0.79 | 28,469 | 13,378 | |
성내1동 | 城內洞 | 0.58 | 21,077 | 8,146 |
성내2동 | 0.67 | 25,967 | 12,362 | |
성내3동 | 0.71 | 24,327 | 10,201 | |
길동 | 吉洞 | 2.17 | 49,568 | 20,998 |
둔촌1동 | 遁村洞 | 0.92 | 363 | 201 |
둔촌2동 | 0.98 | 28,675 | 11,144 | |
강동구 | 江東區 | 24.59 | 437,050 | 177,605 |
행정동 | 법정동 |
---|---|
강일동 | 강일동 |
상일제1동 | 상일동 |
상일제2동 | |
명일제1동 | 명일동 |
명일제2동 | |
고덕제1동 | 고덕동 |
고덕제2동 | |
암사제1동 | 암사동 |
암사제2동 | |
암사제3동 | |
천호제1동 | 천호동 |
천호제2동 | |
천호제3동 | |
성내제1동 | 성내동 |
성내제2동 | |
성내제3동 | |
길동 | 길동 |
둔촌제1동 | 둔촌동 |
둔촌제2동 |
4. 1. 행정동과 법정동
강동구의 행정 구역은 9개의 법정동과 이를 관리하는 1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7] 강동구의 면적은 24.58km2이며, 2015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인구는 458,658명, 180,508세대이다.[17]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명) | 세대 |
---|---|---|---|---|
강일동 | 江一洞 | 2.80 | 33,166 | 11,210 |
상일1동 | 上一洞 | 2.66 | 11,138 | 4,181 |
상일2동 | 1.09 | ? | ? | |
명일1동 | 明逸洞 | 0.61 | 22,503 | 8,189 |
명일2동 | 0.97 | 18,043 | 5,898 | |
고덕1동 | 高德洞 | 1.73 | 27,512 | 9,118 |
고덕2동 | 2.01 | 8,007 | 3,551 | |
암사1동 | 岩寺洞 | 1.02 | 38,056 | 16,327 |
암사2동 | 1.18 | 14,796 | 5,890 | |
암사3동 | 2.51 | 18,971 | 6,312 | |
천호1동 | 千戶洞 | 0.71 | 31,492 | 12,947 |
천호2동 | 1.57 | 36,838 | 17,552 | |
천호3동 | 0.79 | 28,469 | 13,378 | |
성내1동 | 城內洞 | 0.58 | 21,077 | 8,146 |
성내2동 | 0.67 | 25,967 | 12,362 | |
성내3동 | 0.71 | 24,327 | 10,201 | |
길동 | 吉洞 | 2.17 | 49,568 | 20,998 |
둔촌1동 | 遁村洞 | 0.92 | 363 | 201 |
둔촌2동 | 0.98 | 28,675 | 11,144 | |
강동구 | 江東區 | 24.59 | 437,050 | 177,605 |
행정동 | 법정동 |
---|---|
강일동 | 강일동 |
상일제1동 | 상일동 |
상일제2동 | |
명일제1동 | 명일동 |
명일제2동 | |
고덕제1동 | 고덕동 |
고덕제2동 | |
암사제1동 | 암사동 |
암사제2동 | |
암사제3동 | |
천호제1동 | 천호동 |
천호제2동 | |
천호제3동 | |
성내제1동 | 성내동 |
성내제2동 | |
성내제3동 | |
길동 | 길동 |
둔촌제1동 | 둔촌동 |
둔촌제2동 |
5. 인구
wikitable
연도 | 총인구 | |
---|---|---|
1980년 | 511,279명 | |
1985년 | 885,919명 | |
1990년 | 532,305명 | |
1995년 | 487,012명 | |
2000년 | 473,572명 | |
2005년 | 444,258명 | |
2010년 | 462,500명 | |
2015년 | 444,385명 |
6. 교육
'''강동구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는 교육기관, 학생 및 학부모 모두가 이용/참여가 가능한 자기주도형 학습활동지원 및 진로·학습에 관한 상담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동시에 강동구 교육관련부서의 청사 기능이 있으며 서울특별시 강동구 구천면로 385에 위치하고 있다. 2010년 민선 5기 구청장의 공약사항이었으며 6월 30일 강동구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설립을 위한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10월 30일에는 자기주도학습 지원센터 설립조례를 제정했고 11월 30일에 센터를 개관했다.
강동구에는 특수목적고등학교인 한영외국어고등학교와 특수학교인 주몽학교를 포함하여 초등학교 25개교, 중학교 17개교, 고등학교 12개교가 있다.
강동구에는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가 있다.[18]
강동구에는 특수학교인 주몽학교와 한국구화학교가 있다.
6. 1. 고등학교
강동구에는 특수목적고등학교인 한영외국어고등학교와 특수학교인 주몽학교를 포함하여 초등학교 25개교, 중학교 17개교, 고등학교 12개교가 있다.[18]
6. 2. 대학교/대학원
강동구에는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가 있다.[18]6. 3. 특수학교
강동구에는 특수학교인 주몽학교와 한국구화학교가 있다.[18]6. 4. 도서관

강동구는 강남구, 용산구, 종로구와 함께 서울시 교육청 도서관이 두 곳 있는 자치구이다.
7. 교통
==== 철도 ====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은 광진구에서 천호역을 거쳐 '''강동역'''으로 이어진다. 강동역에서 길동역, 굽은다리역, 명일역, 고덕역, 상일동역, 강일역으로 이어진다. 하남선은 상일동역에서 강일역을 거쳐 경기도 하남시로 이어진다.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은 강동역에서 둔촌동역을 거쳐 송파구로 이어진다.
서울 지하철 8호선은 경기도 구리시에서 암사역을 지나 천호역과 강동구청역을 거쳐 송파구로 이어진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은 송파구에서 둔촌오륜역과 중앙보훈병원역을 지난다.
==== 도로 ====
서울양양고속도로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강일 나들목에서 교차하고, 세종포천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지난다. 상일 나들목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에 속해 있다.
대로급 도로는 올림픽대로, 강동대로, 조정대로, 천호대로, 양재대로가 있다.
로급 도로는 아리수로, 올림픽로, 구천면로, 고덕로, 상암로, 상일로, 성안로, 선사로, 성내로, 친환경로, 초광로, 천중로, 천뚜루로, 동남로, 풍산로, 풍성로, 명일로가 있다.
길급 도로에는 암사길, 천호예길 등이 있다.
7. 1. 철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은 광진구에서 천호역을 거쳐 '''강동역'''으로 이어진다. 강동역에서 길동역, 굽은다리역, 명일역, 고덕역, 상일동역, 강일역으로 이어진다. 하남선은 상일동역에서 강일역을 거쳐 경기도 하남시로 이어진다.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은 강동역에서 둔촌동역을 거쳐 송파구로 이어진다.서울 지하철 8호선은 경기도 구리시에서 암사역을 지나 천호역과 강동구청역을 거쳐 송파구로 이어진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은 송파구에서 둔촌오륜역과 중앙보훈병원역을 지난다.
7. 2. 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강일 나들목에서 교차하고, 세종포천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지난다. 상일 나들목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에 속해 있다.대로급 도로는 올림픽대로, 강동대로, 조정대로, 천호대로, 양재대로가 있다.
로급 도로는 아리수로, 올림픽로, 구천면로, 고덕로, 상암로, 상일로, 성안로, 선사로, 성내로, 친환경로, 초광로, 천중로, 천뚜루로, 동남로, 풍산로, 풍성로, 명일로가 있다.
길급 도로에는 암사길, 천호예길 등이 있다.
8. 문화와 관광 명소
강동구에서는 강동선사문화축제가 열린다.
=== 문화재 ===
서울 암사동 유적은 사적 제267호이다.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0호이다.
문희공 유창 묘역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6호이다.
=== 명소 ===
강동구에는 한강시민공원 광나루지구(천호, 암사), 한강 암사 둔치 생태공원(암사), 길동 생태공원(길동), 강동 허브천문공원(길동)이 있다. 또한, 강동그린웨이(강동), 일자산 자연공원(둔촌), 명일근린공원(명일), 샘물어린이공원(명일) 등도 강동구의 명소이다. 천호동에는 로데오거리 및 먹자골목이 형성되어 있으며, 강풀만화거리와 서원마을도 위치해 있다.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온조대왕 문화체육관, 대한예수교장로회 명성교회, 강동아트센터 등도 강동구에 있다.
암사동유적도 강동구의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
=== 쇼핑 ===
천호역에는 현대백화점 천호점, 2001 아울렛 천호점이, 고덕역에는 이마트 명일점과 주양쇼핑이, 굽은다리역에는 홈플러스 강동점이 위치해 있다. 천호역에는 이마트 천호점도 있다.
=== 극장 ===
롯데시네마 강동, 메가박스 강동, CGV 천호, 강동아트센터가 있다.
8. 1. 축제
강동구에서는 강동선사문화축제가 열린다.8. 2. 문화재
서울 암사동 유적은 사적 제267호이다.
광주 이씨 광릉부원군파 묘역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0호이다.
문희공 유창 묘역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6호이다.
8. 3. 명소
강동구에는 한강시민공원 광나루지구(천호, 암사), 한강 암사 둔치 생태공원(암사), 길동 생태공원(길동), 강동 허브천문공원(길동)이 있다. 또한, 강동그린웨이(강동), 일자산 자연공원(둔촌), 명일근린공원(명일), 샘물어린이공원(명일) 등도 강동구의 명소이다. 천호동에는 로데오거리 및 먹자골목이 형성되어 있으며, 강풀만화거리와 서원마을도 위치해 있다.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온조대왕 문화체육관, 대한예수교장로회 명성교회, 강동아트센터 등도 강동구에 있다.
암사동유적도 강동구의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
8. 4. 쇼핑
천호역에는 현대백화점 천호점, 2001 아울렛 천호점이, 고덕역에는 이마트 명일점과 주양쇼핑이, 굽은다리역에는 홈플러스 강동점이 위치해 있다. 천호역에는 이마트 천호점도 있다.8. 5. 극장
롯데시네마 강동, 메가박스 강동, CGV 천호, 강동아트센터가 있다.9. 자매 도시
'''국내'''
지역 | 도시 | 자매결연시기 |
---|---|---|
대한민국 | 1992년 10월 7일 | |
대한민국 | 2001년 2월 1일 | |
대한민국 | 1999년 11월 11일 | |
대한민국 | 1996년 3월 19일 | |
1996년 11월 23일 | ||
2012년 5월 18일 | ||
1996년 11월 22일 | ||
대한민국 | 1996년 3월 18일 | |
1994년 5월 16일 | ||
대한민국 | 1996년 2월 1일 | |
대한민국 | 2002년 9월 2일 | |
대한민국 | 2002년 9월 2일 | |
대한민국 | 1999년 3월 1일 | |
대한민국 | 2009년 4월 24일 |
'''국외'''
국가 | 도시 | 자매결연 시기 |
---|---|---|
몽골/Монгол улсmn | 송기노하이르한구 | 1999년 10월 17일 |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영어 | 켄트 | 1996년 11월 15일 |
스페인/Reino de Españaes | 2000년 8월 25일 | |
오스트레일리아/Commonwealth of Australia영어 | 윌로비 | 2011년 11월 10일 |
일본/日本일본어 | 1997년 7월 14일 | |
중국/中华人民共和国중국어 베이징 | 펑타이구 | 1995년 8월 29일 |
중국/中华人民共和国중국어 산둥성 | 2000년 11월 7일 | |
중국/中华人民共和国중국어 저장성 | 항저우시 | 2000년 5월 6일 |
중국/中华人民共和国중국어 허베이성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2001년 10월 16일 |
쿠바/República de Cubaes 아바나 | 2009년 10월 22일 | |
필리핀/Republika ng Pilipinastl 바탕가스주 | 로보 | 2000년 10월 21일 |
9. 1. 국내
지역 & 국가 | 도시 | 자매결연시기 | |
---|---|---|---|
대한민국 | 강원특별자치도 | 홍천군 | 1992년 10월 7일 |
경기도 | 이천시 | 2001년 2월 1일 | |
경상남도 | 거창군 | 1999년 11월 11일 | |
경상북도 | 경산시 | 1996년 3월 19일 | |
봉화군 | 1996년 11월 23일 | ||
상주시 | 2012년 5월 18일 | ||
영양군 | 1996년 11월 22일 | ||
전라남도 | 곡성군 | 1996년 3월 18일 | |
완도군 | 1994년 5월 16일 | ||
전북특별자치도 | 진안군 | 1996년 2월 1일 | |
충청남도 | 부여군 | 2002년 9월 2일 | |
청양군 | 2002년 9월 2일 | ||
충청북도 | 음성군 | 1999년 3월 1일 | |
진천군 | 2009년 4월 24일 |
9. 2. 국외
지역 & 국가 | 도시 | 자매결연시기 | |
---|---|---|---|
|25px]] 울란바토르 || align="center"|송기노하이르한구 || align="center"|1999년 10월 17일 | |||
|25px]] 워싱턴주 || align="center"|켄트 || align="center"|1996년 11월 15일 | |||
|25px]] 세고비아주 || align="center"| || align="center"|2000년 8월 25일 | |||
|25px]] 뉴사우스웨일스주 || align="center"|윌로비 || align="center"|2011년 11월 10일 | |||
|25px]] 도쿄도 || align="center"||25px]] 무사시노시 || align="center"|1997년 7월 14일 | |||
베이징 | 펑타이구 | 1995년 8월 29일 | |
산둥성 | align="center"| | 2000년 11월 7일 | |
저장성 | 항저우시 | 2000년 5월 6일 | |
허베이성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2001년 10월 16일 | |
아바나 | align="center"| | 2009년 10월 22일 | |
바탕가스주 | 로보 | 2000년 10월 21일 |
참조
[1]
settlement
[2]
뉴스
Ssangyong E&C overcomes insolvency crisis...workout to begin on 4th of next month
https://n.news.naver[...]
2023-02-27
[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4]
웹인용
2023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웹인용
2023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간행물
대통령령 제9630호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1979-09-26
[7]
기타
[8]
조례
서울시 조례 제1413호
[9]
조례
서울시 조례 제2015호
[10]
간행물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1]
조례
강동구 조례 제59호
[12]
조례
강동구 조례 제163호
[13]
조례
강동구 조례 제483호
[14]
조례
강동구 조례 제716호
[15]
조례
강동구 조례 제744호
[16]
조례
강동구 조례 제763호
[17]
서적
제28회 강동통계연보
강동구청
2013
[18]
웹사이트
http://www.igse.ac.k[...]
[1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slib.or.[...]
2011-02-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강동구 ‘모듈러 교실’ 설치해 과밀학급 해소[서울25]
강동구, 서울 자치구 최초 ‘공인날인기록관리 시스템’ 도입[서울25]
서울 아파트값 30주 연속 올라…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2주째 ‘스톱’
강동구, 개명신청 행정처리 하루만에 끝낸다[서울25]
강남 재건축 상가마저 텅텅…‘미분양 늪’ 단지내 상가를 어찌할꼬
서울시, '모아타운' 대상지 6곳 도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오락가락 서울 집값…한주만에 상승폭 줄어 다시 ‘관망세’
일주일만에 다시 관망세 서울 집값 상승폭 줄었다
6·27대책 여파 지속…서울·경기 아파트값 상승폭 다시 둔화
혼조세 보이는 서울 집값...커진 상승폭 다시 줄었다
정부 규제에도 아랑곳 않네...강남·용산·양천구 집값은 왜 상승 반전 중인가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
[8/11, MK추천매물] 동탄신도시 9%대 대형 치과 14억8천만원 등
고강도 대출규제 약발 벌써 끝?…다시 꿈틀대는 강남, 마·용·성
서울·경기 아파트값 ‘6·27 대책’ 6주 만에 상승세 다시 커져
6·27대책 두달 안 됐는데…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다시 커져
29억 아파트 맞나? 친구 초대하기 겁난다…벽면 크랙 이어 악취까지
집주인 “내줄 보증금 없어 내가 들어간다”…전세 물량 말라가며 가격 꿈틀
강동구 먹자상권 입지 상업시설 ‘강동역 SK 리더스뷰 아트리움’ 공급
“그냥 중개인 빼고 진행하시죠”...서울 아파트, 대출규제후 ‘직거래’ 늘었다는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