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인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인제군은 강원특별자치도 중앙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에는 저족현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에 인제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유배지로 사용되기도 했다. 1895년 춘천부에 편입되었다가 강원도로 이관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행정 기능을 회복했다. 현재 인제군은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넓은 면적과 낮은 인구 밀도를 보인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임업이며, 야외 활동을 위한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제군의 행정 구역 - 인제읍
    인제읍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의 중앙에 위치하며, 현내면, 군내면, 인제면을 거쳐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38선 분단의 아픔을 겪었으며 현재 11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인제군 - 오세암
    오세암은 시각 장애인 누이와 어린 동생이 절에서 겪는 신비로운 이야기인 설화를 바탕으로 한 암자의 이름이자, 동화 및 영화 작품의 제목이다.
  • 인제군 - 한계령
    한계령은 설악산 국립공원을 지나가는 빼어난 자연경관으로 유명하며, 과거 영동과 영서 지방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이자 현재는 관광 명소로 널리 알려진 한국의 주요 고개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군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군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인제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인제대학교 역
인제대학교 역
대한민국 내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일반 정보
공식 명칭인제군
한자 표기}}
로마자 표기Inje-gun
맥큔-라이샤워 표기Inje-gun
면적1646.33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31,644명
인구 밀도21명/km²
행정 구역1읍 5면
인제군 휘장
인제군 기
지리
위치강원특별자치도
방언강원 방언
상징
군목주목
군화진달래
군조비둘기
행정
군수최상기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양수 (국민의힘,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군청 소재지인제읍 인제로187번길 8 (상동리 349-6)
웹사이트
홈페이지인제군청 홈페이지

2. 역사

고구려 때 저족현(猪足縣, 오사회, 烏斯回)이라 불렸던 인제군은 고려 시대에 인제(麟蹄)로 개칭되어 춘천에 귀속되었다가 후에 회양에 예속되었다. 고려 공양왕 원년(1389년)에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고,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는 현감을 두었다. 과거 이 지역은 유배지였는데, 원통 일대가 주요 유배지였다.[2]

2. 1. 고대 ~ 조선

고구려 때 저족현(猪足縣, 오사회, 烏斯回)이라 불렸고, 고려 때 인제(麟蹄)로 이름을 바꾸어 춘천에 속했다가 പിന്നീട് 회양에 속했다. 고려 공양왕 원년(1389년)에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고,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는 현감을 두었다. 과거 이 지역은 유배지였는데, 원통 일대가 주요 유배지였다.[2]

삼국사기에는 이미 고려 시대에 인제현(麟蹄縣)과 서화현(瑞和縣)이라는 이름이 나타난다. 1415년에는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아래에 인제현과 서화현이 설치되었고, 1424년에는 서화현이 인제현에 합쳐졌다.

2. 2. 일제강점기


  • 1914년 4월 1일 : 군면 통폐합으로 군내면, 내면, 남면, 북면, 서화면, 기린면의 6개 면이 설치되었다.[31]
  • 1917년 : 군내면이 인제면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1945년 9월 2일 : 38선을 경계로 한반도가 분할 점령되면서, 내면 전부, 남면 대부분, 인제면·기린면 일부를 제외한 인제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이 되었다.
  • 1945년 9월 16일 : 인제군 중 미군정 관할 지역이 홍천군에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인제군 남면 부평리, 어론리, 김부리, 정자리, 갑둔리, 신풍리, 남전리의 일부홍천군 신남면
인제군 기린면 현리, 서리, 방동리, 상남리, 하남리, 진동리의 일부, 북리의 일부
인제군 인제면 원대리의 일부
인제군 내면홍천군 내면


2. 3. 광복과 분단, 한국 전쟁


  • 1945년 9월 2일: 미국소련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인제군은 둘로 나뉘었다. 내면 전부, 남면 대부분, 그리고 인제면과 기린면 일부를 제외한 인제군 지역은 소련군정 관할이 되었다.
  • 1945년 9월 16일: 미군정 관할 아래 있던 인제군 지역은 홍천군에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인제군 남면 부평리, 어론리, 김부리, 정자리, 갑둔리, 신풍리, 남전리의 일부홍천군 신남면(新南面)
인제군 기린면 현리, 서리, 방동리, 상남리, 하남리, 진동리의 일부, 북리의 일부
인제군 인제면 원대리의 일부
인제군 내면홍천군 내면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신 행정구역
인제군 인제면, 북면, 서화면, 남면, 기린면, 해안면(양구군에서 편입)



38교

  • 1951년 4월 대한민국 육군 제5보병사단은 작전명 러기드에서 유엔군이 38선 북쪽의 "캔자스선"으로 진격하면서 인제읍을 탈환했다.[4]
  • 1951년 4월 말 인제읍은 중공군의 제5차 공세에서 다시 중공군에게 점령당했으며, 유엔군의 1951년 5~6월 반격에서 다시 탈환되었다.[4]
  • 1951년에는 미국 해병대의 제1의무대대가 인제읍에서 야전 병원을 운영했다.
  • 제40보병사단은 1952년 2월부터 제24보병사단으로부터 "캔자스선" 방어 책임을 인계받았으며, 대한민국 육군 제3보병사단이 이를 지원했다.

2. 4. 대한민국

고구려 때 저족현(猪足縣, 오사회)이라 불렸던 인제군은 고려 시대에 인제로 개칭되어 춘천에 귀속되었다가 후에 회양에 예속되었다. 고려 공양왕 원년(1389년)에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고,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는 현감을 두었다. 과거 이 지역은 유배지였는데, 원통 일대가 주요 유배지였다.[2]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인제군으로 개편되었다.[29]
  • 1896년 8월 4일: 상위 행정기관인 춘천부가 강릉부와 합쳐지면서 강원도 소속이 되었다.[30]
  • 1906년: 춘천군 기린면을 편입하였다.
  • 1914년 4월 1일: 6면으로 개편하였다.[31] (군내면, 내면, 남면, 북면, 서화면, 기린면)
  • 1917년: 군내면을 인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45년 9월 2일: 38선을 경계로 한반도가 분할 점령되면서, 내면 전부, 남면 대부분과 인제면·기린면의 일부를 제외한 인제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 1945년 9월 16일: 인제군의 미군정 관할 지역이 홍천군에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인제군 남면 부평리, 어론리, 김부리, 정자리, 갑둔리, 신풍리, 남전리의 일부홍천군 신남면(新南面)
인제군 기린면 현리, 서리, 방동리, 상남리, 하남리, 진동리의 일부, 북리의 일부
인제군 인제면 원대리의 일부
인제군 내면홍천군 내면


신 행정구역
인제군 인제면, 북면, 서화면, 남면, 기린면, 해안면(양구군에서 편입)

3. 지리

인제군은 강원특별자치도 중앙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태백산맥향로봉, 설악산, 오대산 등이 솟아 있고, 서쪽으로는 대암산 줄기가 남북으로 뻗어 있다. 남쪽은 홍천군, 서쪽은 춘천시양구군(광치령), 동쪽은 속초시(미시령), 고성군(진부령), 양양군(한계령)과 접해 있다. 북쪽 서화면 일부는 휴전선에 접해 민통선이 설정되어 있다.

대한민국 기초 자치 단체 가운데 홍천군 다음으로 넓고, 인구밀도는 가장 낮다. 영서 지역에 속하지만 영서와 영동을 잇는 지점이라 통행이 불가피하다.

인제군은 북부 지역 소양강 유역에 위치해 춘천과 생활권을 공유했으며, 영서 방언을 사용한다.[6] 소양강댐 건설로 길이 막혔고, 44번 국도 확장이 홍천-인제-속초 간 교류를 이끌었다. 확장된 홍천-인제-속초는 동서울 생활권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강원도 전방 지역과 마찬가지로 겨울에는 매우 춥다. 연평균 기온은 10.1°C이고, 1월 평균 기온은 -5.2°C, 8월 평균 기온은 23.3°C이며, 1981년 1월 역대 최저 기온은 -25.9°C, 2018년 8월 역대 최고 기온은 37.7°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210mm이다. 설악산 경계에 위치하며,[7] 2021년 1월 8일 향로봉에서 -29.1°C가 비공식적으로 기록되어 전국에서 가장 추운 곳이 되었다.

3. 1. 지형

강원특별자치도 중앙부에 위치하며 동쪽 태백산맥에는 향로봉(1,298m), 설악산(1,708m), 오대산(1,568) 등이 솟아 있고, 서쪽은 대암산 줄기가 남북으로 뻗어 있다. 하천은 북한강의 지류 소양강이 주류가 되어 남류하다가 인제 부근에서 내린천 등 지류와 합류한다. 연안에는 약간의 범람원과 작은 선상지가 발달했으며, 그 중 서화분지가 비교적 크다.[1]

인제군은 태백산맥에 위치해 있으며 식물이 주를 이루는 경관을 가지고 있다. 많은 종들이 산뿐만 아니라 강을 포함한 군의 여러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1]

강을 따라 좁은 평지에 취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린천, 서화, 원통 지역을 관통하는 인북천이 인제읍에서 만나 소양호로 흘러든다.[1]

3. 2. 기후

인제군은 내륙 산간지이기 때문에 여름과 겨울의 기온 교차가 심하고, 낮과 밤의 기온 차이도 큰 내륙 고원 기후를 보인다. 강수량은 여름에 집중적으로 많으며,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연평균 기온은 10.4℃, 1월 평균 기온은 -4.7℃, 8월 평균 기온은 23.4℃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42년 7월에 기록된 39℃이고, 역대 최저 기온은 1927년 1월에 기록된 -30℃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205mm이다.[39][40]

인제군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이 오는 여름을 보이는 몬순 기후(쾨펜: Dwa)의 영향을 받는다. 2018년 8월 1일에는 역대 최고 기온인 37.7℃가 기록되었으며, 1981년 1월 6일에는 역대 최저 기온인 -25.9℃가 기록되었다.[6][7][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1.54.710.517.823.227.028.228.824.719.111.03.516.7
평균 기온 (℃)-4.7-1.84.010.616.120.423.323.418.411.84.8-2.110.4
평균 최저 기온 (℃)-10.4-7.7-1.93.89.615.119.619.714.06.4-0.4-7.35.0
강수량 (mm)16.622.832.169.892.6116.8332.4287.6127.444.840.920.81204.6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5.95.77.88.79.410.315.214.08.95.87.55.9105.1
평균 상대 습도 (%)65.061.158.456.463.769.778.579.076.872.969.067.368.2
일조 시간158.8158.3187.5199.4215.6199.2144.9159.7165.0166.9136.1147.12038.5


3. 3. 지질

인제군은 경기 지괴 북동부에 위치해 있어, 주요 암석인 고원생대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중생대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부의 설악산 지역은 중생대화강암이 더 많이 분포한다.[41][42][43]

소양강-북천(또는 인제 단층) 북서부에 해당하는 지역에는 고원생대의 (경기변성암복합체) 흑운모편마암(PRbgn)과 화강편마암(PRggn), 석영운모편암(PRqms), 경기변성암복합체 석류석화강편마암(PRgtgn), 미그마타이트질 흑운모편마암(PRmbgn), 석영편암(PRqsch) 등 편마암·편암 계열의 암석이 주로 분포한다.[28][44]

중생대 화강암은 동부 설악산 지역에 대규모로 분포한다. 중생대의 퇴적암은 백담분지에만 분포한다.

4. 행정 구역

인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으로, 면적은 1646.33km2이다. 이는 전국의 1.7%, 강원특별자치도의 9.9%에 해당한다. 전체 면적의 90% 이상이 임야이며, 해발 800m 이상의 준령이 20여 개 있다. 인구는 3만 3천여 명(한때 6만 명대도 기록)으로 면적에 비해 인구 밀도가 낮으나, 귀농 인구와 전원생활을 위한 도시 인구 전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전체 인구의 29.5%가 인제읍에 거주한다.[45] 성비는 119로, 고성군(115)보다 높고 화천군(127)보다 낮으며, 강원도에서 두 번째로 성비가 높다.

읍·면한자인구세대면적()
인제읍麟蹄邑9,2974,066315.24
인제읍 귀둔출장소547240(인제읍에 포함)
남면南面3,8671,720243.24
북면北面8,2743,675349.06
기린면麒麟面5,1622,214275.09
서화면瑞和面3,3711,607265.37
상남면上南面1,649781197.54
인제군麟蹄郡33,35215,6081,645.54



인제군은 1개의 읍과 5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법정리
인제읍가리산리, 가아리, 고사리, 귀둔리, 남북리, 덕산리, 덕적리, 상동리, 원대리, 하추리, 합강리
남면갑둔리, 소치리, 관대리, 남전리, 부평리, 상수내리, 하수내리, 수산리, 신남리, 신월리, 신풍리, 어론리, 정자리
북면용대리, 원통리, 월학리, 한계리
서화면가전리, 서화리, 서흥리, 서희리, 심적리, 장승리, 천도리
기린면방동리, 북리, 서리, 진동리, 현리
상남면금부리, 미산리, 상남리, 하남리



서화면에는 군사 분계선에 접한 무인의 리가 존재한다.

5. 인구

인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1,646.33km2이다. 이는 전국의 1.7%, 강원도의 9.9%에 해당한다. 전체 면적의 90% 이상이 임야이며, 해발 8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20여 개 있다. 인구는 3만 3천여 명(한때 6만 명 대도 기록)으로 면적에 비해 인구 밀도가 낮지만, 귀농 인구와 전원생활을 위한 도시 인구의 전입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전체 인구의 29.5%가 인제읍에 거주한다.[45] 성비는 119로, 고성군(115)보다는 높고 화천군(127)보다 낮으며, 강원도에서 두 번째로 성비가 높다.

인제군 읍면별 인구 현황
읍면한자인구세대면적(km2)
인제읍麟蹄邑9,2974,066315.24
인제읍 귀둔출장소547240(인제읍에 포함)
남면南面3,8671,720243.24
북면北面8,2743,675349.06
기린면麒麟面5,1622,214275.09
서화면瑞和面3,3711,607265.37
상남면上南面1,649781197.54
인제군麟蹄郡33,35215,6081,645.54


6. 산업

인제군의 농경지는 하천 범람원, 산록부, 선상지, 분지 등에 분포하며 밭이 많다. 잡곡과 감자가 많이 생산되며, 양봉은 전국 1위로 밀원지대를 이루고 있다. 넓은 임야 면적과 좋은 임상 덕분에 용재와 신탄 생산량이 많아 남한 제1의 임업 지역이다. 그 밖에도 버섯, 산나물, 인삼, 당귀, 복령, 사향, 웅담 등 한약재도 많이 난다. 주민의 5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6. 1. 특산물

인제군의 농경지는 하천 범람원, 산록부, 선상지, 분지 등에 분포하며 밭이 많은 편이다. 잡곡과 감자가 많이 생산되며, 양봉은 전국 1위로 밀원지대를 이루고 있다. 넓은 임야 면적과 좋은 임상 덕분에 용재와 신탄 생산량이 많아 남한 최대 임업 지역이다. 그 밖에도 버섯, 산나물, 인삼, 당귀, 복령, 사향, 웅담 등 한약재도 많이 생산된다. 주민의 5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며, 주요 농산물로는 고랭지 채소인 배추와 무, 쌀, 잡곡, 감자, 누에고치, 소, 꿀 등이 있다. 총 임야 면적 159452ha 중 대부분이 임목지이다.

인진쑥, 치커리, 빙어, 황태, 석공예, 목공예 등이 유명하다.

7. 문화·관광

인제군은 야외 활동을 위한 관광지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번지 점프대가 있으며,[11] 인제 스피디움 리조트 서킷을 유치하고 있다.[12] 추운 기후로 인해 인제와 강원도 지역에서 얼음낚시 축제가 자주 열리는데, 인제의 얼음낚시는 겨울철 주요 명소 중 하나로 평일에는 6,000명, 주말에는 10,000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한다.[13]

7. 1. 관광지


  • '''밀리터리파크''' : 2009년 5월에 인제읍 초입에 생긴 밀리터리파크에서는 업그레이드된 서바이벌게임을 할 수 있다. 이곳에 설치된 "서든어택 얼라이브" 경기장에서는 실제 시가전과 같은 게임이 벌어진다.[46]
  • '''인제스피디움''' : 대한민국 최초의 자동차 테마 파크이자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1994년), 태백레이싱파크(2003년),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2010년)에 이은 네번째 공인 자동차 경주장이다. 2013년 5월 25일에 개장했으며, 공사비는 1526억이다. 총 길이 3.908km의 서킷과 부대 시설을 포함한 자동차 경기장, 모터스포츠 체험시설, 호텔과 콘도 등 숙박시설을 갖추고 있다.[12]
  • '''원대리 자작나무숲''' : ‘원대리 산 75-22번지’에 있다. 원대리 산림감시초소에서 시작하면 되며, 초소에서 방명록을 작성한 뒤 약 3.5km의 임도를 따라 올라간다.
  • '''갑둔리 오층석탑''' : 1993년 6월 3일 강원도문화재자료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 '''백담사''' : 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며, 만해 한용운, 춘성 등이 수행하던 곳이고 제6공화국 성립 이후 전두환과 부인 이순자의 은둔 등으로 유명한 곳이다.

백담사 경내의 만해기념관

  • '''한계사지''' : 강원도 기념물 제50호이다. 신라 제28대 진덕여왕 원년(647)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였으나 수차에 걸쳐 큰 화재를 입어 북면 용대리 지금의 백담사로 자리를 옮겨가고 남은 터가 한계사지이다.
  • '''내린천 계곡''' : 강원도의 깊숙한 골짜기를 가로지르는, 그 길이가 무려 70km에 이르는 긴 물줄기이다. 이러한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제에서 31번 국도를 따라 상남까지 이어지는 약 52km의 구간이 최근 들어 래프팅의 명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47]
  • '''곰배령''' : 점봉산(1424m) 정상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는 능선에 자리한 곰배령(1164m)은 ‘천상의 화원’이라 불리는 야생화 천국이다. 점봉산 전체가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생물권보존지역이라 입산이 금지되지만, 강선계곡부터 곰배령까지 약 5km에 생태 탐방 구간이 조성되어 귀하고 아름다운 야생화를 만날 수 있다.
  • '''방동약수''' : 사이다와 같은 탄산수 계열의 약수로 기린면 방동리에 있다. 탄산 이외에도 철, 망간, 불소가 들어 있어서 위장병에 특효가 있고 소화증진에도 좋다고 한다.[48]
  • '''대암산 용늪''' : 람사르 협약 등록 습지 (대한민국의 람사르 등록 습지 목록 참조)
  • '''인제 빙어 축제'''

7. 2. 축제


  • 인제빙어축제 (매년 1월 말)
  • 방태산 고로쇠 축제 (매년 3월)
  • 인제황태축제 (매년 5월)
  • 인제바퀴축제 (매년 7월)
  • 합강문화제 (매년 10월)
  • 용대리 마가목 축제 (매년 10월)


추운 기후로 인해, 인제와 더 넓은 강원도 지역에서 많은 얼음낚시 축제가 자주 열린다. 하지만 인제의 얼음낚시는 겨울철 주요 명소 중 하나로, 평일에는 6,000명, 주말에는 10,000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한다.[13]

8. 교통

도로를 통해 홍천군, 춘천시, 양구군, 간성읍, 속초시, 양양군 등지와 연결된다. 홍천~인제~양양 간 국도의 포장 공사가 1980년에 완공되었고,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제 나들목이 개통되면서 고속도로를 이용해 서울특별시, 춘천시, 양양군과의 통행이 한층 더 가까워졌다. 동해안과는 진부령, 미시령, 한계령을 넘어 연결된다. 현재는 철도가 없으나, 향후 춘천-속초선이 개통되면 북면 원통리와 용대리에 역사가 들어설 예정이다.

9. 교육

10. 출신 인물


  • 박인환 - 시인, 1926년 출생.
  • 김국진 - 방송인, 1965년 출생.

11. 행정

인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이며, 면적은 1646.33km2로 전국의 1.7%, 강원도의 9.9%이다. 전체 면적의 90% 이상이 임야로 구성되며, 해발 800m 이상의 준령이 20여 개 있다. 인구는 3만 3천여 명(한때 6만 명대를 기록하기도 함)으로 면적에 비해 인구 밀도가 낮으나, 귀농 인구와 전원생활을 위한 도시 인구 전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전체 인구의 29.5%가 인제읍에 거주한다.[45] 성비는 119로, 고성군(115)보다는 높고 화천군(127)보다 낮으며, 강원도에서 두 번째로 성비가 높다.

읍·면한자인구세대면적(km²)
인제읍麟蹄邑9,2974,066315.24km2
인제읍 귀둔출장소547240
남면南面3,8671,720243.24km2
북면北面8,2743,675349.06km2
기린면麒麟面5,1622,214275.09km2
서화면瑞和面3,3711,607265.37km2
상남면上南面1,649781197.54km2
인제군麟蹄郡33,35215,6081645.54km2



인제군 행정구역도

12.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문서 Official page
[3] 서적 Everyday Life in the North Korean Revolu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
[4] 서적 United States Army in the Korean War: Ebb and Flow November 1950-July 1951 https://history.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5] 문서 Inje Official website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9] 문서 Official page concerning Tour
[10] 문서 Daecheongbong peak is in the very winter (대청봉은 한겨울) 2007-11-16
[11] 웹사이트 Bungee Jumping: Korea https://www.ascendia[...] 2020-02-20
[12] 웹사이트 Inje Speedium Resort Circuit (인제스피디움리조트 서킷) http://english.visit[...] 2020-02-20
[13] 뉴스 겨울의 절정...얼음 낚시 릴레이 http://www.ytn.co.kr[...] 2008-01-26
[1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5]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6]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8] 법률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19] 법률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린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림시조치법 1962-11-21
[20]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21]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2]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 및 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3] 법률 麟蹄郡条例第2345号 2017-03-22
[24] 뉴스 인제군 갑둔리 → 소치리 변경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7-02-27
[25]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인제(21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26]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인제(21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2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8] 문서 소양강에 가로 막혀서 바로 갈수 없다. 이로 인해 이동할려면 양구군이나 홍천읍내를 경유해야 한다.
[29]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30]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32] 법률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33] 법률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린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림시조치법 1962-11-21
[34]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73-03-12
[35]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36]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37] 조례 인제군조례 제2345호 2017-03-22
[38] 뉴스 인제군 갑둔리 → 소치리 변경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7-02-27
[39]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인제(21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40]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인제(21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41] 웹사이트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2] 웹사이트 인제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12
[43] 웹사이트 설악산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12
[44] 웹사이트 만대리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12
[45] 웹사이트 인제군 행정구역 http://www.Linje.go.[...] 2012-02-14
[46] 뉴스 [레츠고, 레포츠] 아줌마들도 총을 들었다, 짜릿한 시가전의 매력 http://life.joins.co[...] 중앙일보사 2009-06-11
[47] 웹사이트 관광명소 안내-내린천 계곡 http://www.inje.go.k[...] 2012-04-14
[48] 웹사이트 인제관광-방동약수 http://www.Linje.go.[...] 2012-04-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