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천시 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시 갑은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8년 구제 실시로 인천시 동구·중구 선거구로 개편되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63년 인천시 병 선거구의 일부 지역을 편입하기도 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용설, 김재곤, 류승원, 김정렬 등이 있으며, 특히 김재곤은 3선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인천시 을
    인천시 을은 1950년 신설되어 1968년 구제 실시로 남구와 북구가 설치됨에 따라 1971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로, 곽상훈과 김은하가 이 곳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다.
  • 인천광역시의 정치 - 인천광역시의회
    인천광역시의회는 인천광역시의 입법, 예산 심의, 행정 감시 역할을 수행하며, 의장 1명, 부의장 2명, 상임위원회 6개, 특별위원회 2개로 구성되고 사무처를 산하에 둔다.
  • 인천광역시의 정치 - 인천시 을
    인천시 을은 1950년 신설되어 1968년 구제 실시로 남구와 북구가 설치됨에 따라 1971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로, 곽상훈과 김은하가 이 곳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인천시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인천시 갑
의회국회
큰 지도경기도
연도1950
폐지1971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인천부 갑
인천시 병(1963년 일부 편입)
이후 선거구인천시 동구·중구
의원수1인

2. 역사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지역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병 선거구 중 일부 지역을 편입했다. 1968년 인천시에 구제가 실시되면서 중구와 동구가 설치되었고, 이에 따라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천시 동구·중구 선거구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인천시 갑 지역구는 초기에는 무소속 후보가 강세를 보였다.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이용설 후보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김재곤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김재곤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며 민주당 계열 정당이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민주공화당신민당 후보가 경쟁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류승원 후보가,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김정렬 후보가 당선되었다.

4. 1.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용설 후보가 29.9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용설무소속9,03229.96%
표양문무소속8,57828.45%
함효영대한독립촉성국민회7,19323.86%
정해관무소속5,34117.71%
합계30,144100%


4. 2.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재곤무소속13,59637.23%
이종현조선민주당13,52137.03%
성효영무소속5,66615.51%
김장원무소속1,5994.37%
이홍식무소속1,2403.39%
이우관무소속8882.43%
합계36,510100%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인천시 갑 선거구는 무소속 김재곤 후보가 37.2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조선민주당 이종현 후보는 근소한 차이로 낙선했다.

4. 3.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재곤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재곤민주당21,90551.94%
신태범자유당11,85028.10%
김은하무소속6,35815.07%
강위정무소속2,0574.87%
합계42,170100%


4. 4.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재곤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재곤민주당21,95547.47
김은하무소속9,29920.10
송병무무소속3,8138.24
김유택무소속3,7468.10
한도연무소속3,6267.84
허이복민주당2,3135.00
김광석민주당1,4943.23
합계46,246100


4. 5.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류승원민주공화당24,94834.69
김재곤민주당196323,31232.41
송병무민정당19,19526.69
양재범보수당1,7662.45
김일성한국독립당1,1681.62
이민국민의당19631,1181.55
양기환신민회4040.56
합계71,911100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류승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4. 6.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김정렬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정렬신민당41,17846.45
류승원민주공화당40,28545.45
김재곤민주당19675,3005.97
김일성한국독립당9101.02
오규환자유당5750.64
김예호자민당3840.43
합계88,632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