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항만공사는 급변하는 국제 물류 환경에 대응하고 항만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05년 7월 11일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만 공사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의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며, 2000년대 초 항만공사제 도입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인천국제여객터미널, 인천신국제여객터미널 등이 있으며, 내항, 남항, 인천신항 등으로 구성된 인천항을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 조직은 3본부 1단 20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고, 주무 부처는 해양수산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만공사 - 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 1월 16일 설립된 해양수산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으로, 항만 시설 관리 운영 및 부산항 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컨테이너 부두 등을 관리한다. - 항만공사 - 경기평택항만공사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평택항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경기도 지방공기업으로, 시설 관리, 물류 시스템 구축, 활성화 사업 개발, 배후단지 개발, 위탁 사업 등을 수행하며 평택항을 무역항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공사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공사 -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는 도시가스 제조 및 공급, 천연가스 개발, 수송, 수출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 공기업이며, 1983년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공급망 구축,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수행하고, 1999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 2007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 공공기관 (해양수산부 소관) - 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 1월 16일 설립된 해양수산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으로, 항만 시설 관리 운영 및 부산항 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컨테이너 부두 등을 관리한다. - 공공기관 (해양수산부 소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1973년 설립되어 2012년 현재 명칭으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해양과학기술 연구기관으로, 부산에 본원을 두고 여러 연구소를 운영하며 해양 관련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인천항만공사 |
원어 | Incheon Port Authority |
형태 | 준시장형 공기업 |
![]() | |
창립 | 2005년 7월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 인천광역시 연수구 센트럴로 236 IBS타워 31 ~ 35층 |
인물 | 이경규 (CEO) |
산업 | 서비스 |
서비스 | 인천항 개발, 관리, 운영 |
재무 정보 (2012년 기준) | |
자본금 | 2조 676억 원 |
매출액 | 861억 4693만 원 |
자산 총액 | 2조 5497억 원 |
조직 정보 | |
주주 | 한국 정부 |
모기업 | 해당사항 없음 |
자회사 | 인천항만보안 주식회사 |
종업원 | 187명 |
웹사이트 | 인천항만공사 IPA |
2. 출범 배경
2000년대 초, 대한민국 정부는 급변하는 국제 물류 환경과 동북아시아 항만 간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항만공사제 도입을 추진했다. 2004년 1월 부산항에서 출범한 부산항만공사에 이어 한국에 두 번째로 인천항에 도입되는 '항만공사제'는 정부나 지방 정부 등 정부 기관이 주도하던 항만의 개발 및 운영을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공사(公社)가 맡는 시스템을 말한다.[1]
물류 선진국들이 1990년대 이후 항만의 서비스 제고와 운영 효율화를 위해 항만공사나 민간 기업으로 전환하는 추세였고, 인천항의 경우 기존 정부 관리 체제로는 성장하고 있는 중국 북쪽 항만들과의 경쟁이 어렵다는 분석으로 인해 항만공사제 도입이 추진되었다.[1]
2. 1. 항만공사제 도입
2. 2. 도입 목적과 기대 효과
항만공사제 도입은 항만 운영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기존 중앙 정부 관리 체제에서는 공무원 순환 보직으로 전문성 확보가 어려웠으나, 항만공사 설립으로 국제 전문 인력 및 경영 전문가 채용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외국 주요 선주, 화주와의 네트워크 구축 등 경쟁력 강화가 기대되었다. 인천항만공사가 정상화되면 풍부한 인프라를 갖춘 북중국 항만들과 경쟁에서 물동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3. 연혁
3. 1. 2000년대
2003년 5월 항만공사법(법률 제06918호)이 제정되고, 11월에는 항만공사법 시행령(대통령령 제18147호)이 제정되었다. 2005년 7월 11일 인천항만공사가 설립되었다. 2007년 4월에는 항만공사법 개정을 통해 사업 범위가 확대되었고, 2008년 8월에는 인천항 부두관리운영공사를 흡수 통합하였다. 2009년 6월 항만공사법 개정으로 항만 시설 관리권 출자 근거가 마련되었다.3. 2. 2010년대
2011년 8월 김춘선 사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12월,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1,998천 TEU를 기록하며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2012년에는 GWP가 선정한 '대한민국에서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에 2년 연속 선정되었다.3. 3. 2020년대
인천항만공사는 새로운 업무 환경을 위해 2020년 11월 송도 IBS타워로 사옥을 이전했다.4. 운영 시설
인천항 내에 인천국제여객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6,705억 원의 예산을 들여 2019년 6월 준공한 인천신국제여객터미널은 12월 개장을 앞두고 있다.[2][3][4] 2층은 입국장, 4층은 출국장과 면세점으로 구성된다. 5층은 이벤트홀로 행사장, 웨딩홀 등의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902대의 주차 공간을 갖추고 있다. 선정된 새로운 여객터미널의 운영사는 신국제여객터미널 인근 배후부지 22만 5,991m2를 맡아 인천과 중국을 운항하는 카페리의 화물 처리를 맡게 된다.[2][3][4] 이는 대한민국과 중국 간 해상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항은 내항, 남항, 인천신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항은 2~8부두에서 부두운영회사제(TOC)가 시행 중이다. 1부두는 공영부두로 11개 선석 규모를 갖추고 있다. 2부두는 우련, 동방이 운영하며, 3부두는 한진, 동부, 세방이 운영하고, 두 부두 모두 11개 선석 규모이다. 4부두는 한진과 대한통운이, 5부두는 선광과 대한통운이 운영하며 각각 5개, 4개 선석 규모이다. 6부두는 동화실업이 6개 선석 규모로 운영한다. 7부두는 대한 5,000톤 급(1) LPG, 유류를 취급하며, GS칼텍스 정유 V는 40,000톤 급(1) LPG, 유류, 대한항공 돌핀은 50,000톤 급(1) 유류 동시 접안 능력을 갖추고 있다.
남항은 컨테이너 전용 부두로, ICT(1단계)는 40,000톤 급 1척, ICT(2단계)는 40,000톤 급 2척의 동시 접안 능력을 갖추고 있다. 선광부두는 18,000톤 급 2척, 대한통운은 5,000톤 급 2척, 영진부두는 10,000톤 급 1척, E1부두는 30,000톤 급 1척의 동시 접안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2009년까지 컨테이너 전용 3선석이 건설되었다.
인천신항은 건설 중이다.
4. 1. 인천항 여객 터미널
6,705억 원의 예산을 들여 2019년 6월 준공한 인천신국제여객터미널은 12월 개장을 앞두고 있다.[2][3][4] 2층은 입국장, 4층은 출국장과 면세점으로 구성된다. 5층은 이벤트홀로 행사장, 웨딩홀 등의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902대의 주차 공간을 갖추고 있다. 선정된 새로운 여객터미널의 운영사는 신국제여객터미널 인근 배후부지 22만 5,991m2를 맡아 인천과 중국을 운항하는 카페리의 화물 처리를 맡게 된다.[2][3][4] 이는 대한민국과 중국 간 해상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4. 1. 1. 인천신국제여객터미널
6,705억 원의 예산을 들여 2019년 6월 준공한 인천신국제여객터미널은 12월 개장을 앞두고 있다.[2][3][4] 2층은 입국장, 4층은 출국장과 면세점으로 구성된다. 5층은 이벤트홀로 행사장, 웨딩홀 등의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902대의 주차 공간을 갖추고 있다. 선정된 새로운 여객터미널의 운영사는 신국제여객터미널 인근 배후부지 22만 5,991m2를 맡아 인천과 중국을 운항하는 카페리의 화물 처리를 맡게 된다.[2][3][4] 이는 대한민국과 중국 간 해상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4. 2. 인천항 관리 운영 현황
인천항은 내항, 남항, 인천신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항은 2~8부두에서 부두운영회사제(TOC)가 시행 중이다. 1부두는 공영부두로 11개 선석 규모를 갖추고 있다. 2부두는 우련, 동방이 운영하며, 3부두는 한진, 동부, 세방이 운영하고, 두 부두 모두 11개 선석 규모이다. 4부두는 한진과 대한통운이, 5부두는 선광과 대한통운이 운영하며 각각 5개, 4개 선석 규모이다. 6부두는 동화실업이 6개 선석 규모로 운영한다. 7부두는 대한 5,000톤 급(1) LPG, 유류를 취급하며, GS칼텍스 정유 V는 40,000톤 급(1) LPG, 유류, 대한항공 돌핀은 50,000톤 급(1) 유류 동시 접안 능력을 갖추고 있다.남항은 컨테이너 전용 부두로, ICT(1단계)는 40,000톤 급 1척, ICT(2단계)는 40,000톤 급 2척의 동시 접안 능력을 갖추고 있다. 선광부두는 18,000톤 급 2척, 대한통운은 5,000톤 급 2척, 영진부두는 10,000톤 급 1척, E1부두는 30,000톤 급 1척의 동시 접안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2009년까지 컨테이너 전용 3선석이 건설되었다.
인천신항은 건설 중이다.
5. 조직
인천항만공사는 3본부 1단 20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직 형태는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다. 주무부처는 해양수산부이다.
- '''IPA 노동조합'''
- '''항만위원회'''
- '''감사팀'''
- * '''감사위원회'''
- '''사장'''
- * '''인사관리팀'''
- '''경영본부'''
- * 기획조정실
- ** 경영지원팀
- ** 재무관리팀
- ** 미래사업팀
- ** 홍보팀
- ** 관리팀
- ** 사회가치실현(TF)팀
- '''운영본부'''
- * 물류전략실
- ** 글로벌마케팅팀
- ** 항만관리팀
- ** 물류단지팀
- ** 물류정보팀
- ** 안전·보안(TF)팀
- '''건설본부'''
- * 항만개발실
- ** 항만건설팀
- ** 항만시설팀
- ** 갑문운영팀
- ** 갑문설비팀
인천항만공사의 인원은 208명(임원 포함)이다.
해양수산부이다.
5. 1. 조직 구조
인천항만공사는 3본부 1단 20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직 형태는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다. 주무부처는 해양수산부이다.- '''IPA 노동조합'''
- '''항만위원회'''
- '''감사팀'''
- * '''감사위원회'''
- '''사장'''
- * '''인사관리팀'''
- '''경영본부'''
- * 기획조정실
- ** 경영지원팀
- ** 재무관리팀
- ** 미래사업팀
- ** 홍보팀
- ** 관리팀
- ** 사회가치실현(TF)팀
- '''운영본부'''
- * 물류전략실
- ** 글로벌마케팅팀
- ** 항만관리팀
- ** 물류단지팀
- ** 물류정보팀
- ** 안전·보안(TF)팀
- '''건설본부'''
- * 항만개발실
- ** 항만건설팀
- ** 항만시설팀
- ** 갑문운영팀
- ** 갑문설비팀
5. 2. 인원
인천항만공사의 인원은 208명(임원 포함)이다.5. 3. 주무 부처
해양수산부이다.참조
[1]
뉴스
신년 특집. 항만공사 출범과 인천항(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12-22
[2]
뉴스
미리 가본 인천 신국제여객터미널…12월 개장 막바지 준비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19-07-10
[3]
뉴스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 안갯속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9-06-06
[4]
뉴스
현장르포) 미리 만난 신국제여객터미널, 인천 랜드마크로 도약 준비 중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9-07-11
[5]
웹사이트
인천항만공사
http://www.icpa.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