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지영은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이다.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을 거쳐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했으며, 2015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7세에 바이올린을 시작하여 금호영재콘서트로 데뷔했으며, 뮌헨 캄머 오케스트라,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 안드라스 쉬프, 기돈 크레머 등 저명한 지휘자 및 음악가들과 함께 연주했으며, 2017년 임동혁과 함께 첫 앨범을 발매했다. 현재는 1717년산 스트라디바리 '사세르노'를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바이올린 연주자 - 양인모
양인모는 서울예고 수석 입학 후 여러 음악대학을 거쳐 다양한 콩쿠르에서 수상하고, NDR 방송교향악단 등과 협연하며 카네기홀 데뷔 리사이틀을 가진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이다. - 대한민국의 바이올린 연주자 - 박시춘
박시춘(본명 박순동)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하며 '애수의 소야곡', '신라의 달밤', '럭키 서울' 등 3000여 곡의 대중가요를 작곡하여 한국 대중가요의 틀을 잡은 대표적인 작곡가이지만, 친일 가요 작곡 활동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1995년 출생 - 김한솔 (김정남의 아들)
김한솔은 김정일의 손자이자 김정남의 아들로, 북한 체제에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으며 아버지 김정남 암살 후 반북단체의 도움을 받아 신변을 보호받고 있는 인물이다. - 1995년 출생 - 유회승
유회승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뮤지컬 배우이며, 《PRODUCE 101 시즌 2》에 출연하여 N.Flying의 메인 보컬로 데뷔, 솔로 활동과 뮤지컬 출연, 그리고 대한민국 대중음악상 최우수 OST 부문을 수상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임지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이름 | 임지영 |
로마자 표기 | Im Ji Young |
출생 | 1995년 2월 12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바이올린 연주자 |
장르 | 클래식 음악 |
악기 | 바이올린 |
소속사 | (주) 뮤직앤아트컴퍼니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학력 |
2. 학력
3. 생애 및 음악 활동
임지영은 금호영재콘서트 데뷔 이후 다양한 무대에서 국내외 관객들을 만나왔다. 리에주 왕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브뤼셀 필하모닉,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뮌헨 체임버 오케스트라, 우한 심포니 오케스트라, NHK 심포니 오케스트라, 미나스 제라이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툴루즈 국립 카피톨 오케스트라, 타이베이 심포니 오케스트라, 포즈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마린스키 극장 오케스트라, 룩셈부르크 필하모니, 서울시립교향악단, 나고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KBS 교향악단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3] 2015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 후 1708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 "허긴스"를 4년간 대여받아 사용했다.[4]
3. 1. 초기 생애 및 교육
임지영은 7세에 바이올린을 처음 접하고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다.[6] 다소 늦은 나이에 바이올린을 시작했으나, 14세에 예원학교에 입학하며 본격적인 전공자의 길을 걷게 되었고,[6] 만 14세에 금호영재콘서트로 데뷔하였다. 이후 "그때부터 자극을 받은 것 같아요. 어린 나이지만 '이렇게 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무섭게 연습했죠. 학교가 끝나면 오후 4~5시부터 새벽 2~3시까지 하루 10시간씩 바이올린만 켰어요."라고 말했다.[6] 예원학교, 서울예고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김남윤 교수에게 사사받은 순수 국내파 바이올리니스트로 주목받았다. 2015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과 같은 해에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과정을 졸업하였다.[7] 적극적으로 연주 활동을 펼치는 대신 대학원에 진학하여 음악 공부에 집중하기로 결정하였다.3. 2. 주요 활동
임지영은 뮌헨 캄머 오케스트라, 인디애나폴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브뤼셀 필하모닉, 룩셈부르크 필하모닉,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NHK 심포니 오케스트라,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마린스키 오케스트라 등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개성 있는 솔리스트로 자리매김하였다.[8] 안드라스 쉬프, 기돈 크레머, 스티븐 이설리스, 알렉산더 셸리, 데이비드 진만, 투간 소키예프, 알렉산더 라자레브 등 세계적인 음악가들과 함께 연주하며 폭넓은 음악 세계를 보여주었다.[8][4]국내에서는 금호아트홀, 대관령국제음악제에서 리사이틀 연주를 가졌고, 서울시립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수원시립교향악단 등과 협연하였다. 금호아시아나솔로이츠, 평창겨울음악제 등에서 실내악 연주 활동도 하였다.[9]
2019년 3월 벨기에 국왕 주최 음악회 무대에 올랐고, 4월에는 판문점 선언 1주년 기념행사에서 연주하였다.[10] 2020년에는 '이자이 바이올린 무반주 소나타'와 '바흐 바이올린 무반주 소나타와 파르티타' 전곡을 연주하는 독주회 'SOLO'를 개최하였다.
4.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 (2015)
임지영은 한국종합예술학교 재학 중 벨기에의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 출전해 한국인 최초로 기악 부문 1위를 차지했다.[6]
임지영은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 이후 인터뷰에서 "새로운 것에 많이 도전하고 싶다. (중략)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하는 것이 꿈이었는데, 이렇게 빨리 이루어질 줄은 몰랐다. 갑자기 꿈을 이루니까 생각이 많아졌다. 아직은 감히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를 바라기보다는 그 과정을 쌓아가는 중이다. 이제 스무 살이다. 청소년에서 성인이 되는 전환점이다.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도 배우고, 자기관리를 잘해서 오래오래 행복하게 연주하고 싶다."라고 밝혔다.[6]
2015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 후, 리에주 왕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브뤼셀 필하모닉,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뮌헨 체임버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3] 안드라스 쉬프, 기돈 크레머 등 유명 지휘자 및 음악가들과도 함께 연주했다.[4] 퀸 엘리자베스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대여한 1708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 "허긴스"를 4년간 사용했다.[4]
5. 음반
2017년 피아니스트 임동혁과 함께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등을 녹음한 첫 앨범이 워너 클래식 레이블을 통해 전 세계에 발매되었다.[9]
6. 사용 악기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의 지원으로 2014년부터 주세페 과다니니 크레모나 1794년산을 무상으로 사용했다[12]. 2015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 부상으로 1708년산 스트라디바리 '허긴스'를 4년간 대여받게 되면서 2016년에 과다니니 크레모나를 반납했다[13]. 임지영은 '허긴스'에 대해 "허리(C-bout) 부분이 더 잘록하고 울림통 자체도 볼록하며, 힘 있고 반짝거리는 듯한 소리가 나고 프로젝션이 명확하고 활에 대한 반응 역시 빨랐다"라고 평가했다[14].
2019년 스트라디바리 허긴스를 반납하고 1717년 제작된 스트라디바리 '사세르노(Sasserno)'를 사용하고 있다. 사세르노는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가 사용했던 악기이다. 임지영은 사세르노에 대해 "'허긴스'와 비교해서 더 납작하고 굴곡이 덜한 편이며, (악기 외형에서 오는 선입견은 사라졌고,) 바이올린에서 시간의 힘으로 잘 숙성된 소리가 아름답게 울려 퍼졌다"라고 말했다[14]. 또한 ‘사세르노’는 "깊고 따뜻한 울림을 지닌 반면에 ‘허긴스’만큼 날카롭고 힘 있는 소리는 덜 나오는 특징이 있다"라고 평가했다[14].
연도 | 제작자 | 모델명 | 비고 |
---|---|---|---|
2014년 ~ 2016년 | 주세페 과다니니 | 크레모나 1794년산 |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지원 |
2016년 ~ 2019년 | 스트라디바리 | 허긴스 1708년산 |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 부상 |
2019년 ~ 현재 | 스트라디바리 | 사세르노 1717년산 |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사용 악기 |
참조
[1]
웹사이트
Ji Young Lim
http://www.cmireb.be[...]
2019-02-24
[2]
뉴스
Violinist Lim Ji-young wins Queen Elisabeth competition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5-05-31
[3]
웹사이트
En
https://www.jiyoung-[...]
2020-08-17
[4]
웹사이트
Kor
https://www.jiyoung-[...]
2020-08-17
[5]
뉴스
Violinist Lim Ji-young wins Queen Elisabeth competition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5-05-31
[6]
웹인용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한국인 최초 기악 부문 우승 임지영
http://topclass.chos[...]
2020-08-18
[7]
웹인용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
https://web.archive.[...]
2020-08-18
[8]
웹인용
Kor
https://www.jiyoung-[...]
2020-08-17
[9]
웹인용
Kor
https://www.jiyoung-[...]
2020-08-17
[10]
웹인용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
https://web.archive.[...]
2020-08-18
[11]
웹인용
MUSIC&ARTCOMPANY
http://mnac.co.kr/ar[...]
2020-08-17
[12]
웹인용
금호 악기은행 수장고엔 어떤 명품이 있나? 조선pub(조선펍) > 이슈&
http://pub.chosun.co[...]
2020-08-18
[13]
웹인용
임지영,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의 순간 함께 한 ‘행운의 바이올린’ 새 연주자 찾습니다
http://news.kmib.co.[...]
2020-08-18
[14]
웹인용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
https://web.archive.[...]
2020-08-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