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장훈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주장 훈련은 적절한 자기 표현과 타인 존중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술로, 심리학 및 심리 치료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는 공격적이지 않으면서 자신감을 갖는 의사소통 방식으로, 수동적, 공격적 의사소통과 구분된다. 자기주장 훈련은 개인의 권리 인식,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점 이해, 기술 습득을 목표로 하며, 행동 치료 및 인지 행동 치료 기법을 활용한다. 훈련은 알코올 사용 장애 예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과도한 자기주장은 공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인 커뮤니케이션 - 사회교환이론
사회교환이론은 사회적 행동을 경제적 교환으로 간주하며, 개인들이 보상과 비용을 평가하여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회학 및 심리학 이론으로, 호혜성, 사회 침투, 형평성 등의 개념을 통해 대인 관계, 경영, 직장, 온라인 네트워킹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대인 커뮤니케이션 - 귀인 이론
귀인 이론은 개인이 타인이나 사건의 원인을 내적 또는 외적 요인으로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이며, 귀인 편향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의미한다. -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과학 - 정책학
정책학은 정책 과정, 형성, 집행, 분석, 평가 등을 연구하는 사회과학 분야로서, 다양한 과학적 방법론과 이론을 활용하여 민주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며, 현대 사회 문제 해결 및 정책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 심리학 - 정동 (심리학)
정동은 심리학에서 감정가, 각성, 동기적 강도로 구성되며, 표현 방식, 원인, 뇌 과학적 연구와 관련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심리학 - 불안
불안은 미래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고, 불안 장애는 과도한 불안 반응을 특징으로 하며, 치료 방법이 존재한다.
자기주장훈련 | |
---|---|
개요 | |
정의 |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명확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능력,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권리를 옹호하는 방식 |
특징 | 자기 존중감 향상 효과적인 의사소통 갈등 해결 능력 강화 스트레스 감소 |
역사 | |
기원 | 1940년대 미국에서 시작, 자기 주장 훈련 프로그램으로 발전 |
발전 | 1970년대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개인의 성장과 대인 관계 개선에 기여 |
자기 주장 행동의 유형 | |
공격적인 행동 |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자신의 의견만 강요하는 행동 |
비주장적인 행동 |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지 못하고 타인에게 굴복하는 행동 |
자기 주장적인 행동 | 자신의 의견을 솔직하게 표현하면서 타인의 권리도 존중하는 행동 |
자기 주장 훈련의 기법 | |
깨진 레코드 기법 | 원하는 바를 명확하게 반복하여 전달하는 기법 |
안개 끼는 기법 | 비판적인 의견에 대해 동의하는 부분만 인정하고 더 이상의 논쟁을 피하는 기법 |
자기 공개 기법 |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기법 |
질문 기법 | 상대방의 의견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질문하는 기법 |
자기 주장 훈련의 효과 | |
개인적 효과 | 자기 효능감 향상 불안 감소 스트레스 관리 능력 강화 |
대인 관계적 효과 | 원활한 의사소통 갈등 해결 능력 향상 상호 존중적인 관계 형성 |
자기 주장 훈련의 적용 분야 | |
상담 및 심리 치료 | 대인 관계 문제, 불안, 우울증 등의 치료 |
교육 | 학생들의 자기 표현 능력 향상, 학교 폭력 예방 |
직장 | 효과적인 의사소통, 리더십 개발, 직장 내 갈등 해결 |
사회 생활 | 원만한 대인 관계 형성, 사회 적응력 향상 |
2. 정의
자기주장 훈련은 매우 모호하고 정의하기 어려운 개념이지만, 많은 경우 "적절한 자기 주장", "자타를 존중하는 자기 표현" 등으로 정의된다. 이 개념의 핵심은 "상대를 존중하는 것" 또는 "적절한 것"이라는 차원과 "자신을 존중하는 것" 또는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라는 두 가지 차원의 통합 또는 지양에 있다.[31] 이러한 통합 또는 지양의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가능하다. 행동 분석학의 관점에서는 기능적 어서션이라는 정의가 제안되었다.
어서티브의 4원칙은 솔직, 대등, 자기 책임, 성실이다.[31]
자기주장은 공격적이지 않으면서 자기 확신과 자신감을 갖는 특성이 있다. 심리학과 심리 치료 분야에서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이자 의사 소통의 방식이다. 돌랜드 의학 사전에서는 '주장'(Assertiveness)을 "증명이 필요없는 진술에 대한 확신 선언 또는 확인을 특징으로하는 행동의 형태이며 이것은 다른 사람의 권리를 공격적으로 위협하지 않으며 (지배적인 위치를 가정하여) 다른 사람이 자신의 권리나 관점을 무시하거나 거부하도록 복종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그 사람의 권리 또는 관점을 긍정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39] 자기주장 훈련은 자신과 타인의 경계에 대한 존중을 포함하며, 협력을 통해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관심을 둔다.[7]
''인지 행동 치료''(2008)에 따르면, "개인의 의견, 요구 사항 및 경계에 대한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은 ... 비효율적인 수동적 반응과 공격적 반응 사이의 행동적 중간 지점으로 개념화되었다."[8] 이러한 의사소통은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지만, 공격으로 이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9]
다른 사람의 행동이 자신의 경계를 위협하는 경우,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을 사용하여 상황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이를 전달할 수 있다.[10]
"공격적 의사소통"은 타인을 판단하고, 위협하고, 거짓말하고, 신뢰를 깨고, 침묵하고, 타인의 경계를 침해한다. 반면 "수동적 의사소통"은 희생자가 수동적으로 다른 사람이 자신의 경계를 침해하도록 허용하며, 나중에 면책감이나 정당한 분노를 느끼며 다시 돌아와 공격할 수 있다.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은 모든 당사자의 공동 관심사에 호소함으로써 이러한 극단을 초월하며, "사람이 아닌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11] 반면에 공격적 및/또는 수동적 의사소통은 관계의 종말을 알릴 수 있으며,[12] 자존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
자기주장 훈련은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적절한 자기주장이라는 의미에서 다른 의사소통 전략과 다르다. 의사소통 전략은 주로 수동적 의사소통, 공격적 의사소통,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의 세 가지로 나뉜다. 수동적 의사소통은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하지 못하고 자신의 의사나 권리를 지키지 못하는 의사소통이다. 공격적 의사소통은 상대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권리만을 주장하는 의사소통이다.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은 상대의 자기주장할 권리를 인정한 다음, 자신의 의사나 권리를 주장하는 의사소통이다.
하지만 자기주장 훈련과 그 외의 의사소통의 경계는 자의적이며, 이들은 종종 겹치거나, 대인적·사회적인 맥락에 따라 쉽게 어긋날 수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또한, 자기주장 훈련과 그 외의 의사소통을 이러한 3가지 패턴으로 분류하는 것은 가장 단순하고 알기 쉽지만, 이 외의 제4, 제5의 자기주장적이지 않은 의사소통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그러한 구별에는 실증적인 근거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2. 1. 자기주장과 다른 의사소통 방식
자기주장은 공격적이지 않으면서 자기 확신과 자신감을 갖는 특성이 있다. 심리학과 심리 치료 분야에서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이자 의사 소통의 방식이다. 돌랜드 의학 사전에서는 '주장'(Assertiveness)을 "증명이 필요없는 진술에 대한 확신 선언 또는 확인을 특징으로하는 행동의 형태이며 이것은 다른 사람의 권리를 공격적으로 위협하지 않으며 (지배적인 위치를 가정하여) 다른 사람이 자신의 권리나 관점을 무시하거나 거부하도록 복종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그 사람의 권리 또는 관점을 긍정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39] 자기주장 훈련은 자신과 타인의 경계에 대한 존중을 포함하며, 협력을 통해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관심을 둔다.[7]''인지 행동 치료''(2008)에 따르면, "개인의 의견, 요구 사항 및 경계에 대한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은 ... 비효율적인 수동적 반응과 공격적 반응 사이의 행동적 중간 지점으로 개념화되었다."[8] 이러한 의사소통은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지만, 공격으로 이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9]
다른 사람의 행동이 자신의 경계를 위협하는 경우,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을 사용하여 상황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이를 전달할 수 있다.[10]
"공격적 의사소통"은 타인을 판단하고, 위협하고, 거짓말하고, 신뢰를 깨고, 침묵하고, 타인의 경계를 침해한다. 반면 "수동적 의사소통"은 희생자가 수동적으로 다른 사람이 자신의 경계를 침해하도록 허용하며, 나중에 면책감이나 정당한 분노를 느끼며 다시 돌아와 공격할 수 있다.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은 모든 당사자의 공동 관심사에 호소함으로써 이러한 극단을 초월하며, "사람이 아닌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11] 반면에 공격적 및/또는 수동적 의사소통은 관계의 종말을 알릴 수 있으며,[12] 자존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
자기주장 훈련은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적절한 자기주장이라는 의미에서 다른 의사소통 전략과 다르다. 의사소통 전략은 주로 수동적 의사소통, 공격적 의사소통,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의 세 가지로 나뉜다. 수동적 의사소통은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하지 못하고 자신의 의사나 권리를 지키지 못하는 의사소통이다. 공격적 의사소통은 상대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권리만을 주장하는 의사소통이다. 자기주장적 의사소통은 상대의 자기주장할 권리를 인정한 다음, 자신의 의사나 권리를 주장하는 의사소통이다.
하지만 자기주장 훈련과 그 외의 의사소통의 경계는 자의적이며, 이들은 종종 겹치거나, 대인적·사회적인 맥락에 따라 쉽게 어긋날 수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또한, 자기주장 훈련과 그 외의 의사소통을 이러한 3가지 패턴으로 분류하는 것은 가장 단순하고 알기 쉽지만, 이 외의 제4, 제5의 자기주장적이지 않은 의사소통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그러한 구별에는 실증적인 근거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3. 자기주장의 특징
스스로 중립적으로 고려하는 자기 주장은 공격적이지 않으면서 자기 확신과 자신감을 갖는 특성이다. 심리학과 심리 치료 분야에서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이자 의사 소통의 방식이다. 돌랜드 의학 사전(Dorland's Medical Dictionary)은 '주장'(Assertiveness)을 "증명이 필요없는 진술에 대한 확신 선언 또는 확인을 특징으로하는 행동의 형태이며 이것은 다른 사람의 권리를 공격적으로 위협하지 않으며 (지배적인 위치를 가정하여) 다른 사람이 자신의 권리나 관점을 무시하거나 거부하도록 복종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그 사람의 권리 또는 관점을 긍정한다."라고 정의한바있다.[39]
자기주장적인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13]
- 자신의 감정, 생각, 욕구를 자유롭게 표현한다.
- "또한 [다른] 사람들과 편안한 관계를 시작하고 유지할 수 있다"[14]
- 자신의 권리를 알고 있다.
- 분노를 조절한다. 이것은 이 감정을 억누른다는 의미가 아니다. 이는 분노를 조절하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이야기한다는 의미이다.
- "자기주장적인 사람들은 ... 항상 자신의 방식만을 고집하기보다는 다른 사람과 기꺼이 타협하려 하며 ... 좋은 자존감을 갖는 경향이 있다"[15]
어세티브니스(자기주장 훈련)는 일종의 이상적인 의사소통 스타일을 제안한다는 의미에서 상담 및 자기 계발, 사회 심리학, 인지 행동 치료등 다양한 입장에서 주목받고 있다.[32][33]
일본에서 어세티브니스를 널리 알린 것은 히라키 노리코이며, 현재에도 히라키의 어세티브니스 입장이 일본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4. 자기주장 훈련
스스로 중립적으로 고려하는 자기 주장은 공격적이지 않으면서 자기 확신과 자신감을 갖는 특성이다. 심리학과 심리 치료 분야에서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이자 의사 소통의 방식이다. 돌랜드 의학 사전은 '주장'(Assertiveness)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바있다.
:증명이 필요없는 진술에 대한 확신 선언 또는 확인을 특징으로하는 행동의 형태이며 이것은 다른 사람의 권리를 공격적으로 위협하지 않으며 (지배적인 위치를 가정하여) 다른 사람이 자신의 권리나 관점을 무시하거나 거부하도록 복종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그 사람의 권리 또는 관점을 긍정한다.[39]
조셉 월피는 1958년에 출판한 신경증 치료에 관한 책에서 불안의 "상호 억제" 수단으로 자기주장의 사용을 처음 탐구했으며, 그 이후 행동 치료에서 중재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2] 자기주장 훈련은 앤드루 샐터(1961)[3]에 의해 소개되었고 조셉 월피에 의해 대중화되었다.[4] 월피는 사람이 자기주장적이면서 동시에 불안할 수는 없으며, 따라서 자기주장적인 행동이 불안을 억제할 것이라고 믿었다.
자기주장 훈련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5]
- 개인의 권리에 대한 인식 증진
- 비자기주장과 자기주장 간의 차별화
- 소극-공격성과 공격성 간의 차별화
- 언어적 및 비언어적 자기주장 기술 습득
의사소통 방식이자 전략으로서 자기주장은 따라서 공격성과 수동성과 구별된다. 사람들이 자신과 타인의 개인적 경계를 처리하는 방식은 이 세 가지 개념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수동적인 의사소통자는 사회적 갈등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려고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6] 이러한 두려움 때문에 수동적인 의사소통자는 자신의 개인적 경계나 아이디어를 옹호하지 않으며, 따라서 공격적인 사람들이 그들을 학대하거나 심리적 조작하도록 허용한다.[6] 또한, 그들은 이러한 지배가 일어나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종종 억누른다.[6] 공격적인 사람들은 타인의 개인적 경계를 존중하지 않으므로 종종 당혹감의 형태로 나타나는 개인적인 공격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쳐 해를 입힐 수 있다.[6] 자기주장적인 사람은 비공격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 및/또는 감정을 명확하게 진술함으로써, 종종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려는 노력을 통해 의사소통한다. 이는 관련된 다른 사람의 개인적 경계를 존중하고 부정적인 대립을 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 자기주장적인 사람은 또한 공격적인 사람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의지가 있다.
훈련 방법의 기원은 행동 치료에 있으며, 현재는 인지 행동 치료의 방법론이 사용되고 있다。 훈련은 기본적으로 어서션에 대한 심리 교육으로 시작하여, 참가자에게 어서션이 어떻게 어려운지에 대한 평가, 트레이너가 모범을 보이는 모델링, 참가자가 실제로 시연했을 때 피드백을 제공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34]。 이는 일반적인 사회적 기술 훈련과 동일한 절차이다.
4. 1. 훈련의 목표
자기주장 훈련은 공격적이지 않으면서 자기 확신과 자신감을 갖는 특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돌랜드 의학 사전에서는 자기주장을 "증명이 필요없는 진술에 대한 확신 선언 또는 확인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의 형태"로 정의하며, 이는 타인의 권리를 위협하거나 자신의 권리를 무시당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권리와 관점을 긍정하는 것을 의미한다.[39]조셉 월피는 1958년 불안의 "상호 억제" 수단으로 자기주장의 사용을 처음 탐구했으며, 이후 행동 치료에서 중재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2] 앤드루 샐터에 의해 소개되고 조셉 월피에 의해 대중화된[3][4] 자기주장 훈련은 개인이 자기주장적이면서 동시에 불안할 수 없다는 믿음에 기반하여 불안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었다.
자기주장 훈련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5]
- 개인의 권리에 대한 인식 증진
- 비자기주장, 자기주장, 소극-공격성, 공격성 간의 차이점 구별
- 언어적 및 비언어적 자기주장 기술 습득
자기주장은 의사소통 방식이자 전략으로서, 공격성 및 수동성과 구별된다. 수동적인 의사소통자는 사회적 갈등을 두려워하여 자신의 경계를 옹호하지 않고, 공격적인 사람들에게 학대나 심리적 조작을 허용하며, 종종 부정적인 감정을 억누른다.[6] 반면 공격적인 사람들은 타인의 경계를 존중하지 않고 개인적인 공격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려 한다.[6] 자기주장적인 사람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명확하게 진술하면서도 타인의 경계를 존중하고 부정적인 대립을 피하며, 공격적인 사람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의지를 갖는다.[6]
훈련 방법은 행동 치료에서 기원했으며, 현재는 인지 행동 치료의 방법론이 사용된다. 훈련은 어서션에 대한 심리 교육, 어서션의 어려움 평가, 모델링, 피드백 제공 등으로 구성된다.[34]
4. 2. 훈련 기법
자기주장 훈련 기법은 매우 다양하다. 매뉴얼 스미스(Manuel Smith)는 1975년 저서인 『거절할 때 죄책감을 느낀다면』[16]에서 다음과 같은 행동들을 제시했다. "깨진 레코드" 기법[16]은 저항에 직면할 때마다 요청이나 거절을 단순히 반복하는 것이다. 이 용어는 긁히면 레코드 플레이어의 바늘이 레코드의 몇 초를 무한정 반복하게 되는 비닐 레코드에서 유래되었다.[17] 이 기법의 단점은 저항이 계속될 때 요청을 반복할 때마다 힘이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요청을 너무 자주 반복하면 말의 권위에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재 조치를 마련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부정적 주장[16]은 요구를 굽히지 않으면서 비판에 동의하는 것이다. 나 전달법은 상대방에 대한 비판이나 자신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돌리지 않고, 자신의 입장으로 감정과 바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이야기 구성의 핵심은 내용을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데 있다. ①사실, ②사실에 대한 자신의 감정(I 메시지), ③사실과 감정을 바탕으로 한 제안, ④제안이 거부될 경우 대안을 제시하여 선택을 강요하는 것이다. 이 기법을 "DESC(데스크) 법"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①Describe(설명하다), ②Express(표현하다), ③Suggest(제안하다), ④Choose(선택하다)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또는, 한국어로 "미감제이나"로 줄여서 기억하는 방법도 있다. ①미=본 것, ②감=느낀 것, ③제=제안, ④이나=거부당했을 경우의 대안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5. 자기주장의 응용
여러 연구에서 자기주장 훈련이 알코올 사용 장애 예방에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했다.[18] 자기주장 및 사회적 기술을 포함한 일반적인 심리적 기술은 일부 실증적 지원을 통해 다양한 장애에 대한 개입으로 제시되었다.[19]
젠더 이론과 관련하여, 태넌은 남성과 여성 모두 서로의 스타일을 배우는 것이 유익하다고 주장한다. 여성은 자기주장 훈련을 통해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남성은 감수성 훈련을 통해 이점을 얻을 수 있다.[20][21]
언어 활성화와 수동적 이중 언어 구사 현상을 피하기 위해, 자기주장은 소수 언어 사용자에게 핵심적인 담론적 자산이 되었다. 이러한 사용의 예는 Mantinc el català로, 이는 카탈루냐어 사용자가 처음 보는 사람과의 대화에서 무의식적으로, 즉각적으로 스페인어로 전환하지 않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자각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22][23][24] 자기주장 훈련이 알코올 사용 장애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언급하는 연구가 몇몇 있다.[38]
6. 과제 및 한계
자기주장 훈련은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불균형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자기주장의 개념은 복잡하고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는 자기주장적인 행동이 다른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25] 비자기주장적인 행동은 문제를 초래하고, 지나친 자기주장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26] 자기주장 훈련 매뉴얼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자기주장적인 행동을 처음 시도할 때, 너무 지나쳐 공격적이 된다고 설명한다.[27]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 자기주장 훈련이 유행하던 시절, 일부 기법들이 왜곡되어 사람들은 자기주장을 내세운다는 명목 하에 불쾌한 행동을 하도록 지시받았다. 예를 들어,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어떤 요구를 맹목적으로 반복하는 것이다.[28] 타인의 권리에 대한 존중이 결여된 자기주장 기법은 남용될 수 있는 심리적 도구가 될 수 있었다. 제재를 가하며 반복적으로 요구하는 것("깨진 레코드")과 강압적인 잔소리, 정서적 협박, 또는 괴롭힘 사이의 경계는 모호할 수 있으며, 자기주장 훈련을 "자신의 뜻을 관철하는 방법 ... 또는 다른 사람만큼 공격적이 되는 방법"[29]을 가르치는 것으로 묘사하는 캐리커처가 만연했다.
7. 한국 사회와 자기주장
참조
[1]
사전
Assertiveness
http://medical-dicti[...]
Dorland's Medical Dictionary
[2]
서적
Psychotherapy by Reciprocal Inhibi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8
[3]
논문
Assertive training with children
https://psycnet.apa.[...]
2024-11-27
[4]
서적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Behavioral Science: Volume I
2002
[5]
서적
[6]
논문
The Effectiveness of an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me on Adolescents' Assertiveness Level
https://www.research[...]
2009-05
[7]
서적
Driven by Research on hundreds of families: The Seven Principles for Making Marriage Work
Randomhouse
2000-05-16
[8]
서적
Cognitive Behavior Therapy
2008
[9]
서적
Emotional Intelligence
1996
[10]
서적
Facing Co-dependence: What It Is, Where It Comes from, How It Sabotages Our Lives
[11]
서적
Overcoming Depression
1998
[12]
문서
From DBT as researched
[13]
논문
The Significance of Assertive Leadership Style in School Organizational Development
2021
[14]
서적
Speaking the Truth with Love
2009
[15]
서적
Communicating Successfully in Groups
Psychology Press
2000
[16]
서적
When I say no, I feel guilty. How to cope - using the skills of systematic assertive therapy
Dial Press
1975
[17]
서적
Relationships: Assertiveness Skills
2010
[18]
웹사이트
Assertiveness training in addiction
http://www.drugalcoh[...]
Drug Alcohol Rehab Now
2018-04-30
[19]
논문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ssues and controversies
http://www.baojourna[...]
J.D. Cautilli
2003
[20]
서적
Gender talk: feminism, discourse and conversation analysis
Routledge
[21]
서적
You just don't understand: women and men in conversation
Ballantine Books
[22]
논문
Mantinc el català
https://www.elpuntav[...]
2023-02-19
[23]
논문
Què és la campanya Mantinc el Català?
https://aquicatalunh[...]
2023-02-19
[24]
뉴스
Proposen un repte per potenciar l'ús social del català: estar 21 dies sense "amagar" la llengua
https://www.ccma.cat[...]
Catalunya Ràdio
2022-04-20
[25]
서적
Social Situations
1981
[26]
서적
The Male Mind at Work
2001
[27]
서적
Assert Yourself
A&C Black Publishers Ltd
2009
[28]
서적
Freedom from Agoraphobia
2003
[29]
서적
Develop Your Assertiveness
2006
[30]
서적
改訂版 アサーション・トレーニング - さわやかな〈自己表現〉のために
日本・精神技術研究所
2009
[31]
웹사이트
アサーティブ・コミュニケーションとは?
https://www.i-learni[...]
i-learning
2024-07-21
[32]
논문
Fundamentals of interpersonal behaviour: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Plenum
1979
[33]
서적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弁証法的行動療法―DBTによるBPDの治療
誠信書房
2007
[34]
논문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behavior rehearsal in assertion training
1970
[35]
서적
When I say no, I feel guilty.
Bantam Books
1975
[36]
서적
同書p104
[37]
서적
同書p120
[38]
웹사이트
DrugAlcohol-rehab.com
http://www.drugalcoh[...]
[39]
간행물
assertiveness
http://medical-dicti[...]
Dorland's Medical Diction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