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수 언어는 학술적으로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인구 통계, 사회 정치, 민족 사회적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유럽, 캐나다 등에서는 법률이나 헌법으로 소수 언어를 정의하고 지원하며,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과 같은 국제적 보호 노력이 이루어진다. 소수 언어는 정치적 소외, 법적 차별, 수치 기준 적용에 대한 논쟁을 겪으며, 벨기에와 북마케도니아와 같이 특정 인구 비율을 기준으로 권리를 부여하는 경우도 있다. 일부 언어는 특정 국가에서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지 못하기도 하며, 타밀어, 마라티어 등은 어느 국가에서도 다수 화자가 없는 주요 언어로 존재한다. 소수 언어 권리와 관련된 소송 사례가 있으며, "보물 언어"는 멸종 위기 언어의 대안으로 사용된다. 일본에는 아이누어, 류큐어 등 소멸 위기에 놓인 소수 언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정책 - 국어
국어는 한 국가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언어이자 공식 언어를 의미하며, 국가별로 정의가 다를 수 있고, 대한민국에서는 국어기본법을 통해 한국어가 국어이자 공용어임을 명확히 하고 있지만, 국어 지정은 민족주의와 관련되어 논쟁을 야기하며 표준어 사용은 언어 다양성을 억압한다는 비판도 있다. - 언어 정책 - 언어정책
언어 정책은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며 언어 사용에 대한 개입을 통해 언어의 지위, 사용, 교육 등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으로, 대한민국은 국어기본법을 바탕으로 다양한 언어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언어 교육 개선, 소수 언어 보호, 다문화 사회에서의 언어 통합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언어 - 어휘
어휘는 특정 언어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단어들의 집합을 지칭하며, 언어학적으로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어휘 습득은 언어 능력 및 인지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언어 - 언어학
언어학은 인간 언어의 구조, 기능, 획득, 사회문화적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공시 및 통시언어학을 포함한 여러 이론 분야로 나뉘어 다양한 방법론과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언어의 본질과 인지 과정, 사회적 영향 등을 탐구하며, 응용언어학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한다. - 사회언어학 - 지칭어
지칭어는 특정 대상을 명확히 지칭하는 용어로, 한국어에서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참조 조건의 의미로 프로젝트 목표와 범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사회언어학 - 피진
피진은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단순화된 언어로, 문법과 어휘가 제한적이며 모어 화자가 없지만, 널리 사용될 경우 크리올어로 발전하기도 한다.
소수 언어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특정 지역에서 소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 |
사용 집단 | 소수 민족 이주민 기타 소규모 집단 |
사용 범위 | 지역 사회 가정 특정 분야 |
특징 | |
사용 인구 | 적은 수의 사용자 지리적 분산 |
사회적 지위 | 낮은 사회적 위상 언어 차별 경험 |
언어 정책 | 지원 부족 언어 소멸 위기 |
언어 활성화 노력 | |
교육 | 학교 교육 성인 교육 |
미디어 | 방송 출판 온라인 매체 |
커뮤니티 활동 | 언어 축제 문화 행사 언어 센터 |
소수 언어 보호의 중요성 | |
문화 다양성 | 고유 문화 보존 지역 정체성 유지 |
사회적 형평성 | 언어 권리 보장 사회 통합 증진 |
인류 유산 | 문화 유산 보호 역사 기록 유지 |
참고자료 | |
위키백과 | 영어 위키백과 일본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 |
Ethnologue | Ethnologue 통계 |
2. 정의
소수 언어에 대한 학술적 합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여러 기준들이 적용된다. Owens(2013)에 따르면, 소수 언어를 정의하려는 시도는 인구 통계적 정의, 사회 정치적 정의, 민족 사회적 정의 등의 범주로 나뉜다.[1]
2008년 현재 국제적으로 인정된 193개의 국가와 세계에서 사용되는 약 5,000~7,000개로 추산되는 언어 중 대부분은 해당 언어가 사용되는 모든 국가에서 소수 언어이다.
유럽과 캐나다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소수 언어가 법률이나 헌법에서 정의되는 경우가 많으며, 어떤 형태로든 공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권과 자유의 캐나다 헌장 제23조는 소수 언어 교육권을 보장하고 있다.
아일랜드의 아일랜드어(Gaeilge)처럼 일부 소수 언어는 동시에 공용어이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국적이 없는 민족의 국어의 경우, 국어가 소수 언어인 경우가 있다.
유럽 지역 언어 소수 언어 헌장에 따르면, 지역 언어·소수 언어란 해당 국가의 특정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해당 국가의 나머지 인구보다 인구가 적은 집단에 의해 사용되는 언어로, 해당 국가의 공용어와 다른 언어를 가리킨다.
2. 1. 인구 통계적 정의
소수 언어는 특정 지역 내에서 다른 집단보다 화자가 적은 언어를 의미한다.[1] 언어 다양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가장 큰 언어 공동체의 화자 수조차도 그 지역 전체 인구의 50% 미만일 수 있다(이 경우 "다수 언어"가 아닌 "다수파 언어"가 된다).[1] 예를 들어, de Vries(1990)는 당시 카메룬에서 가장 큰 언어 집단인 팡어 화자의 비율이 카메룬 전체 인구의 19%에 불과하여 소수 언어였다고 지적했다.[1]2. 2. 사회 정치적 정의
'소수 언어'는 특정 인구 집단이 소수 언어로 인식하는 언어이거나, 언어 소수 집단의 화자들이 자신의 언어가 위협받는다고 느끼는 언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는 주관적인 경향이 있고, 정치적 캠페인에 사용되어 정치 및 법적 기관으로 하여금 공식적으로 소수 언어를 인정하도록 촉구하며, 유럽 중심주의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19]2. 3. 민족 사회적 정의
Allardt(1984)는 소수 언어를 정의하는 네 가지 기준으로 자기 범주화, 공통 조상, 독특한 언어적·문화적·역사적 특징, 언어 집단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소수 집단 위치를 제시했다.[1] Owens(2013)는 이러한 기준들이 유용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소수 언어"가 네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1] [2] 예를 들어, 제시된 언어 소수 집단의 일부 구성원은 자신을 그 집단으로 자기 범주화하지 않거나 다른 모든 구성원과 공통 조상을 주장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2][3] 또한, 언어 소수 집단이 정치적으로 소수 집단의 위치에 놓이는 사회적 조직은 여러 가지 이유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 알제리의 프랑스어 사용 식민지 주민(''피에드누아'')은 인구 통계적으로 소수 집단이었지만 아랍어 사용 다수 인구(그리고 베르베르어 사용 집단, 예: 카빌족)를 소외시켰고, 이 상황에서 어떤 언어를 "소수 언어"로 간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남겼다.[3][4][5][6]3. 법률 및 국제 정치
국제적으로 2008년 현재 193개의 국가가 인정되었고,[18] 세계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약 5,000~7,000개로 추산된다. 이 언어들 대부분은 해당 언어가 사용되는 모든 국가에서 소수 언어이다.
유럽이나 캐나다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소수 언어가 법률이나 헌법에서 정의되는 경우가 많으며, 어떤 형태로든 공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인권과 자유의 캐나다 헌장 제23조는 소수 언어 교육권을 보장하고 있다.
아일랜드의 아일랜드어(Gaeilge)처럼 일부 소수 언어는 동시에 공용어이기도 하다. 국적이 없는 민족의 국어가 소수 언어인 경우도 있다.
3. 1. 유럽
유럽 평의회는 1992년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을 채택하여 유럽의 역사적인 지역 및 소수 언어를 보호하고 증진하고 있다.[3] 헌장은 "지역 또는 소수 언어"를 특정 국가 영토 내에서 수적으로 적은 집단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해당 국가의 공식 언어와 다른 언어로 정의한다. (공식 언어의 방언이나 이주민의 언어는 제외)[4]일부 국가는 헌장을 서명하거나 비준하지 않았는데, 이는 소수 인구가 사용하더라도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와 같은 포스트제국 세계어를 소수 언어로 인정하는 것을 거부하기 때문이다.[5] 이러한 언어에 부여된 힘은 해당 언어에 소수 언어 지위를 부여할 경우 국가 언어의 급속한 쇠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벨라루스에서는 1995년 이후 러시아어가 '동등한 공동 공식 언어' 지위를 부여받아 벨라루스어 사용이 소외된 사례가 있으며, 2010년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도 러시아어 권한 부여를 통해 우크라이나어를 소외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2014년 존엄의 혁명으로 좌절되었다.[6]
3. 2.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소수 언어"라는 용어가 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 제23조 상단 제목에서 사용되는데, 이 조항은 공용어 소수자 공동체의 교육권을 보장한다. 캐나다에서 "소수 언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주 또는 준주에서 사용 인구가 적은 공용어(즉, 퀘벡에서는 영어, 그 외 지역에서는 프랑스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4. 정치적 논쟁
소수 언어는 여러 가지 이유로 국가 내에서 소외될 수 있다. 여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화자, 화자 수 감소, 그리고 이들 화자가 문화가 없거나 원시적이라는 대중적 믿음, 또는 소수 언어가 주요 언어의 방언이라는 믿음 등이 포함된다. 소수 언어에 대한 지원은 때때로 분리주의를 지지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영국 제도와 프랑스에서 켈트어의 지속적인 부흥(아일랜드어, 웨일스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섬어, 콘월어, 브르타뉴어)을 들 수 있다.[19] 지배적인 문화는 이민 소수 언어의 사용을 통합성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여, 이러한 공동체가 더 큰 문화에 통합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인식된 위협은 모두 다수 언어 화자의 배제라는 개념에 기초한다. 종종 이는 정치 체제에 의해 이들 언어로 교육 및 치안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더해진다.
다수 언어 화자는 다양한 과정을 통해 소수 언어를 배우고 있다.[7] 소수 언어 학습자 대부분이 공동체 언어와 다시 연결하려는 소수 공동체 구성원인지, 아니면 그것에 익숙해지려는 다른 사람들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수 언어 사용자를 대표하는 국가가 공용어를 보호하는 것이 소수 언어 사용자의 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에 대한 견해는 분분하다. 2013년 3월, 유엔 소수민족 문제 독립 전문가인 리타 이작(Rita Izsák)은 "언어 소수민족의 권리 보호는 인권 의무이며, 긴장과 갈등을 예방하고 평등하고 정치적·사회적으로 안정적인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좋은 거버넌스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말했다.[8]
예를 들어, 슬로바키아에서는 헝가리인 공동체가 일반적으로 1995년에 제정된 '언어법'을 차별적이고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슬로바키아 다수 민족은 소수 언어 사용자의 권리가 유럽 최고 수준에 따라 보장되며, 국가 언어가 우선적인 지위를 갖는다고 해서 차별받지 않는다고 믿는다. 언어법은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 공화국 영토에서 사용되는 다른 언어보다 우선적인 지위를 누린다"고 선언한다. 2009년 개정으로, 국가 언어의 우선적 지위를 보호하는 규정을 위반하는 경범죄에 대해 최대 5000EUR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점이나 사업체의 이름이 간판에 소수 언어로 먼저 표기되고 그 다음에 슬로바키아어로 표기되는 경우, 또는 이중 언어 텍스트에서 소수 언어 부분이 슬로바키아어보다 더 큰 글꼴로 작성된 경우, 또는 기념물의 이중 언어 텍스트가 소수 언어에서 주요 언어로 번역되고 그 반대가 아닌 경우, 또는 공무원이나 의사가 소수 언어 사용자 비율이 20% 미만인 지역 사회에서 소수 언어로 소수 언어 사용자 시민과 의사소통하는 경우 등이 해당된다.
5. 수치 기준
특정 국가에서는 소수 언어 사용자에게 특정 권리를 부여하기 위해 인구 비율 기준을 사용하기도 한다. 벨기에에서는 소수 언어 사용자가 지자체 인구의 30% 이상일 경우 이중 언어로 간주되어 특정 권리가 부여되었으며, 이를 위해 언어 인구 조사를 참고했다.[9] 북마케도니아에서는 인구의 20%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와 함께 공용어가 되며, 2002년 기준으로 알바니아어가 이러한 인정을 받았다.[10]
5. 1. 벨기에
1932년 6월 28일 행정 문제에서 언어 사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수 언어 사용자가 지자체 인구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해당 벨기에의 지방 자치 단체는 "이중 언어"로 간주되었으며, 이는 소수 언어 사용자에게 특정 권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9] 이러한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언어 인구 조사를 참고했다. 1846년에 실시된 첫 번째 인구 조사는 화자 수에 관해서는 학술적으로 신뢰할 만한 것으로 널리 간주되었지만, 1886년 두 번째 언어 인구 조사부터는 인구 조사 방법론이 바뀌고, 시민들에게 프랑스어를 사용하거나 안다고 보고하라는 압력이 증가했으며, 사기 사례가 점점 더 많이 발견되면서 결과의 신뢰성에 대한 학자들과 플랑드르 운동가들의 의문이 증가했다. 예를 들어, 1933년 조사 결과 1930년 인구 조사가 실시된 23개의 언어 경계 지자체 중 22개 지자체에서 결과가 부정확했고, 각 경우 부정확한 결과는 프랑스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도록 임무를 받은 일부 '언어 감독관'들은 살해 위협을 받았다. 인구 조사의 법적 효과는 이전에 네덜란드어 단일 언어 사용 지자체 중 일부가 이중 언어 또는 프랑스어 단일 언어 사용 지자체가 되었고, 브뤼셀의 프랑스어화를 더욱 자극했다. 가장 논란이 많은 1947년 언어 인구 조사는 플랑드르인의 거센 항의를 불러일으켰고, 결국 논란이 많은 언어 인구 조사는 폐지되었다.5. 2. 북마케도니아
2001년 8월 13일 오흐리드 협정에 따라, 인구의 20%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는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 차원에서 마케도니아어와 공용어가 된다.[10] 2002년 현재 이 기준에 따라 알바니아어만이 국가 및 특정 지방 자치 단체에서 공용어로 인정되었다.[10]6. 일부 국가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언어
- 알바니아어는 루마니아를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인정받는 소수 언어이지만, 인구의 4%가 알바니아계인 그리스에서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 불가리아어는 체코(4,300명 사용자)에서 인정받는 소수 언어이지만, 그리스에서는 공식적으로 소수 언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위스에서 공식 언어로 분류되지만,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는 소수 언어이다. 남티롤에서는 인정되지만, 프랑스에서는 인정받지 못한다.
- 헝가리어는 헝가리에서 공식어이며,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 주(293,000명 사용자)에서는 공동 공식어이다. 체코(14,000명 사용자)와 루마니아(1,447,544명 사용자, 인구의 6.7%)에서 헝가리어 사용자가 인구의 20%를 초과하는 지역 사회에서 인정받는 소수 언어이며, 슬로바키아(520,000명 사용자, 인구의 약 10%), 슬로베니아(2002년 6,243명 사용자[11]), 우크라이나(170,000명 사용자)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 마케도니아어는 그리스와 불가리아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 폴란드어는 체코(51,000명 사용자)에서 인정받는 소수 언어이지만, 리투아니아에서는 공식적으로 소수 언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 루마니아어는 루마니아에서 공식어이며,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 주(30,000명 사용자)에서는 공동 공식어이지만, 세르비아에서는 이 주 외에 5,300명의 사용자가 더 있음에도 공식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12] 참고로, 에스놀로그는 세르비아에 250,000명의 루마니아어 사용자가 있다고 추정한다.[13] 불가리아 북서부(추정 10,566명 사용자)와 우크라이나(추정 450,000명 사용자)의 소수 언어이다.
- 러시아어는 러시아에서 공식어이며, 벨라루스와 카자흐스탄에서는 공동 공식어이다. 소련 시대 러시아의 지배 이후 역사적인 이유로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에서는 공식 지위가 없다. (후자 두 국가의 인구 25% 이상이 러시아어 사용자임).
- 세르비아어는 세르비아에서 공식어이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코소보에서는 공동 공식어이다. 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헝가리, 슬로바키아, 체코, 루마니아에서 소수 언어 지위를 가지고 있다. 인구의 대다수(63.49%)가 세르비아어를 모국어로 선언했기 때문에 몬테네그로에서의 소수 언어 지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몬테네그로가 새로운 헌법을 비준한 2007년까지 세르비아어는 공식 언어였다.
- 터키어는 터키, 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에서 공식어이며, 키프로스에서는 공동 공식어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그리스, 코소보, 이라크, 루마니아에서 소수 언어 지위를 가지고 있다. 이들 국가 외에도 불가리아(인구의 8.4%)와 시리아(세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에 원어민 사용자가 있지만, 소수 언어 지위는 없다.
7. 어떤 국가에서도 다수 화자가 없는 주요 언어
어떤 국가에서도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한 국가에서 공용어 지위를 가진 언어들은 다음과 같다.
언어 | 화자 수 | 공용어/지역어 지위 국가 |
---|---|---|
타밀어 | 7800만 명 | 인도, 스리랑카, 싱가포르 |
마라티어 | 8300만 명 | 인도 |
베르베르어 | 4500만 명 | 모로코, 알제리, 리비아 |
쿠르드어 | 2200만 명 | 이라크 |
아프리칸스어 | 1300만 명 (제1, 제2 언어 화자) 1600만 명 (기본 지식 보유) |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용어), 나미비아 (공인 지역어) |
카탈루냐어 | 1000만 명[14] | 안도라 (공용어), 스페인 (카탈루냐, 발렌시아 지방(발렌시아어), 발레아레스 제도에서 지역 공용어), 이탈리아 (알게로의 사르데냐 섬에서 공인 지역어) |
저지독일어 | 435만~715만 명 | 네덜란드, 독일 (소수 언어) |
갈리시아어 | 300만~400만 명 | 스페인 (갈리시아에서 지역 공용어) |
림뷔르흐어 | 200만 명 |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소수 언어) |
웨일스어 | 62만 2000명 | 영국 (웨일스에서 지역 공용어), 아르헨티나 (추부트주에서 소수 언어, 법적 인정 없음) |
바스크어 | 66만 5800명 | 스페인 (바스크 지방과 나바라에서 지역 공용어) |
프리지아어족 | 40만 명 |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지역 공용어) |
아일랜드어 | 29만 1470명 (모어 화자) 166만 명 (일부 지식 보유) | 아일랜드 공화국 (공용어), 영국 (공식 인정 소수 언어) |
마오리어 | 15만 7110명 | 뉴질랜드 (공용어) |
로만슈어 | 6만 명 | 스위스 (그라우뷘덴) (공용어) |
체로키어 | 2000명 | 미국 (오클라호마의 체로키 족 내에서 공용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8만 7000명 (어느 정도 구사 가능) 5만 7375명 (제1, 제2 언어 화자) |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공용어), 캐나다 (모어 화자 300명, 전체 2320명, 소수자 지위), 미국 (약 1900명, 소수자) |
사르데냐어 | 135만 명 (모어, 제1 또는 제2 언어 화자) (일부 지식 보유자는 더 많음) | 이탈리아 (사르데냐에서 지역 공용어) |
코르시카어 | 12만 5000명 (모어, 제1 또는 제2 언어 화자) | 프랑스 (코르시카에서 지역 공동 공용어) |
8. 소송
- 알렉산더 대 샌도발 (Alexander v. Sandoval)
- 아르세노-캐머런 대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Arsenault-Cameron v. Prince Edward Island): 2000년 캐나다 대법원 판결. 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 23조에 근거,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서머사이드의 프랑스어 소수 민족의 특수한 상황에서, 추산 49명에서 155명에 달하는 학생들의 프랑코폰 부모들은 자녀들을 57km 떨어진 다른 프랑코폰 학교로 버스를 태워 보내는 대신, 마을 안에 프랑스어 초등학교를 설립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하였다.[1]
- 카지미르 대 퀘벡(법무장관) (Casimir v. Quebec (Attorney General))[2]
- 샬르부아 대 세인트존(시) (Charlebois v. Saint John (City))[3]
- 디바인 대 퀘벡(법무장관) (Devine v. Quebec (Attorney General))[4]
- 두세-부드로 대 노바스코샤(교육부 장관) (Doucet-Boudreau v. Nova Scotia (Minister of Education))[5]
- 고슬랭(후견인) 대 퀘벡(법무장관) (Gosselin (Tutor of) v. Quebec (Attorney General))[6]
- 카첸바흐 대 모건 (Katzenbach v. Morgan)[7]
- 마에 대 앨버타 (Mahe v. Alberta)[8]
- R 대 보락 (R. v. Beaulac)[9]
- 소시에테 데 아카디앵 대 학부모 협회 (Société des Acadiens v. Association of Parents)[10]
9. 보물 언어
보물 언어는 오늘날 전 세계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수천 개의 소규모 언어 중 하나이다. 이 용어는 니카라과의 라마족이 제안한 것으로, 현지 맥락에서는 경멸적인 의미로 여겨지는 전통 언어, 토착어, "민족 언어"와 같은 용어의 대안으로 사용된다.[15] 이 용어는 현재 공개적인 이야기 전달 행사의 맥락에서도 사용된다.[16]
"보물 언어"라는 용어는 화자들이 미래에도 모국어 사용을 지속하고자 하는 욕구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용어는 객관적인 기준이 있는 멸종 위기 언어 또는 개인이 주요 언어에 더 능숙한 언어의 최종 상태를 설명하는 전통 언어와는 구별된다.[17]
10. 일본의 소수 언어
일본에는 아이누어, 류큐어, 하치조어와 같은 소수 언어(일본어 이외의 일본의 언어)가 존재한다. 현재 모두 소멸 직전이며, 메이지 정부나 이들 언어를 일본어 방언으로 보는 사람들로부터 멸시를 받아왔다. 현재도 일본에 소수 언어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적다.[20]
참조
[1]
문서
ONU members
[2]
웹사이트
Ethnologue statistics
http://www.ethnologu[...]
SIL
2015-10-18
[3]
논문
Planning for multilingualism and minority language rights in Sweden
2004
[4]
웹사이트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s://rm.coe.int/1[...]
Council of Europe
1992-11-05
[5]
웹사이트
Tomasz Kamusella. 2021. Russian and English: Minority Languages in Europe? (pp 137-150). Slavica Wratislaviensia. Vol 174.
https://wuwr.pl/swr/[...]
[6]
웹사이트
Language Policy and Discourse on Languages in Ukraine Under President Viktor Yanukovych (25 February 2010–28 October 2012)
http://cup.columbia.[...]
ibidem
2013
[7]
웹사이트
List of Languages with Courses Available
http://Lang1234.com
Lang1234
2012-09-12
[8]
뉴스
Protection of minority languages is a human rights obligation, UN expert says
https://www.un.org/a[...]
UN News Centre
2013-03-12
[9]
학술지
De talentelling in België
https://www.dbnl.org[...]
1980
[10]
학술지
The implementation of the Ohrid Agreement: Ethnic Macedonian resentments
https://web.archive.[...]
2002
[11]
웹사이트
Statistični urad RS - Popis 2002
https://www.stat.si/[...]
[12]
웹아카이브
Serbian Preliminary 2011 Census Results
http://media.popis20[...]
[13]
웹사이트
Romanian
http://www.ethnologu[...]
Ethnologue
1999-02-19
[14]
서적
Legal Integration and Language Diversity: Rethinking Translation in EU Lawmak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2-01
[15]
서적
Keeping Languages Alive: Documentation, Pedagogy and Revit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6]
뉴스
Languages Treasured but Not Lost
http://www.eastbayex[...]
2016-02-17
[17]
서적
The Green Book of Language Revitalization in Practice
Emerald Group Publishing
2001
[18]
문서
국연加盟국
[19]
백과사전
Celtic languages
http://www.bartleby.[...]
The Columbia Encyclopedia, Sixth Edition
2001-07
[20]
웹사이트
문화청의 홈페이지에도 이들 언어가 소멸위기 언어로 실려 있다
https://www.bunka.go[...]
[21]
웹사이트
http://www.dw-world.[...]
[22]
뉴스
영어 때문에 소수언어 사라진다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08-07-24
[23]
뉴스
다언어 국가 인도의 소수언어 230종 사라졌다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3-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