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전거 발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전거 발판은 자전거의 동력 전달 장치로, 발을 페달에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19세기 후반 사이클 경주에서 발 미끄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이 등장했으며, 1984년 룩(LOOK)이 스키 바인딩 기술을 응용한 클립리스 페달을 개발하면서 페달링 효율을 높였다. 현재는 평 발판, 클립리스 페달, 마그넷 페달, 접이식 페달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경기에서도 클립 앤 스트랩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2. 역사

19세기 후반 사이클 경주가 인기를 얻으면서, 선수들은 페달에서 발이 미끄러지는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그 결과 페달에 발을 고정하는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이 등장했다. 이 시스템은 페달에 부착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클립과 가죽 또는 천으로 된 스트랩을 사용하여 신발을 페달에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은 페달링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했는데, 발을 페달에 고정함으로써 페달을 밀고 당기는 동작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더욱 강력하고 지속적인 페달링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은 오랫동안 사이클 경기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하지만, 발이 페달에 고정되어 있어 사고 발생 시 발을 빼기 어렵다는 안전상의 문제와 젖은 스트랩으로 인한 불편함 등의 단점도 있었다.

1970년대, 치넬리는 최초의 바인딩 페달을 개발했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1984년, 은 스키 바인딩 기술을 응용하여 페달과 자전거 신발을 쉽고 안전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획기적인 디자인의 바인딩 페달을 개발하여 시장을 석권했다. 룩의 성공 이후 시마노, 타임, 캄파놀로 등 다양한 자전거 부품 제조사들이 독자적인 탈착 기능을 가진 바인딩 페달을 개발했고, 이러한 경쟁은 오늘날 다양한 종류의 클립리스 페달이 존재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2. 1. 초기 페달

초기 자전거인 벨로시페드 시대의 페달은 발을 지면에 대고 밀어내는 방식이었다. 이 시기에는 발을 올려놓는 받침대 형태의 페달이 존재하지 않았다. 1870년대에 등장한 페니 퍼딩 자전거는 앞바퀴가 매우 크고 뒷바퀴가 작은 형태였으며, 앞바퀴의 회전축에 페달이 직접 연결되어 있었다. 페달은 금속으로 만들어졌고,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 형태를 갖추었다. 초기 페달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나 가죽을 덧대기도 했다. 이 페달은 자전거의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지만, 높은 위치에 페달이 달려 있어 승차감과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2. 2. 클립 앤 스트랩 페달

19세기 후반, 사이클 경주가 인기를 끌면서, 선수들은 페달에서 발이 미끄러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했다. 그 결과, 페달에 발을 고정하는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이 등장했다. 이 시스템은 페달에 부착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클립과 가죽 또는 천으로 된 스트랩을 사용하여, 신발을 페달에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초기에는 일반적인 신발을 사용했지만, 곧 레이싱을 위한 특별한 신발, 레이서 슈즈가 개발되었다. 레이서 슈즈는 클립에 더 잘 맞도록 설계되었고, 페달링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은 페달링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했다. 발을 페달에 고정함으로써, 선수는 페달을 밀고 당기는 동작을 모두 활용할 수 있었고, 이는 더욱 강력하고 지속적인 페달링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은 오랫동안 사이클 경기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은 몇 가지 단점도 가지고 있었다. 가장 큰 단점은 안전 문제였다. 발이 페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빠르게 발을 빼기가 어려웠다. 특히 넘어질 때 신속하게 발을 빼지 못하면 부상의 위험이 컸다. 또한,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젖은 스트랩은 발을 조이거나, 풀기 어려워 페달링에 지장을 줄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은 페달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경기용 자전거 페달 시스템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2. 3. 클립리스 페달의 등장

1970년대, 이탈리아의 자전거 회사 치넬리는 최초의 바인딩 페달을 개발했다. 이 페달은 자전거 신발과 페달을 결합하여 라이더가 페달링 효율을 높이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치넬리의 바인딩 페달은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당시 기술력의 한계로 인한 높은 가격과, 사용의 불편함, 그리고 안전 문제 등이 있었다.

1984년, 프랑스의 회사 은 획기적인 디자인의 바인딩 페달을 개발하여 시장을 석권했다. 룩의 페달은 스키 바인딩 기술을 응용하여, 페달과 자전거 신발을 쉽고 안전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했다. 룩의 바인딩 페달은 페달링 효율을 극대화하고, 부상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하여 사이클리스트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룩의 성공 이후, 시마노, 타임, 캄파놀로 등 다양한 자전거 부품 제조사들이 독자적인 탈착 기능을 가진 바인딩 페달을 개발했다. 이들은 룩의 기술을 기반으로, 각자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더하여 다양한 형태의 바인딩 페달을 선보였다. 이러한 경쟁은 바인딩 페달 기술의 발전을 가속화시켰으며, 오늘날 다양한 종류의 클립리스 페달이 존재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3. 종류

자전거 페달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페달은 사용 목적과 특징에 따라 구분된다.

자전거 페달의 한 종류인 퀼 페달은 발을 페달에 고정하기 위해 토 클립과 토 스트랩을 사용한다. 토 클립은 페달 앞쪽에 부착되어 발 앞부분을 감싸고, 토 스트랩은 토 클립을 통과하여 발등을 덮어 발을 페달에 단단히 고정한다. 이러한 구조는 페달링 효율을 높이고, 발이 페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퀼 페달은 트랙 자전거, 로드 자전거, 투어링 자전거 등 다양한 자전거에 사용된다. 트랙 자전거용 퀼 페달은 강한 페달링 힘을 전달하기 위해 견고하게 제작되며, 발을 완전히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로드 자전거용 퀼 페달은 속도와 효율성을 중시하여 가볍고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을 갖는다. 투어링 자전거용 퀼 페달은 장거리 주행에 적합하도록 내구성이 뛰어나고, 편안한 페달링을 제공한다. 퀼 페달을 선택할 때는 용도에 맞는 페달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립리스 페달은 클릿이라는 부품과 전용 신발을 사용하여 페달에 발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클릿은 신발 밑창에 장착되며, 페달에 있는 결합 기구와 맞물려 발을 페달에 연결한다. 이로 인해 페달링 시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리의 힘을 페달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클립리스 페달은 로드바이크와 산악자전거 등 다양한 자전거에 사용되며, 각 용도에 맞는 특징을 가진다. 로드바이크용 클립리스 페달은 페달과 클릿의 결합 면적이 넓고, 페달링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공기역학적 성능을 고려하여 페달의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산악자전거용 클립리스 페달은 험로 주행에 적합하도록 페달과 클릿의 결합 강도가 로드바이크용보다 낮고, 페달에 진흙이나 이물질이 묻어도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페달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경우가 많아, 발을 페달에서 떼고 내딛는 상황에서도 페달을 찾기 쉽다. 클릿의 종류는 제조사,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며, 대표적인 클릿 제조사로는 시마노 (Shimano), (LOOK), 타임 (Time) 등이 있다. 클릿은 페달과의 결합 방식, 탈착 난이도, 발의 움직임(플로트) 허용 범위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클릿을 신발에 장착할 때는 페달링 시 발의 편안함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해야 한다. 클릿의 위치가 잘못되면 무릎이나 발목에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클릿 장착 후에는 실제 자전거를 타면서 클릿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최적의 페달링 자세를 찾아야 한다. 클립리스 페달은 페달에서 신발을 탈착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경우, 넘어짐 사고의 위험이 있다. 특히, 정지 시나 출발 시 클릿을 제대로 해제하지 못하면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 있다.

클릿 페달 시스템에서 "플로트"는 클릿이 페달에서 분리되기 전까지 허용되는 움직임의 정도를 의미한다. 플로트가 있으면 라이더는 페달링 시 무릎과 발목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허용하여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플로트가 없는 클릿은 발을 페달에 고정시켜 효율적인 페달링을 돕지만, 무릎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다양한 플로트 각도를 가진 클릿 제품이 존재하며, 라이더는 자신의 신체 조건과 라이딩 스타일에 맞는 플로트를 선택해야 한다.

마그넷 페달은 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신발을 페달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페달과 신발 밑창에 각각 자석을 장착하여 작동한다. 마그넷 페달은 클립리스 페달과 유사하게 신발과 페달을 연결하여 페달링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그넷 페달은 클릿 슈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일반 신발을 신고 자전거를 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석의 결합력이 약해 위급한 상황에서 빠르게 발을 뺄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그넷 페달은 클립리스 페달에 비해 결합력이나 페달링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접이식 페달은 접이식 자전거의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보관과 이동의 편의성을 높여준다. 이 페달은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접는 방식에는 페달의 축을 중심으로 접는 방식과 페달 전체를 프레임에서 분리하는 방식이 있다. 접이식 페달은 주로 도심에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며, 자전거를 대중교통과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 특히 편리하다. 또한, 자전거 보관 공간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접이식 페달은 공간 절약에 기여한다.

3. 1. 평 발판 (플랫 페달)

평 발판(플랫 페달)은 BMX, 산악 자전거 등 다양한 자전거에서 널리 사용된다. 평 발판은 발을 페달 위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페달과 신발 사이의 접지력이 중요하다.

### 특징과 장단점

평 발판은 비교적 저렴하고, 다양한 신발과 호환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페달에서 발을 쉽게 떼고 다시 올릴 수 있어, 기술 훈련이나 갑작스러운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클릿 페달에 비해 페달링 효율이 낮고, 격렬한 라이딩 시 발이 미끄러질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 핀이 있는 평 발판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 평 발판에는 핀(pin)이 박혀 있는 경우가 많다. 핀의 개수, 높이, 재질 등에 따라 접지력의 차이가 있으며, 프리라이드다운힐과 같은 특정 라이딩 스타일에 적합하다. 핀이 달린 평 발판은 발을 페달에 더 단단히 고정시켜, 거친 지형에서도 안정적인 라이딩을 가능하게 한다.

### 재질

평 발판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 나일론: 가볍고 저렴하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보다 강도가 높고, 충격에 강하다.
  • 알루미늄 합금: 가볍고 튼튼하며,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보다 가볍고, 강성이 뛰어나다.

3. 2. 퀼 페달

퀼 페달은 자전거 페달의 한 종류로, 발을 페달에 고정하기 위해 토 클립과 토 스트랩을 사용한다. 토 클립은 페달 앞쪽에 부착되어 발 앞부분을 감싸고, 토 스트랩은 토 클립을 통과하여 발등을 덮어 발을 페달에 단단히 고정한다. 이러한 구조는 페달링 효율을 높이고, 발이 페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퀼 페달은 트랙, 로드, 투어링 등 다양한 자전거 종류에 사용된다. 트랙 자전거용 퀼 페달은 강한 페달링 힘을 전달하기 위해 견고하게 제작되며, 발을 완전히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로드 자전거용 퀼 페달은 속도와 효율성을 중시하여 가볍고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을 갖는다. 투어링 자전거용 퀼 페달은 장거리 주행에 적합하도록 내구성이 뛰어나고, 편안한 페달링을 제공한다.

퀼 페달을 선택할 때는 용도에 맞는 페달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트랙 자전거를 타는 경우, 강한 힘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퀼 페달을 선택해야 한다. 로드 자전거를 타는 경우, 가볍고 효율적인 퀼 페달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투어링 자전거를 타는 경우, 내구성이 뛰어나고 편안한 퀼 페달을 선택해야 한다.

3. 3. 클립리스 페달 (바인딩 페달)

클립리스 페달은 클릿(cleat)이라는 부품과 전용 신발을 사용하여 페달에 발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클릿은 신발 밑창에 장착되며, 페달에 있는 결합 기구와 맞물려 발을 페달에 연결한다. 이로 인해 페달링 시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리의 힘을 페달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클립리스 페달은 로드바이크와 산악자전거 등 다양한 자전거에 사용되며, 각 용도에 맞는 특징을 가진다.

로드바이크용 클립리스 페달은 페달과 클릿의 결합 면적이 넓고, 페달링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공기역학적 성능을 고려하여 페달의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로드바이크는 속도를 중시하기 때문에 페달과 신발의 결합 강도가 높고, 페달에서 신발을 탈착하는 데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다. 반면, 산악자전거용 클립리스 페달은 험로 주행에 적합하도록 페달과 클릿의 결합 강도가 로드바이크용보다 낮고, 페달에 진흙이나 이물질이 묻어도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페달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경우가 많아, 발을 페달에서 떼고 내딛는 상황에서도 페달을 찾기 쉽다.

클릿의 종류는 제조사,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다. 대표적인 클릿 제조사로는 시마노(Shimano), 룩(LOOK), 타임(Time) 등이 있으며, 각 제조사별로 독자적인 클릿 시스템을 사용한다. 클릿은 페달과의 결합 방식, 탈착 난이도, 발의 움직임(플로트) 허용 범위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클릿을 신발에 장착할 때는 페달링 시 발의 편안함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해야 한다. 클릿의 위치가 잘못되면 무릎이나 발목에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클릿 장착 후에는 실제 자전거를 타면서 클릿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최적의 페달링 자세를 찾아야 한다.

클립리스 페달은 페달에서 신발을 탈착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경우, 넘어짐 사고의 위험이 있다. 특히, 정지 시나 출발 시 클릿을 제대로 해제하지 못하면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클립리스 페달을 처음 사용하는 경우, 안전한 장소에서 탈착 연습을 충분히 해야 한다. 탈착 연습은 페달에서 신발을 빠르게 분리하는 방법을 숙달하고, 위급한 상황에서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넘어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클릿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탈착 시 페달에서 발을 떼는 요령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3. 3. 1. 플로트와 텐션

클릿 페달 시스템에서 "플로트"는 클릿이 페달에서 분리되기 전까지 허용되는 움직임의 정도를 의미한다. 플로트는 보통 각도로 측정되며, 이는 발이 페달에 고정된 상태에서 얼마나 회전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플로트가 있으면 라이더는 페달링 시 무릎과 발목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허용하여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플로트가 없는 클릿은 발을 페달에 고정시켜 효율적인 페달링을 돕지만, 무릎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다양한 플로트 각도를 가진 클릿 제품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0도 플로트는 발을 완전히 고정시키며, 4.5도, 6도, 9도 등 다양한 플로트 각도를 가진 클릿이 있다. 라이더는 자신의 신체 조건과 라이딩 스타일에 맞는 플로트를 선택해야 한다. 무릎 관절이 유연하지 않거나, 페달링 시 무릎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선호하는 라이더는 더 큰 플로트 각도를 가진 클릿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반면, 효율적인 페달링을 중시하거나, 페달링 스타일에 큰 변화가 없는 라이더는 플로트 각도가 작은 클릿을 선택할 수 있다. 클릿 선택 시에는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고, 다양한 플로트 각도를 사용해 보면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클릿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3. 4. 마그넷 페달

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신발을 페달에 고정하는 마그넷 페달은 페달과 신발 밑창에 각각 자석을 장착하여 작동한다. 이 방식은 클립리스 페달과 유사하게 신발과 페달을 연결하여 페달링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그넷 페달은 클릿 슈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일반 신발을 신고 자전거를 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석의 결합력이 약해 위급한 상황에서 빠르게 발을 뺄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그넷 페달은 클립리스 페달에 비해 결합력이나 페달링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격렬한 페달링이나 장거리 라이딩 시에는 발이 페달에서 이탈될 위험이 있다. 또한, 자석의 위치나 강도에 따라 결합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페달과 신발의 호환성을 고려해야 한다. 마그넷 페달의 가격은 일반적인 페달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다.

3. 5. 접이식 페달

접이식 페달은 접이식 자전거의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보관과 이동의 편의성을 높여준다. 이 페달은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접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페달의 축을 중심으로 접는 방식과 페달 전체를 프레임에서 분리하는 방식이 있다. 전자는 페달을 접는 데 시간이 덜 걸리고 간편하지만, 후자는 접었을 때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접이식 페달은 주로 도심에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며, 자전거를 대중교통과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 특히 편리하다. 또한, 자전거 보관 공간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접이식 페달은 공간 절약에 기여한다. 접이식 페달은 자전거의 휴대성을 높여주어, 자전거 이용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구조 및 부착

자전거 페달은 자전거의 동력 전달 장치 중 하나로, 크게 페달 바디, 스핀들,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페달 바디는 발을 올려놓는 부분이며, 스핀들은 크랭크 암에 연결되는 나사산 부분이다. 베어링은 스핀들이 페달 바디 내에서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스핀들의 나사산 규격은 일반적으로 9/16인치-20 TPI(인치당 나사산 수) 규격을 사용한다. 이 규격은 대부분의 자전거에 호환되며, 예외적으로 1인치-24 TPI 규격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페달을 장착할 때는 스핀들의 나사산 방향에 주의해야 한다. 오른쪽 페달은 시계 방향으로 조여지고, 왼쪽 페달은 반시계 방향으로 조여진다. 이는 페달 사용 중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이다. 오른쪽과 왼쪽 페달의 나사산 방향이 다르므로, 페달을 교체하거나 장착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과거에는 시마노에서 1인치-24 TPI 인터페이스 페달을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이 페달은 당시 일반적인 9/16인치 페달보다 더 튼튼하고, 베어링의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9/16인치 규격이 널리 사용되면서, 1인치 페달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5. 경기에서의 이용

프로 선수들은 페달 선택에 매우 신중을 기한다. 페달은 단순한 부품이 아니라, 기록 단축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특히, 사이클 선수들은 페달의 종류에 따라 기록이 크게 좌우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과거에는 랜스 암스트롱과 같은 선수들이 특정 페달을 고집하며, 자신의 경기력에 최적화된 페달을 사용하기도 했다.

트랙 경기에서는 클립 앤 스트랩 페달이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단거리 종목에서는 클립 앤 스트랩 방식이 선수들의 폭발적인 힘을 페달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경륜 경기는 선수들의 안전과 경기력 향상을 위해 모든 선수가 클립 앤 스트랩 방식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고정 기어를 사용하는 해외 스프린트 경기에서도 클립 앤 스트랩 방식을 변형하여 사용한다. 빈딩 페달 위에 스트랩을 묶어, 클릿이 페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선수들의 기록 단축에 기여한다.

6. 기타

스트리트 스포츠용 픽시 자전거에서 자주 사용되는 페달 고정 방식 중 하나는 "스트랩"이다. 이 방식은 페달에 덧댄 끈이나 벨크로를 이용하여 발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스트랩은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 비교적 쉽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자전거의 성능뿐만 아니라 패션도 중시하는 스트리트 스타일의 라이더들에게 인기가 높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스트리트 스포츠를 즐기는 많은 사람들이 스트랩 방식을 선호하며, 픽시 자전거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Integrated Bicycle Pedal https://patents.goog[...] United States Patent Office 1989-03-28
[2] 서적 Bike touring: the Sierra Club guide to outings on wheels https://archive.org/[...] Sierra Club Books
[3] 간행물 Perfecting the Clipless Pedal Inside Communications, Inc.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Bicycle Pedal http://www.speedplay[...] 2006-05-28
[5] 웹사이트 Bicycle Glossary Da-Do: Death Cleat http://www.sheldonbr[...] Sheldon Brown 2007-08-30
[6] Webarchive The advantages of clipless cycling pedals http://www.livestron[...] 2016-12-19
[7] Webarchive Why You Should Switch to Clipless Pedals https://gizmodo.com/[...] 2017-09-09
[8] 웹사이트 "What are Clipless Pedal Platform Adapters?": Featuring '3' Types and Easy Snap-On Techniques - cyclingtrekinfo.com https://cyclingtreki[...] 2023-07-26
[9] 간행물 Effects of Pedal Type and Pull-Up Action during Cycling null 2008-04-17
[10] 간행물 The Effect of Clipless Float Design on Shoe/Pedal interface Kinetics and Overuse Knee injuries during Cycling null 1995-05
[11] 웹사이트 Bicycle Pedal History Museum, Bicycle Pedal Timeline http://www.speedplay[...] Speedplay Inc. 2010-04-12
[12] 웹사이트 Bicycle Pedal History Museum, Clipless Road Pedal Gallery and Time Line http://www.speedplay[...] Speedplay Inc. 2010-04-12
[13] 웹사이트 Magnetic non-positive connection between a bicycle pedal and the shoe of a cyclist http://patentscope.w[...]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12-07-23
[14] 웹사이트 Mavic EZ-Ride Evolve pedals review http://www.bikeradar[...] BikeRadar 2009-09-03
[15] 웹사이트 ProTonLocks Magnetic Pedals: Review http://www.mtnbikeri[...] MtnBikeRiders 2009-11-05
[16] 간행물 Magnetic Bike Pedals Work With Any Shoes https://www.wired.co[...] 2009-09-24
[17] 웹사이트 Left Hand Threads http://sheldonbrown.[...] Sheldon Brown 2004-04-28
[18] 웹사이트 Sheldon Brown's Bicycle Glossary: Precession http://sheldonbrown.[...]
[19] 웹사이트 1982 Shimano Catalog http://208.77.210.18[...] 2008-03-04
[20] URL http://www.speedplay.com/index.cfm?fuseaction=pedalmuseum.clipless http://www.speedplay[...]
[21] 웹인용 국립국어원 순화어 http://www.korean.go[...] 국립국어원 2011-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