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술은 과학적 지식과 공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지식 체계 및 학문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고대 그리스어 '테크네'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와 문화를 거치며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산업,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대한민국은 과학기술 투자를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룬 대표적인 국가이다. 기술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윤리적 책임과 사회적 책무를 동반하며, 철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기술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기법과 기술을 사용하는 능력인 기능은 서로 구분되며, 숙련된 기능은 보호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 - 테크놀로지
    테크놀로지는 기술과 지식을 실용적으로 활용하여 인류 문명의 발전과 함께 경제 성장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지만, 환경 오염, 사회적 불평등, 실존적 위험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며 윤리적, 철학적 논의를 필요로 한다.
  • 기술 - 로스트 테크놀로지
    로스트 테크놀로지는 과거에 존재했지만 기술 전수 단절, 전쟁, 재난, 사회적 혼란 등으로 현재는 재현할 수 없거나 제작 방법이 완전히 알려지지 않은 기술을 의미하며, 지롤라모 세가토의 석화 기술이나 그리스의 불 등이 그 예시이다.
  • 기술 및 응용과학에 관한 - 공병
    공병은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건설 및 파괴 임무를 수행하며, 도로 및 교량 건설, 장애물 설치 및 제거, 지뢰 매설 및 제거, 도하 지원 등을 주요 임무로 하며, 전투 공병과 시설 공병으로 구분된다.
  • 기술 및 응용과학에 관한 -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개발한 최초의 탈중앙화 암호화폐로, 중앙 기관 없이 P2P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채굴을 통해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된 자산이다.
기술
기술
영어technique, technology, engineering
기술의 의미실천적인 능력
방법
수단
솜씨
기교
기능
예술
학문
어원그리스어 '테크네(τέχνη)'에서 유래
테크네의 의미제작, 창조, 예술, 기교, 기술
기술과 관련된 분야과학기술(테크놀로지)
공학(엔지니어링)
응용 과학
기술 철학
기술의 역사고대: 연금술 등에서 기술 개념 발전
현대: 과학의 발전에 따라 기술 개념 확장 및 변화
관련 철학기술철학
인공물
관련 분야 및 개념
관련 분야과학기술(테크놀로지)
공학(엔지니어링)
응용 과학
기술 철학
관련 개념인공물
도구
방법
기법
기능
재능

2. 과학, 공학, 과학기술

과학은 자연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탐구하는 학문이며, 공학은 과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실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이다. 기계, 재료, 도구 등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지식 체계나 학문을 통틀어 과학기술이라고 한다.

日本大百科事典일본어(니혼다이햐쿠카지텐)에 따르면, '기술'은 '방법'이나 '수단'과 바꿔 쓸 수 있을 만큼 광범위하게 사용된다.[1] 또한 '과학기술'처럼 과학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1] 현대에는 과학과 기술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계획적으로 결합하고, '일체화'되어 있다.[1] 기술사 학자 야마자키 토시오(山崎俊雄)는 앞으로 '과학기술'이라는 용어가 더욱 보편화될 것이라고 보았다.[1]

공학(engineering영어)은 산업혁명 시대 영국의 엔진에서 유래하였으며, 당시에는 증기기관을 의미하였다. 증기기관을 제작, 조작, 수리, 유지, 개량하는 사람을 엔지니어라고 불렀다. 현대에는 엔지니어란 자연법과 사회의 필요성의 제약 속에서 기술을 창조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한, 공학의 학문으로서 공학이 있다.

인간이 만들어낸 기술은 오랜 역사 속에서 축적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문명 사회를 지탱하고 있다. 인간이 사회의 기계화·정보화를 추진함에 따라 기술은 인간에게 부족한 기능을 보완하고, 인간의 의사결정의 영향을 거대화시켰다. 더 나아가 특정 용도에만 국한되지만 인간을 대신하여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도의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 인프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인간의 역할은 기술 자체의 개발에서 활용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으며, 소수 인간의 의사결정으로 지구 환경을 격변시킬 수도 있게 되었다.

mechanical art영어는 기술(technology)을 의미한다. mechanical art영어를 "기술"로 번역하는 것은 일본적인 관점에서 본 이른바 서구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기술(technology)은 과학(science)과 공학(engineering)에 의해 만들어진 것을 가리킨다.

일본어로서의 기술(技術)이라는 단어는 기술(skill)이나 재주라는 의미도 포함하며, skill영어(기술)이 그 대응어가 된다. 영어의 technology와 skill은 명확하게 다르지만, 일본어를 사용하는 경우 기술은 문맥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만들기 일본"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라는 단어에는 기술(technology)과 기술(skill)의 의미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과학(science)은 자연 현상을 탐구하는 공식적인 방법이며, 과학을 통해 세계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얻는다. 반면 기술(technology)은 과학과 공학이라는 두 가지 방법에 사회적 요구가 더해져 탄생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술이라고 하면 (과학의 결과와 상관없이) "공학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에서 과학(サイエンス)은 '과학'으로 번역되는 것이 일정하지만, 공학(エンジニアリング)과 기술(テクノロジー)은 각각 '공학' 및 '기술'로 대응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문맥에 따라 '기술' 또는 '공학'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학과 기술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기술이 technology의 대역어가 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공학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을 가리킨다.

즉, 일본어의 '技術(기술)'은 문맥에 따라 공학(새로운 기술을 만들어내는 기술), 기술(만들어진 기술), 기술(기법과 숙련된 기술) 중 하나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고,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경우도 있으며, 나아가 그것들이 통합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아래의 범주는 공학, 기술, 기술(숙련된 기술) 어느 범주에도 속한다.

3. 산업과 과학기술

과학기술의 발달은 각종 산업 발달의 토대가 된다. 18세기 이전의 기술은 과학의 도움보다는 장인들의 경험에 의해 느리게 진화했다.[9]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을 기술혁신이라고 하며, 기술혁신은 산업 구조 변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증기기관 발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져 산업혁명이 촉발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최근에는 급격한 정보화의 진행으로 정보 통신 산업이 크게 발달하고 있으며, 통신, 인터넷 등이 주요 과학기술로 취급된다.

4. 경제와 과학기술

경제학에서는 세계자본주의 구조와 과학기술의 관계를 연구하며 다음과 같은 개념을 중요하게 다룬다.


  • 적정 과학기술
  • 중간 과학기술
  • 과학기술 전략
  • 과학기술자본주의
  • 과학기술 특성
  • 과학기술 수용 모델
  • 과학기술의 라이프사이클
  • 과학기술 전파

5. 사회와 과학기술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과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사회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현대 철학, 사회학, 생태학, 정치학, 환경운동 등에서는 기술에 의한 여러 영향을 다루고 있다.

5. 1. 과학기술과 윤리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과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사회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현대 철학, 사회학, 생태학, 정치학, 환경운동 등에서는 기술에 의한 여러 영향을 다루고 있다.

6. 철학과 과학기술

철학은 대상을 다시 한번 문제삼아 되돌아 보는 '반성적 사고'를 의미한다. 본래 '어떠한 목적을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았던 기술은 19세기 산업화와 함께 과학과 결합하여 과학기술(technology)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대한 우려는 유럽에서 기술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형성하게 만들었다. 1970년대에는 기술철학회가 창립되었고, 과학기술에 대한 반성적 사고(기술철학)는 철학의 한 분과 학문으로 독립되었다.

『日本대백과사전』(니혼다이히야쿠센쇼)에 따르면 "기술"이라는 단어는 "방법"이나 "수단"이라는 말과 바꿔 쓸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또한 "기술"은 "과학기술"이라고도 하는 것처럼 "과학"과 병렬되는 경우가 많으며, 현대에는 양자가 밀접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기술사 학자 야마자키 토시오는 "앞으로 더욱 '과학기술'이라는 용어가 보급될 것이다"라고 말한다.[1]

역사적으로 “기술사관”(theory of technological development영어)이라는 역사관이 있으며, 이 관점에서는 《역사는 궁극적으로 기술의 진보에 의해 발전한다》고 생각된다.[2] 기술사관에서는 사상, 문화, 사회 제도는 보편적이지 않고 흥망성쇠를 반복하지만, 기술은 보편적이며 진보·발전을 계속한다고 본다.[2] 인간의 생활양식, 사회관계, 사회구조, 문화, 사상의 획기적인 변화는 새로운 기술(의 발명과 보급)에 의해 일어난다고 여겨진다.[2] “농업혁명→산업혁명→전자혁명”이라는 단계적 용어는 그 예이다.[2]

6. 1. 기술철학의 발전

고대 그리스에서는 인간의 “제작 활동 일반에 수반되는 지식능력”을 《기술 테크네》라고 불렀다[1]。 기술은 학문(고대 과학)이기도 했다[2][3]플라톤은 『고르기아스』에서 기술을 《본질에 대한 이론적 지식(로고스)을 가진 활동》이라고 정의했다[1]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기술은 《지식 에피스테메》와 동의어이며, 《어떤 사건을 원인으로부터 인식하는 일반적인 지식》으로 여겨졌다[2][3]。 (경험 엠페이리아”는 사건에 대한 단순한 숙련을 의미한다[2][3]。)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따르면, 기술은 《창조적인 방법에 대해 고찰하는 활동》이며, 《참된 이성(로고스)을 수반하는 제작 능력》이다[1]。 즉, 기술은 단순한 지적 능력이 아니라, 《학문적이고 경험적이며 보편적이고 개별적인 진리 인식의 능력》이다[1]

철학은 대상을 다시 한번 문제삼아 되돌아 보는 '반성적 사고'를 의미한다. 기술은 본래 '어떠한 목적을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19세기, 산업화와 함께 기술(technique)과 과학이 결합하면서 과학기술(technology)이 급속도로 발전했고,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러한 우려는 기술에 대한 회의적 시각으로 이어졌으며,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1970년대에는 기술철학회가 창립되었고, 과학기술에 대한 반성적 사고(기술철학)는 철학의 한 분과 학문으로 독립했다.

7. 법학과 기술

대한민국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을 통해 기술을 정의하고 있다. 이 법률에 따르면 기술이란 특허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등록 또는 출원된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 및 소프트웨어 등 지식재산, 이들이 집적된 자본재, 또한 이에 관한 정보, 이전 및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적ㆍ과학적 또는 산업적 노하우를 말한다.[10]

8. 기술의 역사

기술의 역사는 인류 탄생부터 이어져 왔으며, 과학보다 오래되었다.[9] 초기에는 장인들의 경험에 의존하여 느리게 진화했지만, 18세기 이후 기술혁신을 통해 급격하게 발달하였다. 증기기관의 발명은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산업혁명을 촉발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1870년대까지 ‘기술’은 “예술”이나 “기예”로 불렸고, ‘과학’은 “자연철학”으로 불렸다.[9] 기술의 어원은 그리스어 테크네(technē|테크네el)나 라틴어 아르스(ars|아르스la)로, “기술, 업, 재주, 기예”를 의미한다.[9]

고대 그리스에서는 인간의 제작 활동에 수반되는 지식과 능력을 존중하여 《기술 테크네》라고 불렀으며, 이는 학문(고대 과학)이기도 했다. 플라톤은 기술을 본질에 대한 이론적 지식(로고스)을 가진 활동으로 정의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술을 지식(에피스테메)과 동의어로 보았으며, 사건을 원인으로부터 인식하는 일반적인 지식이라고 여겼다. 그는 기술을 창조적인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참된 이성(로고스)을 수반하는 제작 능력으로 보았다.

하이데거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기술"을 제작에 의한 일정한 진리 규명으로 해석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을 이론적 지식(소피아)과 실천적 지식(프로네시스)으로 구분했는데, 후자는 근현대적인 의미의 "기술"로 이어졌다.

18세기 프랑스의 계몽사상가 디드로는 기술을 "같은 목적을 위해 협력하는 도구와 규칙"이라고 정의했다. 달랑베르는 『백과전서』 서문에서 프랜시스 베이컨의 "변화되고, 가공되는 자연"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기술의 역사를 설명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mechanical art영어의 번역어로 "기술"이 사용되었다. 니시카와 시주는 mechanical art영어을 직역하면 기계의 기술이 되지만 적절하지 않으므로 기술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서구에서는 기술과 지식(철학, 과학)의 역사를 별개의 개념으로 파악하지만, 일본동아시아에서는 19세기 후반에 과학과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소개되어 두 개념을 구분하기 어려워졌다.[3]

중국과 일본에서는 "기술"이라는 단어가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지만, 오늘날과는 의미가 달랐다. 에도 중기에는 지식인이 갖추어야 할 교양을 의미했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서구의 기술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현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후쿠자와 유키치와 같은 인물들이 "기술"이라는 단어를 널리 사용하면서, 과학과 기술이 현재의 의미로 정착되었다. 쇼와 15년(1940년)경 중일전쟁 시기에 "과학기술"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과학과 기술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4]

8. 1. 기술사관

기술사관(theory of technological development영어)은 역사가 궁극적으로 기술의 진보에 의해 발전한다고 보는 역사관이다.[2] 기술사관에서는 사상, 문화, 사회 제도는 보편적이지 않고 흥망성쇠를 반복하지만, 기술은 보편적이며 진보·발전을 계속한다고 본다.[2] 인간의 생활양식, 사회관계, 사회구조, 문화, 사상의 획기적인 변화는 새로운 기술(의 발명과 보급)에 의해 일어난다고 여겨진다.[2] 농업혁명, 산업혁명, 전자혁명과 같은 단계적 용어는 그 예이다.[2]

8. 2. 근대 기술과 과학기술

18세기 독일에서 기술학(Technologie|테크놀로기de)이 등장했으며, 이는 과학과 기술의 융합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9] 과거 괴팅겐 대학교에는 기술적 학문으로서 "기예사"가 존재했다.[9] 기예사는 1772년에 《기술학 테크놀로지》로 혁신되었다.[9] 기술학은 영어권의 "테크놀로지()"에 해당하며, 미국잭슨 민주주의 시대부터 보급되어 갔다.[9]

9. 기술과 도구

기술과 도구는 서로 협력하며 발전해 왔다. 기술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구가 개발되었고, 새로운 도구의 등장으로 기술이 발전해왔다. 더 나아가 과학적 발견에 따른 과학 이론의 심화 발전이 응용 (과학기술)되고, 획기적인 발명이 여러 가지 이루어짐으로써 지구 환경을 크게 변화시키는 데까지 이르렀다.

10. 주요 기술 분야

인간이 만들어낸 기술은 오랜 역사 속에서 축적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문명 사회를 지탱하고 있다.[1] 인간 사회가 기계화, 정보화됨에 따라 기술은 인간의 부족한 기능을 보완하고,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정 용도에 한정되지만,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도의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사회 인프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인간의 역할은 기술 자체의 개발에서 활용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으며, 소수 인간의 의사결정으로 지구 환경을 격변시킬 수도 있게 되었다.[1]

기술(technology)은 과학(science)과 공학(engineering)에 의해 만들어진 것을 가리킨다.[1] 일본어의 '技術(기술)'은 문맥에 따라 공학(새로운 기술을 만들어내는 기술), 기술(만들어진 기술), 기술(기법과 숙련된 기술) 중 하나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고,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경우도 있으며, 나아가 그것들이 통합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1]

주요 기술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기계 기술
  • 전기·전자 기술
  • 의료 기술

10. 1. 기계 기술

내연기관에너지, 기계장치는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0. 2. 전기·전자 기술

컴퓨터, 통신, 컴퓨터 네트워크, 전자 제어, 전자공학은 정보화 사회의 핵심 기술이다.

10. 3. 의료 기술

영상 진단은 독일에서 빌헬름 뢴트겐이 최초로 개발했다. 항생물질은 미국에서 알렉산더 플레밍이 최초로 개발했다. 컴퓨터 단층촬영(CT)는 영국에서 고드프리 하운즈필드가 개발했다. 자기공명영상(MRI)는 미국과 영국에서 폴 로터버, 피터 맨스필드가 개발했다. 뇌저온치료는 미국 마이애미 대학교에서 고안 및 시험되었고, 일본 일본대학 이타바시 병원의 하야시 시게유키가 환자의 생존과 사회 복귀가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했다.

10. 4. 기타 기술

공학(engineering영어)은 산업혁명 시대 영국의 엔진에서 유래하며, 당시에는 증기기관을 가리켰다. 증기기관을 제작, 조작, 수리, 유지, 개량하는 사람을 엔지니어라고 부르게 되었다. 현대에서 엔지니어란 자연법과 사회의 필요성이라는 제약 속에서 기술을 창조하는 사람을 말한다.

과학(science)은 자연 현상을 탐구하는 공식적인 방법이며, 과학을 통해 세계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얻는다. 반면 기술(technology)은 과학과 공학이라는 두 가지 방법에 사회적 요구가 더해져 탄생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술이라고 하면 (과학의 결과와 상관없이) "공학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에서 과학(サイエンス)은 '과학'으로 번역되는 것이 일정하지만, 공학(エンジニアリング)과 기술(テクノロジー)은 각각 '공학' 및 '기술'로 대응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문맥에 따라 '기술' 또는 '공학'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학과 기술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기술이 technology의 대역어가 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공학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을 가리킨다.

즉, 일본어의 '技術(기술)'은 문맥에 따라 공학(새로운 기술을 만들어내는 기술), 기술(만들어진 기술), 기술(기법과 숙련된 기술) 중 하나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고,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경우도 있으며, 나아가 그것들이 통합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아래의 범주는 공학, 기술, 기술(숙련된 기술) 어느 범주에도 속한다.
기술은 사람들이 개인, 법인, 국가, 세계에 유익하다고 판단하면 세계 여러 나라와 지역에 전파·보급되고, 다른 나라와 지역에 전파·보급된 결과로 전파·보급된 국가·지역의 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기술을 창출한다. 아래는 그 구체적인 사례이다.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사고는 세계화#역사를 참조.

11. 기술, 기능, 그리고 숙련

창작 활동 등에서 기술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다양한 수법을 '''기법'''(技法)이라고 한다. 기술을 사용하는 능력은 '''기능'''(技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희소가치가 있는 고도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높이 평가되어 보호의 대상이 된다.

선대가 고안해낸 기술은 수련과 모방을 통해 전승되지만, 장인기술(기능)이라고 불리는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기술을 계승하는 것은 어렵다. 다만, 작품에 담긴 기술의 흔적을 확인함으로써 그 업적을 알 수 있다.

'기술'과 '기능'이라는 단어는,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혼동하여 대화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다음과 같이 명확한 차이가 있다.


  • '''기술(Technology)'''
  • * 지식을 의미한다.
  • * 교과서처럼 문서화하거나, 대화 등으로 타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 '''기능(Skill)'''
  • * 기술(지식)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 * 개인 내부에서 연마되기 때문에, 타인에게 전달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자동차 운전 방법을 지식으로 습득한 것만으로는 자동차를 정확하게 운전할 수 있는 확률이 낮다. 훈련을 통해 운전 기능을 높임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http://dictionary.go[...]
[2]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技術史観 https://kotobank.jp/[...] 小学館・朝日新聞・VOYAGE GROUP 2018-11-20
[3] 서적 科学論入門 岩波書店 1996-00-00
[4] 논문 「科学技術」の語源と語感 https://doi.org/10.1[...] 科学技術振興機構 1999-08-00
[5] 서적 社会学と人類学Ⅱ 弘文堂 1973-00-00
[6] 서적 社会学と人類学Ⅱ 弘文堂 1973-00-00
[7] 논문 身体技法の伝承における言語の役割 https://doi.org/10.1[...] 一般社団法人 日本教育学会 2017-00-00
[8] 논문 The Description of Mastering the Physical Sense of Aikido https://doi.org/10.5[...] 日本スポーツ社会学会 2008-00-00
[9]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Ⅰ-2 일상생활의 구조 下 까치 1995-00-00
[10] 법률 동법 제2조 제1호 및 시행령 제2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