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센주 (프로이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센주 (프로이센)는 1816년 프로이센 왕국이 작센 왕국의 북부 지역 대부분을 병합하여 신설한 주이다. 이 지역은 라이프치히 전투 이후 작센 왕국으로부터 얻은 영토와 이전 프로이센 영토를 합쳐 구성되었다. 194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에르푸르트, 마그데부르크, 메르제부르크의 세 행정 구역으로 분할되었고, 1945년 소련 군정에 의해 마그데부르크와 할레-메르제부르크가 작센-안할트 주로 통합되었다. 1952년 동독의 주가 폐지되었으나,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부활하여 현대 독일의 주가 되었다. 작센주는 농업과 산업이 발달한 부유한 지역이었으며, 주요 도시로는 마그데부르크, 할레, 에르푸르트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의 주 - 동프로이센
동프로이센은 발트해 연안에 위치했던 역사적 지역으로, 튜턴 기사단,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과 폴란드로 분할되었다. - 프로이센의 주 - 서프로이센
서프로이센은 비스툴라 강 하류와 발트 해 연안을 포괄하는 역사적 지역으로, 폴란드 왕령, 프로이센 왕국 병합, 폴란드 할양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폴란드에 속하며, 독일어, 폴란드어, 카슈브어 사용 인구가 공존했다. - 튀링겐주의 역사 - 작센마이닝겐 공국
작센마이닝겐 공국은 1681년 베틴 가문의 베른하르트 1세가 마이닝겐을 거주지로 삼아 시작된 튀링겐 지방의 공국으로, 1825년 영토 확장, 북독일 연방 가입을 거쳐 1918년 독일 혁명으로 군주제가 폐지되고 1920년 튀링겐 자유주에 병합되었다. - 튀링겐주의 역사 - 로이스그라이츠
로이스그라이츠는 튀링겐 지방의 로이스 가문 영방 국가로, 1778년 후국으로 승격되었으나 독일 제국 시대에 가장 작은 국가였으며, 1918년 독일 혁명으로 군주제가 폐지되어 튀링겐 주에 통합되었다. - 작센안할트주의 역사 - 작센 왕국
작센 왕국은 1806년 작센 선제후국에서 승격되었으나 빈 회의 이후 프로이센에 영토를 할양하며 국력이 약화되었고, 독일 연방과 북독일 연방을 거쳐 독일 제국의 구성국이 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후 마지막 국왕의 퇴위로 멸망한 베틴 가의 입헌 군주국이다. - 작센안할트주의 역사 - 작센 공국
작센 공국은 현재 독일의 니더작센, 작센안할트, 작센 자유주에 걸쳐 있던 줄기 공작령으로, 리우돌핑 가문에서 시작되어 여러 가문을 거쳐 분리되었으며, 작센-비텐베르크 공이 선제후 자격을 얻고 유럽사의 주요 사건들을 겪으며 작센 왕국으로 발전했다.
작센주 (프로이센)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Provinz Sachsen |
다른 이름 | Preußisches Sachsen |
수도 | 마그데부르크 |
역사 | |
시작 | 1816년 |
종료 | 1944년 |
이전 | 마그데부르크 공국 알트마르크 마인츠 선제후국 작센 왕국 |
계승 | 할레-메르제부르크 주 마그데부르크 주 튀링겐 주 |
정치 | |
정치 체제 | 프로이센의 주 |
하위 행정 구역 | 마그데부르크 메르제부르크 에르푸르트 |
인구 | |
1816년 | 1,197,053명 |
1905년 | 2,978,679명 |
1939년 | 3,662,546명 |
면적 | |
1939년 | 25529 제곱킬로미터 |
현재 | |
국가 | 독일 |
상징 | |
문장 | Coat of Arms of Province of Saxony.svg |
깃발 | Flagge Preußen - Provinz Sachsen.svg |
2. 역사
빈 회의 이후 프로이센 왕국은 영토를 재편하면서 1816년에 작센 주를 신설했다. 작센 주는 주로 다음 세 지역의 영토를 합쳐 만들어졌다.
- 프로이센이 베스트팔렌 왕국에서 되찾은 알트마르크, 할버슈타트 공국, 스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 백작령, 마그데부르크 공국 서부 지역
- 라이프치히 전투 이후 작센 왕국에서 획득한 비텐베르크, 메르제부르크, 나움부르크, 만스펠트, 퀘르푸르트 등
- 제국대표자회의 최종결의 이후 프로이센에 할양된 에르푸르트 주변, 아이히스펠트, 뮐하우젠, 노르트하우젠, 퀘들린부르크 수도원 등
1932년에는 하노버주에 속했던 일펠트와 엘빙거로데 주변 지역이 작센 주에 추가되었다.
작센 주는 프로이센 내에서 농업과 산업이 발달한 부유한 지역이었다. 1918년 혁명 이후에는 프로이센 자유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1933년 나치 독일이 권력을 장악한 후, 1944년 7월 1일 작센 주는 세 개의 행정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에르푸르트 행정 구역은 헤센-나사우 주의 일부 지역과 합쳐져 튀링겐주에 편입되었고, 마그데부르크 행정 구역은 마그데부르크 주, 메르제부르크 행정 구역은 할레-메르제부르크 주가 되었다.
1945년, 소련 군정은 마그데부르크와 할레-메르제부르크를 안할트 주와 합쳐 작센-안할트 주를 만들고 할레를 주도로 정했다. 브라운슈바이크 자유주의 블랑켄부르크 월경지의 동부와 알슈테트의 튀링겐 월경지도 작센-안할트에 편입되었다. 1947년, 작센-안할트는 주가 되었다.
튀링겐주와 작센-안할트를 포함한 동독의 주들은 1952년에 폐지되었지만, 1990년 독일 재통일을 계기로 다시 부활했다(일부 국경 변경이 있었음). 특히 1945년에서 1952년 사이에 작센-안할트에 속했던 토르가우 주변 지역은 작센주로 넘어갔다. 이들은 현대적인 독일의 주가 되었다.
작센주의 옛 경계는 교회 분야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었는데, 복음주의 교회 내 작센 교회 관구의 복음주의 교회가 2008년까지 존속했기 때문이다.
2. 1. 초기 역사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 이후 1815년 작센 왕국으로부터 얻은 영토는 다음과 같다.이들은 작센 왕국 내에서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지역 |
---|
비텐부르크 지구의 대부분 (벨치히 주변의 먼 북쪽은 브란덴부르크에 합병됨) |
Meißner Kreis|마이센|마이센 지구de 및 Leipziger Kreis|라이프치히|라이프치히 지구de 지구의 북부 지역 |
Thüringer Kreis|튀링겐 지구de |
치겐뤼크 주변의 Neustädtischer Kreis|노이슈타트 지구de의 작은 부분으로, 튀링겐 내의 월경지를 형성 |
스톨베르크-스톨베르크 백작령 |
전 만스펠트 백작령의 작센 지역 (나머지는 마그데부르크의 일부였음) |
퀘르푸르트 공국의 일부 |
주흐 주변의 전 헨네베르크 백작령의 작센 지역 대부분으로, 두 번째 튀링겐 월경지를 형성 |
전 메르제부르크 및 나움부르크 주교령 |
Grafschaft Barby|바르비 백작령de |
제국대표자회의 최종결의de 이후 프로이센에 할양된 영토는 다음과 같다.
- 에르푸르트 주변의 영토 (이전에는 프랑스 황제의 직할령인 에르푸르트 공국으로 존재)
- 아이히스펠트 (이전에는 마인츠 대주교구에 속함)
- 전 제국 도시인 뮐하우젠과 노르트하우젠
- 퀘들린부르크 수도원.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영토들이 있었다.
- 클뢰체를 중심으로 알트마르크 내에 위치한 여러 소규모 영토로, 이전에는 하노버 선제후국의 월경지였으며, 1807년부터 1813년까지 베스트팔렌 왕국의 일부였다.
- 하펠강 좌안의 소량의 영토로, 이전에는 안할트-데사우 (1796년 이전에는 안할트-체르브스트)에 속해 있었다.
- 하펠강의 바로 남서쪽에 위치한 프로이센 영토; 엘베강 너머에 위치한 알트마르크, 할버슈타트 공국, 스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 백작령 및 마그데부르크 공국의 서부 지역은 1807년부터 1813년까지 베스트팔렌 왕국의 일부였지만, 이후 되찾았다.
2. 2. 프로이센 시대
빈 회의 이후 프로이센 왕국은 영토를 재편하면서 1816년에 작센 주를 신설했다. 작센 주는 주로 다음 세 지역의 영토를 합쳐 만들어졌다.- 프로이센이 베스트팔렌 왕국에서 되찾은 알트마르크, 할버슈타트 공국, 스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 백작령, 마그데부르크 공국 서부 지역
- 라이프치히 전투 이후 작센 왕국에서 획득한 비텐베르크, 메르제부르크, 나움부르크, 만스펠트, 퀘르푸르트 등
- 제국대표자회의 최종결의 이후 프로이센에 할양된 에르푸르트 주변, 아이히스펠트, 뮐하우젠, 노르트하우젠, 퀘들린부르크 수도원 등
1932년에는 하노버주에 속했던 일펠트와 엘빙거로데 주변 지역이 작센 주에 추가되었다.
작센 주는 프로이센 내에서 농업과 산업이 발달한 부유한 지역이었다. 1918년 혁명 이후에는 프로이센 자유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1933년 나치 독일이 권력을 장악한 후, 1944년 7월 1일 작센 주는 세 개의 행정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에르푸르트 행정 구역은 헤센-나사우 주의 일부 지역과 합쳐져 튀링겐주에 편입되었고, 마그데부르크 행정 구역은 마그데부르크 주, 메르제부르크 행정 구역은 할레-메르제부르크 주가 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소련 군정은 마그데부르크와 할레-메르제부르크를 안할트 주와 합쳐 작센-안할트 주를 만들고 할레를 주도로 정했다. 브라운슈바이크 자유주의 블랑켄부르크 월경지의 동부와 알슈테트의 튀링겐 월경지도 작센-안할트에 편입되었다. 1947년, 작센-안할트는 주가 되었다.튀링겐주와 작센-안할트를 포함한 동독의 주들은 1952년에 폐지되었지만, 1990년 독일 재통일을 계기로 다시 부활했다(일부 국경 변경이 있었음). 특히 1945년에서 1952년 사이에 작센-안할트에 속했던 토르가우 주변 지역은 작센주로 넘어갔다. 이들은 현대적인 독일의 주가 되었다.
작센주의 옛 경계는 교회 분야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었는데, 복음주의 교회 내 작센 교회 관구의 복음주의 교회가 2008년까지 존속했기 때문이다.
2. 4. 독일 통일 이후
작센주는 프로이센에서 농업과 산업이 고도로 발달한 부유한 지역 중 하나였다. 1932년에는 이전에 하노버주에 속했던 일펠트와 엘빙거로데 주변 지역이 추가되면서 주가 확장되었다.1944년 7월 1일, 작센주는 세 개의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분할되었다. 에르푸르트 Regierungsbezirk|에르푸르트 행정구de는 헤센-나사우 주의 Herrschaft (territory)|영지de 슈말칼덴 지구와 합쳐져 튀링겐주에 편입되었다. 마그데부르크 Regierungsbezirk|마그데부르크 행정구de는 마그데부르크 주가 되었고, 메르제부르크 Regierungsbezirk|메르제부르크 행정구de는 할레-메르제부르크 주가 되었다.
1945년, 소련 군정은 마그데부르크와 할레-메르제부르크를 안할트 주와 합쳐 작센-안할트 주를 만들었고, 할레를 주도로 정했다. 또한 브라운슈바이크 자유주의 블랑켄부르크 월경지의 동부와 알슈테트의 튀링겐 월경지도 작센-안할트에 편입되었다. 1947년, 작센-안할트는 주가 되었다.
튀링겐주와 작센-안할트를 포함한 동독의 주들은 1952년에 폐지되었지만, 1990년 독일 재통일의 일환으로 다시 부활했다(일부 국경 변경이 있었음; 특히 1945년에서 1952년 사이에 작센-안할트에 속했던 토르가우 주변 지역은 작센주로 넘어갔다). 이들은 현대적인 독일의 주가 되었다.
작센주의 옛 경계는 교회 분야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었는데, 복음주의 교회 내의 작센 교회 관구의 복음주의 교회가 2008년까지 존속했기 때문이다.
3. 행정 구역
1944년 이전 작센 주는 세 개의 행정구역(독일어: Regierungsbezirkede)으로 나뉘었다. 1945년에는 마그데부르크 주와 할레-메르제부르크 주만 다시 통합되었다.
- 마그데부르크 행정 구역은 시(Stadtkreise)와 군(Landkreise)으로 나뉘었다.
- 메르제부르크 행정 구역은 도시 자치구(Stadtkreis)와 지방 자치구(Landkreis)로 구성되었다.
- 에르푸르트 행정 구역은 시 직할구(Stadtkreis)와 군(Landkreis)으로 구성되었다.
3. 1. 마그데부르크 행정 구역 (Regierungsbezirk Magdeburg)

마그데부르크 행정 구역은 시(Stadtkreise)와 군(Landkreise)으로 나뉘었다.
- 시 (Stadtkreise):
- 아셔슬레벤 (1901–1950)
- 부르크 바이 마그데부르크 (1924–1950)
- 할버슈타트 (1817–1825 및 1891–1950)
- 마그데부르크
- 퀘들린부르크 (1911–1950)
- 슈텐달 (1909–1950)
- 군 (Landkreise):
칼베 암 자알레 |
가르데레겐 |
할덴슬레벤 |
예리호 I |
예리호 II |
오셔슬레벤 (보데) |
오스터부르크 |
퀘들린부르크 |
잘츠베델 |
슈텐달 |
반츠레벤 |
베르니게로데 |
볼름슈테트 |
3. 1. 1. 시 (Stadtkreise)
- 아셔슬레벤 (1901–1950)
- 부르크 바이 마그데부르크 (1924–1950)
- 할버슈타트 (1817–1825 및 1891–1950)
- 마그데부르크
- 퀘들린부르크 (1911–1950)
- 슈텐달 (1909–1950)
3. 1. 2. 군 (Landkreise)
칼베 암 자알레 |
가르데레겐 |
할덴슬레벤 |
예리호 I |
예리호 II |
오셔슬레벤 (보데) |
오스터부르크 |
퀘들린부르크 |
잘츠베델 |
슈텐달 |
반츠레벤 |
베르니게로데 |
볼름슈테트 |
3. 2. 메르제부르크 행정 구역 (Regierungsbezirk Merseburg)
메르제부르크 행정 구역은 도시 자치구(Stadtkreis)와 지방 자치구(Landkreis)로 구성되었다.종류 | 이름 |
---|---|
도시 자치구 (Stadtkreis) | |
군 (Landkreis) |
3. 2. 1. 시 (Stadtkreise)
3. 2. 2. 군 (Landkreise)
종류 | 이름 |
---|---|
도시 자치구 (Stadtkreis) | |
군 (Landkreis) |
3. 3. 에르푸르트 행정 구역 (Regierungsbezirk Erfurt)
에르푸르트 행정 구역은 시 직할구(Stadtkreis)와 군(Landkreis)으로 구성되었다.시 직할구(Stadtkreis) |
---|
군(Landkreis) |
---|
3. 3. 1. 시 (Stadtkreise)
3. 3. 2. 군 (Landkreise)
직할시 (Stadtkreis) |
---|
군 (Landkreis) |
---|
4. 주요 도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