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전계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전계획은 군사 작전 수행을 위한 상세한 계획으로, 실제 또는 잠재적 위협 상황에 대응하여 수립된다.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극비로 수립되며, 교전 가능성이 있는 국가뿐만 아니라 우호국이나 동맹국도 가상 적국에 포함될 수 있다. 미국,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대한민국 등 주요 국가 및 기구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작전 계획을 수립하며, 작전 계획 5027, 5029 등과 같은 구체적인 계획도 존재한다. 작전 계획은 군비 경쟁 유발, 우발적 충돌 위험성, 투명성 부족과 같은 비판적 관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휘통제 - 전장
전장은 전쟁 수행 공간으로, 정보 시대 도래에 따라 물리적 영역의 '구 전장'에서 사이버, 우주 등 무형 영역의 '신 전장'으로 확장되어 전 세계가 경쟁 무대가 되었다. - 지휘통제 - 지휘 센터
지휘 센터는 정보 수집, 분석, 의사 결정을 통해 상황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핵심 시설로, 데이터 센터,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시민, 비상 관리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군사, 정부, 기업 등에서 운영된다. - 군사작전 - 전시 작전통제권
전시 작전통제권은 전시 상황에서 군대 작전을 통제하는 권한으로, 주요 국가들은 안보 환경과 동맹 관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사하며, 대한민국은 한국전쟁 이후 미군이,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은 전면전 시 나토가 작전권을 가진다. - 군사작전 - 작전계획 5027
작전계획 5027은 한반도 유사시를 대비해 미국과 대한민국이 공동 수립한 작전 계획으로, 북한의 남침 대비 방어 계획에서 시작하여 북한 정권 붕괴까지를 목표하며 미군 증원과 한미 연합군 공세 작전을 주요 내용으로 하지만 정보 유출, 한미 동맹 불평등성 논란, 유연성 부족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작전계획 |
---|
2. 정의 및 특징
전쟁 계획은 군사 작전 수행을 위한 상세하고 완전한 계획으로, 실제 또는 잠재적 위협 상황에 대응하여 수립된다.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극비로 수립되며, 불필요하게 된 시점에 공표되기도 한다. 지리적 전략, 군사 전략, 경제 및 자원, 수송 수단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잘 짜인 계획을 나타낸다.
교전 가능성이 있는 국가뿐만 아니라, 우호국이나 동맹국도 가상 적국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이 검토했던 컬러 코드 전쟁 계획 중 하나인 레드 계획에서는 영국이나 캐나다와 같은 미국의 우호국도 대상에 포함되었던 것으로 나중에 밝혀져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3. 주요 국가별 전쟁 계획
3. 1. 미국
미국 군대에서 작전 계획(OPLAN)은 합동 군사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완전하고 상세한 계획이다.[2] 작전 계획은 군사 작전이 필요할 수 있는 실제 또는 잠재적 상황에 대응하여 통합전투사령부의 전투사령관 (CCDR)에 의해 개발된다. 작전 계획은 사령관이 작전 명령 (OPORD)을 발령하거나, 미국 합참의장 (CJCS)이 미국 국방부 장관 (Secdef)의 지시에 따라 미국 대통령의 군사 작전 개시 결정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명령 (EXORD)을 발령할 때 실행된다. 개념 계획(CONPLAN)은 개념 형태로 된 작전 계획으로, 일반적으로 다른 군사 계획에서 발견되는 세부 사항 수준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공개적으로 알려진 미국 작전 계획 중에는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을 다루는 작전 계획 5027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갑작스러운 붕괴에 대비한 작전 계획 5029이 있다.[3] 작전 계획 8044와 작전 계획 8010은 모두 1961년부터 2003년까지 핵전쟁을 위한 일반 계획이었던 단일 통합 작전 계획의 후속 계획이다.[3] 작전 계획 1003-98은 2002년 이전의 이라크와의 전쟁 계획이었다. 2024년 현재, 현재의 일반 계획은 작전 계획 1080-12이다.[3]
3. 2.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서 다국적 군사 작전의 성공적인 계획 수립에는 공통 교리가 필요하다. 이 교리는 연합 합동 간행물(AJP) 5에 문서화되어 있으며, 주로 작전 수준의 계획에 종사하는 지휘관과 참모를 대상으로 한다. 특히 합동 전력 사령부 본부 및 구성 사령부 본부에 근무하는 인원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문서는 작전 수준에서 합동 작전을 계획하는 기본 측면을 설명하고, 작전 수준의 계획 수립에서 따라야 하는 주요 계획 원칙, 고려 사항 및 프로세스 단계에 대한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3. 3. 대한민국
4. 비판적 관점
4. 1. 군비 경쟁 유발 가능성
4. 2. 우발적 충돌 위험성
4. 3. 투명성 부족과 민주적 통제 문제
5. 결론
참조
[1]
웹사이트
Operation Plans [OPLAN]
https://www.globalse[...]
2023-02-24
[2]
간행물
Joint Operation Planning
http://www.dtic.mil/[...]
2006-12-26
[3]
서적
Nuclear War: A Scenario
Dutton
2024-03-24
[4]
웹사이트
Allied Joint Publication 5 - Allied Joint Doctrine for Operational-Level Planning
https://nso.nato.int[...]
NATO
2013-06
[5]
웹인용
Operation Plans [OPLAN]
https://www.globalse[...]
2023-02-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