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휘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휘관은 군대에서 부대를 이끄는 직책 또는 그 직책을 맡은 사람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중대장 이상의 지휘관에게 지휘관 휘장이 수여되며, 계급에 따라 위관용, 영관용, 장성용, 대장용, 참모총장용으로 구분된다. 영연방 국가, 미국, 그 외 국가에서도 육해공군 및 해병대 등에서 지휘관의 역할과 명칭이 다양하게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휘통제 - 전장
    전장은 전쟁 수행 공간으로, 정보 시대 도래에 따라 물리적 영역의 '구 전장'에서 사이버, 우주 등 무형 영역의 '신 전장'으로 확장되어 전 세계가 경쟁 무대가 되었다.
  • 지휘통제 - 지휘 센터
    지휘 센터는 정보 수집, 분석, 의사 결정을 통해 상황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핵심 시설로, 데이터 센터,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시민, 비상 관리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군사, 정부, 기업 등에서 운영된다.
  • 군사 지도자 - 사령관
    사령관은 군대, 경찰, 항공, NASA 등 다양한 조직에서 직책이나 계급으로 사용되며, 조직과 국가에 따라 그 의미와 위상이 다르다.
  • 군사 지도자 - 알탄 칸
    알탄 칸은 16세기 몽골의 지배자로서 투메트부를 다스리고 명나라와 교역을 시도하다 베이징을 공격하고 화의를 맺었으며, 티베트 불교를 몽골에 부흥시키고 후허하오터를 건설하는 등 몽골의 종교적,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다.
  •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지휘관
지휘관
역할군사 부대를 지휘하고 통제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장교
계급 및 역할
군대 규모지휘관이 지휘하는 군대의 규모는 다양함
소대 지휘관소대 규모 (수십 명)
대대 지휘관대대 규모 (수백 명)
연대 지휘관연대 규모 (수천 명)
사단 지휘관사단 규모 (수천 명에서 수만 명)
군단 지휘관군단 규모 (수만 명)
자격 요건
임명 조건일반적으로 군사 교육과 훈련을 이수하고, 특정 계급과 경험을 갖춘 장교가 임명됨
책임
주요 책임부대의 훈련 및 작전 계획 수립
부대원의 안전 및 복지 책임
명령 하달 및 통제
작전 수행
군사적 목표 달성
지휘관의 중요성
결정적 역할군사 작전의 성공과 실패에 결정적인 역할 수행
관련 용어
다른 용어사령관, 지휘자

2. 대한민국 국군

2. 1. 지휘관 휘장

중대장 이상의 지휘관이 되면 가슴에 지휘관 휘장을 착용한다. 하지만 지휘관 휘장의 종류는 보직이 아닌 계급으로 분류된다.

  • 위관용: 위관급 장교가 패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중대장 보직을 받은 부사관도 패용한다. 무궁화와 X자로 교차된 지휘봉이 그려져 있다. 특전사의 각 여단 직할 시설대장은 보직 분류상 대대장이지만 소위 보직이기 때문에 위관용 지휘관휘장을 패용하며 위관용 지휘관 휘장을 패용하는 가장 높은 보직이다.
  • 영관용: 대대장, 연대장 용이지만 소령 보직인 본부대장, 직할중대장, 특전사 지역대장도 패용한다. 위관용과 동일하지만 무궁화가 금색이다.
  • 장성용: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이 패용한다. 무궁화가 상단으로 올라간다.
  • 대장용: 작전사령관이 패용한다, 장성용과 동일하지만 지휘봉이 금색이다.
  • 참모총장용

2. 1. 1. 위관용

위관급 장교가 패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중대장 보직을 받은 부사관도 패용한다. 무궁화와 X자로 교차된 지휘봉이 그려져 있다. 특전사의 각 여단 직할 시설대장은 보직 분류상 대대장이지만 소위 보직이기 때문에 위관용 지휘관휘장을 패용하며 위관용 지휘관 휘장을 패용하는 가장 높은 보직이다.

2. 1. 2. 영관용

대대장, 연대장 용이지만 소령 보직인 본부대장, 직할중대장, 특전사 지역대장도 패용한다. 위관용과 동일하지만 무궁화가 금색이다.

2. 1. 3. 장성용

중대장 이상의 지휘관이 되면 가슴에 지휘관 휘장을 착용한다. 지휘관 휘장의 종류는 보직이 아닌 계급으로 분류된다.

2. 1. 4. 대장용

대장용은 작전사령관이 패용하며, 장성용과 동일하지만 지휘봉이 금색이다.

2. 1. 5. 참모총장용

wikitext

위키백과에는 '참모총장용'에 대한 별도의 지휘관 휘장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지휘관 휘장은 보직이 아닌 계급으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위관용: 위관급 장교가 패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중대장 보직을 받은 부사관도 패용한다. 무궁화와 X자로 교차된 지휘봉이 그려져 있다. 특전사의 각 여단 직할 시설대장은 보직 분류상 대대장이지만 소위 보직이기 때문에 위관용 지휘관휘장을 패용하며 위관용 지휘관 휘장을 패용하는 가장 높은 보직이다.
  • 영관용: 대대장, 연대장 용이지만 소령 보직인 본부대장, 직할중대장, 특전사 지역대장도 패용한다. 위관용과 동일하지만 무궁화가 금색이다.
  • 장성용: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이 패용한다. 무궁화가 상단으로 올라간다.
  • 대장용: 작전사령관이 패용한다, 장성용과 동일하지만 지휘봉이 금색이다.

2. 2. 지휘봉

소령 이상의 지휘관이 되면 지휘봉이 지급된다. 따라서 대위가 담당하는 중대장은 지휘관이지만 지휘봉이 없다.
영관용대대장, 연대장 용이지만 소령 보직인 본부대장, 직할중대장, 특전사 지역대장도 소지한다. 철제 지휘봉이다.
장성용여단장, 사단장, 군단장이 소지한다. 목제 지휘봉이다.

2. 2. 1. 영관용

소령 이상의 지휘관이 되면 지휘봉이 지급된다. 따라서 대위가 담당하는 중대장은 지휘관이지만 지휘봉이 없다. 대대장, 연대장 용이지만 소령 보직인 본부대장, 직할중대장, 특전사 지역대장도 소지한다. 철제 지휘봉이다.

2. 2. 2. 장성용

소령 이상의 지휘관이 되면 지휘봉이 지급된다. 따라서 대위가 담당하는 중대장은 지휘관이지만 지휘봉이 없다.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이 소지한다. 목제 지휘봉이다.

3. 영연방

3. 1. 육군

영국 육군, 영국 해병대 및 다른 많은 영연방 군사 및 준군사조직에서 부대의 지휘관이 임명된다. CO 직책은 임명직이다. 주요 부대(연대, 대대 등과 유사한 규모의 부대)의 지휘관에게만 지휘관 임명이 부여된다. 지휘관은 통상적으로 중령 계급을 가지며, 부대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대령" 또는 CO로 불린다. "대령"은 또한 연대의 비작전 업무를 감독하는 고위 장교의 명예직을 가진 사람을 지칭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임명자 계급과 임명은 별개이다.

소부대 및 소규모 부대(중대, 기병대 및 포대) 및 부대(여단, 사단, 군단 및 군)에는 지휘관이 없다. 소규모 부대의 지휘관은 "지휘관(officer commanding)" (OC) 직책을 가진다. 상위 부대에는 사령관(일반적으로 여단의 경우) 또는 소령이다.

어떤 경우에는 소부대보다 작은 독립 부대(예: 여단과 같은 부대에 직접 보고하는 군사 경찰 소대)에도 OC가 임명될 것이다.

CO 및 OC와 같은 임명은 그와 관련된 특정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군인을 진급시키거나 특정 징계 위반을 처리하고 특정 처벌을 내릴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소부대보다 작은 부대(소대, 기갑 부대 및 분대)의 지휘관은 특정 임명이 아니며, 해당 직책을 채우는 장교 또는 부사관은 단순히 지휘관 또는 지도자로 불린다.

3. 2. 공군

영국 공군에서 지휘관 직함은 비행대대를 포함한 독립 부대의 지휘관 또는 기지 사령관에게 부여된다. 영국 육군과 마찬가지로, 행정 비행단, 비행대대 또는 비행대와 같은 더 작은 부대의 지휘관 직책은 지휘관(OC)으로 불린다.

3. 3. 해군

영국 해군을 비롯한 많은 해군에서 지휘관은 함선, 부대 또는 시설의 지휘관을 지칭하는 공식 직함이다. 그러나 실제 계급에 관계없이 "함장"이라고 불리며, 비공식적으로는 "스키퍼" 또는 심지어 "보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4. 미국

노먼 슈워츠코프 주니어 장군이 걸프 전쟁 중 미군과 대화하고 있다.


미국에서 지휘관의 지위는 군 부대, 함선 또는 시설을 적법하게 지휘하는 모든 위관급 장교에게 정식으로 적용된다.

==== 육군 ====

대위는 보통 중대의 지휘관이며, 중대장이라고 불린다(또는 포병/기병 부대의 경우 포대/소대장). 대대 (또는 기병/기갑 기병기병대대)의 지휘관은 보통 중령이다. 여단의 지휘관은 대령이며, 여단장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사단급 이상에서는 지휘관을 사령관이라고 부르며, 이들은 장성 계급을 보유하고 있다.

소대의 지휘 책임자는 지휘관과 같은 의미에서 지휘 위치를 가지고 있지만, 장교가 이끄는 가장 작은 병력 단위로, "소대장"이라고 불리지 "소대 지휘관"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이 장교는 일반적으로 소위이며, 그 밑에 있는 병사들을 지휘하지만, 더 높은 계급에 내재된 많은 지휘 책임을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대장은 비사법적 처벌을 내릴 수 없다.

부사관은 특정 소규모 군 부대를 "지휘"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국가원수로부터 부여받은 필요한 권한이 없기 때문에 "지휘"를 할 수 없다. 개별 차량 (및 승무원)을 "지휘"하는 사람들은 차량 지휘관이라고 불린다. 이 칭호의 구분은 항공기 지휘관 ("비행 책임자")인 장교와 전차 및 장갑차 지휘관인 장교 및 부사관에게도 적용된다. 이 장교와 부사관은 자신이 맡은 병사와 장비에 대한 전술적 및 작전적 지휘 (항공기 지휘관의 경우 특히 완전한 권한, 책임 및 의무 포함)를 가지고 있지만, 통일군사사법규칙 또는 군사 규정에 따라 "지휘관"의 법적 권한을 부여받지 않는다.

준위는 미국 군대에서 특정 특수 부대, 즉 특수부대 및 육군 항공대 내에서 지휘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때때로 실제로 지휘 위치를 맡기도 하는 단일 경력 트랙 장교이다. 그러나 준위는 일반적으로 장교가 존재할 경우 지휘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부관 (2인자)으로 복무한다.

==== 해병대 ====

다크 호스 대대가 신임 지휘관을 환영하고 있다.


해병대의 중대 지휘관은 일반적으로 대위이며, 중대장 또는 포병대 지휘관(야전 포병 및 저고도 방공 부대의 경우)으로 불린다. 대대 또는 비행대(해병대 항공)의 지휘관은 보통 중령이다. 연대, 항공 그룹, 또는 해병 원정대 (MEU)의 지휘관은 대령이다. 해병 원정 여단 (MEB), 해병대 군수 지원단 (MLG), 해병 사단 (MARDIV), 해병 항공단 (MAW), 해병 원정군 (MEF), 그리고 해군 해병대 (FMF)의 지휘관은 지휘 장성으로 불리며, 이들은 장성 계급을 가진다.

소대는 해병대의 가장 작은 전술 부대로, 보통 위관장교인 소위 또는 중위가 지휘하며, 소대장은 소대장으로 불린다. 이러한 명칭은 항공기 지휘관인 장교뿐만 아니라, 전차 및 장갑차 지휘관인 장교, 부사관(상사~주임원사), 그리고 하사관(병장 및 하사)에게도 적용된다. 이들 장교, 부사관 및 하사관은 담당 해병과 장비에 대한 전술 및 작전 지휘(항공기 지휘관의 경우 특히 완전한 권한, 책임 및 의무 포함)를 가지고 있지만, 군사 재판 통일법(UCMJ) 또는 군 규정에 따라 "지휘관"의 법적 권한을 부여받지 않는다.

==== 해군 및 해안경비대 ====

미국 해군과 미국 해안 경비대에서 지휘관은 함선의 지휘관을 공식적으로 칭하는 용어이지만, 실제 계급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함장"으로 불린다.[1] "함선, 잠수함 또는 기타 선박을 지휘하는 해군 장교는 실제 계급에 관계없이 지휘 중인 동안 해군 관례에 따라 '함장'으로 불린다."[1] 이들은 비공식적으로 "스키퍼"로 불릴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호칭의 사용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것은 지휘관의 고유 권한이다.

예비 지휘관(PCO)은 자신의 지휘를 위해 선발된 미국 해군 장교를 지칭하며, 장교가 부대(함선, 비행대, 부대 등)의 지휘를 맡기 전 서신 등에서 사용된다.

부대를 지휘하는 수병이 임관 장교 또는 준위가 아닌 부사관인 경우, "지휘관"이 아닌 "담당 장교"로 불린다. 해안 경비대에서는 더 작은 소형 경비정을 선임 부사관이 지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공군 ====

미국 공군에서 부대의 지휘관은 부대장이라고도 하며, 예를 들어 비행대대 지휘관, 비행전대 지휘관, 비행단 지휘관 등이 있다. 비행대대 지휘관(미국 공군의 기본 부대)은 대개 소령 또는 중령이다. 비행전대 지휘관(두 개 이상의 비행대대로 구성)은 대개 대령이며, 비행단 지휘관은 대령(일반적인 비행단) 또는 장군(더 큰 비행단)일 수 있다.

4. 1. 육군

대위는 보통 중대의 지휘관이며, 중대장이라고 불린다(또는 포병/기병 부대의 경우 포대/소대장). 대대 (또는 기병/기갑 기병기병대대)의 지휘관은 보통 중령이다. 여단의 지휘관은 대령이며, 여단장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사단급 이상에서는 지휘관을 사령관이라고 부르며, 이들은 장성 계급을 보유하고 있다.

소대의 지휘 책임자는 지휘관과 같은 의미에서 지휘 위치를 가지고 있지만, 장교가 이끄는 가장 작은 병력 단위로, "소대장"이라고 불리지 "소대 지휘관"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이 장교는 일반적으로 소위이며, 그 밑에 있는 병사들을 지휘하지만, 더 높은 계급에 내재된 많은 지휘 책임을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대장은 비사법적 처벌을 내릴 수 없다.

부사관은 특정 소규모 군 부대를 "지휘"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국가원수로부터 부여받은 필요한 권한이 없기 때문에 "지휘"를 할 수 없다. 개별 차량 (및 승무원)을 "지휘"하는 사람들은 차량 지휘관이라고 불린다. 이 칭호의 구분은 항공기 지휘관 ("비행 책임자")인 장교와 전차 및 장갑차 지휘관인 장교 및 부사관에게도 적용된다. 이 장교와 부사관은 자신이 맡은 병사와 장비에 대한 전술적 및 작전적 지휘 (항공기 지휘관의 경우 특히 완전한 권한, 책임 및 의무 포함)를 가지고 있지만, 통일군사사법규칙 또는 군사 규정에 따라 "지휘관"의 법적 권한을 부여받지 않는다.

준위는 미국 군대에서 특정 특수 부대, 즉 특수부대 및 육군 항공대 내에서 지휘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때때로 실제로 지휘 위치를 맡기도 하는 단일 경력 트랙 장교이다. 그러나 준위는 일반적으로 장교가 존재할 경우 지휘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부관 (2인자)으로 복무한다.

4. 2. 해병대



해병대의 중대 지휘관은 일반적으로 대위이며, 중대장 또는 포병대 지휘관(야전 포병 및 저고도 방공 부대의 경우)으로 불린다. 대대 또는 비행대(해병대 항공)의 지휘관은 보통 중령이다. 연대, 항공 그룹, 또는 해병 원정대 (MEU)의 지휘관은 대령이다. 해병 원정 여단 (MEB), 해병대 군수 지원단 (MLG), 해병 사단 (MARDIV), 해병 항공단 (MAW), 해병 원정군 (MEF), 그리고 해군 해병대 (FMF)의 지휘관은 지휘 장성으로 불리며, 이들은 장성 계급을 가진다.

소대는 해병대의 가장 작은 전술 부대로, 보통 위관장교인 소위 또는 중위가 지휘하며, 소대장은 소대장으로 불린다. 이러한 명칭은 항공기 지휘관인 장교뿐만 아니라, 전차 및 장갑차 지휘관인 장교, 부사관(상사~주임원사), 그리고 하사관(병장 및 하사)에게도 적용된다. 이들 장교, 부사관 및 하사관은 담당 해병과 장비에 대한 전술 및 작전 지휘(항공기 지휘관의 경우 특히 완전한 권한, 책임 및 의무 포함)를 가지고 있지만, 군사 재판 통일법(UCMJ) 또는 군 규정에 따라 "지휘관"의 법적 권한을 부여받지 않는다.

4. 3. 해군 및 해안경비대

미국 해군과 미국 해안 경비대에서 지휘관은 함선의 지휘관을 공식적으로 칭하는 용어이지만, 실제 계급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함장"으로 불린다.[1] "함선, 잠수함 또는 기타 선박을 지휘하는 해군 장교는 실제 계급에 관계없이 지휘 중인 동안 해군 관례에 따라 '함장'으로 불린다."[1] 이들은 비공식적으로 "스키퍼"로 불릴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호칭의 사용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것은 지휘관의 고유 권한이다.

예비 지휘관(PCO)은 자신의 지휘를 위해 선발된 미국 해군 장교를 지칭하며, 장교가 부대(함선, 비행대, 부대 등)의 지휘를 맡기 전 서신 등에서 사용된다.

부대를 지휘하는 수병이 임관 장교 또는 준위가 아닌 부사관인 경우, "지휘관"이 아닌 "담당 장교"로 불린다. 해안 경비대에서는 더 작은 소형 경비정을 선임 부사관이 지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4. 공군

미국 공군에서 부대의 지휘관은 부대장이라고도 하며, 예를 들어 비행대대 지휘관, 비행전대 지휘관, 비행단 지휘관 등이 있다. 비행대대 지휘관(미국 공군의 기본 부대)은 대개 소령 또는 중령이다. 비행전대 지휘관(두 개 이상의 비행대대로 구성)은 대개 대령이며, 비행단 지휘관은 대령(일반적인 비행단) 또는 장군(더 큰 비행단)일 수 있다.

5. 그 외 국가

참조

[1] 웹사이트 Navy Officer Titles http://www.public.na[...] 2020-06-25
[2] 문서 해군과 공군, 해병대 한정으로 중장도 국방부 장관이 될 수 있으며 윤광웅 전 국방부 장관 역시 예비역 해군 중장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